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739Y1 - 기능성 구이팬 - Google Patents

기능성 구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39Y1
KR200487739Y1 KR2020180002950U KR20180002950U KR200487739Y1 KR 200487739 Y1 KR200487739 Y1 KR 200487739Y1 KR 2020180002950 U KR2020180002950 U KR 2020180002950U KR 20180002950 U KR20180002950 U KR 20180002950U KR 200487739 Y1 KR200487739 Y1 KR 200487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grill
rotary type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동욱
Original Assignee
심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동욱 filed Critical 심동욱
Priority to KR2020180002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구이 대상의 구이물이 놓이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되 상기 구이판에 잔존 가능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로를 구비하는 팬 유닛; 상기 팬 유닛에 연결되는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구이판 상에서 회전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안착되어 더 이상 구워지지 않도록 하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구이팬{Functional roaster}
본 고안은, 기능성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구이팬(roaster)은 삼겹살을 비롯한 육류나 생선 등을 구울 때 혹은 계란 등을 구울 때, 사용하는 팬이다. 주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인 구이팬(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유닛(10)과, 팬 유닛(10)에 연결되어 팬 유닛(10)을 파지하는 파지부(20)를 포함한다. 팬 유닛(10)에 구이대상의 음식을 넣고, 파지부(20)를 파지하여 음식을 요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형태의 구이팬(1)이 가장 흔한 것인데, 이와 같은 구이팬(1)은 삼겹살이나 전처럼 기름이 많이 발생되거나 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음식을 굽거나 조리할 때,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즉 삼겹살이나 전은 개수가 많기 때문에 먼저 구워지는 것과 나중에 구워지는 것에 시간차가 발생될 수밖에 없는데, 도 1과 같은 형태의 구이팬(1)을 이용하게 되면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삼겹살이나 전처럼 기름이 많이 발생되거나 기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음식의 경우, 팬 유닛(10) 내에 잔존되는 기름을 처리해야 하는데, 도 1과 같은 형태의 구이팬(1)에는 기름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다소 불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구이팬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2-000857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1670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509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4439호
본 고안의 목적은,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구이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구이 대상의 구이물이 놓이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되 상기 구이판에 잔존 가능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로를 구비하는 팬 유닛; 상기 팬 유닛에 연결되는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 및 상기 팬 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구이판 상에서 회전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안착되어 더 이상 구워지지 않도록 하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이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은, 상기 구이판을 이루는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구이판보다 열전도가 낮아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구워지지 않고 데워지면서 보관되게 하는 회전식 보온 안착판; 상기 팬 유닛의 센터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푸싱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구이 대상의 구이물이 놓이는 구이판을 구비하는 팬 유닛;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에 잔존 가능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로; 상기 팬 유닛의 측벽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름 배출로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배출로 개폐 플레이트; 상기 팬 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구이판 상에서 회전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안착되어 더 이상 구워지지 않도록 하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보관될 수 있게끔 장소를 형성하는 구이물 보관대; 및 상기 팬 유닛에 연결되는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은, 상기 구이판을 이루는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구이판보다 열전도가 낮아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구워지지 않고 데워지면서 보관되게 하는 회전식 보온 안착판; 상기 팬 유닛의 센터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푸싱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물 보관대는,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의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샤프트; 및 상기 삽입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되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보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은, 상기 팬 유닛과 연결되는 유닛 연결대; 상기 유닛 연결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닛 연결대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1 열전달 저지부재;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2 열전달 저지부재;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 측의 열이나 기름이 상기 손잡이부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 플레이트;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마련되는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타이머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타이머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이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구이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4는 팬 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이 R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이 R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의 확대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2의 기능성 구이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팬 유닛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이 R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5에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이 R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의 확대 구조도, 그리고 도 9는 도 2의 기능성 구이팬에 대한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100)은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100)은 팬 유닛(110),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 그리고 구이물 보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유닛(110),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는 한 몸체로 된 하나의 구조인 반면, 구이물 보관대(13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구조물이다.
