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59B1 -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59B1
KR101810559B1 KR1020160138556A KR20160138556A KR101810559B1 KR 101810559 B1 KR101810559 B1 KR 101810559B1 KR 1020160138556 A KR1020160138556 A KR 1020160138556A KR 20160138556 A KR20160138556 A KR 20160138556A KR 101810559 B1 KR101810559 B1 KR 10181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member
cap
container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기
김인호
구자홍
Original Assignee
(주)엠디웰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웰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엠디웰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138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7Holders or handles for hanging up in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65D47/123Threaded caps with internal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하고, 걸이대에 걸어 용기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캡 부재와, 지지부재와, 복수의 연결부재와, 걸이부재를 포함한다. 캡 부재는 용기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지지부재는 결합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기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부재는 결합부와 지지부재 사이에서 용기의 외측를 따라 접힌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에 각각 결합된다. 걸이부재는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지지부재를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부재가 신장되면서 지지부재가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되고, 걸이부재는 지지부재에 대하여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A container holder having the contents emissions cap}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캡을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걸이대에 걸어 용기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병원 등에서 현재 사용하는 링겔 주사액, 수액제, 액상 음식물은 병 또는 비닐 팩과 같은 용기에 담겨져 공급된다.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용기는 T-형상 혹은 옷걸이 형상의 걸이대에 걸어져 공급대상의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된다.
이러한 용기를 걸이대에 걸기 위해 종래에는 용기를 그물망으로 감싸고, 그물망의 상단부를 묶어 걸이대에 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정적으로 용기를 걸이대에 걸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로 된 용기 홀더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기 홀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용기 홀더(20)는, 용기(10)의 외측을 감싸는 다수의 원형림부(21)와, 원형림부(21)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22)와, 최상단에 위치한 원형림부(2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걸이부재(23)로 구성된다.
종래의 용기 홀더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분말을 금형 내에 충진하여 열과 압력을 가해 성형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plastic injection molding)으로 제작되는데, 종래의 용기 홀더(20)는 캡 부재(30)과 별도로 분리된 형태로서, 용기 홀더(20)와 캡 부재(30)가 서로 각개로 제작된다. 이 때문에, 용기 홀더(20)와 캡 부재(30)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이 개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고,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 공정도 서로 개별적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제작비용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용기 홀더(20)는 내부에 용기(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즉, 용기 홀더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크기가 용기 홀더의 형상,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높이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므로, 금형 제작 비용이 과다하였고, 금형의 크기에 비례하여 성형 가공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사출 성형 시에 열 전달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금형의 크기가 커질수록 성형 가공 시간이 오래 걸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1852호(발명의 명칭: 링거액 주입제어장치, 등록공고일자: 2009. 06. 0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기 홀더와 캡 부재의 제작에 필요한 비용 및 공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성형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는, 용기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캡 부재;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용기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용기의 외측를 따라 접힌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부재가 신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결합부의 제1, 2지점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2지점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나선 형태로 접혀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한쪽 영역에 있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공간홈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연질의 목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용기가 결합되는 내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부는 상기 용기의 일단부에 형성된 캡 끼움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캡 