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025B1 - 의류 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025B1
KR101984025B1 KR1020180131782A KR20180131782A KR101984025B1 KR 101984025 B1 KR101984025 B1 KR 101984025B1 KR 1020180131782 A KR1020180131782 A KR 1020180131782A KR 20180131782 A KR20180131782 A KR 20180131782A KR 101984025 B1 KR101984025 B1 KR 10198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othes
air
uni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모
문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이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이첸
Priority to KR102018013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거치되는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측면에 의류 거치대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및,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구동시 고정부재의 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고정부재의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우징과 의류 거치대를 전후로 함께 회동시키는 진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크린장치{CLOTHES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 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기능 사용시 의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를 물결 치듯이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줌으로써, 의류에 포함된 수분과 이물질 및 냄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의류의 주름이나 구김 등의 펴줄 수 있으며, 옷걸이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의류 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걸이는 세탁 후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의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종래의 옷걸이는, 대부분 의류를 거치시키기 위한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옷걸이 등에 거치시킬 수 있는 고리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옷걸이는 의류를 단순히 걸어두어 건조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의류에 포함된 수분이나 이물질 및 냄새 등을 없애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 되었다.
최근에는, 의류를 걸어둘 수 있는 옷걸이의 용도뿐 아니라, 입고 난 의류를 내부에 걸어둔 상태로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는 의류 관리기가 제안 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의류 관리기는 의류가 내부의 관리 공간에 수용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장치의 설치 공간 확보와 이동의 어려움이 있었으며, 부피에 비해 수납 공간은 상대적으로 좁아 여러 벌의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29438호(2015년 03월 1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의류 관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를 물결 치듯이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줌으로써, 사용시 옷걸이의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의류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의 주름을 펴줄 수 있으며,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 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에 일정 온도의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건조 기능과 이물질 제거 및 탈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 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는,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거치되는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측면에 의류 거치대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과 의류 거치대를 전후로 함께 회동시키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좌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하단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축이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편심 회전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터의 구동축에는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좌우측면에 배출구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의류 거치대들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상태로 하방으로 개방된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구동시 공기를 하부로 송풍시켜,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의류 거치대의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송풍 팬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배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결합구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 거치대들의 일단은 상기 결합구들의 돌출된 끝단에 각각 암수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구동시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팅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히팅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유닛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히팅유닛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송풍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 배출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은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홀더에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는 구조물의 벽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이 대응되게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수평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를 물결 치듯이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줌으로써, 젖은 의류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의 주름을 펴줄 수 있으며, 의류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류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에 일정 온도의 공기를 송풍시킴으로써, 건조 기능과 이물질 제거 및 탈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가 내부에 수용된 형태가 아닌 외부에 거치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장치의 부피가 크지 않아 사용공간 확보 및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거치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편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가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의 구동유닛과 송풍유닛과 히팅유닛 및 제어유닛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서 진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가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 의류가 거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의 구동유닛과 송풍유닛과 히팅유닛 및 제어유닛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에서 진동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크린장치는 하우징(100)과, 진동유닛(200)과, 송풍유닛(300)과, 히팅유닛(400) 및, 제어유닛(50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구조물(20)에 고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치공간(110)은 후술 될 진동유닛(200)이 설치되는 상부영역(111)과, 상부영역(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후술 될 송풍유닛(300)과 히팅유닛(400)이 설치되는 하부영역(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고정부재(150)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는 의류 거치대(1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상단이 구조물(20)의 벽면 등에 거치되고, 고정부재(150)의 하단은 하우징(100)의 상단을 통해 설치공간(110)으로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고정부재(150)의 하단이 설치공간(110)으로 통과되도록 결합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결합홀은 하우징(100)의 회동 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전후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부재(150)에는 좌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하우징(100)의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151) 및, 하단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152)이 형성된다.