팬 유닛(11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팬 유닛(110)은 삼겹살을 비롯한 육류나 생선, 계란 등의 각종 구이물이 구워지는(튀겨지는, 조리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팬 유닛(110)은 구이 대상의 구이물이 놓이는 구이판(111)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구이판(111)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구이판(111)은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구이판(111)의 일측에는 구이판(111)에 잔존 가능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로(113)가 마련된다. 삼겹살을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 그리고 전을 부칠 때 투입되는 기름 등이 기름 배출로(1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삼겹살에서 발생되는 기름 외의 식용류 등은 음식을 조리한 이후에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배출로 개폐 플레이트(115)가 마련된다. 배출로 개폐 플레이트(115)는 팬 유닛(110)의 측벽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름 배출로(113)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은 팬 유닛(110)에 연결되는 구조물을 가리킨다.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은 팬 유닛(110)과 연결되는 유닛 연결대(141)와, 유닛 연결대(141)의 단부에 결합되며, 유닛 연결대(141)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1 열전달 저지부재(142)와, 제1 열전달 저지부재(142)와 연결되되 제1 열전달 저지부재(142)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되며, 제1 열전달 저지부재(142)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2 열전달 저지부재(143)와, 제2 열전달 저지부재(143)에 연결되는 손잡이부(144)와, 제2 열전달 저지부재(143)와 손잡이부(144) 사이에 마련되며, 제2 열전달 저지부재(143) 측의 열이나 기름이 손잡이부(144)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 플레이트(145)를 포함한다.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에 제1 열전달 저지부재(142)와 제2 열전달 저지부재(143)가 마련되기 때문에 팬 유닛(110) 측의 뜨거운 열이 손잡이부(144)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부(144)를 파지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
특히, 손잡이부(144)의 일측에 쉴드 플레이트(145)가 마련되기 때문에, 조리 중 팬 유닛(110) 측의 뜨거운 열기나 기름이 손잡이부(144) 쪽으로 전달되거나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144)에는 디스플레이(151), 타이머(152), 스위치(153), 그리고 컨트롤러(160)가 갖춰진다.
디스플레이(151)는 손잡이부(144)의 일측에 마련되는 표시창이다. 숫자, 온도, 날짜 등 미리 입력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타이머(152)는 디스플레이(151)의 일측에 마련된다. 스위치(153)는 타이머(152)의 일측에 마련되되 타이머(152)와 디스플레이(151)를 온/오프(on/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러(160)는 스위치(153)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1)와 타이머(152)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타이머(152)의 시간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도록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0)는 중앙처리장치(161, CPU), 메모리(16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61)는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153)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1)와 타이머(152)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타이머(152)의 시간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도록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6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61)와 연결된다. 메모리(16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6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6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6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60)는 스위치(153)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1)와 타이머(152)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타이머(152)의 시간이 디스플레이(151)에 표시되도록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컨트롤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6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은 팬 유닛(110)에 결합되되 구이판(111) 상에서 회전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안착되어 더 이상 구워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삼겹살을 예로 들면, 삼겹살을 구울 때 먼저 투입되어 구워진 삼겹살은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 상에 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구워진 삼겹살이 계속 구워짐에 따라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은 보온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구워진 삼겹살이 식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은 구이판(111)을 이루는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되 구이판(111)보다 열전도가 낮아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구워지지 않고 데워지면서 보관되게 하는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과, 팬 유닛(110)의 센터 영역에 결합되되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삽입홈(123)이 형성되는 회전축부(122)와,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푸싱바아(12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이 구이판(111)과 다른 재질로 제작되되 열전도가 낮은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예컨대, 먼저 투입되어 구워진 삼겹살이 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더 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데워지는 효과는 있다.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은 회전축부(122)를 기점으로 해서 도 4의 R1, R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의 회전은 수동식이다. 즉 젓가락이나 수저, 혹은 뒤집게, 집게 등을 이용해서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을 도 5 내지 도 7처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의 양단부에는 푸싱바아(124)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푸싱바아(124)를 가압함으로써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을 도 5 내지 도 7처럼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푸싱바아(124)는 구이판(111)의 반지름 형태로 배치된 막대이므로 푸싱바아(124)가 회전될 때, 회전 경로 상의 기름을 기름 배출로(113)로 유도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이물 보관대(130)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보관될 수 있게끔 장소를 형성한다. 즉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에 안착되는 구이물의 양이 넘칠 때, 구이물 보관대(13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이물 보관대(130)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의 회전축부(122)에 형성되는 삽입홈(123)에 삽입되는 삽입 샤프트(131)와, 삽입 샤프트(131)의 단부에 연결되되 다수의 통공(133)을 구비하는 보관 트레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구이판(111) 위에 예컨대 삼겹살 여러 조각을 올려놓고 굽는 중에 먼저 투입되어 구워진 삼겹살은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 위에 올려져 보관될 수 있다. 이때,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120)을 회전시켜 가면서 기름을 기름 배출로(113)로 유도할 수 있다.