끼움구가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캡 부재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따르면, 캡 부재와 용기 홀더의 제작 비용과 시간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따르면, 용기를 용기 홀더에 쉽게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따르면, 용기 내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따르면,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 홀더의 제작에 소요되는 성형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용기 홀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용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와 종래의 용기 홀더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금형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를 나타낸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에 용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와 종래의 용기 홀더를 사출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금형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를 나타낸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100)는 용기(200)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캡 부재(110)을 구비하고, 걸이대(미도시)에 걸어 용기(200)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캡 부재(110)와, 지지부재(120)와, 복수의 연결부재(130)와, 걸이부재(140)를 포함하고,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출 성형을 통해 각 구성요소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캡 부재(110)는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111)를 구비한다. 결합부(111)는 복수의 연결부재(130)가 결합되는 외측부(111b)와, 용기(200)가 결합되는 내측부(111a)로 구성되고, 결합부(111)의 내측부(111a)는 용기(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캡 끼움구(2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112)에 캡 끼움구(21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캡 끼움구(210)는 용기(200)의 단부로부터 삽입홈(112)을 향해 돌출되고, 그 끝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211)가 형성된다. 캡 끼움구(210)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면, 걸림돌기(211)가 삽입홈(112)의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112a)이 서로 만나 반대방향으로 휘어지고, 걸림돌기(211)가 걸림턱(112a)을 넘어서면, 걸림돌기(211)와 걸림턱(112a)이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복원됨으로써, 캡 끼움구(210)가 삽입홈에 끼워지게 된다. 이를 통해, 용기(200)를 캡 부재(110)에 쉽게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존의 용기 홀더와는 달리, 캡 부재(110)와 용기 홀더가 낱개 단위로 제작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제작되므로 용기 홀더의 전체적인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용기(200)와 캡 부재(110)를 결합하기 위한 방식은 걸림돌기와 걸림턱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고, 이외의 다양한 원터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캡 부재(110)는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 보호자나 의료진이 용기(200) 내에 남아있는 수액의 잔량을 확인하여 수액 주입이 완료되면, 용기(200)를 제거하거나 교체함으로써, 용기(200) 내에 내용물이 남아있는 상태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용기(200)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121)가 형성된다. 지지부재(120)는 원형, 다각형 등 용기(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고, 후술되는 연결부재(130)에 전달되는 용기(200)의 하중을 걸이부재(140)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용기(200)의 타단부 둘레를 감싸면서 용기(200)가 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130)는 결합부(111)와 지지부재(120) 사이에서 용기(200)의 외측을 따라 접힌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결합부(111)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부재(120)에 각각 결합된다. 복수의 연결부재(130)는 구체적으로 일단부가 결합부(111)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결합부(111)의 제1, 2지점(a1, a2)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부재(12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부재(120)의 제1, 2지점(b1, b2)에 각각 결합되며, 결합부(111)와 지지부재(120) 사이에서 나선 형태로 접혀서 배치된다.
이때, 결합부(111)의 제1, 2지점(a1, a2)은 결합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지지부재(120)의 제1, 2지점(b1, b2)은 지지부재(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용기(200)의 무게 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연결부재(130)는 용기(200)의 무게에 따라 추가적으로 그 개수를 더 늘려 결합부(111) 및 지지부재(12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0)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지지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재(120)에는, 지지부재(120)의 한쪽 영역에 있는 지지부재(120)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홈(122)이 마련되고, 걸이부재(140)는 공간홈(122)을 따라 형성되며, 양단부가 연질의 목부(141)를 매개로 지지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100)를 이용하여, 용기(200)를 걸이대(미도시)에 거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을 참조하면, 용기(200)를 캡 부재(110)에 끼운 상태에서 지지부재(120)를 용기(200)의 타단부 측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부재(130)가 신장되면서 지지부재(120)가 용기(200)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지지부재(120)가 용기(200)의 타단부에 위치하면, 걸이부재(140)를 수직으로 꺾어 걸이대(미도시)에 걸어 환자보다 높은 곳에 용기(200)를 매달아 위치시키게 된다.
