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824Y1 -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824Y1
KR200327824Y1 KR20-2003-0022439U KR20030022439U KR200327824Y1 KR 200327824 Y1 KR200327824 Y1 KR 200327824Y1 KR 20030022439 U KR20030022439 U KR 20030022439U KR 200327824 Y1 KR200327824 Y1 KR 200327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toothpaste
discharge ho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2003-0022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8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용기를 뒤에서 부터 압력을 가하여 앞에서 부터 차례로 사용하기 때문에, 치약을 손쉽게 짜낼 수 있고,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량의 치약도 버림없이 완전하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이 담겨있는 내부용기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리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A tube-receptacle of dentifrice possible to free use}
본 고안은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튜브용기에 충진된 치약을 손쉽게 짜낼 수 있고,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량의 치약도 버림없이 완전하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이 담겨있는 용기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나와있는 치약용 튜브용기는 입구쪽과 중심부쪽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뒤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단부에서는 면이 접하여 직선의 형상을 이루면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앞쪽에는 치약이 배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형성된다.
이러한 튜브용기는 처음 개봉상태에서는 치약이 쉽게 배출되나, 상기 튜브용기 내의 치약이 일정량 소비되어진 상태일 경우에는 최초의 형태로 부터 울퉁불퉁하게 변형되어 사용자가 치약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튜브용기에다 압력을 가하여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앞쪽에 있는 치약을 입구쪽으로 향하도록 해야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튜브용기 앞쪽으로 치약을 이동시킬 때 후방에 있는 치약은 뒤쪽으로 밀리면서 튜브용기가 울퉁불퉁하게 됨에 의해 생기는 내부공간의 주름속으로 끼여들어 입구쪽으로 나오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생기므로 치약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뒤쪽으로 밀리는 치약이 튜브용기의 밀폐된 뒤쪽에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밀폐된 부분이 파손될 우려성을 안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샴푸나 스킨로션, 기름과 같이 액상을 내용물로 하는 용품들은 내용물만이 담겨있는 비닐팩형태의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별도의 리필용기에 직접 부어 재사용함으로서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치약의 경우에는 반고체상태이기 때문에 치약만을 별도로 구입하여 리필하기가 곤란하므로 별도의 리필용기와 치약만이 판매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치약을 구매시 튜브용기에 대한 비용을 감수해야만 한다. 또한 사용 중에 튜브용기의 밀봉된 부분이 터지게 되는 경우 배출구로 치약을 배출시켜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버려야 하거나 터진 곳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튜브용기 내의 치약을 손쉽게 짜낼 수 있고,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량의 치약도 버림없이 완전하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이 담겨있는 용기만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치약용 튜브용기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치약용 튜브용기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치약용 튜브용기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외부용기
11 ; 외부용기 본체
12 ; 나사돌기
20 ; 내부용기
21 ; 내부용기 본체
22 ; 배출부
23 ; 걸림턱
24 ; 용기배출공
30 ; 뚜껑부
31 ; 내부뚜껑
32 ; 내부배출공
33 ; 나사홈
34 ; 회전돌기
35 ; 외부뚜껑
36 ; 외부배출공
37 ; 회전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자바라형의 외부용기 본체가 있고, 상기 외부용기 본체의 상면에는 나사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용기와;
