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96Y1 -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96Y1
KR200487396Y1 KR2020170001716U KR20170001716U KR200487396Y1 KR 200487396 Y1 KR200487396 Y1 KR 200487396Y1 KR 2020170001716 U KR2020170001716 U KR 2020170001716U KR 20170001716 U KR20170001716 U KR 20170001716U KR 200487396 Y1 KR200487396 Y1 KR 200487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pper panel
elastic member
bent
low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김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옥 filed Critical 김선옥
Priority to KR2020170001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는, 상측면에는 벽체의 하단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내측에는 조립공간이 구비되는 상부패널; 상측은 상기 상부패널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걸레받이{Scrubboard}
본 고안은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립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받이(baseboard 또는 scrubboard)란,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상가, 인테리어 등 각종 건축물의 실내 구조에 있어서, 벽체와 바닥면이 맞닿는 부위에 맞대어 설치한 길다란 띠형상의 마감재로서,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벽면에 걸레의 측부가 접촉하여 마모되거나 벽지등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미려한 구석부로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를 말한다.
이러한 걸레받이는 벽면에 일정한 높이로 고정못이나 접착성테이프를 이용해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걸레받이가 설치되는 벽체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의 설치공간이 일정한 크기로 시공되지 않기 때문에 높이가 고정된 걸레받이를 설치할 경우, 걸레받이가 설치공간에 정확하게 맞추어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설치된 후에도 이격된 틈이 발생하여 외관 품질이 급격히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3631호(2016.06.0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걸레받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는, 상측면에는 벽체의 하단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내측에는 조립공간이 구비되는 상부패널; 상측은 상기 상부패널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소정 길이의 핀형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 및 제3 절곡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은, 벽면의 하단에 맞닿는 상측면은 수평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립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패널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1 절곡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2 및 제3 절곡부는 상기 하부패널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탄성부재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됨으로써 장착이 간편하여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장착공간에 기울어지게 형성되더라도 탄성부재에 의해 장착공간에 맞게 설치됨으로써 외관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100)는, 상호결합되는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과,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걸레받이(100)는, 벽체(210)의 맨 아래 부분에서 실내 바닥면(220)과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되는 설치공간(211)에 테돌림한 수평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벽면에 걸레의 측부가 접촉하여 마모되거나 벽지등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걸레받이(100)는, 목재, 금속판, 플라스틱 패널 등 다양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걸레받이(10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10)와 동일하게 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벽체(210)보다 두드러지거나 벽체(210)보다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100)는, 자동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설치공간(211)이 평행한 공간이 아니라 시공후의 오차에 의해 다소 기울어지게 형성되더라도 설치공간(211)에 맞게 형상이 변경되며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데, 이하에서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걸레받이(100)는, 상측의 상부패널(110)과 하측의 하부패널(120)이 서로 결합되고,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에는 탄성부재(13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부패널(110)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패널(110)의 상측 수평방향 부재인 상부부재(112)는 그 상측면이 벽체(210)의 하단(210a)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부부재(112)의 좌우측이 하측으로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외측부재(111) 및 내측부재(113)가 형성되어 상부패널(110)의 내측에는 하부패널(120)이 삽입되도록 조립공간이 구비된다.
하부패널(120)은, 상측이 상부패널(110)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단면의 형상은 '┗┛'형으로 형성되어 홈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하부패널(120)의 하측 수평방향 부재인 하부부재(122)는 그 하단부가 바닥면(220)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하부부재(122)의 좌우측이 상측으로 절곡되고 연장 형성되어 외측부재(121) 및 내측부재(123)가 형성되어 상부패널(110)의 조립공간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부패널(110)의 외측부재(111) 및 내측부재(113) 간의 간격이 하부패널(120)의 외측부재(121) 및 내측부재(123)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부패널(110)의 내측으로 하부패널(120)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었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패널(120)의 외측부재(121) 및 내측부재(123) 간의 간격이 상부패널(110)의 외측부재(111) 및 내측부재(113) 간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부패널(110)이 하부패널(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걸레받이(100)는, 상부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이 삽입된 상태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억지끼움 상태보다 느슨한 상태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30)는, 코일 스프링이나 고무재질 등 다양한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사이의 좁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핀형이 다수 절곡되며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30)는, 중앙부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131)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 및 제3 절곡부(132,133)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탄성부재(130)는, 탄성부재(130)의 제1 절곡부(131)는 상부패널(110)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탄성부재(130)의 제2 및 제3 절곡부(132,133)는 하부패널(120)의 홈부에 삽입된다.
전술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1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걸레받이(100)의 하부패널(120)는 홈부가 상향되도록 마련한 다음, 홈부에 탄성부재(130)을 삽입한다.
탄성부재(130)가 하부패널(120)의 홈부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패널(110)의 조립공간이 하측으로 향한 상태로 하부패널(120)이 상부패널(110)의 내측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걸레받이(100)는, 벽체(210)의 하측 설치공간(211)에 설치하는데, 이 때 설치공간(211)의 크기에 자동으로 맞추어지도록 걸레받이(100) 내의 탄성부재(130)를 압축하여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이 근접된 상태로 설치공간(211)에 장착된다.
이후, 외력이 해제되면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사이의 탄성부재(130)가 복원되면서 상부패널(110) 및 하부패널(120) 사이가 이격되면서 설치공간(211)의 높이에 맞추어 진다.
이때, 설치공간(211)이 다소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설치공간(211)에 맞게 걸레받이(100)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설치공간(211)에 걸레받이(100)이 정확하게 맞추어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걸레받이
110: 상부패널
120: 하부패널
130: 탄성부재
210: 벽체
211: 설치공간
220: 바닥면

