KR200489598Y1 -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 Google Patents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98Y1
KR200489598Y1 KR2020180000627U KR20180000627U KR200489598Y1 KR 200489598 Y1 KR200489598 Y1 KR 200489598Y1 KR 2020180000627 U KR2020180000627 U KR 2020180000627U KR 20180000627 U KR20180000627 U KR 20180000627U KR 200489598 Y1 KR200489598 Y1 KR 200489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grinding
assembled
cold
draw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순
Original Assignee
김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순 filed Critical 김근순
Priority to KR2020180000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3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a surface for cleaning purposes, e.g. for descaling or for grinding off flaw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3/00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B21C43/02Devices for cleaning metal product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84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the grinding wheel support being angular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2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mechanical gearing or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간 인발기의 사전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부분품인 랙바 소재로 사용되는 냉간 인발 봉강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랙바의 가공 전 인발봉강의 표면을 연삭하여 표면 스크래치, 핀홀, 심(Seams), 크랙(Crack)와 같은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실질적인 랙바의 제조비용 절감 및 랙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전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Pre-grinding machine for cold-drawn steel bars for rack bars}
본 고안은 랙바 제조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부품인 랙바 소재로 사용되는 냉간 인발 봉강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랙바의 가공 전 인발봉강의 표면을 연삭하여 표면 스크래치, 핀홀, 심(Seams), 크랙(Crack)와 같은 결함을 제거함으로써 실질적인 랙바의 제조비용 절감 및 랙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랙바 제조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 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와 같은 조향 장치에 사용되는 랙바의 소재로 활용되는 냉간 인발 봉강은 표면이 균일하게 연마되고 표면에 스크래치 및 결함 등이 없는 등 그 품질이 중요한데, 현재 랙바용 소재로 활용되는 냉간 인발 봉강이 균일하지 못하고 표면에 핀홀, 심(Seams), 크랙(Crack)과 같은 결함이 잔존하는 등 그 품질이 불량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냉간 인발 전 선재의 피막 코팅 및 취급상의 찍힘 등의 표면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산세 및 쇼트 블라스트 등 사전 표면처리 공정을 진행하나, 산세 또는 쇼트 블라스트 후 제거되지 않는 깊은 결함이 잔존하며, 인발 다이스를 통과하면서 표면 또는 표층부에 핀홀, 심(Seams), 크랙(Crack)과 같은 결함으로 잔존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선재를 실제 차량에 장착되는 제품의 치수보다 크게 인발하고 전 처리된 선재 표면을 2~3회 연마하여 표면 및 표층부 결함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처리작업 후 연마작업을 진행하여도 완성된 랙바제품의 표면 결함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못하여 일부분은 랙바 제조공정 중 발견되어, 처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일부는 유출되어 완성차에 장착되는 경우 자동차 주행시 조향 장치에서 작동 이음이 발생되거나, 심할 경우 조향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7-0039856호(공개일: 2017년 04월 12일) "알루미늄선재를 위한 쉐이빙 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6940호(등록일: 1999년 03월 03일) "선재연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032561호(등록일: 2011년 04월 25일) "표면흠이 제거된 선재의 제조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096859호(등록일: 2011년 12월 14일) "선재의 표면 처리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366995호(등록일: 2002년 12월 20일) "선재 연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0574447호(등록일: 2006년 04월 20일) "철-크롬-알루미늄계 압연 빌렛의 표면균열 저감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0170817호(등록일: 1998년 10월 16일) "와이어 그라인딩 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랙바용으로 사용하는 선재를 인발 시 사전 연삭기를 통과하여 냉간 인발 전 선재 표면에 잔존하는 결함을 사전에 제거 후 인발하여 기존 보다 적은 회수의 연마작업으로 소재 투입 비용 및 제조 공정 수를 감소시키고 랙바의 제조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재의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삭기에 있어서,
함체 형태의 프레임(80);
상기 프레임(8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연삭부재(1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연삭부재는 45도범위로 회전되어 프레임(80)에 조립되어 연삭부재(10)에 형성된 연삭날(51)이 투입되는 선재의 표면 전체를 고르게 연삭하되,
상기 연삭부재(10)는
상기 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상부에 관통공(21)을 갖는 한 쌍의 지지대(22)와 타측에 한 쌍의 고정판(23)이 조립되는 제1베이스(20);