상기 외부용기 본체에 삽입되며 치약이 충진되는 비닐재질의 내부용기 본체가 있고, 상기 내부용기 본체의 상부에는 내부용기 본체와 열접착된 배출부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부에는 외부용기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턱 및 치약이 배출되는 용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걸림턱에 안착되는 내부뚜껑 및 상기 내부뚜껑과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외부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뚜겅의 일측에는 내부용기의 용기배출공과 대응되는 내부배출공이 장착되어 있고, 내부 외주면에는 외부용기의 나사돌기와 대응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뚜껑의 일측면에는 내부뚜껑의 내부배출공과 대응되는 외부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고안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치약용 튜브용기를 부분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치약용 튜브용기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튜브용기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자바라형태의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치약이 충진되어 있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상면에 안착되는 뚜껑부(30)로 구성되되, 상기 뚜껑부(3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뚜껑(31)과 외부뚜껑(35)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외부용기(10)의 경우에는 그 형태가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져 있어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그 길이의 줄임과 늘림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용기 본체(11)가 있고, 상기 외부용기 본체(11)의 상면에는 나사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용기(20)의 경우에는 외부용기 본체(11)에 삽입되며 치약이 충진되는 내부용기 본체(21)가 있고, 상기 내부용기 본체(21)의 상부에는 치약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2)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부(22)에는 외부용기(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턱(23) 및 치약이 배출되는 용기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용기(20)에 있어서, 내부용기 본체(21)는 변형이 자유로운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만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밀봉된 부분이 터지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비닐재질의 내부용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질의 배출부에 열접착되어 있으나, 그 외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접착방법에 의해서도 접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뚜껑부(30)의 경우에는 내부용기(20)의 걸림턱(23)에 안착되는 내부뚜껑(31)과, 상기 내부뚜껑(31)과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외부뚜껑(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내부뚜겅(31)의 일측에는 내부용기(20)의 용기배출공(24)과 대응되는 내부배출공(3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 외주면에는 외부용기(10)의 나사돌기(12)와 대응되는 나사홈(33)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부뚜껑(35)의 일측면에는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과 대응되는 외부배출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뚜껑부(30)에 있어서, 내부뚜껑(31)과 외부뚜겅(35)의 결합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뚜껑(31)의 하단 외주면에는 'ㄱ' 자형의 회전돌기(34)를 형성하고, 외부뚜껑(35)에는 내부뚜껑(31)의 회전돌기(34)와 대응되는 'ㄴ'자형의 회전홈(37)을 형성한 다음 결합하게 되면 내부뚜껑(31)과 외부뚜껑(35)이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부뚜껑의 외부면에 일자형의 돌기를 형성하고 외부뚜껑의 내주면에는 내부뚜껑의 돌기에 해당하는 홈을 형성시킨 다음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튜브용기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외부용기 본체(11)의 내부에 내부용기 본체(21)를 삽입하여 내부용기(20)의 걸림턱(23)이 자연스럽게 외부용기(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내부뚜껑(31)과 외부뚜껑(35)이 미리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30)를 외부용기(10)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결합은 내부뚜겅(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33)을 외부본체(10)의 나사돌기(12)에 맞춰 회전시켜 결합시키게 된다. 다만 뚜껑부(30)와 외부용기(10)가 결합된 후에는 외부용기(10)에 삽입된 내부용기(20)의 용기배출공(24)이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외부용기(10)와 결합된 뚜껑부(30)는 보관시엔 외부뚜껑(35)을 회전시켜 외부배출공(36)이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과 다른 위치에 있도록 하여 치약이 외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며, 사용시에만 외부뚜껑(31)을 다시 회전시켜 외부배출공(36)을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과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한 다음 사용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치약용 튜브용기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도 3을 통하여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뚜껑(35)을 회전시켜 외부배출공(36)이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 및 내부용기(20)의 용기배출공(24)과 일치가 되도록 한 다음, 외부용기(10)를 후방에서 