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027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027Y1
KR200478027Y1 KR2020140002830U KR20140002830U KR200478027Y1 KR 200478027 Y1 KR200478027 Y1 KR 200478027Y1 KR 2020140002830 U KR2020140002830 U KR 2020140002830U KR 20140002830 U KR20140002830 U KR 20140002830U KR 200478027 Y1 KR200478027 Y1 KR 200478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s
outer diameter
piston
p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환
Original Assignee
(주) 디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즈인 filed Critical (주) 디즈인
Priority to KR2020140002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0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림이나 젤타입의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용기는 손으로 덜어 쓰는 형태의 것과 튜브에 담겨 짜내어 쓰는 종류가 있으나 보다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면이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외경면은 표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축 장착홀과 상기 축 장착홀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축 장착돌출부를 구비하며, 상부 내경면을 따라 내경이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축 장착돌출부를 감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단에는 내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수직 방향의 고정홈과 외경이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내경은 중단에서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단턱이 형성되는 하부본체와;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과 결합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 장착돌출부의 가이드돌기에 상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면서 외경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피스톤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나사축과;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피스톤 고정돌기가 고정되는 나사축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경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판형의 피스톤판과;
상면 중앙에는 관통된 토출구가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되어 상기 피스톤판이 삽입되고, 외경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된 후 하단은 상기 제1 단턱에 걸리고 상부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된후 다시 축소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걸리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어 있는 리필용기와;
하단은 내경면에 상기 하부본체의 걸림돌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삽입된 후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에 의하여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상부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The cosmetics case}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크림이나 젤타입의 화장품을 담는 화장품 용기는 손으로 덜어 쓰는 형태의 것과 튜브에 담겨 짜내어 쓰는 종류가 있으나 보다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중에서는 액상은 아니지만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크림이나 젤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있다.
과거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에 뚜껑으로 개방되어 손으로 덜어내어 쓰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손으로 덜어내는 동작 중에 최적의 양을 정확하게 덜어내는 것이 어려우며, 뚜껑을 개방할 경우 전체적으로 공기에 노출되어 화장품의 변질 및 오염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덜어내는 동작은 손가락의 끝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피하여 손톱의 틈으로 내용물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었다.
반면에 튜브타입의 용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내용물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정량을 용이하게 짜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편리함에 점차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편리함에도 강한 압력에 의하여 튜브가 찢어지거나 뚜껑이 이탈되어 내용물이 나올 우려가 있으며, 휴대는 간편한 반면에 화장품의 선호도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외관이 일반 용기와 비교하면 미려하지 못한 것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거의 다 사용한 이후에는 튜브 안의 잔여 내용물을 사용하기가 상당히 불편하여 그냥 버려지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27883-0000호 (2006년09월26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34951-0000호 (2009년12월2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62657-0000호 (2012월09월17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219009-0000호 (2012년12월31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튜브가 아닌 견고한 용기에 내용물이 들어 있으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양을 토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보관이나 휴대시 하부의 회전판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회전판을 사용하여 내용물을 토출 시킬 때 사용자가 보다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이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외경면은 표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축 장착홀과 상기 축 장착홀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축 장착돌출부를 구비하며, 상부 내경면을 따라 내경이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회전판과;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삽입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축 장착돌출부를 감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단에는 내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 삽입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수직 방향의 고정홈과 외경이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부가 형성되고, 내경은 중단에서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단턱이 형성되는 하부본체와;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과 결합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 장착돌출부의 가이드돌기에 상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이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면서 외경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피스톤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나사축과;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피스톤 고정돌기가 고정되는 나사축 결합홈이 형성되고 외경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판형의 피스톤판과;
