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81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81B1
KR101852381B1 KR1020170052526A KR20170052526A KR101852381B1 KR 101852381 B1 KR101852381 B1 KR 101852381B1 KR 1020170052526 A KR1020170052526 A KR 1020170052526A KR 20170052526 A KR20170052526 A KR 20170052526A KR 101852381 B1 KR101852381 B1 KR 10185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receiving member
coupled
cosmetic receiving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박건애
최임식
박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나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나인
Priority to KR102017005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2Containers with lids or cov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이 수용되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Receptacle for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손 방지가 가능할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화장에 필요한 내용물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용기를 의미한다. 화장품 용기에 보관되는 화장품은 화장수(skin lotion)와 같은 액상 화장품과, 로션이나 크림과 같은 에멀전 화장품과, 오일이나 왁스를 포함한 고체상 화장품과, 분말 형태의 화장품 등 다양하다. 또한, 화장품의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화장품은 화장수나 로션과 같은 기초 화장품과 파운데이션이나 아이섀도우과, 립스틱과 같은 색조 화장품과, 안티 에이징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화장품과 세안용 화장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통상, 여성들은 화장대 등에 화장품 용기를 두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핸드백 등에 화장품 용기를 넣어 휴대하고 다니면서 화장을 하기도 한다. 여기서, 핸드백 등에 화장품 용기를 넣어서 이동하는 경우 핸드백 내부의 다른 물품들과 부딪혀 화장품 용기가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여성들 개인의 취향에 따라 화장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 경우 화장에 필요한 휴대용 제품들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과, 립 메이크업 제품과, 아이 메이크업 제품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 중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여성인 경우에도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필요한 화장품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회사에 출근시와, 동성 친구를 만날 때, 그리고 이성 친구를 만날 때 다른 화장을 하게 되며, 이 경우 휴대하는 화장품은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화장품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함께 휴대하면서, 휴대시 파손도 방지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431987호(공고일자 : 2006년11월27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화장품 중에서 사용자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함께 휴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이 수용되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삽입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보조부재는,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제1 본체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는, 화장품이 수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의 외측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이웃하는 상기 제1 본체의 외측에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형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의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며, 삽입홈이 형성된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이 수용되는 제2 화장품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화장품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삽입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화장품 수용부재가 본체에 삽입된 채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므로, 휴대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 각각 수납된 복수의 화장품 수용부재들 중 필요한 화장품 수용부재들만을 선택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본체에 각각 삽입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함께 휴대하면서 휴대시 파손도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의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 및 제2 화장품 수용부재의 각각의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의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제1 본체(100)와,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포함하며, 제1 삽입보조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00)는 중심부에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삽입홈(110)에 결합된다. 제1 본체(100)는 삽입홈(110)에 결합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보호하므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본체(100)의 내측 둘레에는 나사선(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에 가이드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미도시)가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제1 삽입보조부재(300)의 가이드돌기(320)가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제1 본체(100)의 외측에는 다양한 형상 내지 형태의 미끄럼 방지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미끄럼 방지부(130)는 사용자가 제1 본체(100)를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의 요철 또는 돌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미끄럼 방지부(130)는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본체(100)의 외측에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형성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화장품(700) 구매의 주요 수요자는 여성이며, 여성들의 경우 시각적인 심미감에 의해 제품 구매 욕구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화장품(700) 자체의 품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용기(10)의 디자인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제1 본체(100) 외측의 디자인형성부(140)에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본체(100) 외측의 디자인형성부(140)는 각종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디자인형성부(140)에 질감 등을 표현할 수도 있고, 다양한 색상을 부가하여 심미감을 고취시킬 수도 있으며, 다양한 이미지를 접목시켜 여러가지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자인형성부(140)에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각종 트렌드와 브랜드를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개성에 맞도록 차별화되고 개인화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디자인형성부(140)는 미끄럼 방지부(130)에 이웃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미끄럼 방지부(130)와 디자인형성부(140) 전체에 디자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본체(100)의 외측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700)이 수용되며, 제1 본체(100)의 삽입홈(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는 제1 본체(100)에 직접 착탈될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제1 삽입보조부재(300)에 결합되어 제1 본체(100)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에 직접 착탈되는 경우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에 가이드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돌기(미도시)가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 각각에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품(700)과, 립 메이크업용 화장품(700)과,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품(700) 등이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700)의 종류는 보다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다양하게 마련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본체(100)에 결합 후 휴대할 수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는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20)와, 개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어 화장품(700)이 수납된다. 베이스부(210)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베이스부(2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700)이 적어도 하나 이상 수납될 수 있다.
