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75U - 온실 벽체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온실 벽체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75U
KR20200000175U KR2020180003232U KR20180003232U KR20200000175U KR 20200000175 U KR20200000175 U KR 20200000175U KR 2020180003232 U KR2020180003232 U KR 2020180003232U KR 20180003232 U KR20180003232 U KR 20180003232U KR 20200000175 U KR20200000175 U KR 202000001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nel
bent
fitting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542Y1 (ko
Inventor
임형균
박대배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Priority to KR2020180003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4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4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protrusions on the one frontal surface co-operating with recesses in the other front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02A40/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온실 벽체 연결부재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상부 판넬과, 상기 상부 판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 및 상부 판넬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와, 하부 판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가 결합되는 끼움홈부로 구성되는 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 판넬의 상단에 밀착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일단에 상,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지지부의 타단에 하방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판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재; 지지부의 중간부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판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판재는, 내측면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돌출되어 '┏'자 형상의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제1절곡부는 끼움홈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르면, 다수의 벽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견고하게 시공될 수 있으며, 연결된 부위의 밀폐력 및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실 벽체 연결부재{Frame for double layer panel joint connection}
개시되는 내용은 온실 벽체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복층패널로 이루어지는 벽체를 상하 양측에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온실은 외부의 기온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태양광을 충분히 받을 수 있어 광합성을 도모하고,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온실은 금속재로 된 프레임을 설치한 후 각 프레임에 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 벽면과 천장판을 부착시켜 시공이 완료된다.
강도 및 단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 판재는 2중 구조로 된 복층판이 많이 사용된다.
복층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강화섬유 등과 같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를 이용하여 공장과 창고, 수영장, 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지붕 일부를 덮을 수 있게 제작하여 자연채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수의 복층판을 일정한 면적을 지닌 제품을 상호 연결하고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벽면 시공되며, 이때는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면적이 넓으며 내부 공간이 큰 건축물의 경우 시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복층판에 천공 작업을 하고 고정부재를 일일이 결합시키는 등의 번거로운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한국등록특허 10-0769649호
개시되는 내용은 인접되는 다수의 복층판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벽체를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다수의 복층판의 연결된 부위의 밀폐력 및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상부 판넬과, 상기 상부 판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 및 상부 판넬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와, 하부 판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가 결합되는 끼움홈부로 구성되는 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 판넬의 상단에 밀착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일단에 상,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지지부의 타단에 하방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판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재; 지지부의 중간부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판넬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지지대;를 포함하고, 지지판재는, 내측면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돌출되어 '┏'자 형상의 제1절곡부가 형성되고, 제1절곡부는 끼움홈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재의 하단에 절곡되어 하부 판넬을 향하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단부에 절곡되어 수직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가 하부 판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는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판넬의 외면과 직각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부의 수평부는 제1절곡부의 수평부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온실에 적용되는 상,하부 판넬이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매우 길다란 벽체의 시공이 수월하며, 부자재로 2차 결합을 해줌으로써 내구도 증가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온실은 상부 판넬(P1)과,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P2) 이 연결되어 벽체(P)를 형성하게 된다.
상,하부 판넬(P2)의 단부에는 각기 결합부재(100)가 형성된다.
결합부재(100)는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로 구성된다.
끼움돌기부(120)는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디의 하부에 물방울 형상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끼움홈부(140)는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결합되는 바디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120)와 상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부재(100)에 의해 상,하부 판넬(P1,P2)을 연결하더라도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연결부재(A1)를 체결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A1)는, 상부 판넬(P1)과, 상기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P2) 및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로 구성되는 벽체(P)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밀착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부(2); 지지부(2)의 일단에 상,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부 판넬(P1,P2)의 제1결합홈(102,202)에 결합되는 돌기부(4); 지지부(2)의 중간부위로부터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부 판넬(P1,P2)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상,하부지지대(52,54); 지지부(2)의 타단에 상방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며 상부 판넬(P1)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지지판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2)는 상,하부 판넬(P1,P2) 사이에 끼워진 채 결합된다. 즉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 사이에 지지부(2)가 삽입된다.
