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56Y1 -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56Y1
KR200486956Y1 KR2020160000600U KR20160000600U KR200486956Y1 KR 200486956 Y1 KR200486956 Y1 KR 200486956Y1 KR 2020160000600 U KR2020160000600 U KR 2020160000600U KR 20160000600 U KR20160000600 U KR 20160000600U KR 200486956 Y1 KR200486956 Y1 KR 200486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rame
moving
loading plate
h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838U (ko
Inventor
남남기
Original Assignee
남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남기 filed Critical 남남기
Priority to KR2020160000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5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4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e.g. magazine, being pivotal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적재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부정한 방법에 의해 경품게임장치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더라도 그 적재 플레이트 위에 있는 경품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Load plate of Gift game device}
본 고안은 적재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품게임장치가 충격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좌우로 요동을 치더라도 경품이 놓인 적재 플레이트가 고정된 자세를 유지하여 경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련의 조작버튼을 이용하여 기계장치를 움직여서 경품을 획득하는 경품게임장치가 인기를 얻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즐기면서 경품을 획득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경품게임장치는 비치되어 있는 경품을 직접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방식과 별도의 게임을 통해 경품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모두 경품게임장치에는 다양한 경품이 전시되어 있어야 한다.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은 복수 개의 적재 플레이트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대부분이 직육면체의 패널 형태로 구성되고, 경품획득방법은 별도의 기계장치(예컨대, 로봇 팔)가 적재 플레이트의 일단을 잡아당기거나 밀도록 조작하여 적재 플레이트를 경사지게 하여 경품이 떨어지게 한다. 또는 기계장치를 움직여서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을 직접 접촉하여 떨어뜨려서 획득할 수도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품게임장치에 구성된 적재 플레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경품게임장치가 흔들리는 경우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이 쉽게 아래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경품이 부정한 방법으로 외부로 인출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예를 들면, 정당하게 게임을 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단지 경품게임장치의 본체를 잡고 좌우로 흔드는 행위만으로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이 떨어져서 손쉽게 이를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경품게임장치가 대부분 경품이 하측으로 떨어지면 바로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20-2010-0005013호(2010. 05. 14. 경품배출게임장치)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부정한 행위에 의하여 경품게임장치를 흔들거나 경품게임장치가 충격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적재 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경품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서의 적재 플레이트는 경품게임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경품게임장치 이외에 위에 물건을 수용하고 별도의 조작에 따라 물건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게임경품장치의 적재 플레이트에 있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소정 높이의 전/후/좌/우 면과 경품이 놓이는 저면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저면이 개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일단과 고정된 상태에서 소정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서 벗어나게 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상기 경품이 하방향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저면은, 일단이 하방향을 향해 경사지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의 좌/우측에는 저면이 절개된 걸이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 프레임과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구간만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이동 브라켓의 하방에 위치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 이동브라켓 및 회동 브라켓의 협력에 의해 상기 제2 프레임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길이 방향의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쪽 끝에서 수직되게 절곡된 제2면; 상기 제2면의 끝단에서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우 내면과 결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브라켓은, 길이 방향의 제1-1면; 상기 제1-1면의 양쪽 끝에서 수직되게 절곡된 제2-1면; 상기 제2-1면의 끝단에서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1면; 상기 제1-1면과 제3-1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 바; 및 상기 제2-1면의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에 따라 상기 제3면과 상기 제3-1면 사이 구간만큼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과 결합하는 양단의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의 연장부 일부를 수용하면서 연장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절개부; 및 상기 걸이 홈에 수용되는 걸이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의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동 브라켓에 제공된 손잡이가 당겨지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이동한 다음 상기 고정 브라켓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한 시점에, 상기 회동 브라켓이 회동하여 상기 걸이 홈에서 상기 