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15Y1 - 휴대형 소형 건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소형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15Y1
KR200486715Y1 KR2020170005465U KR20170005465U KR200486715Y1 KR 200486715 Y1 KR200486715 Y1 KR 200486715Y1 KR 2020170005465 U KR2020170005465 U KR 2020170005465U KR 20170005465 U KR20170005465 U KR 20170005465U KR 200486715 Y1 KR200486715 Y1 KR 200486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pipe
shoe
ai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호건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니픽셀
주식회사 여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니픽셀, 주식회사 여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니픽셀
Priority to KR2020170005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 신발 등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으며 휴대하면서 여행지 등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내부에 발열부 및 송풍팬이 설치되며, 좌우 양측면에 제1송풍구가 마련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송풍구에 마련되는 연결단관; 상기 연결단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관체로서 상기 제1송풍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을 하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마련되는 연장관; 건조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조기 본체를 매달아놓기 위한 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소형 건조기{Portable Dryer For Clothes}
본 고안은 휴대형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의류, 신발 등을 간단하게 건조할 수 있으며 휴대하면서 여행지 등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식품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에서부터 빨랫감을 건조시키기 위한 것까지 여러 형태의 건조기가 사용된다. 본 고안은 생활용품으로서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건조기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은 헤어드라이어일 것이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여 의류나 신발을 건조시키기는 어렵다.
의류나 신발을 건조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이하 예시되는 것과 같은 커다란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42586호는 하우징과,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 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건조통과, 개방되어 있는 건조통의 전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지지판과, 전방지지판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상기 전방지지판의 테두리측에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를 포함한 것으로, 보강리브는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방지지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래킷을 보강리브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할 수 있게 되어 고정브래킷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의류 건조기를 제안한다.
또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28397호는 내부에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드럼에서 나오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수단; 상기 열교환수단에서 공기를 냉각하여 생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펌프; 상기 본체의 저면 중 상기 열교환수단의 하부에서 상기 펌프로 응축수가 이동되는 응축수 유로; 상기 응축수 유로상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한다. 이는 의류건조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처리하여 의류건조기의 내부 장치가 영향을 받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01233호는 건조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의류건조기에 설치된 제 1배기덕트와 상기 제 1배기덕트에 연결되는 제 2배기덕트와 상기 제 1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제 1배기덕트와 제 2배기덕트를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를 제 1배기덕트에 결합하며 제 2배기덕트가 일정길이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를 제안한다.
이처럼 종래에는 건조장치가 커서 휴대하고 다니는 것은 불가하였다. 일반가정에서 세탁기 외에 건조기까지 구비하는 것은 여러모로 부담스럽기도 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4258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28397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101233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여행지나 출장지에서 신발이나 의류를 자신의 필요에 따라 건조시킬 수 있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적은 전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의복이나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살균 기능까지도 발휘할 수 있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내부에 발열부 및 송풍팬이 설치되며, 좌우 양측면에 제1송풍구가 마련되고, 중앙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마련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송풍구에 마련되는 연결단관; 건조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조기 본체를 매달아놓기 위한 후크; 를 포함하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바닥판에 제2송풍구가 마련되되, 상기 제2 송풍구는 스트립을 통해 건조기 본체, 또는 연결단관, 또는 연장관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건조기 본체 내부에 진동발생기가 설치되어, 건조하고자 하는 의류나 신발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단관에는 상의를 건조하는 연장관, 또는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건조부가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연장관은, 상의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관에 끼움 결합되며,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종단면이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송풍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을 하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건조부는, 상기 연결단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장되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3송풍구를 제공하는 노즐; 을 포함하며, 신발을 커버하는 신발커버를 더 구비하되, 신발커버에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담을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관은 상기 상의를 뒤집어씌울 수 있는 상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커버 내부에는 방향제가 담길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여행지, 출장지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건조기는 사용 형태에 따라 의류, 신발 등 개인소지품을 건조, 탈취, 살균, 소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공급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부담없이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효과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구체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소형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소형 건조기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소형 건조기의 건조기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소형 건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휴대형 소형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10) 및 여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보조기구를 포함한다. 보조기구는 사용대상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으며 2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건조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발열부 및 송풍팬이 설치된다. 건조기 본체(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제1송풍구(17)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2)가 마련된다.
