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43Y1 -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643Y1
KR200439643Y1 KR2020070005262U KR20070005262U KR200439643Y1 KR 200439643 Y1 KR200439643 Y1 KR 200439643Y1 KR 2020070005262 U KR2020070005262 U KR 2020070005262U KR 20070005262 U KR20070005262 U KR 20070005262U KR 200439643 Y1 KR200439643 Y1 KR 200439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scraper
contents
discharg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70005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림이나 젤 타입의 화장품을 담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상부체와 하부체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부체의 내측과 하부체의 내측에는 각각 서로 엇갈려 돌출된 스크래퍼와 차단판을 형성하며, 상부체의 스크래퍼 인접부위에는 관통상의 슬릿공을 형성하여, 상부체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의 스크래퍼가 회전하여 내부의 화장품이 슬릿공을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형화된 용기 또는 압출에 의해 배출되는 방식의 용기로부터 탈피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안하므로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판매 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한 손으로 상부체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필요한 량 만큼의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며, 잔량 표시를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의 돌기에 의해 내부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다이얼, 상부체, 하부체, 스크래퍼, 차단판, 슬릿공

Description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 Cosmetic container being discharged contents by dial-rotary typ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평단면도로서,
도 5a는 사용전 상태의 용기 평단면도
도 5b는 사용 상태의 용기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부공간 10 : 상부체
11 : 끼움구 12 : 스크래퍼
13 : 슬릿공 14,14' : 돌기
20 : 하부체 21 : 삽입구
22 : 차단판
본 고안은 크림이나 젤 타입의 화장품을 담기 위한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체와 하부체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부체의 내측과 하부체의 내측에는 각각 서로 엇갈려 돌출된 스크래퍼와 차단판을 형성하며, 상부체의 스크래퍼 일측에는 관통상의 슬릿공을 형성하여, 상부체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의 스크래퍼가 회전하여 내부의 화장품이 슬릿공을 통해 배출되게 한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화장품의 종류 중 크림 타입이나 젤 타입으로 된 화장품은 비교적 입구가 넓은 용기 내에 담겨져 있거나 신축이 가능한 튜브 형태의 용기 내에 주입되어 있어, 정형화된 용기의 내용물은 주걱이나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덜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고, 튜브 형태의 용기는 그 튜브 몸체를 손가락으로 압압하여 배출 단부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크림 타입의 화장품은 주로 화장을 지우거나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종류의 것이 해당 되며, 젤 타입의 화장품은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헤어젤 또는 헤어 왁스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대부분의 용기는 화장품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본체와 뚜껑 또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손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는 용기본체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뚜껑이나 캡을 분리시켜 개방된 상부 또는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거나 압출 사용하 여야 하므로, 거울이나 화장도구 등을 한 손에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들을 화장대 등에 내려놓은 후 화장품 용기를 개방시켜 필요한 량을 덜어낸 후 이들 화장용구를 다시 파지하여야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대부분 주걱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는 비교적 입구가 넓은 화장품 용기의 경우 주걱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적당량의 화장품을 덜어 다른 손의 손바닥에 옮긴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튜브 형태로 된 용기의 경우에는 한 손을 펴고 다른 손으로 용기의 본체를 압압하여 그 압력에 의해 배출단부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고 배출되는 내용물은 펼쳐진 손바닥 위에 옮겨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반드시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사용법의 특성은 물론 용기가 가벼워 한 손으로 내용물을 덜어 내는 것이 상당히 어렵고 튜브 형태의 용기는 아예 한 손으로의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보다 신속하고 편리한 화장을 하는데에 상당한 지장을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입구가 넓은 용기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외부 이물질의 유입 조건이 좋아 쉽게 변질되거나 분진 및 먼지 등에 오염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튜브 형태로 된 용기의 경우에는 잔량의 확인이 용이하지 못하여 종종 당황스러운 상황을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체와 