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108A -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108A
KR20120009108A KR1020100070929A KR20100070929A KR20120009108A KR 20120009108 A KR20120009108 A KR 20120009108A KR 1020100070929 A KR1020100070929 A KR 1020100070929A KR 20100070929 A KR20100070929 A KR 20100070929A KR 20120009108 A KR20120009108 A KR 20120009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cover
container body
powd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주
Original Assignee
박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주 filed Critical 박건주
Priority to KR1020100070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108A/ko
Publication of KR20120009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컵 형상으로서 상단에 환턱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환턱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환턱에 실링 접착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을 물에 혼합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고, 제조 공정 시 분말을 용기 내에 주입한 후 커버 필름을 바로 접착시키면 되므로 자동 공정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Package Container Having Bottom Cover}
본 발명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말을 포장하는 포장 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에 바닥 커버를 구비하고 상단부는 커버 필름을 이용하여 실링 접착함으로써 바닥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을 주입한 후 바닥 커버를 닫고, 용기를 흔들어 물과 분말을 혼합한 후 상단의 커버 필름을 제거하여 분말 혼합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바쁜 현대인의 특성상 가정에서도 쉽고 빠르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을 선호하게 되어, 인스턴트 음식이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쉽게 조리 가능한 음식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조리 음식 외에도 일회용 밀폐용기 내에 요구르트, 과일, 젤리, 분말 등을 담은 상태로 유통되는 제품이 많으며, 소비자는 밀폐용기를 개방하여 내부의 음식을 섭취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 용기에 미숫가루, 생식, 선식 등의 분말을 담는 경우 사용자는 내용물을 별도의 용기에 주입한 후 물을 붓고 마개를 막은 후 용기를 흔들어 분말을 물에 고르게 푼 후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별도의 용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음식물 섭취 후 용기를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용기 상부에 탈착식 마개를 마련하여 용기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 마개를 막은 후 용기를 흔들어 분말을 물에 고르게 푼 후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섭취하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 상부 마개 구조는 사용은 편리하나 제조 공정상 용기에 분말을 주입한 후 용기 상부에 마개를 체결하는 것이 까다로워 자동화가 용이하지 않거나 자동화 설비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용기의 부피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유통시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국내등록실용신안 20-445541호, 일본등록실용신안 JP3158692호 등에 제시된 바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20-445541호는 용기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얇고 접힘성이 좋은 비닐을 접합하여 용기의 하부가 상부에 접힐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용기의 상부와 하부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고, 그 사이에 비닐을 접합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JP3158692호는 대경단부와 소경단부로 이루어지는 측면과 대경단부와 소경단부가 겹쳐져 컵이 접히며 접힌 컵 위에 덮개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이 개시되어 있으나, 망원경과 같은 다단 접철식 구조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연결부 사이에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용기의 바닥에 바닥 커버를 구비하고 상단부는 커버 필름을 이용하여 실링 접착함으로써 바닥 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을 주입한 후 바닥 커버를 닫고, 용기를 흔들어 물과 분말을 혼합한 후 상단의 커버 필름을 제거하여 분말 혼합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별도의 혼합 용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상,하단부보다 훨씬 얇은 두께를 갖는 접힘부를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축소를 위한 접힘 작업이 매우 용이하면서도 제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의 내부에 디스크 형상의 망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분말이 물에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컵 형상으로서 상단에 환턱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환턱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환턱에 실링 접착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하단 및 제 2 몸체부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광하협으로 경사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디스크 형상의 망체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을 물에 혼합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시 분말을 용기 내에 주입한 후 커버 필름을 바로 접착시키면 되므로 자동 공정이 매우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용기의 수축이 용이하여 유통이 매우 원활해지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 2는 용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 3은 용기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망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 2는 용기가 확장된 상태를 도 3은 용기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는 용기 본체(10)와, 바닥 커버(20)와, 커버 필름(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10)는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광하협으로 테이퍼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컵 형상을 이룬다. 용기 본체(10)의 상단은 외측 방사상으로 환턱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환턱부(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필름(30)이 열융착되는 면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 본체(10)는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12)와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몸체부(14)의 사이에 제 1 몸체부(12) 및 제 2 몸체부(14)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접힘부(13)가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몸체부(12)와 제 2 몸체부(14)의 두께를 t1라고 하고, 접힘부(13)의 두께가 t3라고 할때, t3/t1는 0.2 ~ 0.5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3정도이다.
t3/t1가 0.5 이상인 경우에는 접힘부(13)가 잘 접혀지지 않게 되고, 0.2 이하인 경우에는 접힘성은 양호하나 강도가 낮아 신축 동작시 파손의 우려가 있고 사출이 힘든 단점이 있다.
제 2 몸체부(14)의 하단에는 바닥부(15)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바닥부(15)의 외주면에는 나선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 커버(20)는 용기 본체(10)의 바닥부(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원형상의 바닥부(21)와 바닥부(21)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22)를 포함하며, 벽체부(22)의 내주면에는 바닥부(15)의 나선부(16)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필름(30)은 용기 본체(10)의 환턱부(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환턱부(30)에 대응되는 부분이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에 의해 환턱부(30)에 접착된다. 커버 필름(30)에는 그립부(31)가 용기 본체(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가 용기 본체(10)로부터 커버 필름(30)을 제거하고자 할 때 그립부(31)를 잡고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같이 제조완료된 포장 용기는 바닥 커버(20)가 용기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고, 커버 필름(30)이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접착 또는 접합된 상태로서, 내부에 분말 등의 내용물을 투입한 후 용기 본체(10)를 압착하면 제 2 몸체부(14)측이 내측 상부로 접혀 올라가고 제 1 몸체(12)측이 외측 하부로 접혀 내려오면서 용기 본체(10)의 부피가 축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망체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디스크 형상의 망체(40)가 용기 본체(10)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40)는 디스크 형상의 몸체(41)의 복수 개의 리브(42)가 형성되고 리브(42)와 리브(42) 간에 복수 개의 개구(43)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망체(40)는 물과 분말의 혼합 시 분말 덩어리가 개구(42)를 통과하면서 파쇄되도록 하여 분말이 물에 잘 풀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체(40)를 용기 본체(10)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그 외에 망체(40)를 용기 본체(10)의 내벽면에 탈착식으로 설치하도록하는 것도 가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는 접힘부(13)의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돌기(13b)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접힘부(13)는 두께가 매우 얇은 평탄부(13a)와 평탄부(13a) 보다 높게 돌출되는 돌기(13b)가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연속적인 요철 형상에 의해 접힘성이 양호하면서도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 접힘부(13) 전체를 얇게 형성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두꺼운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사출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 1 및 제 2 몸체부(12, 14)의 두께(t1)가 0.3.mm라고 할 때, 평탄부(13a)의 두께(t3)는 0.1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나, 0.1mm 이하의 넓은 면을 사출로 형성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렵고 비용이 고가이므로 평탄부(13a) 내에 0.2mm 정도의 두께(t2)를 갖는 돌기(13b)를 형성하면 짧은 구간에서 0.1mm 이하의 평탄부(13a)가 형성되므로 접힘부(13)의 사출 성형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아울러 접힘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의 사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초기 사용상태에서 용기 내에 분말이 수용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용기 본체(10)를 뒤집은 상태에서 바닥 커버(20)를 벗겨낸 후 용기 본체(10) 내로 물을 주입한다.
그 다음, 바닥 커버(20)를 다시 용기 본체(10)에 체결한 후, 용기 본체(10)를 흔들어 분말과 물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분말이 물에 고르게 혼합되면, 용기 본체(10)를 다시 뒤집은 후 파지부(31)를 잡고 용기 본체(10) 상단의 커버 필름(30)을 제거한 후, 내용물을 섭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할 경우에는 커버 필름을 갖는 일회용 용기에서도 별도의 용기없이 분말에 물을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 공정도 간소화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용기 본체 11 : 환턱부
12 : 제 1 몸체부 13 : 접힘부
13a : 평탄부 13b : 돌기
14 : 제 2 몸체부 15 : 바닥부
16 : 나선부 20 : 바닥 커버
21 : 바닥부 22 : 벽체부
23 : 나선부 30 : 커버 필름
40 : 망체 41 : 몸체
42 : 리브 43 : 개구