한 쌍의 회전축(151)은, 하우징(100)의 상단 두께 내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151)들이 하우징(100)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회전축(151)들의 수평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고정부재(150)의 상단과 하단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이 수평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장홀(152)은, 도 4 내지 7에서처럼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장홀(152)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 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장홀(152)의 측방을 통해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수평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전후로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장홀(152)의 폭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고정부재(150)의 하단을 미는 힘에 의해 하우징(100)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장홀(152)은 도 11에서처럼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이때 장홀(152)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 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장홀(15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도 11에서처럼 수직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수평하게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장홀(152)의 폭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장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고정부재(150)의 하단을 미는 힘에 의해 하우징(100)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외면에는 외부의 공기(A)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입구(120) 및, 내부의 공기(A)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좌측 및 우측면에 배출구(13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130)는 설치공간(110)의 하부영역(112)에 위치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는 배출구(130)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결합구(140)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140)는, 의류 거치대(16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와 11에서처럼 설치공간(110)의 내부 공기(A)가 결합구(14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구(140)의 일부분에는 도 4와 11에서처럼 의류 거치대(160)와의 연결 부분을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잠금부재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 거치대(160)들은, 도 8과 9에서처럼 의류(10)를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의류 거치대(160)들은 하우징(100)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의류 거치대(160)들의 길이 방향측 일단이 하우징(100)의 좌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의류 거치대(160)들의 길이 방향측 일단이 결합구(140)들의 돌출된 끝단에 각각 암수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의류 거치대(160)들의 내부에는 도 4와 11에서처럼 배출구(130)와 연통된 상태로 하방으로 개방된 배출 통로(16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설치공간(110)의 내부 공기(A)가 배출구(130)와 배출 통로(161)를 통해 의류 거치대(160)의 하방으로 배출되므로,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로 공기(A)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도 4 내지 7에서처럼 설치공간(110)의 공기(A)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 배출구(131)가 상하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고정부재(150)의 상단은 홀더(170)에 의해 구조물(20) 등에 거치될 수 있는데, 홀더(170)는 구조물(20)의 벽면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홀더(170)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구조물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 및,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고정부재(150)의 상단이 대응되게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수평부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유닛(200)은,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과 의류 거치대(160)를 전후로 회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진동유닛(200)은 진동 모터(210) 및, 전원 공급부(220)로 구비될 수 있다.
진동 모터(210)는,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편심 회전되는 구동축(211)이 전술한 장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편심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150)의 하단을 전방과 후방을 향해 반복적으로 밀게 되며, 구동축(211)이 미는 힘에 의해 하우징(100)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우징(100)은 도 6과 7 및 9에서처럼 고정부재(150)의 회전축(151)이 형성하는 회전중심(C1)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된다.
도 4 내지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돌출된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수평한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전후로 편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장홀(152)의 폭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장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고정부재(150)의 하단을 미는 힘에 의해 하우징(100)이 전후로 회동될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도 11에서처럼 장홀(152) 장홀(152)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수직 회전중심(C2)을 기준으로 편심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유닛(200)은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줄 주게 되므로,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의 주름, 구김 등을 펴주거나 의류(10)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냄새 등을 용이하게 제거(생활 세균 등)할 수 있다.
즉, 의류(10)를 물결 치듯이 흔들어 주게 되므로 의류(10)의 섬유 조직을 재편하여 주름, 구김 등을 펴줄 수 있고, 바지 등과 같이 무릎 등의 튀어나온 부분 등이 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진동 모터(210)의 구동축(211)에는, 장홀(1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어링(미도시)이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은, 구동축(211)의 회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구동축(211)이 편심 회전시 장홀(152)의 일면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딩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설치공간(110)에 설치되며, 구동시 진동 모터(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부(220)는 교체 가능한 배터리(AA 타입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220)를 교체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하우징(100)의 외면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22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해 충전 가능하게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하우징(510)의 외부에는 충전용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전원 공급부(220)와 연결된 충전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유닛(300)은, 설치공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시 공기(A)를 하부로 이동시켜, 배출구(130)와 배출 통로(161)를 통해 의류 거치대(160)의 하부로 배출시킨다.
