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581Y1 - 절약형 용기 - Google Patents

절약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81Y1
KR200487581Y1 KR2020180000648U KR20180000648U KR200487581Y1 KR 200487581 Y1 KR200487581 Y1 KR 200487581Y1 KR 2020180000648 U KR2020180000648 U KR 2020180000648U KR 20180000648 U KR20180000648 U KR 20180000648U KR 200487581 Y1 KR200487581 Y1 KR 2004875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wer container
lid
content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홍
최정아
Original Assignee
김선홍
최정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홍, 최정아 filed Critical 김선홍
Priority to KR2020180000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81Y1/ko
Priority to PCT/KR2018/006968 priority patent/WO2018236148A1/ko
Priority to US16/013,972 priority patent/US20180369844A1/en
Priority to CN201820969835.1U priority patent/CN20842936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6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with closable apertures at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25Collapsibl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잔량이 버려짐 없이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내용물의 절약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마개 형태로 펌프가 결합되는 통형태의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태의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하단에 착탈 결합되고,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분리 사용시 하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 마감하며, 하단 둘레에는 날개부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힌지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약형 용기{Container For Economy Of Contents}
본 고안은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잔량이 버려짐 없이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등 내용물의 절약과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절약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프나 린스, 바디워시, 헤어젤 등은 용기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단에는 펌프(디스펜서)가 형성되어 펌핑 작동에 의해 배출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펌프에는 용기의 내부로 인출 및 바닥에 이르는 배출호스가 형성되어 펌핑 작동시 내용물이 배출호스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펌핑식 용기의 경우 내용물의 대부분 소진된 상태에서는 그 배출호스가 잔량의 내용물에 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인바, 그 잔량의 내용물에 대해서는 배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단의 펌프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를 뒤집어 배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출 사용 또한 내용물의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남아있는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중간 부분을 칼 등을 이용하여 절개 개방한 상태에서 그 잔량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절단 사용의 경우 상부가 개방되는 특성상 내용물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중 자칫 날카로운 절단 단부를 통해 찰과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용기의 하부에 추가로 배출구가 구성되어 잔량의 내용물의 배출 사용이 가능하게 한 용기가 제안된바 있는데, 이러한 하부 배출 구조의 경우 뒤집어 개방시 내용물이 다시 역으로 흘러 그 배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바로 된 상태에서 하부를 개방시 자칫 잔량의 내용물이 한번에 배출되게 되는 등 그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관련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96157호가 있다. 이 종래기술에 의한 절약용 용기는 측면 사방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부 및 상기 둘레부와 연결되어 바닥 방향으로 경계를 한정하는 바닥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상부 마개, 상기 몸체의 바닥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하부 배출구를 밀폐시키도록 설치된 하부 마개, 및 상기 몸체의 둘레부 또는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본 종래기술에 의한 용기는 바닥에 설치된 하부 배출구 및 하부 마개에 의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거의 소진하고 남은 잔존물도 간단한 조작으로 완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점착성이 높은 내용물의 경우에는 하부 배출구를 개방한다 하여도 완전히 깨끗하게 사용할 수는 없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는 없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296157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로 구분 구성 및 필요시 분리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잔량의 내용물이 남을시 간편하게 하부용기로부터 상부용기를 분리 및 하부용기를 완전히 개방하여 잔량의 내용물을 완전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은 뚜껑을 이용하여 개폐 사용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내용물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거나 공기가 유입되어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잔량의 내용물까지도 양질의 내용물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마개 형태로 펌프가 결합되는 통형태의 상부용기;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태의 하부용기;
상기 하부용기의 하단에 착탈 결합되고,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를 분리 사용시 하부용기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 마감하며, 하단 둘레에는 날개부가 형성된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가 힌지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 설치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용기와 뚜껑 사이에는 보조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공간에는 스푼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뚜껑과 하부용기도 힌지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에도 상기 상부용기와 같은 형태의 힌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는 투시창 및 눈금이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절약형 용기는 용기의 구성이 펌프가 형성되는 상부용기와, 상부용기의 하단에 삽입 결합 및 절곡부로 연결된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인바, 잔량의 내용물이 남을시 간편하게 하부용기로부터 상부용기를 개방하여 하부용기를 완전히 개방하여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버려지는 내용물이 없이 완전한 배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부용기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는 스푼을 이용하여 남은 내용물을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절약형 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절약형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절약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본 고안 절약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절약형 용기의 하부용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하부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의 절약형 용기(1)는,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와, 뚜껑(300)으로 구성된다.
