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07Y1 -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807Y1
KR200487807Y1 KR2020160007488U KR20160007488U KR200487807Y1 KR 200487807 Y1 KR200487807 Y1 KR 200487807Y1 KR 2020160007488 U KR2020160007488 U KR 2020160007488U KR 20160007488 U KR20160007488 U KR 20160007488U KR 200487807 Y1 KR200487807 Y1 KR 20048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lease button
cam rotor
rotor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985U (ko
Inventor
송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2020160007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807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동작으로 일측에 비상키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비상 키가 연동하여 회동되게 결합되는 캠 로터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캠 로터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외측으로 탄지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릴리즈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캠 로터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캠 로터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와, 상기 캠 로터와 간섭되어 상기 캠 로터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캠 형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캠 형합 돌기는,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감성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Folding type portable key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 키가 비상키 수용부에 대한 폴딩 또는 비상키 수용부로부터 펼쳐지는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에서 캠 로터에 대한 릴리즈 버튼의 유동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소유자는 차량과 이격된 원거리에서 이모빌라이져 통신을 통해 차량의 기능 동작부를 작동시키는 원격무선 장치(이른바, '포브키' 또는 '스마트키'라 함)를 휴대하고 있다.
원격무선 장치는, 자체 전원의 방전에 대비하여 비상 키를 수용하도록 비상키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고, 비상 키가 회동되는 동작으로 비상키 수용부에 폴딩되어 수용되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폴딩키 장치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릴리즈 버튼의 캠 형합돌기와 캠 로터의 형합 홈의 형합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5)와 하부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5)와 하부 케이스(10) 사이의 일단 측단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캠 로터(30)와, 캠 로터(30)를 관통하게 배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캠 로터(30)가 회동되도록 걸림이 해제되는 미도시의 스토퍼 돌기와, 캠 로터(30)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캠 로터(30)와 간섭되는 캠 형합돌기(27)가 형성된 릴리즈 버튼(25)을 포함한다.
캠 형합돌기(2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로터(30)에 형성된 캠 형합홈(33)에 상시 형합되어 캠 로터(30)가 회동할 때 릴리즈 버튼(25)이 연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비상 키(15)의 릴리즈가 종료된 후 및 비상 키(15)의 폴딩이 종료된 후, 캠 로터(30)의 캠 형합홈(33)과 릴리즈 버튼(25)의 캠 형합돌기(27) 사이의 갭(Gap)에 의해 릴리즈 버튼(25) 및 캠 로터(30)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캠 형합돌기(27)가 소정각도(도 2의 도면부호 α 참조) 유동된다. 캠 형합돌기(27)의 유동 각도는 매우 극소량이기는 하지만, 캠 로터(30)에 고정된 비상 키(15)의 선단을 기준으로는 비상 키(15)가 정지돈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다소 큰 유격감을 부여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비상 키(15)의 유동 현상은 제품의 감성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상 키가 비상키 수용부에 대한 폴딩 또는 비상키 수용부로부터 펼쳐지는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에서 캠 로터에 대한 릴리즈 버튼의 유동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동작으로 일측에 비상키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비상 키가 연동하여 회동되게 결합되는 캠 로터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캠 로터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외측으로 탄지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릴리즈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캠 로터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캠 로터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와, 상기 캠 로터와 간섭되어 상기 캠 로터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캠 형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캠 형합 돌기는,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 로터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측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스토퍼 돌기가 형합 및 이탈되는 복수의 스토퍼 홈과,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 형성되되 상기 캠 형합 돌기가 형합 및 이탈되는 복수의 형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상기 수평 단면적이 큰 형합 돌기(이하, '제1형합돌기'라 함)는 상기 복수의 형합 홈 중 어느 하나(이하, '제1형합홈'이라 함)에 상시 형합되고,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상기 수평 단면적이 작은 형합 돌기(이하, '제2형합돌기'라 함)는 상기 복수의 형합 홈 중 나머지 하나(이하, '제2형합홈'이라 함)에 상기 캠 로터가 릴리즈가 완료된 상태 및 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형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형합돌기는,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에 