상면 중앙에는 관통된 토출구가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되어 상기 피스톤판이 삽입되고, 외경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된 후 하단은 상기 제1 단턱에 걸리고 상부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된후 다시 축소되는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걸리며,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고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이 충진되어 있는 리필용기와;
하단은 내경면에 상기 하부본체의 걸림돌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삽입된 후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에 의하여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상부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리필용기의 토출구는 상단은 내경이 점차 경사지게 커진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상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토출구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테이퍼 형상으로 축소되는 고정훅과, 상기 고정훅에 방사형으로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3 ~ 6개 구비하는 토출홈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에 장착되는 고무노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판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리필용기의 내측 천정부에 돌출된 고무노즐을 수용하는 함몰홈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축 장착돌출부를 중심으로 삼각형상의 제1 걸림돌기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부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와 밀착하는 제2 걸림돌기가 서로 대칭되는 곳에 한 쌍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걸림돌기의 접하는 내측과 외측으로 원호형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탄성홈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평소에는 외기에 노출되지 않아 변질 및 오염을 방지하고 사용할 경우에는 하부의 회전판을 회전하면 내측 하부의 피스톤판이 상승하여 내용물을 가압 토출되도록 하여 튜브타입이 아니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양만큼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이나 휴대시 하부의 회전판이 회전하여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판을 회전시켜 내용물을 토출 시킬 때 사용자가 보다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면이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외경면은 표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축 장착홀(11)과 상기 축 장착홀(11)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를 구비하는 축 장착돌출부(13)를 구비하며, 상부 내경면을 따라 내경이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걸림돌출부(14)를 구비하는 회전판(1)과;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걸림돌출부(14)가 삽입되는 걸림홈부(2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축 장착돌출부(14)를 감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단에는 내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 삽입홀(22)이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상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수직 방향의 고정홈(24)과 외경이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부(25)가 형성되고, 내경은 중단에서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단턱(26)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와;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22)과 결합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 장착돌출부(12)의 가이드돌기(12)에 상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31)이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면서 외경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피스톤 고정돌기(32)가 형성되는 나사축(3)을 구비한다.
여기서 회전판(1)은 걸림돌출부(14)가 하부본체(2)의 걸림홈부(21)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회전판(1)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에 나사축(3)은 회전판(1)의 축장착홀(1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2)를 따라 삽입되어 승하강은 가능하나 회전판(1)과 같이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판(1)이 회전하면 나사축(3)은 하부본체(2)의 축 삽입홀(22)과 결합된 상태이기에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나사축(3)에는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피스톤 고정돌기(32)가 고정되는 나사축 결합홈(41)이 형성되고 외경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판형의 피스톤판(4)이 결합된다.
이때 피스톤 고정돌기(32)가 나사축 결합홈(41)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나사축 결합홈(41)이 형성된 부분은 하부로 돌출된 후 2 ~ 4개의 수평 절개된 입구를 구비하도록 하여 피스톤 고정돌기(32)가 삽입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스톤판(4)은 상면 중앙에는 관통된 토출구(51)가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되어 상기 피스톤판(4)이 삽입되고, 외경은 상기 하부본체(2)에 삽입된 후 하단은 상기 제1 단턱(26)에 걸리고 상부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된후 다시 축소되는 제2 단턱(5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2)의 상단에 걸리며, 상기 고정홈(2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3)를 구비하고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100)이 충진되어 있는 리필용기(5)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며 다시;
하단은 내경면에 상기 하부본체(2)의 걸림돌부(2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삽입된 후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61)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62)에 의하여 개폐되는 뚜껑(63)을 구비하는 상부본체(6)가 결합된다.