상기 제1베이스(20)의 지지대(22) 사이에 끼움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미도시)을 지지대(22)의 관통공(2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끼움한 상태에서 회전축(32)을 관통시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제2베이스(30);
상기 제2베이스(30)의 상부 일측에 조립되는 구동모터(40);
상기 제2베이스(30)의 상부 타측에 조립되는 몸체(52)와, 상기 몸체(5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에 구동모터(40)와 밸트(90)로 연결되는 풀리(54)와 타측에 숫돌(51)이 조립되는 연삭수단(50);
상기 제1베이스(20)의 고정판(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61)이 제2베이스(30)의 연결판(31)에 조립되는 각도조절실린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삭부재(10)와 이웃하는 연삭부재(1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선재를 가이드하며 프레임(80)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전후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일측의 제1조절볼트(220)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230)와, 상기 이동부(230)의 전면에 조립되며 전방으로 고정롤러(240)가 형성된 하부롤러부(250) 및 상기 하부롤러부(2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동부(230)에 상하 이동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고 전방에 이동롤러(260)와 상부에 제2조절볼트(28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롤러부(270)로 구성된 가이드롤러유닛(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60)와 대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1베이스(20)의 일측에 조립되는 조절부(71)와, 제2베이스(30)의 일측에 조립되는 연결판(72)과, 상기 조절부(7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판(7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73) 및 상기 연결판(72)의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봉(73)에 고정되는 스프링(74)으로 이루어진 텐션부재(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부재(70)의 조절부(71)는 핸들 또는 기어에 의하여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는 냉간 인발 전 선재의 표면을 연마하여 인발 전 선재가 가지고 있는 표면 및 표층부 결함 등을 사전에 제거하므로, 이로 인하여 랙바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수가 감소하고, 공정 직행율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연삭부재를 45도 각도로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선재 표면 전체를 고르게 연마할 수 있으며 각각의 연삭부재 사이에 가이드롤러
유닛을 설치하여 선재를 연삭부재 내부로 안정적인 연속 투입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연삭부재는 독립적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조절되는 장력조절부에 의하여 선재에 전해지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선재의 표면 상태에 따른 연삭 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배치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가이드롤러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에 선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연삭부가 선재표면을 연삭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 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배치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가이드롤러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에 선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중 연삭부재의 연삭부가 선재표면을 연삭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이하, '연삭기'라 한다)(100)는 일반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Pay-off(01) > Shot-Blast(03) > Drawing M/C(05) > Cutting M/C(07) > 2-Roll Straightener(08) > Delivery(09)로 이루어진 CDM(Combined-Drawing Machine) 일괄라인 중 Shot-Blast(03)와 Drawing M/C(05) 사이에 설치되며 쇼트 블라스트(03)된 인발 봉강이 가이드 롤러 유닛(200)을 통과하여 한 쌍의 연삭부재(1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연삭기(100)를 통과하며 연삭되어 인발 봉강의 표면에 발생된 핀홀, 심(Seams), 크랙(Crack)과 같은 결함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연삭기(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 형태의 프레임(80) 내부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연삭부재(1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연삭부재는 45도범위로 회전되어 프레임(80)에 조립되어 실질적으로 연삭부재(10)에 형성된 연삭날(51)이 투입되는 선재의 표면 전체를 고르게 연마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연삭부재(10)는 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베이스(20)와 상기 제1베이스(20)의 상부에 조립되는 한 쌍의 지지대(21)에 회전축(22)으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제2베이스(30)와, 상기 제2베이스(30)의 일측 상부에 조립되는 구동모터(40) 및 상기 제2베이스(30)의 타측 상부에 일측이 구동모터(40)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는 연삭수단(50)과, 상기 제1베이스(20)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이 제2베이스(30)에 연결되어 제2베이스(30)를 회전시켜 연삭수단(50)을 선재에 근접시키거나 또는 이격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60) 및 상기 각도조절실린더(60)이 설치된 반대측에 설치되어 선재를 연삭하는 과정에서 제2베이스(30)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쇄시키는 텐션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베이스(20)는 일측이 프레임(80)에 고정되며 타측 중앙부분에 관통공(21)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22)와 일측에 텐션부재(70) 및 타측에 각도조절실린더(6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판(23)이 조립된다.