연결부재(13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고, 캡 부재(110)와 지지부재(120) 사이에서 나선 형태로 압축된 상태로 제작되고, 연결부재(130)를 압축된 방향의 양쪽으로 잡아당기면, 일자로 펴지게 되는, 플라스틱이 갖는 자체 유연성을 이용하여 그 형태가 가변적으로 변하게 된다. 즉, 용기 홀더를 제작할 때는 용기 홀더가 압축된 형상으로 제작하고, 용기 홀더를 사용할 때는 압축된 용기 홀더를 펴 사용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종래의 용기 홀더(10)는 용기 홀더의 형상이 그대로 적용되어 금형이 제작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용기 홀더의 전체 길이(L1)에 비례하여 금형의 두께(t1)가 결정됨으로써, 금형의 크기가 그만큼 커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 홀더(100)는 캡 부재(110)를 더 포함하면서도, 연결부재(130)를 나선 형태로 압축하여 캡 부재(110)와 지지부재(120)를 서로 근접하게 배치시키고, 걸이부재(140)를 지지부재(120)에 평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용기 홀더의 전체 길이(L2)와, 이에 따른 금형의 두께(t2), 즉 그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금형의 크기가 줄어든 만큼, 금형을 가열하고 냉각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지므로, 용기 홀더의 전체적인 성형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는, 캡 부재와 용기 홀더가 서로 낱개 단위로 제작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캡 부재와 용기 홀더의 제작 비용과 시간 및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는, 캡 끼움구가 삽입홈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됨으로써, 용기를 용기 홀더에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빠르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는, 캡 부재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용기 내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는, 용기 홀더의 제작 시에는 용기 홀더가 압축된 상태로 금형의 설계함으로써,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용기 홀더의 제작에 소요되는 성형 가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110 : 캡 부재
120 : 지지부재
130 : 연결부재
140 : 걸이부재
200 : 용기
210 : 캡 끼움구

Claims (5)

  1. 용기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캡 부재;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용기가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상기 용기의 외측를 따라 접힌 형태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부재가 신장되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용기의 타단부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결합부의 제1, 2지점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제1, 2지점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나선 형태로 접혀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한쪽 영역에 있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홈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공간홈을 따라 형성되고, 양단부가 연질의 목부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용기가 결합되는 내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부는 상기 용기의 일단부에 형성된 캡 끼움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캡 끼움구가 상기 삽입홈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상기 캡 부재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KR1020160138556A 2016-10-24 2016-10-24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KR101810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556A KR101810559B1 (ko) 2016-10-24 2016-10-24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556A KR101810559B1 (ko) 2016-10-24 2016-10-24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559B1 true KR101810559B1 (ko) 2017-12-20

Family

ID=6093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556A KR101810559B1 (ko) 2016-10-24 2016-10-24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17Y1 (ko) 2000-07-11 2000-12-15 이세훈 포유병 걸이대
KR200327824Y1 (ko) 2003-07-11 2003-09-22 김영환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JP4679151B2 (ja) 2002-12-09 2011-04-27 ディーアントニオ コンサルタン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注射カートリッジ充填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17Y1 (ko) 2000-07-11 2000-12-15 이세훈 포유병 걸이대
JP4679151B2 (ja) 2002-12-09 2011-04-27 ディーアントニオ コンサルタン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ク 注射カートリッジ充填装置
KR200327824Y1 (ko) 2003-07-11 2003-09-22 김영환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4865T3 (es) Recipiente para llenado en caliente con paneles de vacio verticales asimetricos.
US11471610B1 (en) Asymmetrical closure for a medical device
ES2372918T3 (es) Recipiente en particular para productos sólidos o pastosos,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acondicionamiento que comprende este recipiente y un contenedor que lo recibe.
JP4542622B1 (ja) 付け睫毛プレスカールケース
KR20040102120A (ko) 유아 수유 및 저장 시스템
US3865339A (en) Container support
BR112012016106B1 (pt) "recipiente de carga quente tendo painéis planos"
CN104015995B (zh) 药物容器的闭塞装置
ITBO20060041A1 (it) Confezione filtrante per prodotti da infusione.
KR102121263B1 (ko) 가변 원추형 용기 캐리어
TWI537186B (zh) 射出成型封蓋
JP4097066B2 (ja) 流動食用包装袋
KR101810559B1 (ko) 내용물 배출캡을 구비한 용기 홀더
TWI545062B (zh) 射出成型封蓋
TW201704107A (zh) 射出成型封蓋
CN110733737B (zh) 固定架及包括其的蛋糕包装结构
US7434689B2 (en) Packing unit comprising interconnection means
US20150197393A1 (en) Container
US20190125472A1 (en) Carrying case for vials
US10850899B2 (en) Low profile funnel
US9999890B2 (en) Vial transport element and assembly
CN105947364A (zh) 一种易抽取保鲜袋储蓄罐
WO2017079126A1 (en) Insulated geodesic beverage container
US20080210699A1 (en) Container Applied In Medical Drugs And Cosmetic Items Packaging
KR20120009108A (ko)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