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678Y1 - 계단장치 - Google Patents
계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678Y1 KR200487678Y1 KR2020170004236U KR20170004236U KR200487678Y1 KR 200487678 Y1 KR200487678 Y1 KR 200487678Y1 KR 2020170004236 U KR2020170004236 U KR 2020170004236U KR 20170004236 U KR20170004236 U KR 20170004236U KR 200487678 Y1 KR200487678 Y1 KR 2004876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lifting body
- lifting
- support
- support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embarking or disembarking passengers
- B64F1/315—Mobile stai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계단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계단을 포함하는 리프팅바디, 상기 리프팅바디와 연결된 로프 및 도르래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바디를 이동시키는 윈치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소정거리 단위로 제어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장치에 관한 것이며, 높이 조절 시 계단장치의 현재 높이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장치는 선박, 버스, 비행기 등과 같이 출입구가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선박이나 비행기의 경우, 그 크기에 따라 출입구의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장치가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건물 외벽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별도의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계단장치의 높이를 조정하였기 때문에 계단장치가 감당할 수 있는 하중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높이 조절 시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계단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3752호에 모두 개시되고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안전성이 향상된 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부 및 계단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계단을 포함하는 리프팅바디, 상기 리프팅바디와 연결된 로프 및 도르래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바디를 이동시키는 윈치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소정거리 단위로 제어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하며,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리프팅바디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하우징 및 제2지지하우징, 상기 제1지지하우징과 상기 제2지지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홈에 각각 탄성부로 연결된 다수개의 돌기,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상기 리프팅바디가 이동할 때 상기 리프팅바디의 외부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리프팅바디에 구비된 비다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하며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리프팅바디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하우징은 상기 제2지지하우징보다 상기 하우징과 더 밀착 결합되고, 상기 리프팅바디가 상기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지지하우징은 상기 제1지지하우징보다 상기 하우징과 더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하우징 및 상기 제2지지하우징은 각각 가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가이더홈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지지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의 끝단은 상기 리프팅바디가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1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의 끝단은 상기 리프팅바디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리프팅바디와 이루는 경사각도와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리프팅바디와 이루는 경사각도는 동일하지만 경사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리프팅바디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리프팅바디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계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안전성이 향상된 계단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장치 중 리프팅바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바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의 지지부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가이더를 통해 하우징과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장치 중 리프팅바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바디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의 지지부의 작동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가이더를 통해 하우징과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장치(1)는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부(110) 및 계단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바디부(110)에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계단부(120)의 끝단에 구비되고 지면과 평행하며 사람이 서있을 수 있는 제1스텐딩보드(130) 및 상기 계단부(120)와 제1스텐딩보드(130)에 구비되고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140)을 더 포함한다. 제1스텐딩보드(130)는 계단부(120)에 의해서 지지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가 상기 제1스텐딩보드(130)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다. 난간(140)은 계단부(120)를 사람이 올라갈 때 손을 잡을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계단장치(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대(111), 지지대(111)에 설치되고 상기 제1스텐딩보드(130)를 지지하는 기둥(112) 및 계단장치(1)가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11)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퀴(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리프팅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계단을 포함하는 리프팅바디(220), 상기 리프팅바디(220)와 연결된 로프(232) 및 도르래(231)를 이용하여 리프팅바디(2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윈치(230)를 포함한다.
또한 리프팅부(200)는 상기 리프팅바디(220)의 끝단에 구비되고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며 사람이 서있을 수 있는 제2스텐딩보드(240) 및 상기 제2스텐딩보드(24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111)와 고정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210)은 지지대(111)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90도가 될 수 있으며 90도 이하의 각도가 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210)과 지지대(111) 사이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과 지지대(111) 사이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게 되면 계단장치(1)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리프팅바디(22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데 리프팅바디(220)와 하우징(210)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211)은 리프팅바디(220)의 원활한 움직임을 돕는다. 상기 베어링(211)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원통형 베어링(211)이 다수개가 구비된다.
리프팅바디(220)의 일단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2스텐딩보드(240)가 결합되며 리프팅바디(220)의 타단은 연결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프팅바디(220)에는 움푹 패인 다수개의 바디홈(222)을 포함하는데 상기 바디홈(222)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21)는 윈치(230)에 감겨 있는 로프(232)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윈치(230)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에서 사용되는 계단장치의 경우 수동식 윈치(230)를 사용한다.