상부용기(100)는, 본 고안 절약형 용기(1)의 상부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내부가 중공이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타원형 통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용기(100)의 상단 주입구(101)에는 마개(112)가 결합된다. 마개(112)에는 상단에 내용물(C)의 배출을 위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110)가 결합되고, 그 펌프(110)에는 하부용기(200)를 향하여 연장되는 배출호스(111)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용기(100)의 하단(102) 내주면에는 끼움부가 마련된다. 하부용기(200)는 절약형 용기(1)의 하부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서, 중공 형태로 되어 있고 상방향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통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용기(200)의 높이는 상기 상부용기(100) 보다는 낮은 높이를 이루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용기(100)보다 낮은 하부용기(200)의 높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손이 출입 가능한 높이로 약 5~7cm 정도의 높이를 이루게 구성함이 적당하다. 그리고 하부용기(200)의 개방된 상단(201) 둘레에는 상부용기(100)의 하단(102)에 밀착하여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용기(200)의 내측 바닥면은 중앙이 가장 깊은 깊이를 이루도록 반원 형태의 오목한 홈을 이루고 있다. 내용물(C)이 가운데로 모이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C)을 수용하기 위한 단일한 수용공간을 이루게 구성된다.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는 힌지부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용기에 설치되는 힌지부는 한쌍의 슬리브(170)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하부용기(200)에 설치되는 힌지부는 슬리브(17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한쌍의 핀(270)의 형태로 되어 있다.
하부용기의 힌지부 반대편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홈(271, 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용기(100)의 하단에는 걸림홈(271)에 찰칵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돌기(172)가 마련된다. 이 걸림돌기(172)는 탄성편(171)에 마련된다. 이 걸림돌기(172)와 걸림홈(271)은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잠금수단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정도 내용물이 사용된 다음에는 상부용기를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하부용기(200)의 개구부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용기가 펌핑식인 경우에는 펌핑을 많이 해야 하는 불편함도 줄어들게 되고 좀 더 편리하게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후술되는 내장용 스푼(340)을 사용하게 되면 좀 더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의 연결부에는 밀봉을 위한 접착테이프(미도시됨)가 접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내용물(C)을 거의 사용한 다음 접착테이프를 제거하고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를 개방하여 나머지 잔존하는 내용물을 사용하면 된다.
뚜껑(300)이 하부용기(20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뚜껑(300)은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를 분리한 경우에 하부용기(200) 상단(201)에 끼워져 뚜껑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뚜껑(300)의 하단 둘레에는 날개부(31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본 고안 절약형 용기(1)를 거치 사용시 그 안정감을 부여하는 한편, 뚜껑(300)을 하부용기(200)로부터 분리시 손으로 잡기 쉽도록 한다.
한편, 하부용기(200)로부터 뚜껑(300)의 착탈을 위해서는 먼저, 하부용기(200)의 오목 바닥부(230)와 하단부 사이에 공간부(240)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용기(200)의 하단과 뚜껑(300) 사이에는 링형태의 연결구(400)가 개입된다. 연결구의 상부(401)는 하부용기(200)의 하단(202)에 끼워져 결합되고, 연결구의 하부(402)는 뚜껑(300)에 결합된다.
연결구(400)의 중간에는 걸림턱(410)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고 있다. 뚜껑(400)의 내주면에는 결착돌기(321)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는 하부용기와의 결합시 잘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뚜껑(300)에도 상부용기(100)와 마찬가지로 핀이 끼워져 회전될 수 있는 한쌍의 슬리브(320)가 마련되어 있다. 연결구(400)는 하부용기가 얇을 경우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필요가 없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뚜껑에는 뚜껑과 하부용기가 만드는 보조공간에는 스푼(340)이 설치된다. 스푼(340)의 손잡이부분은 접이식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스푼(340)은 종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뚜껑(300)에는 스푼(340)을 보관할 수 있도록 스푼고정돌기(33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푼(340)은 이 스푼고정돌기(330) 사이에 끼워져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절약형 용기(1)는 하부용기(200)에 남아있는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뚜껑(300)을 이용하여 그 잔량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부용기(200)에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어서 외관상 다른 용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내용물(C)을 완전히 사용시 별도의 보조 용기 등으로의 재사용 또한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상부용기와 하부용기에는 투시창(160,260) 및 눈금(161,26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물론 용기 내부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용기(100)나 하부용기(200)가 투명한 경우에는 이 투시창(160,260)은 생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절약형 용기는 타원형태로 되어 있지만, 원형 또는 사각형 통체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형태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그리고 펌프(110)의 형태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양한 형태의 펌프(110)가 대체될 수 있으며, 심지어 펌프(11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는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가라앉아 배출 사용이 불가능한 내용물 까지도 완전한 배출 사용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절약형 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안전성과 편리함이 확보되며, 특히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상부용기 110 : 펌프
111 : 배출호스 112 : 마개
160, 260 : 투시창 161, 261 : 눈금
170, 320 : 슬리브(힌지부) 200 : 하부용기
270 : 핀(힌지부) 300 : 뚜껑
330 : 스푼고정돌기 340 : 스푼
400 : 연결구 C : 내용물