걸이 돌기가 이탈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에 의하면, 경품이 놓이는 적재 플레이트를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그리고 고정 브라켓, 이동 브라켓 및 회동 브라켓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로봇팔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 브라켓의 걸이 돌기가 제1 프레임의 걸이 홈에서 이탈되는 시점에 상기 제2 프레임이 제1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경품이 떨어지도록 구조를 개선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구성에 따라 경품게임장치를 흔들거나 기울어지게 하더라도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 또는 부정한 방법에 의해 경품게임장치를 흔들어서 경품을 취득하려는 방안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업자의 매출이 부정하게 감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경품게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적재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저면 사시도
도 4는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이 함께 이동하는 시점에서의 회동 브라켓의 동작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고안은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이 놓이는 적재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경품게임장치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려도 경품이 적재 플레이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경품게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품게임장치는 외관과 골격이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100)로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본체(100)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일 뿐 내부에 상품을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체(100)는 대략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하나는 본체(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영역(110)으로, 하부영역(110)의 전면에는 레버 및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112)가 구성되고, 아울러 코인부(114) 및 배출구(116) 등이 구성된다. 아울러 하부영역(110) 내부에는 조작부(112) 및 코인부(114) 등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경품게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하부영역(110) 위에는 상부영역(120)이 형성된다. 상부영역(120)은 전면 및 좌/우측 면을 포함하는 3면에 투시창(121)이 형성되며, 도어식으로 상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각종 상품 등이 놓이는 적재 플레이트(130)가 적재 프레임에 의해 다수 개 연결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게임이 진행되면 적재 플레이트(130) 위에 있던 상품이 하방으로 떨어져서 고객이 직접 인출할 수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영역(120)은 상품적재유닛(120)이라 할 수 있고, 이에 이하에서는 이를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영역(120)과 하부영역(110) 사이는 경계면(A)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경계면(A)은 상품적재유닛(120)에서 떨어지는 상품이 배출구(116)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예컨대, 깔때기 구조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적재 플레이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저면 사시도, 도 4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 플레이트(130)는 제1 프레임(210)이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제1 프레임(210)은 상기 적재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1 프레임(210)의 저면 일단은 하방향으로 경사지는 안내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부(212)는 저면에 놓인 상품이 이동하면서 하방향으로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절개부(212)의 좌/우측에는 걸이 홈(214)이 형성된다. 걸이 홈(214)에는 후술하는 걸이 돌기가 삽입/이탈되게 된다.
제1 프레임(210) 내에는 소정 동작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프레임(220)이 수용된 상태로 장착된다. 제2 프레임(220)은 저면이 개방된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 제1 프레임(210)의 저면에 놓인 경품도 함께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220)의 후면이 제1 프레임(210)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경품은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210)에서 제2 프레임(220)이 완전하게 이탈하면 안되기 때문에 제2 프레임(220)이 제1 프레임(210)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 사이에 스토퍼와 같은 제한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제2 프레임(220)의 전면에는 고정 브라켓(230)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230)은 제2 프레임(220)과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230)은 위에서 봤을 때 좌/우가 대략 ㄷ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길이 방향의 제1면(231)과, 제1면(231)의 양쪽 끝에서 수직되게 절곡된 제2면(232)과, 그리고 제2면(232)의 끝단에서 제1면(2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면(2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면(232)이 제2 프레임(220)의 좌우 내면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제3면(233)에는 후술하는 고정 샤프트(246)의 일단이 결합한다.
고정 브라켓(230)의 제1면(231)에는 이동 브라켓(240)이 결합한다. 이동 브라켓(240)은 그 형상이 고정 브라켓(230)과 유사하다. 즉 제1-1면(241), 제2-1면(242), 제3-1면(243)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 브라켓(240)은 고정 브라켓(230) 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고정 브라켓(230)의 제1면(231)과 제3면(233) 사이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1-1면(241)과 제3-1면(243) 사이에 속이 빈 원통 바(245)가 구성되고, 그 원통 바(245) 내에 고정 샤프트(246)가 위치하는데 상기 고정 샤프트(246)는 고정 브라켓(230)의 제1면(231)과 제3면(233)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그래서 이동 브라켓(240)은 고정 샤프트(246)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 브라켓(240)의 제2-1면(242)은 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연장부(244)가 형성된다.