로프(232)의 일단은 윈치(2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221)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바디부(110)에는 도르래(231)가 설치되며 윈치(230)와 연결부(22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윈치(230)를 로프(232)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프가 연결부(221)를 위쪽 방향으로 당기기 때문에 리프팅바디(220) 또한 하우징(210) 내부로부터 인출된다. 반대로 윈치(230)를 로프(232)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221)를 위쪽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리프팅바디(220)는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된다.
도 2는 윈치(230)를 이용하여 로프(232)를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결과 리프팅바디(220)가 높이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같은 상황에서 윈치(230)를 로프(232)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시 도 1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경우 제2스텐딩보드(240)에 사람이 올라간 상태에서 윈치(230)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리프팅바디(220)가 상승하는 도중 윈치(230)가 고장나거나 리프팅바디(220)가 하강하는 도중 윈치(230)가 고장나는 경우, 리프팅바디(220)는 윈치(230)를 이용할 때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빠른 속도로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제2스텐딩보드(240)에 위치한 사람이 매우 위험하다.
윈치(230)가 고장났을 때 리프팅바디(220)가 순간적으로 빠른 속도로 인출 또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장치(1)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리프팅부(200)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지지부(300)는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고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장치이다. 지지부(300)는 하우징(210)을 둘러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00)는, 골격을 형성하고 하우징(210)을 둘러싸는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과 상기 제2지지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개의 돌기홈(311, 321)에 각각 탄성부(340)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돌기(3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하우징(210)을 기준으로 상대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210)과 결합된다. 즉,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하우징(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의 이동은 자동식 또는 수동식일 수 있다.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될 때는 제1지지하우징(310)을 하우징(210)과 최대한 밀착시키고 제2지지하우징(320)은 하우징(210)과 최대한 멀리 위치되도록 한다.
반대로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삽입될 때는 제1지지하우징(310)을 하우징(210)과 최대한 멀리 위치시키고 제2지지하우징(320)은 하우징(210)과 최대한 밀착시킨다. 도 3의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의 세부구조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다수개의 돌기홈(311, 321)은 리프팅바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바디(220)의 길이 방향으로 더 넓은 길이 방향 면적에 지지부(300)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의 왼쪽 도면은 제1지지하우징(310)이 제2지지하우징(320)에 비해 하우징(210)과 더욱 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제1지지하우징(310)의 돌기홈(311)에 각각 탄성부(340)를 통해 연결된 다수개의 돌기(330)를 살펴보면, 일부는 리프팅바디(220)에 구비된 바디홈(222)에 삽입되어 있고 일부는 리프팅바디(220)의 외부벽면과 접촉하고 있다.
리프팅바디(220)가 윈치(230)의 작동으로 조금씩 상승할 때마다 돌기(330)는 바디홈(222)으로의 삽입 또는 리프팅바디(220)의 외부벽면과의 접촉을 교번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한단위구간 리프팅바디(220)가 더 상승하게 되면 현재 바디홈(222)에 삽입되어 있는 돌기(330)는 바디홈(222)의 모서리부와의 접촉을 통해 돌기홈(311) 내부로 삽입되며(탄성부(340)에 의해 탄성력 저장) 리프팅바디(220)의 외부 벽면과 접촉하고 있던 돌기(330)는 탄성부(340)에 저장된 탄성력에 의해 바디홈(222)에 삽입된다.
한편, 돌기(330)의 끝단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리프팅바디(220)와 소정각도를 이루며 바디홈(222)에 삽입된 돌기(330)가 리프팅바디(220)가 상승할 때 바디홈(222)의 모서리부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경사면이 기울어진다. 예를 들어, 돌기(330)가 리프팅바디(22)와 접촉하는 지점(경사면의 일단)을 원점으로 정의하면, 원점과 연결부(221)를 잇는 직선 및 원점과 경사면의 타단을 잇는 직선은 예각을 형성한다.