건조기 본체(10)의 바닥판에는 제2송풍구(16)가 더 마련될 수 있다(도 2 참조). 제2송풍구(16)는 분실방지를 위해 스트립(41)을 통해 일단(42)이 건조기 본체(10), 연결단관(15) 또는 연장관(20)에 연결되는 마개(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스트립(41)의 고정을 위해 연장관(20)에는 일단(42)이 끼워지는 걸림홈(24)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시 마개(40)를 열어 제2송풍구(16)를 통해서도 온풍이 나오게끔 할 수 있다.
발열부는 저전력이 사용되며 높은 열효율을 가지며 사용상 안전한 장점을 가진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공기유입구(12)를 통해 화살표 방향(A1)으로 유입된 공기는 가열된 상태로 제1,2송풍구(16,17)를 통해 화살표(A2,A3,A4) 방향을 따라 빠져나가게 된다.
발열부과 송풍팬은 외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기동하며, 이를 위해 전원공급선(14)이 건조기 본체(10)에 연결된다. 건조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전원스위치(11) 내지 모드 선택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단관(15)이 건조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송풍구(17)에 각각 설치된다. 이 연결단관(15)은 건조기 본체(10)에 일체형으로 마련된다. 연결단관(15)은 소정의 각도로 하향되게끔 돌출 연장된다.
보조기구 중 하나로서 관체로 된 한 쌍의 연장관(20)이 연결단관(15)에 찰칵하면서 끼움 결합된다. 연장관을 구성하는 관체(21)는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종단면이 옷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되어 있다. 상의와의 부분적인 접촉을 위해 연장관의 관체(21)의 표면은 요철면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전체 면적에 걸쳐 작은 구멍이 군데군데 타공될 수도 있다. 온풍이 잘 소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장관(20)의 바닥판에는 제1송풍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을 하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2)가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다(도 2 참조). 연장관(20)은 옷걸이의 어깨 지지대와 유사한 방향으로 하향 연장된다.
건조기 본체(10)의 상단에는 건조기 본체(10)를 봉, 끈 또는 갈고리 등에 걸어놓거나 매달아놓기 위한 후크(13)가 설치된다. 결국 본 고안의 건조기는 외형상 일반적인 옷걸이, 특히 상의를 걸어놓기 위한 옷걸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물론 상의를 거치하는 방법도 같다.
연결단관(15)과 연장관(20)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안출될 수 있다. 가정용 진공청소기에서와 같이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탄성적으로 거동하는 클립(15a)이 연결단관(15)의 저부에 마련되고, 이 클립(15a)이 찰칵하면서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홈(23)이 연장관(20)의 관체(21) 저부에 마련될 수 있다(도 2,3 참조).
연장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의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장관(20)의 바닥판에서 나오는 온풍은 상의의 내부를 가열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온풍은 반 밀폐된 상의 내부에 오래 잔류하면서 효과적으로 상의를 건조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시 제2송풍구(16)까지 개방함으로써 건조능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양쪽 연결단관(15) 또는 연장관(20)의 바닥판에는 바지, 손수건 등을 잡을 수 있는 집게(미도시됨)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집게를 이용하여 바지걸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하의를 건조기 본체(10)에 걸어놓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2송풍구(16)를 통해 온풍을 공급하면 바지도 쉽게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1송풍구(17)가 필요없을 수도 있는데, 제1송풍구(17)를 폐쇄시킬 수 있는 마개 또는 밸브(미도시됨)가 연결단관(15)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의(C)를 감쌀 수 있는 상의커버(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의커버(50)의 내측에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주머니(52)가 마련될 수 있다. 상의커버(50)를 씌운 상태에서 건조기를 작동하게 되면 상의(C)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의 영향을 받아 냄새가 제거되거나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의커버에는 건조기 본체(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또는 그와의 저촉을 방지하기 위한 패임부(51)가 마련된다.
