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07U - 목재블록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목재블록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07U
KR20150003307U KR2020140001501U KR20140001501U KR20150003307U KR 20150003307 U KR20150003307 U KR 20150003307U KR 2020140001501 U KR2020140001501 U KR 2020140001501U KR 20140001501 U KR20140001501 U KR 20140001501U KR 20150003307 U KR20150003307 U KR 201500033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lock
wooden
web portion
flange por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활
Original Assignee
신용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활 filed Critical 신용활
Priority to KR2020140001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307U/ko
Publication of KR201500033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상호 대향하여 맞닿는 결합면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 목재블록과 재2 목재블록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로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웨브부; 상기 웨브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에 걸쳐 결합되되, 양단부에 하향하여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에는 상기 웨브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웨브부를 중심으로 상기 웨브부에 인접하여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단턱이 상부플랜지부;및 상기 웨브부의 하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의 저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하여, 목재 패널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결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목재블록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of wood block}
본 고안은 목재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목재블록을 연결하고 벽면 또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재 패널은 조립되어 내벽 또는 외벽의 장식재 또는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다. 목재 패널은 복수 개가 상호 연결되도록 조립되어 일정 크기의 장식재 또는 마감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목재 패널은 별도의 연결장치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6116호(2009.06.16. 공개,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도어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목재 패널을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보강부재는 목재 패널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부재로, 브라켓과 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목재 패널의 전면부 및 후면부를 연결하고 지지부는 이러한 브라켓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전.후방 외력에 의한 휨 또는 비틀림에 의한 목재 패널의 변형을 어느 정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온도 및 습도의 변화와 같은 환경적인 변화에 따른 변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부재는 목재 패널의 전면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목재 패널로 이루어진 장식재 또는 마감재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 패널의 자중에 의해 목재 패널과 보강부재의 결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9-006116호(2009.06.16. 공개)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 패널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결합성을 높이는 목재 패널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호 대향하여 맞닿는 결합면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 목재블록과 재2 목재블록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로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웨브부와, 상기 웨브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에 걸쳐 결합되되, 양단부에 하향하여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에는 상기 웨브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웨브부를 중심으로 상기 웨브부에 인접하여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단턱이 상부플랜지부 및 상기 웨브부의 하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의 저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웨브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서 하향하여 절곡되어 오목하게 결합핀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유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각유로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랜지부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굽어 형성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맞닿는 목재블록의 결합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며 경사톱니가 형성된 후크부를 구비한 상부플랜지를 포함함으로써, 목재 패널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결합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패널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사각유로부가 형성된 목재 패널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목재 패널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목재 패널이 부착된 목재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패널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사각유로부가 형성된 목재 패널 연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목재 패널 연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목재 패널이 부착된 목재 패널 연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내지 도 4를 병행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패널 연결장치(1000)는 웨브부(100)와, 상부플랜지부(200)와, 하부플랜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웨브부(100)와 상부플랜지부(200)와 하부플랜지부(300)는 그 기능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웨브부(100)와 상부플랜지부(200)와 하부플랜지부(300)는 마그네슘, 아연 등이 첨가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목재블록(10) 및 제2 목재블록(20)은 단면이 사각인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이 상호 맞붙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호 맞닿는 제1 목재블록(10) 및 제2 목재블록(20)의 결합면을 기준으로 내측을 향하여 각각 결합홈(1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22)은 제1 목재블록(10) 및 제2 목재블록(20)의 두께 방향을 기준할 때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웨브부(100)는 제1 목재블록(10) 및 제2 목재블록(20)이 맞닿은 상태에서 결합면을 따라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웨브부(100)의 길이는 제1 목재블록(10) 및 제2 목재블록(20)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웨브부(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부플랜지부(200)가 결합홈(11,22)에 삽입되고 동시에 웨브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플랜지부(300)가 제1 목재블록(10) 또는 제2 목재블록(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웨브부(100)의 길이는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부플랜지부(200)는 결합홈(11,22)에 삽입되어 제1 목재블록(10)과 제2 목재블록(20)에 걸쳐 배치되는 부재이다. 상부플랜지부(200)는 웨브부(100)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플랜지부(200)의 중심부에 웨브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플랜지부(200)의 수평 방향 길이는 상부플랜지부(200)가 결합홈(11,22)에 삽입되었을 때, 제1 목재블록(10)의 측면과 제2 목재블록(20)의 맞닿아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부플랜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후크부(210)가 하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10)는 결합홈(11,22)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결합홈(11,22)에서 상부플랜지부(200)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후크부(210)에는 웨브부(100)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톱니(211)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톱니(211)가 일단 결합홈(11,22)에 삽입되면 결합홈(11,22)에서 상부플랜지부(20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결합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플랜지부(200)에는, 웨브부(100)를 중심으로 웨브부(100)에 인접하여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어 제1 목재블록(10)과 제2 목재블록(20)이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목재블록(10)과 제2 목재블록(20)을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단턱(22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플랜지부(300)는 웨브부(100)의 하단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벽면(1)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하부플랜지부(300)의 중심부에 웨브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플랜지부(300)의 폭은 상부플랜지부(200)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하부플랜지부(300)의 폭은 상부플랜지부(200)의 폭보다 2배 내지 2.5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벽면(1)과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하부플랜지부(300)의 양 단부에는 사각유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사각유로부(310)에는 하부플랜지부(300)의 양 단부에서 하향하여 절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결합핀 장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S)에는 결합핀(2)이 삽입되어 벽면(1)에 결합될 수 있다.
장착공간(S)에는 별도의 충진재가 충진되어 외력에 의해 결합핀(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플랜지부(300)의 저면에는 판스프링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판스프링부(400)는 사각유로부(310) 사이에 결합되어 하부플랜지부(30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굽어 형성되어 제1 목재블록(10) 또는 제2 목재블록(20)에 수직으로 부가되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패널 연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제1 목재블록
20: 제2 목재블록
11,22: 결합홈
100: 웨브부
200: 상부플랜지부
210: 후크부
211: 경사톱니
220: 걸림단턱
300: 하부플랜지부
310: 사각유로부
400: 판스프링부

