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23Y1 -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 Google Patents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23Y1
KR200487223Y1 KR2020180001359U KR20180001359U KR200487223Y1 KR 200487223 Y1 KR200487223 Y1 KR 200487223Y1 KR 2020180001359 U KR2020180001359 U KR 2020180001359U KR 20180001359 U KR20180001359 U KR 20180001359U KR 200487223 Y1 KR200487223 Y1 KR 200487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kitchen
trap
heigh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철
Original Assignee
장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정철 filed Critical 장정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가 식당의 주방과, 주방과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이 최초 층간 슬라브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층간 슬라브 상에 시공되는 배수관과 트렌치 및, 콘크리트 몰탈층에 의해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와,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을 갖는 트렌치 커버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의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는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된 저수공간부의 내부에 서로 교호되게 상부측 제1 수직격벽과 하부측 제2 수직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는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배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입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Trench with trap sturucture for blocking bad smell}
본 고안은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가 식당의 주방과, 주방과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이 최초 층간 슬라브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층간 슬라브 상에 시공되는 배수관과 트렌치 및, 콘크리트 몰탈층에 의해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트렌치는 욕실이나 화장실 및 식당, 주방 등의 바닥 배수로 측에 설치되어 바닥을 통해 흘러 유입된 오폐수를 배수로 및 하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 트렌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판(40)(40a)에 의해 사방이 막혀진 상부 개방형의 장방형체로 형성된 트렌치 본체(20)와, 트렌치 본체(20)의 상부측에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21)이 형성된 트렌치 커버(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는 트렌치 커버(30)를 트렌치 본체(20)에 결합하기 위한 상단절곡부이고, 50은 배수관이다.
한편, 상가 건물의 식당 주방은 주방에 인접한 홀 등의 실내공간의 바닥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주방과,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면 경계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단턱부는 식당 종업원 등이 홀에서 주방으로 이동할 때 부주의로 걸려 넘어지거나 주방에서 홀로 이동할 때 갑자기 낮아진 높이로 발을 헛딛어 넘어지게 됨으로써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을 노출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단턱부는 최초 주방과, 주방에 인접한 홀 등의 실내공간의 바닥면이 동일 높이의 평면으로 형성된 층간 슬라브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바닥면에 배수관 및 트렌치, 콘크리트 몰탈층이 층간 슬라브 위에 설치 및 타설됨으로써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되나, 원형관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배수관과 동일하게 트렌치 본체에 원형관 형태의 단면으로 입수구 또는 배수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주방의 단턱부 높이를 줄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의 경우에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의 단면이 상.하 폭보다 길이가 긴 직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수구를 원형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트렌치 본체의 전체적인 단면 높이도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단턱부의 높이를 줄이는 것이 불가능해 단턱부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122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6765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0-002004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8619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가 식당의 주방과, 주방과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이 최초 층간 슬라브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층간 슬라브 상에 시공되는 배수관과 트렌치 및, 콘크리트 몰탈층에 의해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주방에 인접한 실내공간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의 한 형태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와,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을 갖는 트렌치 커버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의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는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된 저수공간부의 내부에 서로 교호되게 상부측 제1 수직격벽과 하부측 제2 수직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는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배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입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구는 악취 차단용 제2 수직격벽보다 낮은 배수구 높이를 가지며, 악취 차단용 트랩부 폭에 대응되는 배수구 폭을 갖는 배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수구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입수구 높이는 트렌치 본체 높이에 근접하며, 입수구 폭은 트렌치 본체 폭에 대응되는 입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와,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을 갖는 트렌치 커버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의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는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된 저수공간부의 내부에 서로 교호되게 상부측 제1 수직격벽과 하부측 제2 