상기 제2베이스(30)는 하부에 관통공(미도시)가 형성된 연결판(31) 중앙부분이 지지대(22) 사이공간에 삽입되어 연결판(31)의 관통공(미도시)과 지지대(22)의 관통공(2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끼움한 상태에서 회전축(32)을 관통시켜 제2베이스(30)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제1베이스(20)와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30)의 상부에는 일측에 구동모터(40)와 타측에 연삭수단(50)이 조립되며 구동모터(40)와 연삭수단(50)의 일측이 밸트(90)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하여 연삭수단(50)의 숫돌(51)이 회전하며 선재의 표면을 연삭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0)와 연삭수단(50)의 외측으로는 커버(33)를 형성하여 구동모터(40)로 이물질이 유입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숫돌(51)의 노출부분을 최소화하여 먼지, 돌가루 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연삭수단(50)은 몸체(52)가 제2베이스(3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회전봉(53)의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40)와 밸트(90)로 연결되는 풀리(54)와 타측에 숫돌(51)이 조립되어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하여 숫돌(51)이 회전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각도조절실린더(60)는 실린더(60)가 제1베이스(20)의 고정판(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61)이 제2베이스(30)의 하부에 조립되어 각도조절실린더(60)의 동작에 의하여 제2베이스(30)가 회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2베이스(30)에 형성된 연삭수단(50)의 숫돌(51)이 상하 이동하여 선재 표면을 연삭하거나 또는 이격된다.
상기 텐션부재(70)는 상기 각도조절실린더(60)에 의하여 각도가 조절된 제2베이스(30)가 상부에 형성된 구동모터(4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각도조절실린더(60)로 전달되어 각도조절실린더(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베이스(20)의 일측에 조립되는 조절부(71)와, 상기 제2베이스(30)의 일측에 조립되는 연결판(72)과, 상기 조절부(7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판(7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73) 및 상기 연결판(72)의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봉(73)에 고정되는 스프링(7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텐션부재(70)의 길이는 조절부(71)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미도시) 또는 기어(711)에 의하여 조절부(71)와 연결된 가이드봉(7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각도조절실린더(60)의 구동에 의하여 제2베이스(30)가 회전하여 제1베이스(20)와 제2베이스(30)의 거리가 변형되더라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절부(71)의 조절은 핸들(미도시)에 의하여 각각의 연삭부재(10)에 형성된 조절부(71)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조절부(71)에 기어(711)를 형성하고 체인(미도시)으로 연결하여 연삭기(100)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텐션부재(70)의 구성을 통하여 연삭과정에서 발생되는 제2베이스(30)의 진동을 스프링(74)이 상쇄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각도조절실린더(60)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삭기(100)는 한 쌍의 연삭부재(10)가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특히, 각각의 연삭부재(10)에 형성된 숫돌(51)은 선재를 연삭하는 부분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전 후측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선재의 표면연삭을 위하여 숫돌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숫돌(51)의 충돌을 방지함과 더불어 선재의 표면연삭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연삭기(100)는 프레임(80)의 내부에 한 쌍으로 배치된 연삭기(10)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로 선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선재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연삭하며 각도조절실린더(60)와 텐션부재(70)에 의하여 제2베이스(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조정을 통하여 선재 표면을 균일하게 연삭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연삭부재(1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연삭부재(10)와 이웃하는 연삭부재(10) 사이에는 이동하는 선재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하여 가이드롤러유닛(20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유닛(200)은 프레임(80)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전ㅇ후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일측의 제1조절볼트(220)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230)와, 상기 이동부(230)의 전면에 조립되며 전방으로 고정롤러(240)가 형성된 하부롤러부(250)와, 상기 하부롤러부(2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동부(230)에 상하 이동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고 전방에 이동롤러(260)가 형성된 상부롤러부(270)가 상부의 제2조절볼트(28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롤러(240)와 이동롤러(260)는 표면에 선재가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V"홈(241, 261)을 형성하여 선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이송을 보장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연삭부재 20 : 제1베이스