Claims (3)

  1. 상호 대향하여 맞닿는 결합면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 목재블록과 재2 목재블록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로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웨브부;
    상기 웨브부의 상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에 걸쳐 결합되되, 양단부에 하향하여 상기 결합홈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에는 상기 웨브부의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웨브부를 중심으로 상기 웨브부에 인접하여 각각 상향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을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걸림단턱이 상부플랜지부;및
    상기 웨브부의 하단에 수직하게 결합하여 상기 제1 목재블록과 상기 제2 목재블록의 저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하부플랜지부
    를 포함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상기 웨브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양단부에서 하향하여 절곡되어 오목하게 결합핀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유로부를 포함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유로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플랜지부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굽어 형성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목재블록 연결장치.
KR2020140001501U 2014-02-26 2014-02-26 목재블록 연결장치 KR201500033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1U KR20150003307U (ko) 2014-02-26 2014-02-26 목재블록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501U KR20150003307U (ko) 2014-02-26 2014-02-26 목재블록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07U true KR20150003307U (ko) 2015-09-03

Family

ID=5434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501U KR20150003307U (ko) 2014-02-26 2014-02-26 목재블록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3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75U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온실 벽체 연결부재
KR102465315B1 (ko) * 2022-08-17 2022-11-1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75U (ko) * 2018-07-13 2020-01-22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온실 벽체 연결부재
KR102465315B1 (ko) * 2022-08-17 2022-11-11 에스와이우드(주) 데크 고정용 클립을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307U (ko) 목재블록 연결장치
KR200419563Y1 (ko)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JP2017077389A (ja) 連結補強具
KR101365063B1 (ko) 방화문 프레임
JP6234905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2015067429A (ja) エレベータ用パネル
JP6360334B2 (ja) ボード取付金物
JP6807731B2 (ja) 棚板の固定構造および棚板の施工方法
JP7023658B2 (ja) ボード取付金物およびボード取付構造
KR101943014B1 (ko) 층간 소음 저감을 위한 천장재용 달대 브라켓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시스템
JP5616158B2 (ja) 巾木および巾木の施工方法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6831076B2 (ja) 建具
JP2008008112A (ja) 間仕切壁
JP6664263B2 (ja) 防音パネル及び塀
JP6339803B2 (ja) 内外装材の取付具及び型枠パネル
JP6497219B2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アジャスター装置
KR100415273B1 (ko)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JP6262538B2 (ja) 建築構造体
JP4133689B2 (ja) ロッキング外壁パネル
JP2006263380A (ja) 洗面化粧台の壁面への取付け方法
JP6649058B2 (ja) 家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487396Y1 (ko) 걸레받이
JP6762803B2 (ja) 天板構造及び天板構造の施工方法、並びに框保護部材
JP6787809B2 (ja) 戸体及び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