대한 조작력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셩력에 의해 상기 제2형합홈에 형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릴리즈 버튼의 누름 조작에 따른 비상 키의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 또는 비상 키의 폴딩이 종료된 상태에서 캠 로터에 대한 릴리즈 버튼의 유격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비상 키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감성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릴리즈 버튼의 캠 형합돌기와 캠 로터의 형합 홈의 형합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릴리즈 버튼의 캠 형합돌기와 캠 로터의 형합 홈의 형합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릴리즈 버튼의 캠 형합돌기와 캠 로터의 형합 홈의 형합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부 케이스(도 1의 도면부호 5 참조)와 하부 케이스(도 1의 도면부호 10 참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10)가 결합되는 동작으로 일측에 비상키 수용부(도 1의 도면부호 20 참조)가 형성되는 바디부(5,10)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1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비상 키(115)가 연동하여 회동되게 결합되는 캠 로터(130)와,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5)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10) 사이에 캠 로터(13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일단부가 상기 외측으로 탄지되도록 탄성부재(1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릴리즈 버튼(125)을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5)의 상부와 하부 케이스(10)의 하부 방향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가정하여 설명할 경우, 상부 케이스(5)와 하부 케이스(10)가 결합되는 결합 라인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키(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수직 방향의 회동축을 가지는 캠 로터(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부 케이스(5)와 하부 케이스(10) 사이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상 키(115)가 비상키 수용부(20)에 수용되어 정지한 상태를 '폴딩이 종료된 상태'라 정의하고, 비상 키(115)가 비상키 수용부(20)로부터 이탈되어 외측으로 완전히 노출되어 정지한 상태를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비상 키(115)의 폴딩이 종료된 상태와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는 비상 키(115)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캠 로터(130)에는 회동 중심이 되는 부위가 상하로 관통된 회동중심 홀(131)이 형성되고, 회동중심 홀(131)에는 릴리즈 버튼(125)이 관통되게 배치된다.
릴리즈 버튼(125)은, 상단부가 상부 케이스(5)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외부로 어느 정도 상시 노출됨과 아울러 중간 부분은 캠 로터(130)에 형성된 회동중심 홀(131)을 관통한 채로 하단부가 하부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여기서, 릴리즈 버튼(125)은 하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구된 부위를 통해 릴리즈 버튼(125)의 내측으로 탄성부재(140)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이 하부 케이스(10)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릴리즈 버튼(125)의 상단부가 상시 관통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탄지한다.
아울러, 탄성부재(140)는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되되, 일단과 타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릴리즈 버튼(125)과 하부 케이스(10)에 지지되되, 비상 키(115)의 폴딩이 종료된 상태에서의 릴리즈 버튼(125)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릴리즈 버튼(125)의 누름 조작력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 로터(130)가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캠 로터(130)에 회동력이 제공되도록 미리 압축된 상태 또는 풀린 상태로 설치된다.
상부 케이스(5)의 내측면에는,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125)의 누름 조작력을 해제할 때, 릴리즈 버튼(125) 및 캠 로터(130)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릴리즈 버튼(125)과 걸림되는 스토퍼 블록(150)이 구비된다.
한편, 릴리즈 버튼(125)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캠 로터(130)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캠 로터(130)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와, 캠 로터(130)와 간섭되어 캠 로터(130)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캠 형합 돌기(133a,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캠 형합 돌기(133a,133b)는, 릴리즈 버튼(125)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릴리즈 버튼(125)의 회전 중심 또는 캠 로터(130)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릴리즈 버튼(125)의 원주면에 대하여 180도 대향되게 한 쌍의 캠 형합 돌기(133a,133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캠 로터(130)의 양면 중 하부 케이스(10) 측을 마주하는 면을 '캠 로터(130)의 일면'이라 칭하고, 캠 로터(130)의 양면 중 상부 케이스(5) 측을 마주하는 면을 '캠 로터(130)의 타면'이라 정의할 때, 캠 로터(130)의 일면에는 상술한 릴리즈 버튼(125)에 형성된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가 형합 및 이탈되는 복수의 스토퍼 홈(도면부호 미표기) 및 상술한 릴리즈 버튼(125)에 형성된 한 쌍의 캠 형합 돌기(133a,133b) 중 어느 하나(이하 '제1캠 형합돌기(127a)'라 칭함)가 형합 및 이탈되는 형합 홈(이하, 제1형합홈(133a)'이라 칭함)이 형성되고, 캠 로터(130)의 타면에는 상술한 릴리즈 버튼(125)에 형성된 캠 형합 돌기(133a,133b) 중 다른 하나(이하, '제2캠 형합돌기(127b)'라 칭함)가 형합되는 형합 홈(이하, '제2형합홈(133b)'이라 칭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캠 형합돌기(127b)는, 릴리즈 버튼(125)의 외주면에 소정 높이로 형성된다.