이하, 보조기구의 다른 예로서 신발건조부(30)를 설명한다.
신발건조부(30)는 연결단관(15)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연결관(31)과, 연결관에 연장되는 주름관(32)과, 주름관(32)의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33)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33)은 신발(S)의 내부에 끼워지며 주름관(32)은 신발(S)의 내부 형태에 알맞게 구부러진 채로 신발(S)에 끼워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주름관(32)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송풍구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33)은 좁은 신발에 끼워질 수 있도록 컵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넓은 제3송풍구(33a)를 제공한다. 연결관(20)과 연결단관(15)의 결합구조는 연장관(20)과 연결단관(15)의 결합구조와 같다.
전술한 상의커버(50)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발커버(60)도 제공될 수 있다. 신발커버(60)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담을 수 있는 수납주머니(6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 본체(10)는 온풍을 포함하여 냉풍도 송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작용을 위한 음이온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음이온을 각 송풍구를 통해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건조기는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타이머가 설치되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적으로 기능을 정지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조기는 건조기 본체(10)에 어떤 형태의 보조기구를 연결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결단관(15)은 접이식 또는 조립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후크(13) 역시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건조기본체(10)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연장관(20)은 스코프식 안테나처럼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기 본체(10) 또는 연결단관(15)에 진동이 가해지도록 진동발생기가 건조기 본체(1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 진동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진동은 의류나 신발로 전달되어 보다 신속한 건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진동은 간헐적 진동도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건조기 본체 11 : 전원스위치
12 : 공기유입구 13 : 후크
15 : 연결단관 16 : 제2송풍구
17 : 제1송풍구 20 : 연장관
21 : (연장관) 관체 30 : 신발건조부
32 : 자바라 33 : 노즐
50 : 상의커버 52,61 : 수납주머지
60 : 신발커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부에 발열부 및 송풍팬이 설치되며, 좌우 양측면에 제1송풍구가 마련되고, 중앙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가 마련되는 건조기 본체; 상기 건조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제1송풍구에 마련되는 연결단관; 건조기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조기 본체를 매달아놓기 위한 후크; 를 포함하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 본체의 바닥판에 제2송풍구가 마련되되, 상기 제2 송풍구는 스트립을 통해 건조기 본체, 또는 연결단관, 또는 연장관에 연결되는 마개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건조기 본체 내부에 진동발생기가 설치되어, 건조하고자 하는 의류나 신발로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단관에는 상의를 건조하는 연장관, 또는 신발을 건조하는 신발건조부가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되,
    상기 연장관은,
    상의를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단관에 끼움 결합되며, 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종단면이 반구형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마련되며, 상기 제1송풍구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을 하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신발건조부는,
    상기 연결단관에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장되는 주름관; 상기 주름관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3송풍구를 제공하는 노즐; 을 포함하며, 신발을 커버하는 신발커버를 더 구비하되, 신발커버에는 방향제 또는 탈취제를 담을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단관은 상기 상의를 뒤집어씌울 수 있는 상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의커버 내부에는 방향제가 담길 수 있는 수납주머니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소형 건조기.
