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920Y1 -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920Y1
KR200487920Y1 KR2020140006908U KR20140006908U KR200487920Y1 KR 200487920 Y1 KR200487920 Y1 KR 200487920Y1 KR 2020140006908 U KR2020140006908 U KR 2020140006908U KR 20140006908 U KR20140006908 U KR 20140006908U KR 200487920 Y1 KR200487920 Y1 KR 200487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sliding door
unit
rolling unit
construc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049U (ko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92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에서 도어 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도어 캐치에 잡히도록 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스트라이커의 외주에 롤링 유닛이 구비되고, 스트라이커가 도어 캐처와 접촉될 때에 스트라이커의 롤링 유닛과 접촉되어 롤링 유닛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라이커 유닛의 편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슬라이딩 도어를 닫을 때의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Striker unit for sliding door catch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고안은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에서 도어 쪽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도어 캐치에 잡히도록 하여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에는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는 개방된 후에 닫힐 때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딩 도어 캐치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도어 캐치는 도어 쪽에 스트라이커 유닛이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 쪽에 도어 캐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면 스트라이커가 도어 캐치의 내부로 진입된 직후에 도어 캐치가 스트라이커를 붙잡아서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 캐처용 스트라이커는 실축(實軸)으로 제공되고, 이는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스트라이커 유닛은 브래킷(1)에 스트라이커(2)의 샤프트 측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스트라이커(2)의 단부에는 스트라이커의 샤프트 보다 큰 직경으로 헤드(3)가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스트라이커(2)는 속이 채워진 형태, 즉, 실축(實軸)으로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트라이커(2)는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도어 프레임 쪽에는 슬라이딩 도어 캐치가 설치된다. 슬라이딩 도어 캐치는 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았을 때에 스트라이커(2)를 붙잡는 작용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도어 캐치에는 도어 캐처가 구비되고, 스트라이커(2)가 도어 캐치에 진입될 때에 스트라이커(2)가 도어 캐처를 밀고 들어가면서 도어 캐처를 회전시키고 도어 캐처는 역회전이 방지되면서 스트라이커(2)가 임의로 진출되지 못하도록 억류하는 것이다. 이로써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트라이커 유닛의 스트라이커(2)는 도어 캐처와 접촉될 때에 마찰되고, 마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트라이커(2)에서 마모가 발생되는 부분은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모부(2a)에서 편마모가 발생된다. 나아가 스트라이커(2)는 마모부(2a)의 마모가 진행될 수록 마모부(2a)의 강성이 약화되어 절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트라이커(2)는 도어 캐처와 접촉될 때에 부딪히는 형태로 접촉되므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3-0072451호(2013.07.02.)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에서 스트라이커 유닛이 도어 캐처와 접촉될 때에 스트라이커의 편마모를 감소시키고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22)가 형성된 스트라이커(20);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롤링 유닛(30); 및 상기 암나사(22)에 체결되어 상기 롤링 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 볼트(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제1 길이(L1)가 상기 롤링 유닛(30)의 제2 길이(L2)보다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제1 길이(L1)가 상기 롤링 유닛(30)의 제2 길이(L2)보다 0.5mm 내지 3mm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경(D1)이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경(D2)보다 0.3mm 내지 1mm 더 작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윤활유(6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주면 단부에 챔퍼(32)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스트라이커와 도어 캐처간에 구름 접촉할 수 있고, 특히 스트라이커 유닛에 구비된 롤링 유닛이 회전됨으로써 접촉부분이 매번 조금씩 변경될 수 있어 편마모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구름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부딪힐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라이커 유닛은 브래킷(10)에 스트라이커(20)가 설치되고, 스트라이커(20)의 외주에 롤링 유닛(30)이 구비된 구성이다.
브래킷(10)은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스트라이커(20)는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22)가 형성된다. 즉, 스트라이커(20)의 샤프트 부분은 단턱이 형성된 구성이고, 그 단턱은 롤링 유닛(30)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에서 유동될 때에 유동되는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롤링 유닛(30)은 파이프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써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구성이다. 롤링 유닛(30)은 좀더 상세하게는 내주면에 보스(31)가 형성되고, 그 보스(31)에 상술한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가 조립되는 것이다.
엔드 볼트(40)는 상술한 스트라이커 샤프트(21)에 형성된 암나사(22)에 체결된다. 이로써 엔드 볼트(40)는 상술한 롤링 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상술한 롤링 유닛(30)은 스트라커 샤프트(21)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유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스트라이커와 도어 캐처간에 접촉되는데, 이때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에 배치된 롤링 유닛(30)은 도어 캐처와 접촉할 때에 자유롭게 유동된다. 특히 롤링 유닛(30)은 회전됨으로써, 롤링 유닛(30)과 도어 캐처가 접촉될 때에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나아가 스트라이커 유닛에 구비된 롤링 유닛이 회전됨으로써 접촉부분이 매번 조금씩 변경될 수 있으므로써 스트라이커 쪽에 편마모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슬라이딩 도어가 닫힐 때에 구름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부딪힐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제1 길이(L1)가 롤링 유닛(30)의 제2 길이(L2)보다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롤링 유닛(30)은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롤링 유닛(30)이 회전운동과 더불어 직선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롤링 유닛(30)이 도어 캐처와 접촉되는 부분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링 유닛(30)의 외주면에 원기둥 표면 형태의 마모부(30a)가 형성될 수 있다.
원기둥 표면 형태의 마모부(30a)는 종래에 알려진 스트라이커(2)에서 편마모가 발생되는 마모부(2a)에 비교하여 표면적이 매우 넓다. 즉, 종래에는 어느 특정한 부분에 외력이 집중되었지만, 본 고안은 넓은 면적에 외력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스트라이커 유닛이 편마모로 인해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제1 길이(L1)가 제2 길이(L2)보다 0.5mm 내지 3mm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롤링 유닛(30)이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은 0.5mm 이상 3mm 이하가 바람직하다. 즉, 롤링 유닛(30)의 길이방향 유동이 너무 적으면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는 것이기 때문에 롤링 유닛(30)이 길이방향으로 0.5mm 이상 유동되어야 유동으로써의 의미가 있다. 한편, 제1길이(L1)와 제2길이(L2)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롤링 유닛(30)이 길이방향으로 유동 범위가 넓어짐으로써 좋지만, 조립의 편의성 및 취급의 편의성을 고려하면 3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경(D1)이 롤링 유닛(30)의 내경(D2)보다 0.3mm 내지 1mm 더 작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롤링 유닛(30)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에서 직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직경의 차이가 너무 작으면 롤링 유닛(30)의 유동이 둔화될 수 있고, 직경의 차이가 너무 크면 롤링 유닛(30)과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간에 덜렁거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직경의 차이가 적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직경의 차이는 직경의 차이를 0.3mm 내지 1mm로 제공함으로써 롤링 유닛(30)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과도하게 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과 롤링 유닛(3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윤활유(60)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윤활유(60)는 점성으로 인하여 롤링 유닛(30)이 임의로 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롤링 유닛(30)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롤링 유닛(30)의 내주면 단부에 챔퍼(32)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롤링 유닛(30)이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될 때에 롤링 유닛(30)과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간에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즉 롤러 유닛(30)의 유동에 의해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가 파여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은 건설기계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닫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 브래킷 2: 스트라이커
2a: 마모부 3: 헤드
10: 브래킷 20: 스트라이커
21: 스트라이커 샤프트 22: 암나사
30: 롤링 유닛 30a: 마모부
31: 보스 32: 챔퍼
40: 엔드 볼트 50: 도어 캐처 프레임
60: 윤활유