지지부(2)가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하부 판넬(P1,P2)의 연결부위에 끼움결합되어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돌기부(4)는 지지부(2)의 단부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며, 각 돌기부(4)는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에 각기 형성된 제1결합홈에 결합되어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가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부 판넬(P1,P2)이 임의로 분리되는 폐단을 방지하는 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끼움돌기부(120) 및 끼움홈부(140) 각각에는 돌기부(4)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결합홈(102,202)이 각기 형성되는 것이고, 제1결합홈(102,202)에 돌기부(4)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하부지지대(52,54)는 지지부(2)의 중간부위로부터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기부(4) 보다 길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부지지대(52,54)의 길이는 돌기부(4) 보다 2배 더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하부지지대(52,54)는 상,하부 판넬(P1,P2)의 외면에 각기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하부 판넬(P1,P2)이 임의로 분리되는 폐단을 방지하는 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지지판재(6)는 지지부(2)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부지지대(52)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된다.
지지판재(6)에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재(6)와 상부지지대(52) 사이의 이격된 공간(W)에 별도의 판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지지력을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온실은 상부 판넬(P1)과,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P2) 이 연결되어 벽체(P)를 형성하게 된다.
상,하부 판넬(P2)의 단부에는 각기 결합부재(100)가 형성된다.
결합부재(100)는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로 구성된다.
끼움돌기부(120)는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디의 하부에 물방울 형상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끼움홈부(140)는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결합되는 바디의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120)와 상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부재(100)에 의해 상,하부 판넬(P1,P2)을 연결하더라도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강하기 위해 연결부재(A2)를 체결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온실 벽체 연결부재(A2)는, 상부 판넬(P1)과, 상기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P2) 및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로 구성되는 벽체(P)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밀착되며 수평하게 형성되는 지지부(2); 지지부(2)의 일단에 상,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4); 지지부(2)의 타단에 하방으로 직각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판재(P2)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판재(6); 지지부(2)의 중간부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부 판넬(P1)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상부지지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2)는 상부 판넬(P1)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120)와, 하부 판넬(P2)의 상단에 형성되어 끼움돌기부(120)가 결합되는 끼움홈부(140) 사이에 삽입되도록 한다.
지지부(2)가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 사이에 삽입되므로 상,하부 판넬(P1,P2)의 연결부위에 끼움결합되어 밀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돌기부(4)는 지지부(2)의 단부에 상하로 돌출 형성되며, 각 돌기부(4)는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에 각기 결합되어 끼움돌기부(120)와 끼움홈부(140)가 측면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폐단을 방지하는 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끼움돌기부(120) 및 끼움홈부(140) 각각에는 돌기부(4)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홈(102,202)이 각기 형성되는 것이고, 결합홈(102,202)에 돌기부(4)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재(6)는 내측면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돌출되어 '┏'자 형상의 제1절곡부(63)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63)는 수직부가 하부 판넬(P2)의 외면에 밀착 지지되어 지지판재(6)가 휘어지지 않도록 보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1절곡부(63)는 상기 결합부재(100)를 구성하는 끼움홈부(14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0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지지판재(6)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력을 보강시켜줄 수 있다.
한편 지지판재(6)의 하단에는 하부 판넬(P2)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66)가 형성된다.
제2절곡부(66)는 지지판재(6)의 하단이 절곡되어 하부 판넬(P2)을 향하는 수평부(661)와, 수평부(661)의 단부에 절곡되어 수직부(66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부(662)가 하부 판넬(P2)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절곡부(66)의 수평부(661)는 제1절곡부(63)의 수평부(631)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절곡부(66)의 수평부(661)가 제1절곡부(63)의 수평부(631) 보다 약 0.5~1mm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절곡부(66)가 먼저 하부 판넬(P2)에 접촉 지지되고, 고온으로 인해 하부 판넬(P2)의 외면이 변형되어 부풀면 제1절곡부(63)의 수직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여 지지력이 배가될 수 있다.