Claims (4)

  1.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 주입구(101)에는 마개(112)가 결합되고, 마개(112)에는 상단에 내용물(C)의 배출하기 위해 펌핑 작동하는 펌프(110)가 결합되며, 하단 일측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탄성편(171)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편(171)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72)가 구비된 통형태의 상부용기(100);
    상기 상부용기(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부용기(100)의 걸림돌기(172)가 결합되는 걸림홈(271)이 구비된 통형태의 하부용기(200);
    상기 하부용기(200)의 하단에 착탈 결합되고,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를 분리 사용시 하부용기(200)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 마감하며, 하단 둘레에는 날개부(3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결착돌기(321)가 돌출된 뚜껑(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가 힌지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하부용기(200)와 뚜껑(300) 사이에는 보조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공간에 설치된 스푼(340);
    상기 하부용기(200)와 뚜껑(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401)는 하부용기(200)의 하단(202)에 끼워져 결합되고, 하부(402)는 뚜껑(300)에 결합되며, 중간 외주면에는 걸림턱(410)이 돌출형성된 연결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300)과 하부용기(200)도 힌지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300)에도 상기 상부용기(100)와 같은 형태의 힌지부(32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100)와 하부용기(200)에는 잔량 확인을 위한 것으로써, 투시창(160, 260) 및 눈금(161, 26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약형 용기.
KR2020180000648U 2017-06-24 2018-02-12 절약형 용기 KR2004875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48U KR200487581Y1 (ko) 2018-02-12 2018-02-12 절약형 용기
PCT/KR2018/006968 WO2018236148A1 (ko) 2017-06-24 2018-06-20 절약형 용기
US16/013,972 US20180369844A1 (en) 2017-06-24 2018-06-21 Liquid container
CN201820969835.1U CN208429362U (zh) 2017-06-24 2018-06-22 节约型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48U KR200487581Y1 (ko) 2018-02-12 2018-02-12 절약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81Y1 true KR200487581Y1 (ko) 2018-11-28

Family

ID=6455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48U KR200487581Y1 (ko) 2017-06-24 2018-02-12 절약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81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157Y1 (ko) 2002-09-05 2002-11-22 김나은 절약용 용기
KR200437860Y1 (ko) * 2007-01-24 2008-01-02 서여민 다기능 위생물통
KR200439424Y1 (ko) * 2006-10-19 2008-04-11 동진기업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US20130284764A1 (en) * 2012-04-25 2013-10-31 Cheryl Evon Baxter-Waller Dispenser with re-sealable floor
KR20140013430A (ko) * 2012-07-24 2014-02-05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WO2015064717A1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ダイゾー 2液吐出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6157Y1 (ko) 2002-09-05 2002-11-22 김나은 절약용 용기
KR200439424Y1 (ko) * 2006-10-19 2008-04-11 동진기업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KR200437860Y1 (ko) * 2007-01-24 2008-01-02 서여민 다기능 위생물통
US20130284764A1 (en) * 2012-04-25 2013-10-31 Cheryl Evon Baxter-Waller Dispenser with re-sealable floor
KR20140013430A (ko) * 2012-07-24 2014-02-05 이현복 디스펜서 용기
WO2015064717A1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ダイゾー 2液吐出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85810Y1 (ko)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KR200487581Y1 (ko) 절약형 용기
JP3621471B2 (ja) ペア容器
KR19990082375A (ko) 타월-분배 용기용 밀폐 장치
KR200462574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0746Y1 (ko)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KR101799243B1 (ko)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CN209152491U (zh) 一种化妆底料盒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CN107280210A (zh) 被填充有凝胶状化妆品和固体化妆品的化妆品容器
KR0120282Y1 (ko) 리필 전용 용기
KR200485809Y1 (ko)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KR20032782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JP3904753B2 (ja) クリーム状物注出容器
KR102587036B1 (ko) 잔량 방지 용기
KR101318673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메이크업 용기
KR950010512Y1 (ko) 물통 뚜껑
KR200306886Y1 (ko) 펌프식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파우치
KR20220030073A (ko) 회전식 분리가 가능한 통
KR102016445B1 (ko) 이중 티슈팩용 캡 및 이러한 캡이 적용된 이중 티슈팩
KR200483378Y1 (ko)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듀얼캡 보관용기
KR101905179B1 (ko) 오염방지부가 형성된 튜브용기
KR101810183B1 (ko) 발효식품 숙성용기
KR20180057027A (ko) 보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