Claims (4)

  1. 상측면에는 벽체의 하단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내측에는 조립공간이 구비되는 상부패널;
    상측은 상기 상부패널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하단부는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는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는,
    소정 길이의 핀형으로 형성되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가 구비되고,
    양측에는 각각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2 및 제3 절곡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패널은,
    벽면의 하단에 맞닿는 상측면은 수평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각각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조립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은,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1 절곡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조립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제2 및 제3 절곡부는 상기 하부패널의 홈부에 삽입되는, 걸레받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716U 2017-04-07 2017-04-07 걸레받이 KR200487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16U KR200487396Y1 (ko) 2017-04-07 2017-04-07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16U KR200487396Y1 (ko) 2017-04-07 2017-04-07 걸레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396Y1 true KR200487396Y1 (ko) 2018-09-12

Family

ID=6358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16U KR200487396Y1 (ko) 2017-04-07 2017-04-07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9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589A (ja) * 2001-12-28 2003-07-09 Daiwa House Ind Co Ltd 重量床衝撃音低減構造及び幅木
KR100737948B1 (ko) * 2006-08-25 2007-07-16 정성욱 물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친환경 마루 시공방법 및 그 마루 시공구조체
KR200459168Y1 (ko) * 2009-12-31 2012-03-21 윤장노 칸막이용 높낮이조절형 걸레받이
KR20160063631A (ko) 2014-11-27 2016-06-07 이청종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3589A (ja) * 2001-12-28 2003-07-09 Daiwa House Ind Co Ltd 重量床衝撃音低減構造及び幅木
KR100737948B1 (ko) * 2006-08-25 2007-07-16 정성욱 물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친환경 마루 시공방법 및 그 마루 시공구조체
KR200459168Y1 (ko) * 2009-12-31 2012-03-21 윤장노 칸막이용 높낮이조절형 걸레받이
KR20160063631A (ko) 2014-11-27 2016-06-07 이청종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8909A1 (en) An acoustic seal and a sound proof booth comprising the same
EP2647781A1 (en) Floorboard capable of absorb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KR100911557B1 (ko) 걸레받이용 높낮이 조절기능이 구비된 벽면 코너 마감재
KR200487396Y1 (ko) 걸레받이
KR102025651B1 (ko) 단열성능을 확보한 커튼월 어셈블리
KR100634815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
JP6171188B2 (ja) 建具
KR101602324B1 (ko) 걸레받이
KR200419563Y1 (ko)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JP6831076B2 (ja) 建具
JP4215209B2 (ja) デッキ床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KR200416341Y1 (ko) 건축용 내장패널의 설치구조
KR20150003307U (ko) 목재블록 연결장치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6141504B2 (ja) サッシ枠
KR20150004209U (ko) 마루바닥재용 걸레받이
JP2018150735A (ja) アウトセット折戸扉設置補助具
KR200452500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5737895B2 (ja) 間仕切り構造
KR101081041B1 (ko) Pvc를 이용한 주택 라운드 우물천장 설치구조
JP2022070330A (ja) 窓構造
KR101899349B1 (ko)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JP3995673B2 (ja) 間仕切り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443253Y1 (ko) 건물용 이중 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