수직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는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배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입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가 식당의 주방과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이 최초 층간 슬라브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층간 슬라브 상에 시공되는 배수관과 트렌치 및, 콘크리트 몰탈층에 의해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형성된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식당 종업원 등이 홀에서 주방으로 이동할 때 부주의로 단턱부에 걸려 넘어지거나 주방에서 홀 등으로 이동할 때 갑자기 낮아진 높이로 발을 헛딛어 넘어지게 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렌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수구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입수구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및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110)와, 상기 트렌치 본체(110)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120a)을 갖는 트렌치 커버(120)로 구성된다. 또한 트렌치 본체(110)는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는 트렌치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가 흘러 채워지는 저수공간부(131)와, 상기 저수공간부(131)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상부측에 형성되는 제1 수직격벽(132) 및, 상기 제1 수직격벽(132)과 간격을 두고 교호되게 저수공간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제2 수직격벽(133)으로 이루어지고, 저수공간부(131)는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어 트렌치 본체(110)와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트렌치 본체(110)와 트렌치 커버(120)의 결합은 통상의 볼트 체결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트렌치 본체(110)와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는 각각 오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50)와, 오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4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오수가 원활하게 트렌치 본체(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오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입수구(150)는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배수구(140) 역시 악취제거용 트랩부(13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입수구(150) 및 배수구(140)를 배수관과 동일한 원형관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트렌치 본체(110)의 전체적인 단면 높이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주방과 홀 등의 인접한 실내공간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의 높이를 낮출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렌치 본체(110) 및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에 일체로 형성된 입수구(150) 및 배수구(140)를 높이는 낮고 폭은 넓은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기존에 입수구 및 배수구를 원형관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했을 때와 동일한 배수량을 가지면서 트렌치 본체의 전체적인 높이를 최소화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수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입수구 장공(150a)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오수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부가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입수구 높이(A1)는 입수구가 오수가 유입되는 부분인 것을 감안하여 트렌치 본체 높이(B1)에 근접하며, 입수구 폭(A2)은 트렌치 본체 폭(B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결국 입수구(150)는 직사각 형태를 이루는 트렌치 본체(110)의 단면 전체에 걸쳐 타원형의 입수구 장공(150a)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오수의 유입량 및 유입능력을 극대화한 것이다. 배수구(140) 역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배수구 장공(140a)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오수가 배수구(140)를 통해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감안할 때, 입수구(150)와 같이 트렌치 본체(110)의 단면 전체를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고, 적정 배수량 및 배수능력을 가지면서 악취가 트랩부(13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해야만 된다. 따라서, 배수구 높이(D1)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전체 악취 차단용 트랩부 높이(T1)에서 제2 수직격벽(133)보다 다소 낮은 높이로 형성되고, 배수구 폭(D2)은 악취 차단용 트랩부 폭(T2)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결국 배수구(140)는 배수량 및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배수구 폭(D2)을 악취 차단용 트랩부 폭(T2)에 대응되게 형성하고, 악취가 트랩부(13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배수구(140)와 입수구(150)를 타원형의 장공 형태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됨이 없이 최소 높이와 폭 넓은 장공 형태를 이루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트렌치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 오수유입공(120a)과, 주방의 바닥면 배수관과 연결된 입수구(150)를 통해 트렌치 본체(110)의 내부로 오폐수가 유입 및 집수된다. 이렇게 트렌치 본체(110)의 내부에 유입 및 집수된 오폐수는 다시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저수공간부(131) 측으로 흘러 저수공간부(131)를 채우게 된다. 이에 따라 배수구(140)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는 저수공간부(131) 내부에 교호되게 형성된 제1 수직격벽(132) 및 제2 수직격벽(133)과 저수공간부(131)에 채워진 오폐수에 의해 차단되고, 저수공간부(131) 내부의 오폐수는 배수구(140)를 통해 하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수구(140)는 높이가 낮은 대신에 폭이 넓은 타원형의 장공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으로 되었을 때와 동일한 배수량 및 배수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며, 배수구(140)를 통해 오폐수의 악취가 트렌치 본체의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와, 상기 트렌치 본체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을 갖는 트렌치 커버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의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는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된 저수공간부의 내부에 서로 교호되게 상부측 제1 수직격벽과 하부측 제2 수직격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는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배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입수구 장공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가 식당의 주방과 인접한 실내공간 사이의 바닥이 최초 층간 슬라브에 의해 서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으로 시공되었다가 주방의 층간 슬라브 상에 시공되는 배수관과 트렌치 및, 콘크리트 몰탈층에 의해 주방의 바닥면이 높아져 형성된 단턱부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식당 종업원 등이 홀에서 주방으로 이동할 때 부주의로 단턱부에 걸려 넘어지거나 주방에서 홀 등으로 이동할 때 갑자기 낮아진 높이로 발을 헛딛어 넘어지게 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 트렌치 본체
