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7090B1 - 걸이형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걸이형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090B1
KR102547090B1 KR1020210059733A KR20210059733A KR102547090B1 KR 102547090 B1 KR102547090 B1 KR 102547090B1 KR 1020210059733 A KR1020210059733 A KR 1020210059733A KR 20210059733 A KR20210059733 A KR 20210059733A KR 102547090 B1 KR102547090 B1 KR 10254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othes
management device
upper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623A (ko
Inventor
강희찬
박선후
Original Assignee
강희찬
박선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찬, 박선후 filed Critical 강희찬
Priority to KR102021005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0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47G25/145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 A47G25/1457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comprising a hanging hook or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관리하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및 사용 공간의 제약이 없고 형태 변형 가능한 커버에 의해 미사용시 보관이 쉬운 걸이형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걸이형 의류 관리기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를 관리하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관리기는 의류의 건조, 리프레시, 살균 등 의류에 대한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 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의류 관리기는 캐비닛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의류를 걸어 넣고 의류를 관리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캐비닛 형태의 의류 관리기는 큰 부피를 갖기 때문에 설치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큰 공간에만 설치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캐비닛 형태의 의류 관리기는 최초 설치 위치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위치 이동이 번거롭다. 또한, 집, 회사 등 실내를 갖는 한정적인 공간 내에서만 고정 설치 가능하여 사용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형태의 의류 관리기는 고가의 비용 및 큰 부피로 인해 복수개를 구비하는 것이 힘들고, 복수개를 구비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데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04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사용 공간의 제약이 없고, 사용 및 미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형태 변형 가능한 커버에 의해 미사용시 보관이 편리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는, 의류 진동부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와 연결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직물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 하부 본체의 결합시 접히도록 변형되어 상기 상, 하부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내측면에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코팅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상, 하부 본체와 고정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상, 하부 본체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체적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체적 조절 수단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는 사용 상태 및 미사용 상태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통해서 사용시에 의류와 마찰되지 않는 일정한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 매우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도.
도 2는 상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부 본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의 미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6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7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버의 착탈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8은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의 커버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
도 9는 체적 조절 가능한 구조의 커버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를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부재들 및 영역들의 두께 및 폭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사용 실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의류 진동부(200)를 포함하는 상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100)에 결합되어 상부 본체(100)의 내측에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는 커버(800) 및 커버(800)에 결합되어 상부 본체(100)와 연결되는 하부 본체(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를 통해서 외부 물체(20)에 매달리는 형태로 구비되어 수용 공간(800a)에 구비되는 의류에 대한 관리 동작(의류의 먼지 제거, 스팀 분사 및 열풍 분사)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물체(20)는 입식 옷걸이, 행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를 구성하는 상부 본체(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00)는 걸이부(300) 및 하우징부(HS)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300)는 고리부(310), 고리부(310)에 결합되는 회전판(330), 고리부(310)와 회전판(330) 사이에 구비되는 상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HS)는 걸이부(300)의 상판(320)에 의해 밀폐되는 개구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300)는 상부 본체(100)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20)에 상부 본체(300)를 거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고리부(310)는 상부 본체(100)를 외부 물체(20)에 걸거나 매달 수 있다. 고리부(310)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리부(310)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360°)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회전판(330)은 고리부(310)와 결합되어 고리부(31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회전판(330)은 중심에 구비되는 결합부(332) 및 결합부(332)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부턱(3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330)은 결합부(332)를 통해서 고리부(310)와 결합되어 고리부(310)와 함께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360°) 회전할 수 있다.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은 회전판(330)의 중심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예를 들어 360°) 회전할 수 있다.
상판(320)은 고리부(310)와 회전판(330) 사이에 구비되어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판(320)은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의 회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판(320)은 하우징부(HS)의 개구부(OP)와 대응되어 하우징부(HS)의 개구부(OP)를 밀폐할 수 있다.