본원에서 하부본체(2)에 상부본체)6)가 결합되면 내부의 리필용기(5)는 그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가 되며, 회전판(1)을 돌리면 피스톤판(4)은 상승하여 내부의 내용물(100)을 가압하며, 가압된 내용물(100)은 토출구(51)를 통하여 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용기타입의 경우 손으로 덜어내야 하는 불편함과 외기와 접하여 오염 및 변질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이를 해결할 수 있고 튜브타입과 비교하면 장식성과 심미감이 우수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리필용기(5)의 토출구(51)는 상단은 내경이 점차 경사지게 커진 경사부(511)와, 상기 경사부(511)의 상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안착홈(512)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512)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부(71)와, 상기 안착부(71)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토출구(51)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테이퍼 형상으로 축소되는 고정훅(72)과, 상기 고정훅(72)에 방사형으로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3 ~ 6개 구비하는 토출홈(73)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51)에 장착되는 고무노즐(7)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판(4)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리필용기(5)의 내측 천정부에 돌출된 고무노즐(7)을 수용하는 함몰홈(42)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에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단순하게 홀이 형성된 토출구(51)의 경우 공기에 직접 노출되어 마르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제시한 것이다.
내용물(100)이 가압되면 토출홈(73)을 통하여 상승하고 경사부(511)에 의한 압력은 고무노즐(7)의 안착부(71)를 들어올려 내용물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되며, 사용 후에는 안착부(71)는 토출구(51)의 입구 즉 안착홈(512)를 덮어 외기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회전판(1)의 축 장착돌출부(13)를 중심으로 삼각형상의 제1 걸림돌기(15)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부본체(2)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15)와 밀착하는 제2 걸림돌기(27)가 서로 대칭되는 곳에 한 쌍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걸림돌기(27)의 접하는 내측과 외측으로 원호형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탄성홈(28)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 예는 단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시 사용에 따른 사용감이 없게 되며 내용물(100)이 나오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고 휴대시 움직임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회전판(1)의 회전이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 구성은 제2 걸림돌기(27)가 제1 걸림돌기(15)로 형성된 원을 따라 넘으면서 저항감과 소리가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제2 걸림돌기(27)가 압력을 받을 때 위로 상승하기 용이하도록 탄성홈(28)을 두어 상승이 용이한 구조로 만든 것이다.
1 : 회전판
11 : 축 장착홀 12 : 가이드돌기
13 : 축 장착돌출부 14 : 걸림돌출부
15 : 제1 걸림돌기
2 : 하부본체
21 : 걸림홈부 22 : 축 삽입홀
23 : 가이드 돌출부 24 : 고정홈
25 : 걸림돌부 26 : 제1 단턱
27 : 제2 걸림돌기 29 : 탄성홈
3 : 나사축
31 : 가이드홈 32 : 피스톤 고정돌기
4 : 피스톤판
41 : 나사축 결합홈 42 : 함몰홈
5 : 리필용기
51 : 토출구 511 : 경사부
512 : 안착홈 52 : 제2 단턱
53 : 고정돌기
6 : 상부본체
61 : 걸림돌기 62 : 힌지
63 : 뚜껑
7 : 고무노즐
71 : 안착부 72 : 고정축
73 : 토출홈
100 : 내용물

Claims (3)

  1. 상면이 테두리가 상부로 돌출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외경면은 표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상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상면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축 장착홀(11)과 상기 축 장착홀(11)의 내경면에 돌출되어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2)를 구비하는 축 장착돌출부(13)를 구비하며, 상부 내경면을 따라 내경이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걸림돌출부(14)를 구비하는 회전판(1)과;
    상면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상기 걸림돌출부(14)가 삽입되는 걸림홈부(21)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축 장착돌출부(13)를 감싸며 상부로 돌출되어 상단에는 내경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 삽입홀(22)이 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23)가 형성되며, 상단 외경은 단턱지게 축소되어 수직 방향의 고정홈(24)과 외경이 돌출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부(25)가 형성되고, 내경은 중단에서 단턱지게 확장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단턱(26)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와;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22)과 결합하여 회전하고, 상기 축 장착돌출부(13)의 가이드돌기(12)에 상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31)이 수직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면서 외경이 확장되었다가 축소되는 피스톤 고정돌기(32)가 형성되는 나사축(3)과;