Claims (6)

  1.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는 브래킷(10);
    상기 브래킷(10)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스트라이커 샤프트(21)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22)가 형성된 스트라이커(20);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에 조립되는 롤링 유닛(30); 및
    상기 암나사(22)에 체결되어 상기 롤링 유닛(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엔드 볼트(40);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제1 길이(L1)가 상기 롤링 유닛(30)의 제2 길이(L2)보다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L1)가 상기 제2 길이(L2)보다 0.5mm 내지 3mm 더 길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경(D1)이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경(D2)보다 0.3mm 내지 1mm 더 작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윤활유(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유닛(30)의 내주면 단부에 챔퍼(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KR2020140006908U 2014-09-23 2014-09-23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KR200487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08U KR200487920Y1 (ko) 2014-09-23 2014-09-23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08U KR200487920Y1 (ko) 2014-09-23 2014-09-23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49U KR20160001049U (ko) 2016-03-31
KR200487920Y1 true KR200487920Y1 (ko) 2018-11-21

Family

ID=5564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08U KR200487920Y1 (ko) 2014-09-23 2014-09-23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9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0603B (zh) * 2019-12-12 2020-08-21 哈尔滨市科佳通用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轴端螺栓折断故障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675Y1 (ko) * 1997-05-30 1999-06-15 양재신 보강재가 구비된 자동차의 도어 스트라이커
KR20100019612A (ko) * 2008-08-11 2010-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후드 스트라이커의 체결구조
KR20130072451A (ko) 2011-12-22 2013-07-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유격방지 부재를 구비한 도어 고정용 캐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49U (ko)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466B2 (en) Lubricated bushing
US9500232B2 (en) Ball bearing
WO2016010057A1 (ja) 玉軸受
US20150267791A1 (en) Idler or roller device
US8322930B2 (en) Washer and motor bea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487920Y1 (ko) 건설기계의 슬라이딩 도어 캐치용 스트라이커 유닛
US20160305530A1 (en) Sheave for guiding rope in an industrial machine
CN208982512U (zh) 一种带自锁结构的双列圆锥滚子轴承
JP4747598B2 (ja) オイル潤滑式ころ軸受装置
EP3214324B1 (en) Synthetic resin sliding bearing
CN202679128U (zh) 一种电机轴承的润滑装置
EP3190309A1 (en) Balance shaft friction damper
CN206429583U (zh) 一种制动蹄润滑机构
CN207437590U (zh) 一种滚针
CN209100496U (zh) 一种刹车轴的轴套
CN205824572U (zh) 一种滚轮润滑机构
JP2005195142A (ja) エンジン用ころ軸受
JP2006226503A (ja) 軸受、軸受装置、および気体抜き栓
JP723568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139025A (ja) 玉軸受用冠型保持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玉軸受
JP2003194180A (ja) ボールねじ
CN203906222U (zh) 活塞压缩机
CN209977172U (zh) 一种滚珠丝杆组件
CN210505154U (zh) 一种导轨润滑装置
CN210510036U (zh) 一种可提升制动器滚轮可靠性的滚轮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