제2캠 형합돌기(127b)의 상단부는,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125)을 누름 조작할 때 상측의 스토퍼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홈(151)에 걸림되어 있다가 걸림 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125)에 대한 누름 조작력을 해제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릴리즈 버튼(125)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단부가 다시 걸림홈(151)에 수용되어 걸림된다.
제2캠 형합돌기(127b)의 하단부는, 사용자의 릴리즈 버튼(125)의 누름 조작 여부와는 상관없이 상시 캠 로터(130)의 타면에 형성된 제2형합홈(133b)에 수용되어 캠 로터(130)가 회동되면 릴리즈 버튼(125)도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력이 해제될 때, 제2캠 형합돌기(127b)의 상단부가 수용 및 걸림되는 스토퍼 블록(150)의 걸림홈(151)은, 비상 키(115)의 폴딩이 종료될 때의 위치에서 제2캠 형합돌기(127b)가 삽입됨과 아울러 비상 키(115)의 릴리즈가 종료될 때의 위치에서 제2캠 형합돌기(127b)가 삽입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형합돌기는,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125)에 대한 조작력이 해제될 때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형합홈(133b)에 형합된다.
한편, 제1캠 형합돌기(127a)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릴리즈 버튼(125)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제2캠 형합돌기(127b)와 180도 대향되도록 릴리즈 버튼(12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대략 제2캠 형합돌기(127b)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2개가 릴리즈 버튼(125)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되, 제1캠 형합돌기(127a)는 2개로 형성된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에 직교되는 릴리즈 버튼(125)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릴리즈 버튼(125)의 상단부에 사용자의 누름 조작력이 가해지면, 릴리즈 버튼(125) 전체가 하부 케이스(10) 측으로 이동하면서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는 복수의 스토퍼 홈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제1캠 형합돌기(127a) 또한 제2형합홈(133b)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캠 형합돌기(127b)도 스토퍼 블록(150)의 걸림홈(151)으로부터 이탈되어 릴리즈 버튼(125)과 캠 로터(130)가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캠 로터(130)의 회동력은 압축 또는 풀림 상태로 설치된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과 동일하다고 볼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캠 형합 돌기(133a,133b) 중 어느 하나(133b)는 다른 하나(133a)보다 더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캠 형합돌기(127b)가 제1캠 형합돌기(127a)보다 더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캠 형합돌기(127b)의 수평 단면적이 제1캠 형합돌기(127a)의 수평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제2캠 형합돌기(127b)의 경우 사용자의 누름 조작력이 제공되지 않을 때에는 스토퍼 블록(150)에 형성된 걸림홈(151) 및 캠 로터(130)의 제2형합홈(133b)에 동시에 걸림되어 외부 충격에 의하더라도 각각의 걸림이 손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제1캠 형합돌기(127a)의 경우 제2형합홈(133b)과 제2캠 형합돌기(127b) 사이의 갭에 의한 릴리즈 버튼(125)의 유동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제2캠 형합돌기(127b) 및 제1캠 형합돌기(127a)에 의한 릴리즈 버튼(125)의 유동 현상 방지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캠 형합돌기(127a)는 상술한 복수의 스토퍼 돌기(128)와 함께 캠 로터(130)가 회동하여 비상 키(115)의 폴딩이 종료된 상태 및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에서만 제1형합홈(133a)에 형합되어 걸림된다.
이때, 제2캠 형합돌기(127b)는 캠 로터(130)의 회동과 상관없이 상시 제2형합홈(133b)에 형합되어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캠 형합돌기(127b)만이 릴리즈 버튼(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제2캠 형합돌기(127b) 및 제2형합홈(133b) 사이의 조립 공차에 따른 갭(Gap) 때문에, 제2캠 형합돌기(127b)가 릴리즈 버튼(125)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은 제2캠 형합돌기(127b)만이 구비된 경우와 제1캠 형합돌기(127a)가 추가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2캠 형합돌기(127b) 및 제2형합홈(133b)이 구비된 경우의 회전각도를 측정/비교하여 보았다.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캠 형합돌기(127b)만이 구비된 경우에는, 제2캠 형합돌기(127b)가 릴리즈 버튼(125)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1.47ㅀ(도 2의 도면부호 α 참조) 회전하였다. 그러나,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캠 형합돌기(127a)가 제1형합홈(133a)에 추가로 걸림된 경우에는 제2캠 형합돌기(127b)가 릴리즈 버튼(125)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0.91ㅀ(도 4의 도면부호 β 참조) 회전하는데 그쳤다.
