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46Y1 -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 Google Patents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46Y1
KR200480746Y1 KR2020150001862U KR20150001862U KR200480746Y1 KR 200480746 Y1 KR200480746 Y1 KR 200480746Y1 KR 2020150001862 U KR2020150001862 U KR 2020150001862U KR 20150001862 U KR20150001862 U KR 20150001862U KR 200480746 Y1 KR200480746 Y1 KR 200480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ing stopper
housing
fix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우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08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ope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되는 토출부에 결합되고, 유체가 토출 가능하도록 토출부에 대응하는 유로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부; 및 하우징 마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여닫이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마개부에는 여닫이부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여닫이부는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폐쇄하는 제1 회동상태 및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여닫이 캡을 제공한다.
따라서, 펌핑 방식의 캡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내부의 유체를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캡의 개폐를 위한 여닫이부가 사용자의 핸들링(handling)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Detachable cap and housing having the same}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개부의 중공을 개폐하는 여닫이부가 마개부로부터 분리될 상태에서도 유동하지 않도록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내부 수용 공간에 필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충진시켜 간편하게 원하는 양만큼 적절하게 덜어 쓸 수 있는 용기가 고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세척을 위한 샴프 용기,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 용기 등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러한 용기들은 내부에 각종 유체를 저장하는 동시에 외부로의 토출을 위해서 매우 빈번하게 개폐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용기 내부의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부에는 다양한 형태의 캡(Cap)이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캡 중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펌핑 방식으로 가압하여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 시키는 방식의 캡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캡은 토출되는 양에 있어서 특정하게 정해진 양만큼 토출이 되기 때문에 사용 시의 필요한 양보다 과하게 토출되거나 부족하게 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과한 경우 이를 덜어 내야하고, 부족한 경우 여러 번에 나누어서 토출 시켜야 하는 것이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또 다른 방식의 캡은 용기의 토출부에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된 캡으로서, 사용상의 개폐를 위해 여닫이 형태로 적용한 방식이 있다. 이러한 개폐 방식의 캡은 펌핑 방식의 캡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내부의 유체를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개폐 방식의 캡은 사용을 위하여 중공으로부터 여닫이를 탈착 시켜 사용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여닫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여닫이부가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이부와 캡에 강성을 부여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여닫이부나 캡을 파지하는 손에 상처를 내거나, 캡의 중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를 가로막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307호
본 고안은, 펌핑 방식의 캡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내부의 유체를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캡의 개폐를 위한 여닫이부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여닫이부가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이부와 캡에 강성을 부여함으로 여닫이부나 캡을 파지하는 손에 상처를 내거나, 캡의 중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를 가로막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기부와 하우징 마개부 및 여닫이부를 알로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알로에 과련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알로에 전용 용기로서의 외관적 심미성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유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되는 토출부에 결합되고, 유체가 토출 가능하도록 토출부에 대응하는 유로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부; 및 하우징 마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여닫이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마개부에는 여닫이부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여닫이부는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폐쇄하는 제1 회동상태 및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여닫이 캡을 제공한다.
