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9949A -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 Google Patents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9949A
KR20090109949A KR1020080035463A KR20080035463A KR20090109949A KR 20090109949 A KR20090109949 A KR 20090109949A KR 1020080035463 A KR1020080035463 A KR 1020080035463A KR 20080035463 A KR20080035463 A KR 20080035463A KR 20090109949 A KR20090109949 A KR 20090109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pipe
fire
uni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이에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에프라인 filed Critical (주)이에프라인
Priority to KR102008003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9949A/ko
Publication of KR2009010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9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11)와, 상기 히터(11)에서 가열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복수 개의 송풍관(14)으로 이루어진 발열부(10); 저부에 상기 각 송풍관(14)과 연결되어 방화복으로 가열된 공기를 상측으로 유도하고, 외주변에 복수 개의 분기관(23)이 형성된 유도관(22)과, 상부에 상기 방화복을 고정하는 걸이대(25)와, 상단에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공(26)으로 이루어진 건조부(20); 상기 통기공(26)과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31)가 구비된 배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종 방화복과 방화 장비를 동시에 신속히 건조하는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fire uniform drying mashine}
본 발명은 소방관들이 불을 진압할 때 착용하는 방화복 및 그 용품을 단시간 내에 건조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오존에 의한 살균, 탈취 가능한 소방용 방화복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발생시에는 소방대원들이 긴급 출동하여 소방수를 이용하여 민첩하게 불을 진화하는데, 이 과정에서 소방대원들은 화염에 의한 열기나 유독가스 등에 노출되기 때문에 각종 방화장비를 착용하게 된다.
방화장비는 예컨대 방수 및 내열성을 가진 의류를 비롯하여 방열·방수 장갑과 신발, 헬멧, 살수용 호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방화장비는 진화 과정에서 살수하는 방화수에 의해 젖게 되고, 진화가 완료되어 소방대원들이 소방서로 복귀하면, 상기 방화장비는 젖은 상태 그대로 탈의된다.
젖은 방화복이나 장비를 건조할 수 있는 종래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5258호는 '소방용품(30)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수납선반이 설치되는 본체 내부에 열풍을 순환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킨 후 주기적으로 수증기가 포함된 본체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건조한 외부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 입하여 소방용품을 건조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서랍장에 옷을 넣는 것과 같이 소방복을 접어서 수납선반에 넣은 후 건조하기 때문에 소방복이 신속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소방복을 여러 번 접은 상태에서 건조하므로 접힌 부분이나 서로 맞닿은 부분은 열기와 직접 접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건조하지 않게 되고, 이 경우 건조 과정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착용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헬멧이나 소방호스 신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이를 별도로 건조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각종 방화복(옷, 신발, 장갑 등)을 비롯하여 기타 방화 장비(소방호스, 헬멧 등)까지 동시에 신속히 건조할 수 있는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히터(11)와, 상기 히터(11)에서 가열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복수 개의 송풍관(14)으로 이루어진 발열부(10); 저부에 상기 각 송풍관(14)과 연결되어 방화복으로 가열된 공기를 상측으로 유도하고, 외주변에 복수 개의 분기관(23)이 형성된 유도관(22)과, 상부에 상기 방화복을 고정하는 걸이대(25)와, 상단에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공(26)으로 이루어진 건조부(20); 및 상기 통기공(26)과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31)가 구비된 배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부(10) 및 건조부(20) 사이에 경사진 하판(13)이 개재되고, 하판(13)의 경사진 하단에 개수수단(16)과 연결된 배수구(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송풍관(14)은 하판(1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도관(22)은 상기 송풍관(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기관(23) 상단에 소방용 신발 혹은 장갑 등의 소방용품을 건조시킬 때 넓히기 위한 확장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20)와 분리된 공간으로서, 하부에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제2송풍관(17)이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배기부(30)에 연통된 제2건조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송풍관(17)은 경사진 하판(13)에 고정 설치되고, 하판(13)의 경사진 하단에 개수수단(16)과 연결된 배수구(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화복 건조기에 의하면,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각종 방화복(옷, 신발, 장갑 등)을 비롯하여 기타 방화 장비(소방호스, 헬멧 등)까지 동시에 신속히 건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 탈취도 가능할 수 있게 하여, 이에 따라 긴급 출동 상황에 적의 대처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소방대원들의 위생이 향상되며 사기를 고취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의 외부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는, 하부에 개수수단(16)을 포함하는 발열부(10)와, 상기 발열부(10) 상부에 방화복 혹은 소방용품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부(20) 및 상기 건조부(20) 상부에 조작부(32)를 포함하는 배기부(30)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건조부(20) 측면에는 격판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제2건조부(40) 영역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0)는 공기를 전기저항으로 가열시키는 히터(11)와, 상기 히터(11)에서 가열된 공기를 원하는 곳까지 보내기 위한 송풍기(12)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부(10)와 상기 건조부(20) 사이에 개재된 하판(13)은 발열부(10) 및 건조부(20) 양측 영역의 경계를 이루며,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송풍관(14)은 복수 개(예컨대 5개)가 각각 상기 하판(13)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판(1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설치되고, 경사진 하단 부분에 개수수단(16)과 연결된 배수구(15)를 설치하며, 이에 대한 작용은 후술한다.