이는, 제1캠 형합돌기(127a)의 추가로 인하여, 제2캠 형합돌기(127b)의 유격의 기준이 되는 회전 중심(C1)을 제1캠 형합돌기(127a)와 제1형합홈(133a)이 상호 걸림되는 부위로 이전(도 4의 도면부호 C2 참조)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결과물로 해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캠 형합돌기(127a)의 구비 여부에 따른 제2캠 형합돌기(127b)의 회전 각도 차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나, 비상 키(115)의 폴딩이 종료된 상태 및 비상 키(115)의 릴리즈가 종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물리적인 유격감이 부여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제품의 감성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5: 상부 케이스 10: 하부 케이스
5,10: 바디부 125: 릴리즈 버튼
127a: 제1캠 형합돌기 127b: 제2캠 형합돌기
128: 스토퍼 돌기 130: 캠 로터
131: 회동중심 홀 133a: 제1형합홈
133b: 제2형합홈 140: 탄성부재
150: 스토퍼 블록 151: 걸림홈

Claims (5)

  1.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는 동작으로 일측에 비상키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비상 키가 연동하여 회동되게 결합되는 캠 로터와;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상기 캠 로터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일단부가 상기 외측으로 탄지되도록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릴리즈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캠 로터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캠 로터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와, 상기 캠 로터와 간섭되어 상기 캠 로터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캠 형합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캠 형합 돌기는, 상기 릴리즈 버튼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캠 로터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측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스토퍼 돌기가 형합 및 이탈되는 복수의 스토퍼 홈과,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 형성되되 상기 캠 형합 돌기가 형합 및 이탈되는 복수의 형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더 큰 수평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상기 수평 단면적이 큰 형합 돌기는 상기 복수의 형합 홈 중 어느 하나에 상시 형합되고,
    상기 캠 형합 돌기 중 상기 수평 단면적이 작은 형합 돌기(이하, '제2형합돌기'라 함)는 상기 복수의 형합 홈 중 나머지 하나(이하, '제2형합홈'이라 함)에 상기 캠 로터가 릴리즈가 완료된 상태 및 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형합되는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형합돌기는, 사용자의 상기 릴리즈 버튼에 대한 조작력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형합홈에 형합되는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KR2020160007488U 2016-12-22 2016-12-22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KR20048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88U KR200487807Y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88U KR200487807Y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85U KR20180001985U (ko) 2018-07-02
KR200487807Y1 true KR200487807Y1 (ko) 2018-11-06

Family

ID=6290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88U KR200487807Y1 (ko) 2016-12-22 2016-12-22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80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7B1 (ko) * 2012-08-13 2013-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폴딩키
JP2015178742A (ja) * 2014-03-19 2015-10-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77B1 (ko) * 2012-08-13 2013-05-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폴딩키
JP2015178742A (ja) * 2014-03-19 2015-10-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85U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7889B2 (ja) 移動可能な鍵組み合わせ部材を持つ鍵装置および錠アセンブリー
US9048574B2 (en) Spring lock connector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0542119B2 (ko)
US9071021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20160064875A1 (en) Connector
US20160010370A1 (en) Locking device
WO2009027734A2 (en) A device for locking a first component to a second
US9099805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KR20140117502A (ko) 레버식 커넥터
JP2006271812A (ja) バンドの連結構造
US10910765B2 (en) Lever-type connector
KR200487807Y1 (ko) 차량의 휴대용 폴딩키 장치
JP6169999B2 (ja)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20150011106A1 (en) Lever Type Connector
JP2006120352A (ja) コネクタ
KR101260477B1 (ko) 차량용 폴딩키
US20020001988A1 (en) Connector
CN110544853A (zh) 包括锁定构件的同轴连接器装置以及锁定构件
JP4745702B2 (ja) クリップ取り付け装置
US9017085B2 (en) Auxiliary fitting jig
JP6387448B1 (ja) ハーネス側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2004014142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271194B2 (ja) 連結具及び連結具の係止方法
WO2022185913A1 (ja) パネル取付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