하부체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이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부체의 내측과 하부체의 내측에는 각각 서로 엇갈려 돌출된 스크래퍼와 차단판을 형성하며, 상부 체의 스크래퍼 일측에는 관통상의 슬릿공을 형성하여, 상부체의 회전에 따라 그 내부의 스크래퍼가 회전하여 내부의 화장품이 슬릿공을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형화된 용기 또는 압출에 의해 배출되는 방식의 용기로부터 탈피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안하므로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판매 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한 손으로 상부체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필요한 량 만큼의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며, 잔량 표시를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의 돌기에 의해 내부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중앙에 끼움구(11)를 갖는 상부체(10)와, 중앙에 삽입구(21)를 갖는 하부체(20)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상기 끼움구(11)와 삽입구(21)의 계지 결합에 의해 상부체(10)와 하부체(20)의 내측에 내부공간(1)이 형성되게 하며, 이들 상부체(10)와 하부체(20)는 상기 끼움구(11)와 삽입구(21)의 축중심으로부터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부체(10)의 내측에는, 끼움구(11)의 일측으로 편심된 스크래퍼(12)를 돌출 형성하여 그 스크래퍼(12)의 단부가 하부체(20)의 내측면과 맞닿게 하고, 상기 스크래퍼(12)의 일측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슬릿공(13)을 형성하며,
하부체(20)의 내측에는, 상기한 스크래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한 삽입구(21)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차단판(22)을 돌출 형성하여 그 차단판(22)의 선단이 상부체(10)의 내측면과 맞닿게 형성하여,
상기한 상부체(10)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공간(1)에 충전된 내용물이 슬릿공(13)을 통해 배출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상부체(10)의 외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할된 돌기(14)(14')를 형성하여, 상기한 돌기(14)(14')에 의해 내부 내용물의 잔량 표시를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화장품 용기는 상부체(10)와 하부체(20)의 결합에 의해 완성되는 것으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부체(10)의 내측 중앙에는 끼움구(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체(2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한 끼움구(11)와 결합되는 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체(10)의 내측에는 상기한 끼움구(11)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스크래퍼(1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부체(20)의 내측에는 상기한 삽입구(21)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차단판(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부체(10)와 하부체(20)를 각각 끼움구(11)와 삽입구(21)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게 되면 이들 상부체(10)와 하부체(20)의 사이에는 내부공간(1)이 형성되므로 그 내부공간(1) 내에 화장품 내용물을 채워 넣으면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상태는 그 스크래퍼(12)의 하단이 하부체(20)의 내면과 맞닿아 있는 상태이며, 상기한 스크래퍼(12)의 일측으로 엇갈려 위한 차단판(22)의 선단은 상부체(10)의 내면에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상부체(10)를 회전시키게 되면 그 스크래퍼(12)가 함께 회전되면서 내부공간(1) 상에 채워진 내용물을 가압하게 되는데 상부체(10)의 회전력에 의해 내용물의 압력이 상승하면 그 내용물은 상부체(10)의 상측에 천공된 슬릿공(13)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체(10)를 단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그 내부의 내용물이 슬릿공(13)을 통해 배출되므로 이를 취득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상부체(10)의 외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할된 다수의 돌기(14)(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돌기(14)(14')는 내부공간(1) 내의 내용물 잔량을 확인할 수 있게 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돌기(14)(14')와 대응하여 하부체(20)의 외면에 다양한 눈금 또는 수치 등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그 돌기(14)(14')의 회전량 및 회전위치를 육안 확인하여 이를 통해 내용물의 잔량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이얼 회전방식을 통한 내용물 배출구조를 갖는 본 고안 화장품 용기는 도 5a의 도시와 같이 최초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상태는 그 스크래퍼(12)와 차단판(22)이 서로 맞닿아 있는 상태로서 그 내부공간(1)이 최대가 되게 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채워 넣은 것이며, 소비자의 필요에 의해 그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체(10)를 회전시켜 스크래퍼(12)가 끼움구(11)의 축중심을 축점으로 회전되게 하면 스크래퍼(12)와 차단판(22) 사이의 내용물 압력이 증가하면서 상부체(10)의 슬릿공(13)으로 그 내용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 형태에 의해 그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결국 상기한 스크래퍼(12)와 차단판(22)의 사이에는 도 5b의 도시와 같이 배출된 내용물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그 이외의 부분은 화장품 내용물로 채워져 있어 여전히 상부체(10)의 