커버부(220)는 베이스부(2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힌지 타입으로 베이스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220)는 베이스부(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부(220)도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폐부(230)는 커버부(220)가 베이스부(2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2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230)에 의해 커버부(220)가 베이스부(210)를 개폐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230)는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20)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231) 또는 결합돌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220)가 힌지부(240)에 의해 베이스부(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부(240)의 대향되는 측면의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20) 각각에 결합홈(231)과 결합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20)가 힌지부(24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하여 결합돌기(232)가 결합홈(231)에 결합되는 경우 커버부(220)가 베이스부(210)를 폐쇄하며, 결합홈(231)으로부터 결합돌기(232)가 분리되어 커버부(220)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베이스부(210)가 개방된다. 여기서, 결합홈(231)과 결합돌기(232)는 베이스부(210)와 커버부(220) 각각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210)에 결합홈(231)이 형성되면 커버부(220)에 결합돌기(232)가 형성되고, 베이스부(210)에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면 커버부(220)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 삽입보조부재(300)는 제1 본체(100)와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삽입보조부재(300)에 결합된 후 제1 삽입보조부재(3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보조부재(3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제1 삽입보조부재(300)는 바디부(310)와 가이드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310)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결합될 수 있는 중공(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310)는 예를 들어 중심부에 중공(311)이 형성된 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바디부(31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결합되면 바디부(310)가 제1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310)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커버부(220)를 개방하여 화장품(700)을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개폐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삽입보조부재(300)의 바디부(310)에 의해 제1 본체(100)에 결합된 경우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개폐부(230)가 바디부(310)에 의해 밀폐된다면 개폐부(230)를 통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커버부(220)를 개폐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바디부(310)에 형성된 개구부(312)를 통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개폐부(23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커버부(220)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베이스부(210)에 수납된 화장품(700)을 사용할 수 있다.
바디부(310)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결합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접촉되는 부분에 고정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313)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고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중공(311)에 삽입되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마련된 예를 들어 고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20)는 바디부(310)의 외측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돌기(320)가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바디부(310) 역시 나사선(120)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본체(10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310)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바디부(31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20)가 제1 본체(100)의 나사선(120)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바디부(310)와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되며,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 바디부(310)와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직접 제1 본체(100)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삽입보조부재(300)를 통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제1 본체(10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삽입보조부재(300)를 통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제1 본체(100)에 결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제1 삽입보조부재(300)의 바디부(310)의 중공(311)을 통해 바디부(310)에 결합한다. 이때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에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고정부(3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바디부(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삽입보조부재(300)의 가이드돌기(320)를 제1 본체(100)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선(120)에 접촉시킨 후 가이드돌기(320)가 나사선(120)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와 제1 삽입보조부재(300)가 함께 회전하면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제1 본체(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700)이 각각 수납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 중 필요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를 선택하여 제1 본체(100)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장품(700)이 수납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는 제1 본체(100)에 의해 보호되므로 휴대시에도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제1 화장품 수용부재 및 제2 화장품 수용부재의 각각의 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본체(100)에 제2 본체(400)가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본체(400)는 제1 본체(100)의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본체(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본체(100)의 하측과 제2 본체(400)의 하측이 서로 결합되며, 제1 본체(100)에 결합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상측을 향하는 경우 제2 본체(400)에 결합된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는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는 일체형으로 고정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400)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본체(400)는 제1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중심부에 삽입홈(410)이 형성되며,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가 삽입홈(410)에 결합된다. 제2 본체(400)는 삽입홈(410)에 결합된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를 보호하므로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도 제1 본체(100)와 공통된다.