상기 건조부(20)는 도 1과 같이 건조부(20) 내에 방화복 및 방화용품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개폐하는 도어(21)와, 상기 각 송풍관(14)에 삽입 형태로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유도관(22)과, 상부에 방화복을 걸 수 있게 하는 걸이대(25)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관(22)은 송풍관(14)에서 방출하는 가열된 공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로서 송풍관(14)에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외면에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의 분기관(23)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유도관(22)과 상기 송풍관(14) 사이의 연결부분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킴 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하게 하는 패킹(29)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관(22)의 상단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이대(25)에 걸린 방화복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불어 넣을 수 있는데, 만약 상기 유도관(22)이 하판(13)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건조부(20) 내에 다공판(미도시)을 수평하게 장착하여 건조부(20)를 여러 층으로 분할한 뒤, 방화복 외의 방화용품을 건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도관(22) 내부로 흐르는 가열 공기는 상기 분기관(23)으로 분기하여 분기관(23)을 통해서도 배출되는데, 상기 분기관(23)에는 방화용 장갑이나 신발 등을 거꾸로 걸 수 있어서, 분기관(23)으로 배출된 가열 공기는 신발이나 장갑을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분기관(23) 상단에 걸리는 소방용품(예컨대 신발이나 장갑 등 기타 용품)을 넓게 편 상태로 안착되게 하는 확장대(24)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대(24)는 각종 소방용품 내부를 넓게 펴서 내부 공간이 확보되게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분기관(23)을 통해 배출된 가열 공기가 방화용품 내부 구석구석까지 도달하여 신속히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부(20)와 통기공(26)으로 상호 연통한 배기부(30)는 건조기(20)에서 방출되는 가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배기덕트(31)가 구비되고, 그 측면에는 상기 히터(11)의 발열 온도, 시간 등을 제어하는 조작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2)는 타이머, 설정온도/현재온도 표시기 등의 편의장치나, 누 전차단기와 같은 안전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단은 통상적인 전기적 장치로서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건조부(20) 측면에는 격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영역인 제2건조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건조부(40)는 방화복과 장갑 및 신발 외에 기타 방화용품(예컨대, 소방호스, 헬멧, 기타 장비)을 넣어서 건조할 수 있게 하는 곳으로, 필요에 따라 내부에 통기공(42)이 형성된 선반(4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건조부(40)는 하판(13)에 의해 발열부(10)와 서로 다른 영역으로 분리되고, 격판에 다수의 통공(28)을 설치하여 상기 건조부(20)로 유입된 가열공기가 통공(28)을 통해 제2건조부(40)에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건조부(40) 하측의 하판(13)에는 복수 개의 배수구(15)가 설치되어 건조 과정에서 젖은 소방용품으로부터 떨어진 물이 배수구(15)로 배수되어 튜브 형태의 개수수단(16)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건조부(40) 하측의 하판(13)과 건조부(20) 하측의 하판(13)은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진 하판(13)의 최저 지점에 각각 배수구(15)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구(15)는 호스(튜브)와 같은 개수수단(16)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건조부(40)의 하단에 제2송풍관(17)을 설치하고, 상기 제2송풍관(17)을 상기 송풍기(12)와 연결하여 가열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건조부(40)의 상단 통기공(26)을 통해서 배기부(30)와 연결됨으로써 가열 공기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개수수단(16)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물을 수집 혹은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면, 필요에 따라 적의 설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히터(11)에서 가열된 공기는 송풍기(12)에 의해서 송풍관(14) 및 제2송풍관(17)을 통해 건조부(20) 및 제2건조부(40)로 배출되는데, 상기 송풍관(14)에 유도관(22)이 장착된 경우 유도관 상단을 비롯하여 분기관(23) 상단으로 배출된다.