회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화장품 용기는 한 손으로 상부체(10)를 하측으로 누르는 동작과 동시에 그 상부체(10)를 회전시키면 자연스럽게 슬릿공(13)을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한 손으로도 능히 내용물을 간편하게 필요한 량 만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편리성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형화된 용기 또는 압출에 의해 배출되는 방식의 용기로부터 탈피하여 전혀 새로운 형태의 배출구조를 갖는 용기를 제안하므로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판매 증진에 기여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한 손으로 상부체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필요한 량 만큼의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 이 극대화되는 것이며, 잔량 표시를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의 돌기에 의해 내부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중앙에 끼움구(11)를 갖는 상부체(10)와, 중앙에 삽입구(21)를 갖는 하부체(20)를 각기 구분 형성하여, 상기 끼움구(11)와 삽입구(21)의 계지 결합에 의해 상부체(10)와 하부체(20)의 내측에 내부공간(1)이 형성되게 하며, 이들 상부체(10)와 하부체(20)는 상기 끼움구(11)와 삽입구(21)의 축중심으로부터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부체(10)의 내측에는, 끼움구(11)의 일측으로 편심된 스크래퍼(12)를 돌출 형성하여 그 스크래퍼(12)의 단부가 하부체(20)의 내측면과 맞닿게 하고, 상기 스크래퍼(12)의 일측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슬릿공(13)을 형성하며,
    하부체(20)의 내측에는, 상기한 스크래퍼(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한 삽입구(21)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차단판(22)을 돌출 형성하여 그 차단판(22)의 선단이 상부체(10)의 내측면과 맞닿게 형성하여,
    상기한 상부체(10)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공간(1)에 충전된 내용물이 슬릿공(13)을 통해 배출되게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0)의 외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분할된 돌기(14)(14')를 형성하여, 상기한 돌기(14)(14')에 의해 내부 내용물의 잔량 표시를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20070005262U 2007-03-30 2007-03-30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0439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62U KR200439643Y1 (ko) 2007-03-30 2007-03-30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62U KR200439643Y1 (ko) 2007-03-30 2007-03-30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43Y1 true KR200439643Y1 (ko) 2008-04-23

Family

ID=4134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262U KR200439643Y1 (ko) 2007-03-30 2007-03-30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4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04B1 (ko) 2011-05-13 2011-09-19 조아라 화장품 용기
EP2698075A2 (en) * 2011-04-15 2014-02-19 Young-Joo Lee Rotary powder container with brush
KR101399653B1 (ko) * 2012-03-07 2014-05-27 (주) 이루팩 회전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200487151Y1 (ko) 2017-05-11 2018-08-14 주식회사 뉴벨 화장품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8075A2 (en) * 2011-04-15 2014-02-19 Young-Joo Lee Rotary powder container with brush
EP2698075A4 (en) * 2011-04-15 2014-08-27 F S Korea Ind Inc ROTARY POWDER CONTAINER WITH BRUSH
KR101066004B1 (ko) 2011-05-13 2011-09-19 조아라 화장품 용기
KR101399653B1 (ko) * 2012-03-07 2014-05-27 (주) 이루팩 회전 압출식 화장품 케이스
KR200487151Y1 (ko) 2017-05-11 2018-08-14 주식회사 뉴벨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US7309184B2 (en) Dispenser for fluid materials
US4277194A (en) Paste dispensing toothbrush
KR101159307B1 (ko) 화장품 용기
KR200404009Y1 (ko) 분쇄식 기능성 파우더 용기
KR200439643Y1 (ko)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100917319B1 (ko)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20090000177U (ko) 화장용브러쉬
US2079744A (en) Dispenser
JP2011518598A (ja) 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US6457891B1 (en) Refillable cosmetic powder dispenser
AU2020398336A1 (en) A dispenser and method of dispensing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KR10110929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062746B1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KR200478027Y1 (ko) 화장품 용기
KR101104842B1 (ko) 휴대용 액체용기
KR200327824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치약용 튜브용기
KR101921141B1 (ko) 디스펜서 일체형 치약 마개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20110079997A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CN111418993A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