한편, 제2 본체(400)는 제1 본체(100)와 기본적으로 공통되므로, 제2 본체(400)의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제1 본체(1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는 제2 본체(400)의 삽입홈(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700)이 수용된다.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510)와, 커버부(520)와, 개폐부(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예의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 삽입보조부재(600)는 제2 본체(400)와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제1 삽입보조부재(300)와 마찬가지로 제2 삽입보조부재(600)는 바디부(610)와 가이드돌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보조부재(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제1 삽입보조부재(300)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예의 제1 삽입보조부재(3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화장품(700)이 수납된 복수의 화장품 수용부재(200, 5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본체(100)에 결합하고, 복수의 화장품 수용부재(200, 500) 중 다른 하나를 선택하여 제2 본체(400)에 결합하여 휴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화장 취향, 또는 개개인별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적절한 화장품(700)이 수납된 화장품 수용부재(200, 500)를 선택하여 다양한 조합의 화장품(7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화장품(700)만을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품과, 립 메이크업용 화장품과,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품 등의 다양한 화장품(700) 중 적어도 2가지의 화장품(700)을 선택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맞춤형 조합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개인적 화장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 본체(100)에 의해 제1 화장품 수용부재(200)가 보호되고, 제2 본체(400)에 의해 제2 화장품 수용부재(500)가 보호되므로, 적어도 2가지의 화장품(700)을 선택하여 휴대시 화장품(700) 내지 용기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화장품 용기 100 : 제1 본체
110 : 삽입홈 120 : 나사선
130 : 미끄럼 방지부 140 : 디자인형성부
200 : 제1 화장품 수용부재 210 : 베이스부
220 : 커버부 230 : 개폐부
231 : 결합홈 232 : 결합돌기
300 : 제1 삽입보조부재 310 : 바디부
311 : 중공 312 : 개구부
313 : 고정부 320 : 가이드돌기
400 : 제2 본체 410 : 삽입홈
500 : 제2 화장품 수용부재 510 : 베이스부
520 : 커버부 530 : 개폐부
600 : 제2 삽입보조부재 610 : 바디부
620 : 가이드돌기 700 : 화장품

Claims (10)

  1. 삽입홈이 형성된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이 수용되는 제1 화장품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되며, 삽입홈이 형성된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삽입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화장품이 수용되는 제2 화장품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삽입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보조부재는,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제1 본체의 나사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는,
    화장품이 수납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커버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개폐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제1 화장품 수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고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외측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이웃하는 상기 제1 본체의 외측에는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디자인형성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와 상기 제2 화장품 수용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삽입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삭제
KR1020170052526A 2017-04-24 2017-04-24 화장품 용기 KR10185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26A KR101852381B1 (ko) 2017-04-24 2017-04-24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526A KR101852381B1 (ko) 2017-04-24 2017-04-24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381B1 true KR101852381B1 (ko) 2018-04-27

Family

ID=6208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526A KR101852381B1 (ko) 2017-04-24 2017-04-24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16U (ko) * 2020-01-31 2021-08-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45Y1 (ko) 2002-03-21 2002-09-10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431987Y1 (ko) 2006-09-05 2006-11-27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1208870B1 (ko) 2011-06-10 2012-12-05 강성자 화장품 용기
KR200478027Y1 (ko) * 2014-04-08 2015-08-27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JP6000004B2 (ja) * 2012-07-18 2016-09-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板状触媒及び板状触媒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45Y1 (ko) 2002-03-21 2002-09-10 주식회사 요진코스메플라스트 화장품 용기
KR200431987Y1 (ko) 2006-09-05 2006-11-27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KR101208870B1 (ko) 2011-06-10 2012-12-05 강성자 화장품 용기
JP6000004B2 (ja) * 2012-07-18 2016-09-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板状触媒及び板状触媒の製造方法
KR200478027Y1 (ko) * 2014-04-08 2015-08-27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16U (ko) * 2020-01-31 2021-08-10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94551Y1 (ko) 2020-01-31 2021-11-04 옥수정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54229A1 (en) Cosmetic wallet compact
TWI357312B (ko)
US8893731B2 (en) Container system
US10349724B2 (en) Makeup accessory device
US9693607B2 (en) Necklace for storing and dispensing lotion and lip balm
KR101852381B1 (ko) 화장품 용기
WO2015101358A1 (zh) 化妆品包装
US6092254A (en) Sunscreen and lotion applicator
US20190387864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replaceable container and brush
KR200463747Y1 (ko) 색조 화장품 리필용기 가감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US20170036823A1 (en) Simulated Shotgun Shell Pocket Caddy
EP3935994A1 (en) Slide-type cosmetic compact case
US10912370B2 (en) Modular cosmetic pen
KR200494860Y1 (ko) 화장 용기
KR200453583Y1 (ko) 색조 화장품 케이스
KR200484193Y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KR102311515B1 (ko) 화장 도구
KR101869287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화장품 포장재
US20150150354A1 (en) Multipurpose cosmetic carrying system
KR200450732Y1 (ko) 화장품 용기
WO2009070935A1 (fr) Récipient pour produits cosmétiques
US20240008622A1 (en) Wrist palet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20190003143A (ko) 슬라이드 아이섀도우 케이스
KR200436389Y1 (ko) 립스틱의 탈부착이 가능한 콤팩트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