또한, 고정부는 하우징 마개부상에서 여닫이부가 회동하여 접촉 가능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닫이부는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와, 양단부가 각각 개폐부와 하우징 마개부에 연결되고, 하우징 마개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양단부 사이에서 유동적으로 벤딩(bending)되는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브릿지부를 사이에 두고 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하우징 마개부의 후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 하우징 마개부 및 여닫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색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유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되는 토출부에 결합되고, 유체가 토출 가능하도록 토출부에 대응하는 유로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부 및 하우징 마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여닫이부를 포함하고, 하우징 마개부에는 여닫이부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여닫이부는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폐쇄하는 제1 회동상태 및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여닫이 캡; 용기부에는, 하우징 마개부가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하우징 마개부의 전단부를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가 형성되며, 제2 고정부는 하우징 마개부에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끼움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2 고정부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상단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거나 상단부가 양측 또는 일측을 향해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는 제1 토출부가 구비되고 상부로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용기와, 제2 토출부가 구비되고 제2 토출부가 제1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1 용기의 하부로 결합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는 제1 용기와 별도로 분리된 채 제2 토출부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2 서브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기는 제2 용기와 별도로 분리된 채 제1 토출부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1 서브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되고, 하부로는 제1 용기를 봉하기 위한 하부 마개부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펌핑 방식의 캡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내부의 유체를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캡의 개폐를 위한 여닫이부가 사용자의 핸들링(handling)에 의하여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여닫이부가 쉽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닫이부와 캡에 강성을 부여함으로 여닫이부나 캡을 파지하는 손에 상처를 내거나, 캡의 중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유체를 가로막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용기부와 하우징 마개부 및 여닫이부를 알로에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알로에 과련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알로에 전용 용기로서의 외관적 심미성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여닫이 캡의 제1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여닫이 캡의 제2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인 하우징 마개부가 용기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구성인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여닫이 캡을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용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 캡(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여닫이 캡(100)은 하우징 마개부(110)와, 여닫이부(120)를 포함하고 여닫이부(120)는 브릿지부(121)와, 개폐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용기부(200)는 적어도 일방으로 내부에 충진되는 유체 등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마개부(110)는 소정 영역에 제1 고정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11는 후술하는 여닫이부(120)를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111는 하우징 마개부(110)에 후면부에서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돌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1 고정부(111)의 위치는 여닫이부(120)와의 체결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마개부(110)의 상면 중심부에는 중공(1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인접하는 둘레부에는 테두리부에 대비하여 함몰된 제1 함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부(200)의 토출부 중심축과 하우징 마개부(110)에 형성된 중공(112)의 중심축은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닫이부(120)는 하우징 마개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하우징 마개부(110)의 중공(112)을 개폐한다(이하,’제1 회동상태’라 함.).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닫이부(120)의 개폐부(122)가 하우징 마개부(110)의 상면 제1 함몰부(113)에 형합적으로 안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개폐부(122)의 하부면 자체로 덮거나, 개폐부(122)의 하부면에 중심부에 하우징 마개부(110)의 중공에(112) 삽입되는 돌기(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닫이부(120)가 하우징 마개부(110)의 상부 제1 함몰부(113)를 덮은 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여닫이부(120)를 다시 개봉해야 하는데 이를 용이하기 위하여 하우징 마개부(110) 테두리부의 전면부에 제2 함몰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함몰부(114)는 개페부(122)가 함몰부를 덮어 봉해졌을 때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톱 등의 적어도 일부 삽입이 용이한 적절한 두께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닫이부(120)의 브릿지부(121)는 일단부가 개폐부(122)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우징 마개부(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부(121) 일단부와 타단부는 개폐부(122)와 하우징 마개부(110) 각각에 스냅힌지(SNAP-HINGE) 방식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브릿지부(121)의 일단부와 하우징 마개부(110)는 상호간에 일체형이 아닌 별도의 힌지 결합 방식 또는 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브릿지부(121)는 전술한 제1 고정부(111)의 위치를 고려하여, 하우징 마개부(110)상에서 회동될 경우 제1 고정부(111)와 접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즉, 한 쌍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돌설되는 제1 고정부(111) 사이로 브릿지부(12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심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여닫이 캡(100)의 제1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여닫이 캡(100)의 제2 회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릿지부(121)의 타단부는 하우징 마개부(110) 상부면 가장자리의 중심에 연결될 경우, 이에 기반하여 브릿지부(121)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폐부(122)가 수직 방향 및 수평방향 상호간을 향해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111)는 브릿지부(121)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1)는 브릿지부(121)의 중간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제1 고정부(111)는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하단부가 내측 상단부와 대비하여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브릿지부(121)의 중심부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내측 상단부와는 비교적 타이트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내측 하단부는 비교적 여유롭게 끼워지도록 형성하여 착탈식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구성인 하우징 마개부(110)가 용기부(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원고안의 대상은 특정한 용기로 한정되지 않으나 일예로서 알로에와 관련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 가정하면, 전술한 용기부(200)와 하우징 마개부(110) 및 여닫이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색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200) 및 하우징 마개부(110)는 일방에서 타방을 향해 유선형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알로에의 색상이 녹색인 점을 고려하여, 녹색의 투명한 재질로 용기부(200)와, 하우징 마개부(110) 및 여닫이부(120)를 제작하되, 그 형상에 있어서도 일방에서 타방으로 알로에 잎의 절곡된 유선형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알로에 관련된 내용물 수용하는 여닫이 캡(100) 또는 용기 등으로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남은 양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220)는 용기부(200)상의 일영역에 형성되어 여닫이부(120)가 제1 고정부(111)에 체결되도록 회동하는 경우(이하, ‘제2 회동상태’라함), 하우징 마개부(110)의 전단부를 착탈식으로 고정한다.