B1: 트렌치 본체 높이 B2: 트렌치 본체 폭
120: 트렌치 커버 120a: 오수유입공
130: 악취 차단용 트랩부
131: 저수공간부 132: 제1 수직격벽
133: 제2 수직격벼 T1: 악취 차단용 트랩부 높이
T2: 악취 차단용 폭
140: 배수구
140a: 배수구 장공 D1: 배수구 높이
D2: 배수구 폭
150: 입수구
150a: 입수구 장공 A1: 입수구 높이
A2: 입수구 폭

Claims (3)

  1.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체로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개방된 트렌치 본체(110)와, 상기 트렌치 본체(110)의 상부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판 상의 덮개 형태를 이루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오수유입공(120a)을 갖는 트렌치 커버(120)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본체(110)의 일측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는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된 저수공간부(131)의 내부에 서로 교호되게 상부측 제1 수직격벽(132)과 하부측 제2 수직격벽(133)으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에 서로 연이어 통하는 배수구(140)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구(140)는 하부가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배수구 장공(150a)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140)는 제1 수직격벽(132)보다 높고, 제2 수직격벽(133)보다 낮은 배수구 높이(D1)를 가지며,
    상기 악취 차단용 트랩부(130)의 반대쪽 트렌치 본체(110)에 입수구(150)가 형성되고, 상기 입수구(150)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입수구 장공(150a)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입수구(150)는 트렌치 본체 높이(B1)보다 낮고, 제1 및 제2 수직격벽(132, 133)보다 높은 입수구 높이(A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40)는 악취 차단용 트랩부 폭(T2) 보다 작은 배수구 폭(D2)을 갖는 배수구 장공(140a) 형태로 형성되되, 각 가장자리가 라운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150)는 하부가 트렌치 본체(110)의 바닥면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입수구 폭(A2)은 트렌치 본체 폭(B2) 보다 작은 입수구 장공(150a) 형태로 형성되되, 각 가장자리가 라운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KR2020180001359U 2017-08-17 2018-03-29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KR2004872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58 2017-08-17
KR2020170004357 2017-08-17
KR20170004357 2017-08-17
KR20170004358 2017-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23Y1 true KR200487223Y1 (ko) 2018-08-27

Family

ID=6340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359U KR200487223Y1 (ko) 2017-08-17 2018-03-29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23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42U (ko) 1999-04-27 2000-11-25 박제형 플로어힌지
JP2002088842A (ja) * 2000-09-19 2002-03-27 C I Kasei Co Ltd 排水管
KR20080008619A (ko) 2006-07-20 200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2439B1 (ko) *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20100112277A (ko) 2009-04-09 2010-10-19 홍사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67653A (ko) 2010-12-16 2012-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카메라 모듈
KR20150096630A (ko) * 2015-06-16 2015-08-25 임진권 방수형 이중 그리스 트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42U (ko) 1999-04-27 2000-11-25 박제형 플로어힌지
JP2002088842A (ja) * 2000-09-19 2002-03-27 C I Kasei Co Ltd 排水管
KR20080008619A (ko) 2006-07-20 200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2439B1 (ko) * 2007-11-19 2009-02-06 이우진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20100112277A (ko) 2009-04-09 2010-10-19 홍사문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목구조물의 원격 자동 계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67653A (ko) 2010-12-16 2012-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3차원 입체 카메라 모듈
KR20150096630A (ko) * 2015-06-16 2015-08-25 임진권 방수형 이중 그리스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9647B1 (en) Drain
KR200487223Y1 (ko)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JP4797205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6328772A (ja) 浴室ユニット
JP4441616B2 (ja) 排水トラップ
JP4617415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100882439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20070008842A (ko) 배수트랩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20110119153A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JP5158618B2 (ja) 排水構造及び仕切部材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KR101967854B1 (ko) 배수트렌치 구조
EP1464768A2 (en) Floor drain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447783Y1 (ko)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JP6303098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EP2302143B1 (en) Gutter drain
JP5355727B2 (ja) 排水構造
JP5629857B2 (ja) 排水器
JP2676593B2 (ja) トラップ付き下水升
KR200239509Y1 (ko) 배수구 커버
JP2023078609A (ja) 合流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