21 : 관통공 22 : 지지대
23 : 고정공 30 : 제2베이스
31 : 연결판 32 : 회전축
33 : 커버 40 : 구동모터
50 : 연삭수단 51 : 숫돌
52 : 몸체 53 : 회전봉
54 : 풀리 60 : 각도조절실린더
70 : 텐션부재 71 : 조절부
72 : 연결판 73 : 가이드봉
74 : 스프링 80 : 프레임
90 : 밸트
200 : 가이드롤러유닛
210 : 베이스 220 : 제1조절볼트
230 : 이동부 240 : 고정롤러
250 : 하부롤러부 260 : 이동롤러
270 : 상부롤러부 280 : 제2조절볼트

Claims (4)

  1. 선재의 이송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삭기에 있어서,
    함체 형태의 프레임(80);
    상기 프레임(8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연삭부재(10)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연삭부재는 45도범위로 회전되어 프레임(80)에 조립되어 연삭부재(10)에 형성된 연삭날(51)이 투입되는 선재의 표면 전체를 고르게 연삭하되,
    상기 연삭부재(10)는,
    상기 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상부에 관통공(21)을 갖는 한 쌍의 지지대(22)와 타측에 한 쌍의 고정판(23)이 조립되는 제1베이스(20);
    상기 제1베이스(20)의 지지대(22) 사이에 끼움되며 중앙부분에 관통공(미도시)을 지지대(22)의 관통공(2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끼움한 상태에서 회전축(32)을 관통시켜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제2베이스(30);
    상기 제2베이스(30)의 상부 일측에 조립되는 구동모터(40);
    상기 제2베이스(30)의 상부 타측에 조립되는 몸체(52)와, 상기 몸체(5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일측에 구동모터(40)와 밸트(90)로 연결되는 풀리(54)와 타측에 숫돌(51)이 조립되는 연삭수단(50);
    상기 제1베이스(20)의 고정판(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피스톤(61)이 제2베이스(30)의 연결판(31)에 조립되는 각도조절실린더(60); 및
    상기 연삭부재(10)와 이웃하는 연삭부재(1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선재를 가이드하며 프레임(80)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전후진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며 일측의 제1조절볼트(220)에 의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이동부(230)와, 상기 이동부(230)의 전면에 조립되며 전방으로 고정롤러(240)가 형성된 하부롤러부(250) 및 상기 하부롤러부(2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이동부(230)에 상하 이동가능한 형태로 조립되고 전방에 이동롤러(260)와 상부에 제2조절볼트(280)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되는 상부롤러부(270)로 구성된 가이드롤러유닛(200);
    을 포함하는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실린더(60)와 대항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1베이스(20)의 일측에 조립되는 조절부(71)와, 제2베이스(30)의 일측에 조립되는 연결판(72)과, 상기 조절부(7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판(72)에 삽입되는 가이드봉(73) 및 상기 연결판(72)의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봉(73)에 고정되는 스프링(74)으로 이루어진 텐션부재(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70)의 조절부(71)는 핸들 또는 기어에 의하여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KR2020180000627U 2018-02-08 2018-02-08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KR200489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27U KR200489598Y1 (ko) 2018-02-08 2018-02-08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27U KR200489598Y1 (ko) 2018-02-08 2018-02-08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98Y1 true KR200489598Y1 (ko) 2019-07-09

Family

ID=6722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27U KR200489598Y1 (ko) 2018-02-08 2018-02-08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98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495A (zh) * 2019-11-26 2020-02-18 湖南金刚玻璃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加工用的除锈设备
CN111113232A (zh) * 2019-12-30 2020-05-08 湖北立晋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定位组件的螺纹钢打磨装置
CN111673476A (zh) * 2020-06-30 2020-09-18 曾永宏 一种用于多批量汽车拨叉高效钻孔及轴端打磨加工设备
CN111805382A (zh) * 2020-07-17 2020-10-23 河北可为金属制品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丝加工助力与除锈系统
CN111843778A (zh) * 2020-06-18 2020-10-30 谭梅珍 一种基于建筑现场的钢筋除锈处理装置
CN112676214A (zh) * 2020-12-31 2021-04-20 河南职业技术学院 一种钢筋表面混凝土清理装置
CN113523989A (zh) * 2021-07-23 2021-10-22 河南巨力钢丝绳制造有限公司 一种钢丝在线表面处理装置
CN114433647A (zh) * 2022-02-17 2022-05-06 唐杰 一种自带冷却功能的钢筋拉丝机