Claims (5)

  1. 컵 형상으로서 상단에 환턱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 커버;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환턱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환턱에 실링 접착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 1 몸체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하단 및 제 2 몸체부의 상단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부 및 제 2 몸체부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광하협으로 경사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된 디스크 형상의 망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내측으로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KR1020100070929A 2010-07-22 2010-07-22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KR20120009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29A KR20120009108A (ko) 2010-07-22 2010-07-22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29A KR20120009108A (ko) 2010-07-22 2010-07-22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108A true KR20120009108A (ko) 2012-02-01

Family

ID=4583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929A KR20120009108A (ko) 2010-07-22 2010-07-22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1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2373A (ja) * 2018-03-26 2019-10-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伸縮包装材および伸縮包装体
WO2023020987A1 (de) * 2021-08-16 2023-02-23 Swiss Tea Innovation Ag Wandteil für einen expandierbaren aufgussbehälter
KR102606453B1 (ko) * 2022-12-30 2023-11-29 김준웅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72373A (ja) * 2018-03-26 2019-10-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伸縮包装材および伸縮包装体
WO2023020987A1 (de) * 2021-08-16 2023-02-23 Swiss Tea Innovation Ag Wandteil für einen expandierbaren aufgussbehälter
KR102606453B1 (ko) * 2022-12-30 2023-11-29 김준웅 음료통이 내장된 간편 취식형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764B2 (en) Drink bottle
RU2397933C2 (ru) Колпачок для бутылок
JP2022523574A (ja) 氷トレイを伴う可撓性容器
KR20090014699A (ko) 첨가물 첨가 가능한 용기마개
KR20120009108A (ko) 바닥 커버를 갖는 포장 용기
JPH0510059B2 (ko)
CN106428973B (zh) 瓶盖、瓶子以及瓶盖的模具装置和制造装配方法
CZ292073B6 (cs) Obal
KR200475771Y1 (ko) 물 주입구를 갖는 겹침 구조의 즉석식품 용기
KR200471022Y1 (ko) 마스크팩 컵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KR200439424Y1 (ko) 아이스크림 용기
CN205555000U (zh) 瓶盖、瓶子和模具装置
CN103786963B (zh) 一种奶粉罐的包装盖
KR101074736B1 (ko) 혼합기능을 갖는 용기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TWM579152U (zh) 容器用蓋結構以及飲品調理蓋結構
KR20190122603A (ko) 분리형 물병
WO2008146965A1 (en) Structure for joining body and cap to the vessel
CN216970581U (zh) 容器盖及储物容器
KR200439639Y1 (ko) 일회용 식품 용기
CN209617907U (zh) 用于盛装干粉类物质的容器
JP2007050922A (ja) 食品包装体
KR20180039511A (ko) 즉석 식품의 보관 용기
JP3205997U (ja) ボトル蓋、ボトル及び金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