이를 위한, 송풍유닛(300)은 도 4 내지 7 및 11에서처럼 송풍 모터(310) 및, 송풍 팬(32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송풍 모터(310)는, 설치공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송풍 모터(310)는 전원 공급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 모터(310)의 구동축은 상방으로 수직하게 위치되어 수평하게 회전될 수 있고, 송풍 모터(310)의 구동축에 송풍 팬(320)의 중심이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풍 모터(310)가 구동시 송풍 팬(320)의 회전에 의해 설치공간(110)의 하부영역(112)으로 공기(A)가 이동한 후, 배출구(130)와 배출 통로(161)를 통해 의류 거치대(160)의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하부에 보조 배출구(131)를 형성시키는 경우는 도 4 내지 7에서처럼 설치공간(110)의 공기(A)가 보조 배출구(131)를 통해 하우징(100)의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로 공기(A)가 송풍되므로,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10)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냄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히팅유닛(400)은, 송풍유닛(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히팅유닛(400)은 구동시 설치공간(110)의 공기(A)를 설정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서, 히팅유닛(400)은, 송풍유닛(30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도시 하였으나, 히팅유닛(400)의 설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히팅유닛(400)에 의해 가열된 열기는 송풍 팬(320)의 회전에 의해 설치공간(110)의 하부영역(112)으로 공기(A)가 이동한 후, 배출구(130)와 배출 통로(161)를 통해 의류 거치대(160)의 하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로 가열된 공기(A)가 송풍되므로,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10)에 부착된 이물질이나 냄새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어유닛(500)은, 설치공간(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유닛(500)은 도 10에서처럼 진동유닛(200)과 송풍유닛(300) 및 히팅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유닛(500)에는 진동유닛(2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510) 및, 송풍유닛(300)과 히팅유닛(4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송풍 스위치(520)이 전기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스위치(510)는, 하우징(100)의 외면(전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누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을 통해 진동유닛(2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풍 스위치(520)는, 하우징(520)의 외면(전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송풍 스위치(520)는 구동 스위치(510)과 이격된 상태로 개별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송풍 스위치(520)는, 사용자가 누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을 통해 진동유닛(200)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를 전후 방향으로 흔들어줌으로써, 젖은 의류(10)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의류(10)가 물결치듯이 요동되므로 의류(10)의 주름을 펴줄 수 있으며, 의류(10)에 부착된 이물질을 털어주거나 의류(10)에 배인 냄새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의류(10)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의류 거치대(160)에 거치된 의류(10)에 일정 온도의 공기(A)를 송풍시킴으로써, 건조 기능과 이물질 제거 및 탈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의류(10)가 내부에 수용된 형태가 아닌 외부에 거치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장치의 부피가 크지 않아 사용공간 확보 및 보관의 용이성이 있고, 거치식으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편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의류 크린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류 20: 구조물
100: 하우징 110: 설치공간
111: 상부영역 112: 하부영역
120: 흡입구 130: 배출구
131: 보조 배출구 140: 결합구
150: 고정부재 151: 회전축
152: 장홀 160: 의류 거치대
161: 배출 통로 170: 홀더
200: 진동유닛 210: 진동 모터
211: 구동축 220: 전원 공급부
300: 송풍유닛 310: 송풍 모터
320: 송풍 팬 400: 히팅유닛
500: 제어유닛 510: 구동 스위치
520: 송풍 스위치 A: 공기
C1: 회전중심 C2: 회전중심

Claims (10)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거치되는 고정부재의 하단이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좌우측면에 의류 거치대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수평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과 의류 거치대를 전후로 함께 회동시키는 진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좌우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축 및, 하단에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진동유닛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축이 상기 장홀의 폭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편심 회전되는 진동 모터 및,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진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및,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좌우측면에 배출구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의류 거치대들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된 상태로 하방으로 개방된 배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에는 구동시 공기를 하부로 송풍시켜, 상기 배출구와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상기 의류 거치대의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송풍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구동시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팅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의 구동축에는,
    상기 장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어링이 회전 가능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송풍 모터 및,
    상기 송풍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된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송풍 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상기 배출구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결합구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의류 거치대들의 일단은,
    상기 결합구들의 돌출된 끝단에 각각 암수로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진동유닛과 상기 송풍유닛 및 상기 히팅유닛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진동유닛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구동 스위치 및,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유닛과 상기 히팅유닛의 구동을 온(ON)/오프(OFF)시키기 위한 송풍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공간의 공기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 배출구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은,
    구조물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홀더에 거치되며,
    상기 홀더는,
    구조물의 벽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이 대응되게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수평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크린장치.