KR2020170005465U 2017-10-24 2017-10-24 휴대형 소형 건조기 KR200486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65U KR200486715Y1 (ko) 2017-10-24 2017-10-24 휴대형 소형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465U KR200486715Y1 (ko) 2017-10-24 2017-10-24 휴대형 소형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15Y1 true KR200486715Y1 (ko) 2018-06-22

Family

ID=6274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465U KR200486715Y1 (ko) 2017-10-24 2017-10-24 휴대형 소형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1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25B1 (ko) * 2018-10-31 2019-06-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200490152Y1 (ko) * 2019-01-18 2019-10-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102068356B1 (ko) * 2019-09-17 2020-01-20 한설봉 다용도 건조장치
CN111394971A (zh) * 2020-04-24 2020-07-10 佛山市顺德区南匠电器有限公司 烘干消毒架
KR20210041311A (ko) 2019-10-07 2021-04-15 민병기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소형 건조기
KR2022012081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KR20230072038A (ko) 2021-11-17 2023-05-24 권세영 소형 의류 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896U (ja) * 1991-08-28 1993-03-23 株式会社ハツソウ産業 携帯用ヘアードライヤー兼乾燥器
JP2828632B2 (ja) * 1988-04-25 1998-11-25 松下電工株式会社 乾燥装置
KR20040101233A (ko) 2002-02-18 2004-12-02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멀미방지방법 및 잠재적으로 구역질나게 하는 거동을검출해서 신호로 알리기 위한 장치
KR20060042586A (ko)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차량용 충전장치
KR20110028397A (ko) 2008-07-15 2011-03-17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동공 역학을 이용함으로써 가조절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된 초점 심도 〔edof〕 렌즈
KR101321013B1 (ko) * 2012-02-17 2013-10-23 유상필 의류 건조기
CN106811946A (zh) * 2016-10-31 2017-06-09 广东探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烘干衣架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632B2 (ja) * 1988-04-25 1998-11-25 松下電工株式会社 乾燥装置
JPH0521896U (ja) * 1991-08-28 1993-03-23 株式会社ハツソウ産業 携帯用ヘアードライヤー兼乾燥器
KR20040101233A (ko) 2002-02-18 2004-12-02 네덜란제 오르가니자티에 포오르 토에게파스트-나투우르베텐샤펠리즈크 온데르조에크 테엔오 멀미방지방법 및 잠재적으로 구역질나게 하는 거동을검출해서 신호로 알리기 위한 장치
KR20060042586A (ko) 2004-11-10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차량용 충전장치
KR20110028397A (ko) 2008-07-15 2011-03-17 알콘, 인코퍼레이티드 동공 역학을 이용함으로써 가조절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확장된 초점 심도 〔edof〕 렌즈
KR101321013B1 (ko) * 2012-02-17 2013-10-23 유상필 의류 건조기
CN106811946A (zh) * 2016-10-31 2017-06-09 广东探金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烘干衣架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25B1 (ko) * 2018-10-31 2019-06-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200490152Y1 (ko) * 2019-01-18 2019-10-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102068356B1 (ko) * 2019-09-17 2020-01-20 한설봉 다용도 건조장치
KR20210041311A (ko) 2019-10-07 2021-04-15 민병기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갖춘 소형 건조기
CN111394971A (zh) * 2020-04-24 2020-07-10 佛山市顺德区南匠电器有限公司 烘干消毒架
KR20220120818A (ko) * 2021-02-24 2022-08-31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KR102536399B1 (ko) * 2021-02-24 2023-05-26 주식회사 트래딧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
KR20230072038A (ko) 2021-11-17 2023-05-24 권세영 소형 의류 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715Y1 (ko) 휴대형 소형 건조기
ES2199130T3 (es) Aparato para limpiar y regenerar telas.
US10301766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6411817B2 (ja) 布団乾燥機
KR100662369B1 (ko)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CN205276007U (zh) 一种高频振动式衣物护理机
KR100662364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1992181B1 (ko) 의류 처리 장치
US20080256989A1 (en) Refresher and Machine for Washing or Drying with the Same
WO2012144258A1 (ja) ドライヤー
TWI496968B (zh) 衣物處理裝置
CN102282309A (zh) 衣物处理设备
CN105568639A (zh) 烘干衣架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KR20200037035A (ko) 신발 위생처리장치
JP2010088861A (ja) 洗濯乾燥機
KR20120113644A (ko) 공기 분사 기능을 갖는 세탁물 건조 장치
KR100587330B1 (ko) 세탁물 건조기 및 그의 드라이크리닝 모드를 위한 운전 방법
KR20090109949A (ko)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CN101824737A (zh) 衣物处理装置
KR100530602B1 (ko) 전기열풍방식 빨래건조대
CN105970583B (zh) 烘干晾衣架
KR1013850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CN107447475A (zh) 烘干晾衣架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