만약, 구워진 구이물이 많은 경우에는 도 3처럼 구이물 보관대(130)를 결합시킨 후, 보관 트레이(132) 상에 보관하면 된다.
한편, 구이류 중에서 생선이나 고구마, 계란처럼 구워지는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152)를 동작시켜 디스플레이(151) 상의 시간을 보면서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구이팬(200)은 팬 유닛(110),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140),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220), 그리고 구이물 보관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220) 역시,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 삽입홈(123)이 형성되는 회전축부(122), 그리고 한 쌍의 푸싱바아(12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220)의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 상에는 다수의 엠보 돌기부(225)가 형성된다.
미리 구워진 구이물, 예컨대 다 구워진 삼겹살이 다수의 엠보 돌기부(225) 상에 놓이게 됨으로써 엠보 돌기부(225)와 회전식 보온 안착판(121) 간의 대류현상으로 인해 다 구워진 삼겹살이 불필요하게 계속 구워지지 않게끔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일부의 열전달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온 효과는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구이물 보관대(230)의 일 구성인 삽입 샤프트(231)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길이 신장이 자유로운 텔레스코픽 바아 타입으로 적용된다.
본 실시예처머 삽입 샤프트(231)가 텔레스코픽 바아 타입으로 적용되면 보관 트레이(132)위 높낮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먼저 구워진 구이물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구워진 것이 타거나 나중에 투입된 것이 덜 구워지는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전과 달리 기름 처리가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구이팬 110 : 팬 유닛
111 : 구이판 113 : 기름 배출로
115 : 배출로 개폐 플레이트 120 :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
121 : 회전식 보온 안착판 122 : 회전축부
123 : 삽입홈 124 : 푸싱바아
130 : 구이물 보관대 131 : 삽입 샤프트
132 : 보관 트레이 133 : 통공
140 :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 141 : 유닛 연결대
142 : 제1 열전달 저지부재 143 : 제2 열전달 저지부재
144 : 손잡이부 145 : 쉴드 플레이트
151 : 디스플레이 152 : 타이머
153 : 스위치 160 : 컨트롤러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구이 대상의 구이물이 놓이는 구이판을 구비하는 팬 유닛;
    상기 구이판에 형성되며, 상기 구이판에 잔존 가능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 배출로;
    상기 팬 유닛의 측벽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름 배출로를 개방 또는 차폐시키는 배출로 개폐 플레이트;
    상기 팬 유닛에 결합되되 상기 구이판 상에서 회전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안착되어 더 이상 구워지지 않도록 하는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보관될 수 있게끔 장소를 형성하는 구이물 보관대; 및
    상기 팬 유닛에 연결되는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은,
    상기 구이판을 이루는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구이판보다 열전도가 낮아 구이가 완료된 구이물이 구워지지 않고 데워지면서 보관되게 하는 회전식 보온 안착판;
    상기 팬 유닛의 센터 영역에 결합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회전축심을 형성하며,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회전식 보온 안착판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푸싱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물 보관대는,
    상기 회전식 구이물 안착 유닛의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 샤프트; 및
    상기 삽입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되되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보관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유닛 연결용 파지 유닛은,
    상기 팬 유닛과 연결되는 유닛 연결대;
    상기 유닛 연결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닛 연결대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1 열전달 저지부재;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와는 다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열전달 저지부재로부터의 열전달이 저지되게 하는 제2 열전달 저지부재;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부;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열전달 저지부재 측의 열이나 기름이 상기 손잡이부로 향하는 것을 방지하는 쉴드 플레이트;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측에 마련되는 타이머;
    상기 타이머의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타이머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타이머가 동작되게 컨트롤하는 한편 상기 타이머의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구이팬.