KR1020180131782A 2018-10-31 2018-10-31 의류 크린장치 KR101984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82A KR101984025B1 (ko) 2018-10-31 2018-10-31 의류 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82A KR101984025B1 (ko) 2018-10-31 2018-10-31 의류 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025B1 true KR101984025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82A KR101984025B1 (ko) 2018-10-31 2018-10-31 의류 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0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151B1 (ko) * 2020-02-06 2020-10-15 김보승 의류관리 작동형 옷걸이
KR102385291B1 (ko) * 2020-11-23 2022-04-12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의류 관리기
KR20220150770A (ko) * 2021-05-04 2022-11-11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23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58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22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30138779A (ko)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옷장용 관리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476A (ja) * 2002-02-13 2003-08-19 Toshiba Corp 衣服用ハンガー
KR101312030B1 (ko) * 2012-04-10 2013-09-26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조립체
KR200486715Y1 (ko) * 2017-10-24 2018-06-22 주식회사 주니픽셀 휴대형 소형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476A (ja) * 2002-02-13 2003-08-19 Toshiba Corp 衣服用ハンガー
KR101312030B1 (ko) * 2012-04-10 2013-09-26 (주)에이치엔씨 의류 관리기 조립체
KR200486715Y1 (ko) * 2017-10-24 2018-06-22 주식회사 주니픽셀 휴대형 소형 건조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151B1 (ko) * 2020-02-06 2020-10-15 김보승 의류관리 작동형 옷걸이
KR102385291B1 (ko) * 2020-11-23 2022-04-12 주식회사 서연이화 휴대용 의류 관리기
KR20220150770A (ko) * 2021-05-04 2022-11-11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580839B1 (ko) * 2021-05-04 2023-09-19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23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58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2622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485964B1 (ko) * 2021-05-10 2023-01-05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547090B1 (ko) * 2021-05-10 2023-06-22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567897B1 (ko) * 2021-05-10 2023-08-16 강희찬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30138779A (ko)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옷장용 관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4025B1 (ko) 의류 크린장치
KR200490152Y1 (ko) 의류 크린장치
CN101545197B (zh) 衣物处理设备
KR101600788B1 (ko) 의복 리프레쉬 장치
KR20120066549A (ko) 의류 건조기
CN102282309A (zh) 衣物处理设备
KR20080092723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KR20090105322A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KR20200058962A (ko) 의류 관리기
KR20060066970A (ko) 의류건조기
KR101534038B1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JP2011041742A (ja) 衣類乾燥機
TWI643994B (zh) Dryer and washer dryer
KR100845843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2523162B1 (ko) 의류 리프레쉬 장치
US1140811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04129841A (ja) 衣類乾燥機
JP3677260B2 (ja) 洗濯乾燥機
KR101188177B1 (ko) 몹 보관장치
CN211022540U (zh) 全自动洗鞋机
JPH04126198A (ja) 衣類乾燥機
KR102360869B1 (ko) 의류 건조기
US20180291546A1 (en) Purification device
KR102138499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