압력을 가하게 되면 외부용기 본체(11)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용기 본체(21)가 함께 압력을 받게되어 그 안에 충진되어 있던 치약이 배출부(22)의 용기배출공(24)으로 이동되며, 이와 같이 이동된 치약은 용기배출공(24)과 내부배출공(32) 및 외부배출공(36)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치약용 튜브용기는 외부용기를 뒤에서 부터 압력을 가하여 앞에서 부터 차례로 사용하기 때문에, 치약을 손쉽게 짜낼 수 있고,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량의 치약도 버림없이 완전하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이 담겨있는 내부용기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는 튜브용기 내의 치약을 손쉽게 짜낼 수 있고, 용기 내에 남아있는 잔량의 치약도 버림없이 완전하게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이 담겨있는 내부용기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서 리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자바라형의 외부용기 본체(11)가 있고, 상기 외부용기 본체(11)의 상면에는 나사돌기(12)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용기(10)와;
    상기 외부용기 본체(11)에 삽입되며 치약이 충진되는 비닐재질의 내부용기 본체(21)가 있고, 상기 내부용기 본체(21)의 상부에는 내부용기 본체(21)와 열접착된 배출부(22)가 장착되며, 상기 배출부(22)에는 외부용기(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턱(23) 및 치약이 배출되는 용기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용기(20)와;
    상기 내부용기(20)의 걸림턱(23)에 안착되며 외부용기(10)와 결합되는 내부뚜껑(31) 및 상기 내부뚜껑(31)과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외부뚜껑(3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뚜겅(31)의 일측에는 내부용기(20)의 용기배출공(24)과 대응되는 내부배출공(32)이 장착되어 있고, 내부 외주면에는 외부용기(10)의 나사돌기(12)와 대응되는 나사홈(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뚜껑(35)의 일측면에는 내부뚜껑(31)의 내부배출공(32)과 대응되는 외부배출공(36)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30)에 내부뚜껑(31)의 하단 외주면에는 'ㄱ' 자형의 회전돌기(34)가 형성되고, 외부뚜껑(35)에는 내부뚜껑(31)의 회전돌기(34)와 대응되는 'ㄴ'자형의 회전홈(37)을 형성되어 서로 회전이 가능하게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KR20-2003-0022439U 2003-07-11 2003-07-11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KR200327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9U KR200327824Y1 (ko) 2003-07-11 2003-07-11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439U KR200327824Y1 (ko) 2003-07-11 2003-07-11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824Y1 true KR200327824Y1 (ko) 2003-09-22

Family

ID=4933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439U KR200327824Y1 (ko) 2003-07-11 2003-07-11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8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38B1 (ko) 2014-04-28 2014-06-20 김이영 식품 소스 공급용 용기
KR101810559B1 (ko) 2016-10-24 2017-12-20 (주)엠디웰아이엔씨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538B1 (ko) 2014-04-28 2014-06-20 김이영 식품 소스 공급용 용기
KR101810559B1 (ko) 2016-10-24 2017-12-20 (주)엠디웰아이엔씨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KR102386925B1 (ko) * 2020-05-20 2022-04-14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875A (en) Dispenser with integrated cover for paste-like material
JP6669857B2 (ja) 折りたたみ式化粧品容器
JP2007516804A (ja) シェービング補助剤吐出器を備えたシェービング装置
JP2007516791A (ja) シェービング装置
US8690013B2 (en) Single-use applicator
JP2011518598A (ja) 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JP5208876B2 (ja) 二重容器
KR20080001068U (ko) 회전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032782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KR200475325Y1 (ko) 화장품 용기 보관 겸용 화장액 토출 장치
KR20190017441A (ko) 재사용할 수 있는 캡 형 파우치
US8960425B2 (en) Nasal spray and tissue dispenser
KR200439643Y1 (ko)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US7475438B2 (en) Portable bidet
JP2001171699A (ja) チューブ容器装置
JP2000201729A (ja) 液体化粧料の収納容器
KR101921141B1 (ko) 디스펜서 일체형 치약 마개
JP2002179099A (ja) 詰め替えパック用注出容器
KR200462574Y1 (ko) 화장품 용기
JP4808372B2 (ja) 粘性体塗布容器
KR20190106665A (ko) 이종 화장품 혼합 장치
KR102587036B1 (ko) 잔량 방지 용기
CN211996920U (zh) 一种洁面乳包装瓶
KR20230169528A (ko) 내용물의 분리 저장 및 혼합 배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