고정 브라켓(230)의 하측에는 회동 브라켓(250)이 구성된다. 이러한 회동 브라켓(250)은 양단의 힌지부(251)와, 힌지부(251)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부(252)와, 상기 연결부(252)의 양단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동 브라켓(240)의 연장부(244) 일부를 수용하면서 연장부(244)의 일면과 접촉하는 절개부(253), 그리고 상기 걸이 홈(214)에 수용되는 걸이 돌기(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52)는 측면에서 봤을 때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이동 브라켓(240)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회동 브라켓(250)이 일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연장부(244)가 절개부(253)를 용이하게 밀어 회동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회동 브라켓(250)의 구조에 따르면 걸이 홈(214)에 걸이 돌기(254)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이동 브라켓(240)의 이동은 제한되고, 걸이 홈(214)에서 걸이 돌기(254)가 이탈되면 이동 브라켓(24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질적으로 제2 프레임(22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의 작용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 브라켓(240)에는 손잡이(260)가 연결된다. 손잡이(260)는 고객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기계장치, 예를 들면 로봇 팔이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는 상기한 적재 플레이트가 채용된 경품게임장치에서 경품을 인출하기 위한 작용을 설명한다.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프레임에는 다수 개의 적재 플레이트(1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 플레이트(130)에는 서로 같은 경품 또는 다른 경품들이 놓여져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고객이 게임을 시작한다. 게임 시작은 고객이 코인부(114)에 일정 금액을 넣고 조작부(112)에 마련된 레버 및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레버 및 버튼을 조작하면 기계장치로 볼 수 있는 로봇팔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경품과 대응하는 위치에 로봇팔을 이동시키면 그 다음에는 로봇팔을 경품 방향을 향하여 그 길이를 연장시켜 로봇팔의 끝단에 마련된 집게가 손잡이(260)를 파지하도록 한다.
집게가 손잡이(260)를 잡을 때까지 걸이 돌기(254)는 걸이 홈(214) 내에 걸려있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제2 프레임(220)은 제1 프레임(210) 내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이에 제1 프레임(210) 안에 놓인 경품은 원래 위치를 유지한다. 즉 도 5a와 같다. 그리고 이 경우 외부의 충격 또는 부정하게 경품게임장치의 본체(100)를 흔들거나 기울어지게 하더라도 제1 프레임(210)이나 제2 프레임(220)을 형성하고 있는 전후면과 좌우측면의 높이로 인하여 경품은 밖으로 이탈하거나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물론 본체(100)를 완전하게 뒤집는 경우라면 경품이 이탈하겠지만 이러한 경우는 예외로 해야 할 것이다.
로봇팔을 구동시켜 손잡이(260)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고정 브라켓(230)의 1면(231)과 3면(233) 사이에 장착된 고정 샤프트(246)의 외주면을 따라 원통 바(245)가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이동 브라켓(24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까지 걸이 홈(214)에서 걸이 돌기(254)는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 프레임(220)도 고정된 상태이다.
이동 브라켓(240)의 이동에 따라 이동 브라켓(240)의 연장부(244)는 회동 브라켓(250)의 절개부(253)를 이동 브라켓(240)의 이동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이동 브라켓(240)의 연장부(244)가 절개부(253)를 밀게 되며, 이에 회동 브라켓(250)은 힌지부(251)를 축으로 하여 적재 플레이트(130)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걸이 홈(214)에 수용된 걸이 돌기(254)가 빠지게 된다. 이런 상태를 도 6에 도시하였다.
그러면 걸이 돌기(254)가 걸이 홈(214)에서 이탈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프레임(220)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로봇팔의 구동에 따라 손잡이(260)를 계속 당기면 고정 브라켓(230)의 제3면(233)과 이동 브라켓(240)의 3-1면(243)이 접촉하게 되고, 이에 고정 브라켓(230)과 연결된 제2 프레임(220)이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제1 프레임(210) 내에서 제2 프레임(220)은 빠지게 되며,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제1 프레임(210)의 저면에 놓인 경품은 제2 프레임(220)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프레임(220)이 제1 프레임(210)의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면, 경품을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이 없어지게 되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품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아래로 떨어진 경품은 고객이 배출구(116)를 통해 꺼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경품은 고객이 획득하게 된다. 이후 과정은 반대로 진행된다. 즉, 경품이 떨어진 다음에 로봇팔은 다시 구동되어 손잡이(260)를 반대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에 제2 프레임(220)은 원래 상태까지 후퇴하게 되며, 회동 브라켓(250)의 회동에 따라 걸이 홈(214)에 걸이 돌기(254)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계속해서 이동 브라켓(240)이 이동하여 이동 브라켓(240)의 3-1면(243)이 고정 브라켓(230)의 제3면(233)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최초 대기상태가 될 때까지 동작한다. 이렇게 최초 대기상태로 되면 로봇팔의 집게는 손잡이(260)를 해제한 후 처음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경품이 놓인 적재 플레이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경품게임장치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적재 플레이트 위에 놓인 경품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하부영역
112: 조작부 114: 코인부
116: 배출구 120: 상부영역
130: 적재 플레이트 210: 제1 프레임
212: 안내부 214: 걸이 홈
220: 제2 프레임 230: 고정 브라켓
240: 이동 브라켓 244: 연장부
245: 원통 바 246: 고정 샤프트
250: 회동 브라켓 251: 힌지부
252: 연결부 253: 절개부