    저면 중앙에는 하부로 돌출된 후 상기 피스톤 고정돌기(32)가 고정되는 나사축 결합홈(41)이 형성되고 외경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원판형의 피스톤판(4)과;
    상면 중앙에는 관통된 토출구(51)가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되어 상기 피스톤판(4)이 삽입되고, 외경은 상기 하부본체(2)에 삽입된 후 하단은 상기 제1 단턱(26)에 걸리고 상부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된후 다시 축소되는 제2 단턱(5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본체(2)의 상단에 걸리며, 상기 고정홈(24)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3)를 구비하고 내부에 화장품 내용물(100)이 충진되어 있는 리필용기(5)와;
    하단은 내경면에 상기 하부본체(2)의 걸림돌부(25)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삽입된 후 회전하여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림돌기(61)가 돌출 형성되며, 상부에는 힌지(62)에 의하여 개폐되는 뚜껑(63)을 구비하는 상부본체(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기(5)의 토출구(51)는 상단은 내경이 점차 경사지게 커진 경사부(511)와, 상기 경사부(511)의 상부로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안착홈(512)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512)에 안착되는 원판형의 안착부(71)와, 상기 안착부(71)의 저면 중앙에서 상기 토출구(51)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수직 아래로 연장된 후 끝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었다가 테이퍼 형상으로 축소되는 고정훅(72)과, 상기 고정훅(72)에 방사형으로 수직으로 길게 절개된 형상으로 3 ~ 6개 구비하는 토출홈(73)을 구비하여 상기 토출구(51)에 장착되는 고무노즐(7)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판(4)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리필용기(5)의 내측 천정부에 돌출된 고무노즐(7)을 수용하는 함몰홈(42)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의 축 장착돌출부(13)를 중심으로 삼각형상의 제1 걸림돌기(15)가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부본체(2)의 저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15)와 밀착하는 제2 걸림돌기(27)가 서로 대칭되는 곳에 한 쌍이 형성되며, 저면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제2 걸림돌기(27)의 접하는 내측과 외측으로 원호형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탄성홈(28)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40002830U 2014-04-08 2014-04-08 화장품 용기 KR200478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30U KR200478027Y1 (ko) 2014-04-08 2014-04-08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30U KR200478027Y1 (ko) 2014-04-08 2014-04-0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027Y1 true KR200478027Y1 (ko) 2015-08-27

Family

ID=5433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830U KR200478027Y1 (ko) 2014-04-08 2014-04-08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0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381B1 (ko) * 2017-04-24 2018-04-27 주식회사 코스나인 화장품 용기
KR101944634B1 (ko) * 2017-11-22 2019-01-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74Y1 (ko) 2004-12-29 2005-03-28 고길성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416565Y1 (ko) 2006-03-03 2006-05-19 주식회사 정훈 겔상 화장조성물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074Y1 (ko) 2004-12-29 2005-03-28 고길성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416565Y1 (ko) 2006-03-03 2006-05-19 주식회사 정훈 겔상 화장조성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381B1 (ko) * 2017-04-24 2018-04-27 주식회사 코스나인 화장품 용기
KR101944634B1 (ko) * 2017-11-22 2019-01-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5199175B2 (ja) 計量塗布栓
KR20210005426A (ko) 편리한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90000177U (ko) 화장용브러쉬
EP2301377A2 (en) Liquid container with application function
KR20047802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3938Y1 (ko) 회전 펌핑 샴푸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JP6385203B2 (ja) 塗布容器
JP5848799B2 (ja) 傾斜形パフを持つ化粧用のパウダー容器
KR20180096603A (ko) 물질 분배기/도포기
KR10107110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39643Y1 (ko)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130137331A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362397Y1 (ko) 스포이트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86850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KR101646641B1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료용 튜브용기
KR102134295B1 (ko) 화장품 용기
US20160128446A1 (en) Liquid Cosmetic Applicator
KR101062746B1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