제2 고정부(220)는 용기부(200)에서 여닫이부(120)의 제2 회동상태에 대응하여 하우징 마개부(110)의 전단부 적어도 일부 둘레를 수용할 수 있는 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고정부(220)는 도 5의 (a)와 같이 전면에서 바라볼 때 상단부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b)와 같이 상단부가 양측을 향해서 테이퍼지거나, (c)와 같이 상단부가 양측을 향해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우징 마개부(110)와 제2 고정부(220)의 끼움 결합을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제2 고정부(220)의 상단부 형상에 따라서 제2 고정부(220)와 하우징 마개부(110)가 끼움 결합 시 접하는 면적 상의 차이를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하우징 마개부(110)와 제2 고정부(220)에 끼움 결합 시 필요한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여닫이 캡(100)을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2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용기부(2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서 설명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210`)는, 제1 용기(210`)와 제2 용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기(210`)는 제1 토출부(211`)가 구비되고 상부로 하우징 마개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용기(210`)는 전술한 일실시예에서의 용기부(210`) 상부 영역을 분리시킨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제1 용기(210`)의 하부는 제2 용기(220`)의 제2 토출부(221`)가 나사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토출부(22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용기(220`)는 제2 토출부(221`)가 구비되고 제2 토출부(221`)가 제1 용기(2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제1 용기(210`)의 하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용기(220`)는 전술한 일실시예에서의 용기부(210`)의 상부 영역을 제외한 하부영역을 분리시킨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제1 용기(210`)는, 제2 용기(220`)와 별도로 분리된 채 제1 토출부(211`)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1 서브 하우징 마개부(미도시)가 결합되고, 하부로는 제1 용기(210`)를 봉하기 위한 하부 마개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기(220`)는 제1 용기(210`)와 별도로 분리된 채 제2 토출부(221`)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2 서브 하우징 마개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브 하우징 마개부와 제2 서브 하우징 마개부는 전술한 하우징 마개부(110)와 대응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마개부의 경우 제1 용기(210`)의 하부로 제2 용기(220`)가 분리되고 제1 용기(210`)만을 별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그 하부를 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1 용기(210`)와 제2 용기(22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른 복수의 용기 (예: 제1 용기(210`), 제2 용기(220`), 제3 용기(230`), 제n 용기 등)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결국, 본원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용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 시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하우징 마개부 111 : 고정부
112 : 중공 113 : 제1 함몰부
114 : 제2 함몰부 120 : 여닫이부
121 : 브릿지부 122 : 개폐부
200, 200`: 용기부 210`: 제1 용기
211`: 제1 토출부 220`: 제2 용기
221`: 제2 토출부

Claims (10)

  1. 유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되는 토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가 토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출부에 대응하는 유로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부; 및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여닫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는 상기 여닫이부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닫이부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폐쇄하는 제1 회동상태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상에서 상기 여닫이부가 회동하여 접촉 가능한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여닫이부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와,
    양단부가 각각 상기 개폐부와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마개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벤딩(bending)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브릿지부를 사이에 두고 끼움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하우징 마개부의 후면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는 여닫이 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상기 하우징 마개부 및 상기 여닫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색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여닫이 캡.