254: 걸이 돌기 260: 손잡이

Claims (7)

  1. 게임경품장치의 적재 플레이트에 있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소정 높이의 전/후/좌/우 면과 경품이 놓이는 저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면에는 일단이 하방향을 향해 경사져서 저면에 놓인 상품이 이동하면서 하방향으로 쉽게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좌/우측 저면이 절개되어 걸이돌기가 삽입 또는 이탈되도록 걸이 홈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저면이 개방된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내에 설치되어 정해진 구간만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이동 브라켓의 하방에 위치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며,
    로봇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동 브라켓에 제공된 손잡이가 당겨지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정해진 구간만 이동한 다음 상기 고정 브라켓과 함께 이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상기 회동 브라켓이 회동하면서 상기 걸이 홈에서 상기 걸이돌기가 이탈하면, 상기 제2 프레임이 상기 제1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개방된 저면을 통해 경품이 하방향으로 떨어지고,
    상기 걸이 홈에 걸이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브라켓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걸이 홈에서 걸이돌기가 이탈되면 상기 이동 브라켓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길이 방향의 제1면;
    상기 제1면의 양쪽 끝에서 수직되게 절곡된 제2면;
    상기 제2면의 끝단에서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3면 사이에 구성되는 고정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면이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우 내면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브라켓은,
    길이 방향의 제1-1면;
    상기 제1-1면의 양쪽 끝에서 수직되게 절곡된 제2-1면;
    상기 제2-1면의 끝단에서 상기 제1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3-1면;
    상기 제1-1면과 제3-1면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부를 감싸는 원통 바; 및
    상기 제2-1면의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3면과 상기 제3-1면 사이 구간만큼만 이동하는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과 결합하는 양단의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양단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 브라켓의 연장부 일부를 수용하면서 연장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절개부; 및
    상기 걸이 홈에 수용되는 걸이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회동 브라켓의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7. 삭제
KR2020160000600U 2016-02-01 2016-02-01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KR200486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00U KR200486956Y1 (ko) 2016-02-01 2016-02-01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600U KR200486956Y1 (ko) 2016-02-01 2016-02-01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38U KR20170002838U (ko) 2017-08-09
KR200486956Y1 true KR200486956Y1 (ko) 2018-07-17

Family

ID=6062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600U KR200486956Y1 (ko) 2016-02-01 2016-02-01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5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099Y1 (ko) * 2000-02-02 2000-07-15 주식회사에넥스 서랍장
JP4348695B2 (ja) * 2003-10-31 2009-10-21 株式会社セガ 景品取得ゲーム機
KR101335568B1 (ko) * 2012-08-07 2013-12-02 주식회사 안다미로 경품 획득 게임기 및 그 게임 제어방법
KR20150120062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더드림샵 경품게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013U (ko) 2008-11-06 2010-05-14 송희석 경품배출 게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099Y1 (ko) * 2000-02-02 2000-07-15 주식회사에넥스 서랍장
JP4348695B2 (ja) * 2003-10-31 2009-10-21 株式会社セガ 景品取得ゲーム機
KR101335568B1 (ko) * 2012-08-07 2013-12-02 주식회사 안다미로 경품 획득 게임기 및 그 게임 제어방법
KR20150120062A (ko) * 2014-04-17 2015-10-27 주식회사 더드림샵 경품게임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4348695호(2009.10.2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38U (ko)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7707B (zh) 游戏机
KR101624417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JP2021171370A (ja) 遊技機
US20130280987A1 (en) Toy Vehicle Launcher
KR200486956Y1 (ko)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JP2008220878A (ja) 弾球遊技機
JP3984581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6244692B2 (ja) ゲーム機
JP2005304963A (ja) 遊技機
JP6228074B2 (ja) 駒体移送玩具
KR101937957B1 (ko) 뽑기기계
JP4040005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1604550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KR20150001545U (ko) 경품 게임 장치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KR102166926B1 (ko) 낚시형 경품게임장치
JP4038254B2 (ja) コインゲーム機のコイン皿
KR200444021Y1 (ko) 오락기용 상품 자동 배출장치
JP7305149B2 (ja) 家庭用クレーンゲーム機
JP6649440B2 (ja) 家庭用景品払出しゲーム機
JP5419126B2 (ja) 景品自動パッケージ機能を備えたクレーンゲーム機
JP433664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00153054A (ja) ゲーム装置
JPH0618078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