만약 둔각을 형성한다면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왼쪽 도면의 화살표 방향)되지 못할 것이다. 예각을 형성하기 때문에 한번 리프팅바디(220)가 소정거리만큼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면 하우징(210)과 근접하여 위치한 제1지지하우징(310)을 하우징(210)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는 한 리프팅바디(220)는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바디홈(222)의 폭은 돌기(330)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홈(222)은 일정한 간격으로 리프팅바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바디홈(2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리프팅바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면, 리프팅바디(220)가 일정 거리만큼 상승할때마다 돌기(330)가 바디홈(222) 내부로 삽입되는 마찰음이 발생한다. 즉, 리프팅바디(220)의 상승한 높이를 정밀하게 사용자가 측정하거나 인식할 수 있다.
일부 돌기(330)들이 바디홈(222)에 삽입되면 윈치(230)가 중간에 고장나거나 윈치(230)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리프팅바디(2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안전성이 종전의 계단장치에 비해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리프팅바디(220)가 상승하는 동안 제2지지하우징(320)은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가 리프팅바디(220)와 접촉될 수 없는 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에 관여할 수 없다.
리프팅바디(220)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제2지지하우징(320)을 하우징(210)과 가장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 제1지지하우징(320)을 하우징(210)으로부터 소정거리 분리시킨다.
즉, 제2지지하우징(320)이 제1지지하우징(310)보다 하우징(210)에 더욱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하우징(320)의 돌기(330)들은 리프팅바디(220)의 외부면과 접촉하거나 바디홈(222) 내부로 삽입된다. 반면 제1지지하우징(310)의 돌기(330)들은 리프팅바디(220)와 접촉될 수 없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되려면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들의 경사방향이 제1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들의 경사방향과 비교하였을 때 반대가 되어야 된다.
제1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의 경사면을 제1경사면이라고 하고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의 경사면을 제2경사면이라고 할 때,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각각 리프팅바디(220)와 이루는 각도의 크기는 같지만 리프팅바디(220)를 기준으로 경사의 방향은 반대이다.
제2경사면이 제1경사면과 리프팅바디(220)를 기준으로 경사 방향이 같다면 리프팅바디(220)가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로 인해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이 불가하다.
도 3의 오른쪽 도면을 살펴보면 리프팅바디(220)가 하우징(210) 내부로 삽입될 때, 제2경사면과 계속해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치(230)가 고장났거나 윈치(230)의 회전장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리프팅바디(220)는 중력에 의해 하우징(210) 내부로 자동 삽입된다. 이 때, 제2경사면이 바디홈(222)의 모서리부와 지속적으로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리프팅바디(220)가 삽입되는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급격한 리프팅바디(220)의 삽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제2경사면에는 마찰력이 높은 소재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는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제2경사면에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부착함으로써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 둔화 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돌기(330)들과 리프팅바디(220)가 삽입될 때 리프팅바디(220)와의 상호작용은 제1지지하우징(310)에 구비된 돌기(330)들과 리프팅바디(220)가 인출될 때 리프팅바디(220) 리프팅바디(220)와의 상호작용과 동일하다.
도 4는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이 하우징(210)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각각 가이더(3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350)는 하우징(210)에 구비된 가이더홈(212)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도 4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지지하우징(310)과 제2지지하우징(320)은 리프팅바디(22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더홈(212)은 리프팅바디(22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고안 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계단장치
100: 본체 110: 바디부 120: 계단부
130: 제1스텐딩보드 140: 난간
200: 하우징 220: 리프팅바디 230: 윈치
240: 제2스텐딩보드 250: 난간
300: 지지부 310: 제1지지하우징 320: 제2지지하우징
330: 돌기 340: 탄성부 350: 가이더
100: 본체 110: 바디부 120: 계단부
130: 제1스텐딩보드 140: 난간
200: 하우징 220: 리프팅바디 230: 윈치
240: 제2스텐딩보드 250: 난간
300: 지지부 310: 제1지지하우징 320: 제2지지하우징
330: 돌기 340: 탄성부 350: 가이더
Claims (7)
- 골격을 형성하는 바디부(110) 및 계단부(120)를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바디부(110)에 구비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프팅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200)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계단을 포함하는 리프팅바디(220);