유도관(22) 상단으로 배출된 공기는 걸이대(25)에 걸린 방화복 내부로 유입되어 방화복을 건조시키는 한편, 분기관(23)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장갑과 신발 등을 건조시키며, 상기 제2송풍관(17)으로 배출된 공기는 제2건조부(40) 내에 보관된 기타 소방용품을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방화복과 각종 소방용품을 건조시킨 공기는 통기공(26)을 통해 배기부(30)의 배기덕트(31)로 유도되며, 건조가 진행되는 동안, 젖은 방화복 및 소방용품에서 떨어진 물은 하판(13)의 배수구(15)로 배수되어 개수수단(16)을 통해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건조부(40)는 건조부(2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유도관에 설치된 보조걸이대(23a)는 가열된 공기를 유도하지 않고 소방용품을 걸 수 있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즉 상기 유도관(23)은 가열된 공기 를 유도하지 않는 막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송풍관(14)(도 2 참조)에서 착탈 방식으로 교체 가능한 유도관을 대체하여 건조부(20)의 상부까지 이어지는 연장관(22a)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연장관(22a)의 상단에는 가열된 공기를 아래 방향으로 하향 배출함과 동시에 여러 방향으로 분산하는 확산관(27)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비록 도시된 제한적인 실시 예에 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 및 도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의 외부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다목적 건조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발열부 11...히터
12...송풍기 14... 송풍관
16...개수수단 20...건조부
22...유도관 22a...연장관
23...분기관 23a...보조걸이대
24...확장대 25...걸이대
27...확산관 29...패킹
30...배기부 31...배기덕트
32...조작부 40...제2건조부

Claims (8)

  1. 히터(11)와, 상기 히터(11)에서 가열된 공기를 이송하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복수 개의 송풍관(14)으로 이루어진 발열부(10);
    저부에 상기 각 송풍관(14)과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를 방화복으로 유도하고 외주변에 복수 개의 분기관(23)이 형성된 유도관(22)과, 상부에 상기 방화복을 고정하는 걸이대(25)와, 상단에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통기공(26)으로 이루어진 건조부(20);
    상기 통기공(26)과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31)가 구비된 배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0) 및 건조부(20) 사이에 하판(13)이 개재되고, 하판(13)에는 개수수단(16)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23) 상단에 소방용품을 넓히는 확장대(2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14)은 하판(13)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유도관(22)은 상기 송풍관(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14)과 유도관(22) 사이의 연결부에 패킹(29)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14)에 건조부(20)의 상부까지 연장된 연장관(22a)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22a) 상단에 가열 공기를 하향 분산시키는 확산관(27)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20)와 격판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공간으로서, 상부가 상기 배기부(30)에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송풍기(12)와 연결된 하판(13)이 구비된 제2건조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3)에 송풍기(12)와 연결된 제2송풍관(17)이 고정 설치되고, 하 판(13)에 개수수단(16)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080035463A 2008-04-17 2008-04-17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KR20090109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63A KR20090109949A (ko) 2008-04-17 2008-04-17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463A KR20090109949A (ko) 2008-04-17 2008-04-17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9949A true KR20090109949A (ko) 2009-10-21

Family

ID=4153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463A KR20090109949A (ko) 2008-04-17 2008-04-17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994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56Y1 (ko) * 2013-10-15 2014-01-15 이주웅 소방용 방화방수복 건조기
CN107640420A (zh) * 2017-11-06 2018-01-30 杭州欣卓科技有限公司 一种电工手套密封保护装置
KR101867505B1 (ko) * 2012-03-20 2018-06-1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372579B1 (ko) * 2021-09-13 2022-03-10 주식회사 중화정밀 소방장구 보관함
CN114808407A (zh) * 2018-06-01 2022-07-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505B1 (ko) * 2012-03-20 2018-06-15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200470656Y1 (ko) * 2013-10-15 2014-01-15 이주웅 소방용 방화방수복 건조기
CN107640420A (zh) * 2017-11-06 2018-01-30 杭州欣卓科技有限公司 一种电工手套密封保护装置
CN114808407A (zh) * 2018-06-01 2022-07-2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4808407B (zh) * 2018-06-01 2023-11-28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2372579B1 (ko) * 2021-09-13 2022-03-10 주식회사 중화정밀 소방장구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2928A (en) Dehydration device
US8141268B2 (en) Collapsible drying bag
US9015955B2 (en) Collapsible drying container
KR20090109949A (ko)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EP316453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068655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기능을 갖는 빨래 건조기
NO973989L (no) Anordning for törking av beskyttelsesantrekk, jakker eller lignende
KR100761389B1 (ko) 소방관 방화방수복, 방수화 건조기
US20110072682A1 (en) Forced air coat hanger
CN107034646B (zh) 一种船用衣物干燥杀菌除臭装置
KR100746636B1 (ko) 소방용품 건조장치
TWM591998U (zh) 消防衣風乾設備
JP2018094045A (ja) 靴乾燥装置
KR101784593B1 (ko) 소방용 안전화 건조기가 구비된 이동식 개인 장비함
JPH10298A (ja) 衣類仕上げ装置
CA2864155C (en) Collapsible drying container
KR20100000164U (ko) 소방용품 건조장치
KR100451385B1 (ko) 소방용품 건조기
KR20100067751A (ko) 다양한 목적 건조기
KR101421132B1 (ko) 스팀 행거
KR20080110038A (ko) 다목적 건조기
CN211212020U (zh) 一种船用干燥除菌柜
KR200361284Y1 (ko) 다용도 건조기
KR101431242B1 (ko) 소방장비 원적외선 건조기
TWM556828U (zh) 快速乾衣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