  6. 유체가 수용되는 용기부의 적어도 일방에 개구되는 토출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가 토출 가능하도록 상기 토출부에 대응하는 유로로서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마개부 및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여닫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는 상기 여닫이부가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여닫이부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의 중공을 폐쇄하는 제1 회동상태 및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여닫이 캡을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에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가 상기 제2 회동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 마개부의 전단부를 착탈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마개부에 상기 전단부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끼움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전면에서 바라볼 때, 상단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거나, 양측 또는 일측을 향해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제1 토출부가 구비되고 상부로 상기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되는 중공형의 제1 용기와,
    제2 토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토출부가 상기 제1 용기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용기의 하부로 결합되는 제2 용기를 포함하는 하우징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상기 제1 용기와 별도로 분리된 채 상기 제2 토출부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2 서브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는,
    상기 제2 용기와 별도로 분리된 채 상기 제1 토출부의 상부로 중공형의 제1 서브 하우징 마개부가 결합되고, 하부로는 제1 용기를 봉하기 위한 하부 마개부가 결합되는 하우징 용기.
KR2020150001862U 2015-03-24 2015-03-24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KR200480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62U KR200480746Y1 (ko) 2015-03-24 2015-03-24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62U KR200480746Y1 (ko) 2015-03-24 2015-03-24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46Y1 true KR200480746Y1 (ko) 2016-07-04

Family

ID=5649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62U KR200480746Y1 (ko) 2015-03-24 2015-03-24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58A (ko) 2018-07-11 2020-01-21 이권행 재사용 가능한 일회용 원터치 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46A (ja) * 1999-12-09 2001-06-19 Kitano Seisaku Kk ヒンジキャップ
KR20040052800A (ko) * 2004-04-30 2004-06-23 이정민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보조용기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구조
KR20100007307U (ko)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JP2011093580A (ja) * 2009-10-30 2011-05-12 Yoshino Kogyosho Co Ltd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2012192968A (ja) * 2011-03-17 2012-10-11 Toppan Printing Co Ltd ヒンジキャップ、包装容器、及びパッケージ商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3346A (ja) * 1999-12-09 2001-06-19 Kitano Seisaku Kk ヒンジキャップ
KR20040052800A (ko) * 2004-04-30 2004-06-23 이정민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보조용기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구조
KR20100007307U (ko) 2009-01-08 2010-07-1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스냅힌지를 이용한 용기뚜껑 조립체
JP2011093580A (ja) * 2009-10-30 2011-05-12 Yoshino Kogyosho Co Ltd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JP2012192968A (ja) * 2011-03-17 2012-10-11 Toppan Printing Co Ltd ヒンジキャップ、包装容器、及びパッケージ商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58A (ko) 2018-07-11 2020-01-21 이권행 재사용 가능한 일회용 원터치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42309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multi-staged refillable container
CN211431425U (zh) 化妆品容器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20170078280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회전식 콤팩트 용기
KR200449169Y1 (ko) 회전 개방형 화장품 용기
WO2015008921A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80746Y1 (ko) 여닫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하우징 용기
JP2021526483A (ja) 内部アクセスを有する分注容器
KR200455838Y1 (ko) 화장품튜브용기의 캡
KR200396883Y1 (ko) 수평 회전 개폐식 색조 화장품 용기
KR20150047200A (ko) 회전 개폐형 튜브용기
KR200485810Y1 (ko) 펌핑 배출식 절약형 용기
KR101180737B1 (ko) 회전개폐형 브러쉬 튜브용기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60281Y1 (ko) 색조화장품 케이스
KR200467355Y1 (ko) 덮개 탈착형 원터치 캡
KR200492587Y1 (ko) 화장품 용기
KR101729072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US20210093071A1 (en) Dispenser cov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ES2750354T3 (es) Una tapa con un montaje de cierre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200462574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7581Y1 (ko) 절약형 용기
KR101318673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메이크업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