하부 판넬(P2)이 합성수지인 점을 고려하면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는 열팽창에 의해 부풀면서 외부로 팽창되는 성질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제2절곡부(66)의 수평부(661)는 제1절곡부(63)의 수평부(631) 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팽창된 하부 판넬(P2)의 외면이 제1절곡부(63)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부지지대(8)는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판넬(P1)의 외면과 직각되도록 하는 단턱부(82)가 형성된다.
단턱부(82)는 상부 판넬(P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물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걸림수단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지지대(8)와 제1절곡부(63)의 수직부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부 판넬(P1)과 하부 판넬(P2)을 각기 상부지지대(8)와 제1절곡부(63)의 수직부가 균등하게 지지해줄 수 있어 지지력이 배가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지지부 4 : 돌기부
6 : 지지판재 8 : 상부지지대
63 : 제1절곡부 66 : 제2절곡부
100 : 끼움돌기부 102,202 : 결합홈
200 : 끼움홈부

Claims (7)

  1. 상부 판넬과, 상기 상부 판넬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판넬 및 상부 판넬의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돌기부와, 하부 판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부가 결합되는 끼움홈부로 구성되는 벽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판넬의 상단에 밀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하부 판넬의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돌기부;
    상기 지지부의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부 판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는 상,하부지지대;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판넬 또는 하부 판넬의 외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지지판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지지대는 지지부의 중간부위로부터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재는 상부지지대와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재는
    내측면에 수평부와 수직부로 돌출되어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는 끼움홈부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재는 일단부가 상,하부 판넬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수평부와 수평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가 상,하부 판넬의 외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하는 제2절곡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부 판넬의 외면과 직각되도록 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의 수평부는 제1절곡부의 수평부 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벽체 연결부재.
KR2020180003232U 2018-07-13 2018-07-13 온실 벽체 연결부재 KR200492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32U KR200492542Y1 (ko) 2018-07-13 2018-07-13 온실 벽체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32U KR200492542Y1 (ko) 2018-07-13 2018-07-13 온실 벽체 연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5U true KR20200000175U (ko) 2020-01-22
KR200492542Y1 KR200492542Y1 (ko) 2020-11-03

Family

ID=6922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32U KR200492542Y1 (ko) 2018-07-13 2018-07-13 온실 벽체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4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49B1 (ko) 2007-03-16 2007-10-23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차양용 패널조립체의 연결장치
KR101057561B1 (ko) * 2008-10-10 2011-08-17 (주) 스위텍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20150003307U (ko) * 2014-02-26 2015-09-03 신용활 목재블록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49B1 (ko) 2007-03-16 2007-10-23 주식회사 에스폴리텍 차양용 패널조립체의 연결장치
KR101057561B1 (ko) * 2008-10-10 2011-08-17 (주) 스위텍 건축물 벽체용 장식부재
KR20150003307U (ko) * 2014-02-26 2015-09-03 신용활 목재블록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42Y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6963U (ko) 커튼월 시스템 창호
KR101697740B1 (ko) 복합 커튼월의 결합방법
KR20170043047A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KR102010521B1 (ko) 단열 커튼월
KR101698593B1 (ko) 알루미늄-스틸 복합 커튼월 구조
KR10228118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0492542Y1 (ko) 온실 벽체 연결부재
CN110312841B (zh) 建筑用外饰面板及其安装结构
KR101754619B1 (ko) 단열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0800300B1 (ko) 우레탄패널
KR200491855Y1 (ko) 투광 복층판의 모서리 연결부재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101637135B1 (ko) 조립식 열 차단 패널시스템
JP6452301B2 (ja) 建築用パネルおよびパネル素体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KR101533077B1 (ko) 벽체용 샌드위치 패널의 조립구조
KR102136420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2189186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20120019544A (ko)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결합구조
KR20200001804U (ko) 채광용 패널을 이용한 지붕 구조
KR200459774Y1 (ko) 건축용 조립 판넬의 연결구조
JP2022065312A (ja) プレハブ住宅用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プレハブ住宅
KR200494910Y1 (ko) 온실용 용마루
KR102436928B1 (ko) 미니온실 diy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