CN115502238A (zh) * 2022-10-21 2022-12-23 华鑫新材料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高强度镀锌钢丝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817B1 (ko) 1996-06-24 1999-02-18 유병섭 와이어 그라인딩 장치
KR200146940Y1 (ko) 1996-03-28 1999-06-15 손영일 선재연마장치
KR200283569Y1 (ko) * 2002-04-30 2002-07-26 전광수 파이프 연마 장치
KR100366995B1 (ko) 2002-09-17 2003-01-14 유병섭 선재 연마장치
KR100574447B1 (ko) 2003-12-24 2006-06-01 주식회사 포스코 철-크롬-알루미늄계 압연 빌렛의 표면균열 저감방법
KR101032561B1 (ko) 2008-10-30 2011-05-06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흠이 제거된 선재의 제조방법
KR101096859B1 (ko) 2008-09-10 2011-12-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선재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356957B1 (ko) * 2013-09-12 2014-01-28 (주) 화인베스틸 형강의 샤프 에지 제거장치
KR20170039856A (ko)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에스오엠 알루미늄선재를 위한 쉐이빙장치
CN107283291A (zh) * 2016-04-07 2017-10-24 丁志新 一种拉丝表面处理设备及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940Y1 (ko) 1996-03-28 1999-06-15 손영일 선재연마장치
KR0170817B1 (ko) 1996-06-24 1999-02-18 유병섭 와이어 그라인딩 장치
KR200283569Y1 (ko) * 2002-04-30 2002-07-26 전광수 파이프 연마 장치
KR100366995B1 (ko) 2002-09-17 2003-01-14 유병섭 선재 연마장치
KR100574447B1 (ko) 2003-12-24 2006-06-01 주식회사 포스코 철-크롬-알루미늄계 압연 빌렛의 표면균열 저감방법
KR101096859B1 (ko) 2008-09-10 2011-12-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선재의 표면 처리 장치
KR101032561B1 (ko) 2008-10-30 2011-05-06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흠이 제거된 선재의 제조방법
KR101356957B1 (ko) * 2013-09-12 2014-01-28 (주) 화인베스틸 형강의 샤프 에지 제거장치
KR20170039856A (ko) 2015-10-02 2017-04-12 주식회사 에스오엠 알루미늄선재를 위한 쉐이빙장치
CN107283291A (zh) * 2016-04-07 2017-10-24 丁志新 一种拉丝表面处理设备及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495A (zh) * 2019-11-26 2020-02-18 湖南金刚玻璃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五金加工用的除锈设备
CN111113232A (zh) * 2019-12-30 2020-05-08 湖北立晋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带有定位组件的螺纹钢打磨装置
CN111843778B (zh) * 2020-06-18 2021-05-11 安徽恒星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建筑现场的钢筋除锈处理装置
CN111843778A (zh) * 2020-06-18 2020-10-30 谭梅珍 一种基于建筑现场的钢筋除锈处理装置
CN111673476A (zh) * 2020-06-30 2020-09-18 曾永宏 一种用于多批量汽车拨叉高效钻孔及轴端打磨加工设备
CN111805382A (zh) * 2020-07-17 2020-10-23 河北可为金属制品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丝加工助力与除锈系统
CN111805382B (zh) * 2020-07-17 2021-09-14 河北可为金属制品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丝加工助力与除锈系统
CN112676214A (zh) * 2020-12-31 2021-04-20 河南职业技术学院 一种钢筋表面混凝土清理装置
CN113523989A (zh) * 2021-07-23 2021-10-22 河南巨力钢丝绳制造有限公司 一种钢丝在线表面处理装置
CN113523989B (zh) * 2021-07-23 2024-03-12 河南巨力钢丝绳制造有限公司 一种钢丝在线表面处理装置
CN114433647A (zh) * 2022-02-17 2022-05-06 唐杰 一种自带冷却功能的钢筋拉丝机
CN115502238A (zh) * 2022-10-21 2022-12-23 华鑫新材料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高强度镀锌钢丝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CN115502238B (zh) * 2022-10-21 2023-11-07 华鑫新材料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高强度镀锌钢丝生产设备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598Y1 (ko) 랙바 제조를 위한 냉간 인발 봉강용 사전 연삭기
US2807123A (en) Grinding machines and the like
CN107097126A (zh) 一种可调节抛光装置
CN108247459A (zh) 一种管口打磨设备及管子加工设备
CN214265094U (zh) 瓷砖背面标识打磨设备
KR20220066627A (ko) 파이프용 용접비드 연마 장치
KR100985964B1 (ko) 브레이크 패드 마찰재 연속 가공장치
KR101382494B1 (ko) 자동 버핑장치
CN214771006U (zh) 一种玻璃边缘打磨装置
CN101804596B (zh) 一种焊接坡口打磨装置
CN207953387U (zh) 集成式轧辊磨床抛光装置
CN218785420U (zh) 一种铝板去毛刺处理装置
CN218697207U (zh) 一种多角度调节的砂光机
KR101715173B1 (ko) 휠 연마를 위한 휠 이송 및 고정장치
KR102097478B1 (ko) 호환성이 향상된 디버링장치
JPH07299512A (ja) テーブルロール現地補修用ロール研磨装置
US5772496A (en) Device and method for finishing surfaces
US2801497A (en) Automotive grinding and polishing apparatus for cylindrical workpieces
US2284904A (en) Abrasive wire polisher
KR101391609B1 (ko) 열간 교정기의 롤 연마장치
CN107498430A (zh) 用于加工复杂曲面的数控磨床
KR101469743B1 (ko) 석재 모서리 가공장치
US4399637A (en) Abrasive grinding machine
CN206982380U (zh) 一种可调节抛光装置
CN217942771U (zh) 一种轴承内圆加工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