KR2020180002950U 2018-06-27 2018-06-27 기능성 구이팬 KR200487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50U KR200487739Y1 (ko) 2018-06-27 2018-06-27 기능성 구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50U KR200487739Y1 (ko) 2018-06-27 2018-06-27 기능성 구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739Y1 true KR200487739Y1 (ko) 2018-10-26

Family

ID=6404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50U KR200487739Y1 (ko) 2018-06-27 2018-06-27 기능성 구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8708A (zh) * 2020-05-09 2020-08-14 安徽永耀电器有限公司 一种可去除汁液的平底煎锅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55Y1 (ko) * 2002-05-07 2002-08-13 박무교 원형불판
KR20050016707A (ko) 2002-07-02 2005-02-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비스-하이드록시페닐 멘테인 폴리에스터 및폴리에스터/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6263399A (ja) * 2005-03-23 2006-10-05 Kenzo Date ダイエットフライパン、ダイエット鍋
KR20090005092U (ko) 2007-11-23 2009-05-27 트세 밍 츄 집적회로의 연결구조
KR20120004439U (ko) 2010-12-13 2012-06-21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나일론 낚시줄 절단용 가위
KR20180001615U (ko) * 2016-11-22 2018-05-30 김광훈 열전도가 구분된 후라이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55Y1 (ko) * 2002-05-07 2002-08-13 박무교 원형불판
KR20050016707A (ko) 2002-07-02 2005-02-21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비스-하이드록시페닐 멘테인 폴리에스터 및폴리에스터/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06263399A (ja) * 2005-03-23 2006-10-05 Kenzo Date ダイエットフライパン、ダイエット鍋
KR20090005092U (ko) 2007-11-23 2009-05-27 트세 밍 츄 집적회로의 연결구조
KR20120004439U (ko) 2010-12-13 2012-06-21 해성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나일론 낚시줄 절단용 가위
KR20180001615U (ko) * 2016-11-22 2018-05-30 김광훈 열전도가 구분된 후라이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8708A (zh) * 2020-05-09 2020-08-14 安徽永耀电器有限公司 一种可去除汁液的平底煎锅
CN111528708B (zh) * 2020-05-09 2021-05-11 安徽永耀电器有限公司 一种可去除汁液的平底煎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9948B2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ES2540757T3 (es) Asador automático para cocción por lotes variable
US20050039612A1 (en) Multiple bottom outdoor grill accessory
US9723954B2 (en) Combination griddle and teppanyaki cooking unit for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US11585536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200487739Y1 (ko) 기능성 구이팬
US11175048B2 (en) Cooking appliance
WO2014120239A1 (en) Oven with rotisserie features
AU2011200483A1 (en) Grill / toaster machine with vapor
KR20160086624A (ko) 가정용 석쇠형 불판
US20060124567A1 (en) Perfect cook Shish-Ka-Bob rack and skewer device
EP0599790A1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s
KR101899757B1 (ko) 상하로 회전되는 구이판이 구비되는 구이장치
CN217365460U (zh) 烹饪设备和电动工作台面烹饪设备
KR102317772B1 (ko) 간접 가열식 일인용 구이기
US20220104655A1 (en) Waffle Maker
US20230107223A1 (en) Electric taco griller
KR20180105543A (ko) 구이판
KR200185534Y1 (ko) 전열식 조리기구
KR200359418Y1 (ko) 소시지/핫도그 구이기
JP2000139697A (ja) ロースター兼用電気鍋
US20090293738A1 (en) Food Elevator for a Toaster or Grill
KR200252788Y1 (ko) 만능구이기
KR200384390Y1 (ko) 고기구이 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