상기 리프팅바디(220)와 연결된 로프(232) 및 도르래(231)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팅바디(220)를 이동시키는 윈치(230); 및,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바디(220)의 움직임을 소정거리 단위로 제어할 수 있는 지지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하우징(210)을 기준으로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하우징(310) 및 제2지지하우징(320); 및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과 상기 제2지지하우징(320)에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돌기홈(311, 321)에 각각 탄성부(340)로 연결된 다수개의 돌기(33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돌기(330)는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이동할 때 상기 리프팅바디(220)의 외부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리프팅바디(220)에 구비된 바디홈(22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상기 하우징(210)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은 상기 제2지지하우징(320)보다 상기 하우징(210)과 더 밀착 결합되고,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상기 하우징(210)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2지지하우징(320)은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보다 상기 하우징(210)과 더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 및 상기 제2지지하우징(320)은 각각 가이더(350)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더(350)는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된 가이더홈(2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하우징(310)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330)의 끝단은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인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1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하우징(320)에 구비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330)의 끝단은 상기 리프팅바디(220)가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이 상기 리프팅바디(220)와 이루는 경사각도와 상기 제2경사면이 상기 리프팅바디(220)와 이루는 경사각도는 동일하지만 경사방향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바디(220)와 상기 하우징(210) 사이에는 다수개의 베어링(2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236U KR200487678Y1 (ko) | 2017-08-10 | 2017-08-10 | 계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236U KR200487678Y1 (ko) | 2017-08-10 | 2017-08-10 | 계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678Y1 true KR200487678Y1 (ko) | 2018-10-19 |
Family
ID=6404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236U KR200487678Y1 (ko) | 2017-08-10 | 2017-08-10 | 계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67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3295A (zh) * | 2021-12-23 | 2022-04-12 |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飞机救援消防车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7855A (ja) * | 1994-02-28 | 1995-09-12 | Japanic:Kk | 昇降装置 |
JPH1181843A (ja) * | 1997-09-10 | 1999-03-26 | Tateyama Alum Ind Co Ltd | 三脚脚立 |
JPH11152892A (ja) * | 1997-11-19 | 1999-06-08 | Hasegawa Kogyo Co Ltd | 折畳み式作業台における手摺ロック装置 |
KR20140002915U (ko) * | 2012-11-08 | 2014-05-16 |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
-
2017
- 2017-08-10 KR KR2020170004236U patent/KR20048767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37855A (ja) * | 1994-02-28 | 1995-09-12 | Japanic:Kk | 昇降装置 |
JPH1181843A (ja) * | 1997-09-10 | 1999-03-26 | Tateyama Alum Ind Co Ltd | 三脚脚立 |
JPH11152892A (ja) * | 1997-11-19 | 1999-06-08 | Hasegawa Kogyo Co Ltd | 折畳み式作業台における手摺ロック装置 |
KR20140002915U (ko) * | 2012-11-08 | 2014-05-16 |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3295A (zh) * | 2021-12-23 | 2022-04-12 | 北京中卓时代消防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飞机救援消防车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50267A (en) | Portable gangway with leveling stairs | |
RU2009101481A (ru) | Лестниц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на строительной площадке | |
CA3095631A1 (en) | Telescopic staircase system and uses thereof | |
KR200487678Y1 (ko) | 계단장치 | |
KR102101779B1 (ko) | 슬라이드 발판유닛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케이지 인양시스템 | |
KR102241781B1 (ko) |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 |
JP2013192402A (ja) | 電柱昇降器 | |
KR102454852B1 (ko) |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 |
KR20210000628A (ko) |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무대 경사로 구조체 | |
KR102123359B1 (ko) | 구명줄 장치 | |
KR20090089943A (ko) | 완강기 및 이를 구비하는 비상탈출장치 | |
KR200493319Y1 (ko) | 전신주 작업 발판대 | |
KR200463126Y1 (ko) | 모터를 이용하여 발판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계단 | |
KR20180070002A (ko) | 경사로 가변 계단 | |
KR200384963Y1 (ko) |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 |
KR102258349B1 (ko) | 내민 발판이 구비된 건설용 리프트 | |
EP1009894A1 (en) | A scaffold structure | |
EP3669953B1 (en) | Starting platform with integrated backstroke anchor ledge | |
KR102272103B1 (ko) | 발판이 승하강되는 사다리 | |
KR20190000341U (ko) | 작업대의 실족 방지용 발판 | |
US20200095786A1 (en) |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 |
KR200488887Y1 (ko) | 고소작업용 리프트 장치 | |
KR20200077843A (ko) |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 |
JP6263000B2 (ja) | 歩行補助装置 | |
KR102515456B1 (ko) | 고소작업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