상판(32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면의 중앙부측은 평평하고 중앙부측을 제외한 외곽부측은 곡면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판(320)은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 사이에 개재되어 하우징부(HS)의 개구부(OP)를 밀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320)의 형태는 평평하거나 곡면을 갖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판(320)은 상판(320)의 중앙부에 고리 회전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고리 회전부(321)는 양단에 호 형상을 갖고 상기 호 형상을 연결하는 직선 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고리 회전부(321)는 평평한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고리 회전부(32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리 회전부(321)는 고리부(310)를 상면에서 지지하여 고리부(310)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고리 회전부(321)는 중앙부에 중심홀(322)을 구비할 수 있다. 중심홀(322)은 회전판(330)을 구성하는 결합부(332)를 통과시키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중심홀(322)은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의 동시 회전시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다. 고리부(310) 및 회전판(330)은 중심홀(32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고리 회전부(321)는 상면에서 고리부(310)를 지지할 수 있다. 고리부(310)는 고리부(310)의 하면 중앙부와 고리 회전부(321)의 상면의 중심홀(322)을 대응시킨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고리 회전부(321)는 하면에서 회전판(330)을 지지할 수 있다. 회전판(330)은 회전판(330)의 결합부(332)와 고리 회전부(321)의 하면의 중심홀(322)을 대응시킨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332)는 중심홀(322)을 통과하여 고리부(310)의 하면 중앙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판(330)과 고리부(310)가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하우징부(HS)는 일면에 개구부(OP)를 구비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하우징부(HS)의 내부의 빈 공간을 통해서 의류 진동부(200), 열풍 공급부(400), 스팀 분사부(500) 및 배기부(700)를 구비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상판(320)을 통해서 하우징부(HS)의 개구부(OP)를 밀폐하여 하우징부(HS)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판(320)은 하우징부(HS)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부(HS)는 양측의 외측면에 외측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CL)를 구비할 수 있다. 돌기부(CL)는 상부 본체(100)와 하부 본체(900)와의 결합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900) 중 적어도 하나에 돌기부(CL)를 구비하고, 그 나머지에 돌기부(CL)를 수용하는 홈(HM)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900)는 홈(HM)에 돌기부(CL)를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HS)는 돌기부(CL) 대신 홈(HM)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하우징부(HS)는 내부의 중앙부측에 의류 진동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의류를 진동시키기에 적합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에 진동을 전달하여 의류에 있는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직접적으로 의류에 진동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진동부(200)는 상부 본체(10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의류 걸이대(10)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의류에 대한 진동 동작 수행시,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고정된 상태에서 의류 걸이대(10) 및 의류만 상대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진동을 통해 의류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의류가 정지 상태에서 운동하거나, 운동 방향이 바뀌는 등의 외력을 받는 경우, 먼지는 관성에 의해 의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진동부(200)는 진동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체(210)는 상부 본체(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체(2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y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체(210)는 y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의류 걸이대(10)는 진동체(210)의 진동 방향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진동하여 의류를 y축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 걸이대(10)에 의류를 걸면, 의류 걸이대(10)는 의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y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체(210)는 의류를 y축의 양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는 공기에 의한 저항을 크게 받을 수 있다. 의류는 의류의 상부에서 진동을 받고, 의류의 중부 및 하부에서 공기 저항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는 파동 형태로 흔들릴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진동으로도 의류를 파동 형태로 크게 흔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의류의 먼지가 보다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즉, 의류의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의류를 흔들어줄 수 있다.
한편, 의류 진동부(200)는 x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의류는 x축 방향으로 진동하며 공기에 의한 저항을 적게 받게 된다. 의류는 의류의 상부에서 진동 에너지를 받더라도, 파동 형태가 아닌 x축의 양방향의 왕복 형태로 흔들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 진동부(200)에 상대적으로 큰 진동력이 요구되어 먼지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진동부(200)는 바람직하게는, y축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진동체(210)를 통해서 의류 걸이대(10)와 연결될 수 있다. 의류 걸이대(10)는 진동체(210)에 위치하여 의류 진동부(200)를 통해 진동되는 진동체(210)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의류 걸이대(10)는 각종 의류(상의, 하의, 신발, 속옷 등)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 진동부(200)는 의류 걸이대(10)를 진동시켜 의류 걸이대(10)에 걸린 의류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의류는 의류 진동부(200)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의류에 묻은 먼지는 의류의 진동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열풍 공급부(400)는 하우징부(HS)의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공급부(400)는 하우징부(HS)의 내부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열풍 공급부(400)는 열풍을 생성하여 의류에 공급할 수 있다. 열풍은 젖은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고, 스팀 발생에 의한 옷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스팀 분사부(500)는 의류 진동부(200)와 인접한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스팀 분사부(500)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팀 분사부(500)는 스팀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의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먼지를 제거하고, 주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스팀은 커버(800)의 내부의 수용 공간(800a)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를 흡수하여 커버(800)의 하부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배기부(700)는 열풍 공급부(400)의 반대 방향인 하우징부(HS)의 내부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부(700)의 구비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기부(700)는 커버(800)의 내부의 수용 공간(800a)에 존재하는 공기 또는 열풍을 커버(800)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기부(700)는 수용 공간(800a)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배기부(700)는 열풍을 커버(800)의 외측으로 내보냄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측벽부(SW)와, x축 방향으로 측벽부(SW)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측벽부(SW)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CN) 및 하우징부(HS)의 개구부(OP)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어 하우징(HS)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열풍 공급부(400), 스팀 분사부(500) 및 배기부(700)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측벽부(SW), 연결부(CN) 및 상부 본체(100)의 바닥부(F)를 통해서 하우징부(HS)의 내부에 의류 진동부(200), 열풍 공급부(400) 및 스팀 분사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측벽부(SW)는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는 하방향으로 상부 본체(100)의 바닥부(F)보다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측벽부(SW)는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는 하방향에 위치하는 일단의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는 하방향의 일단의 폭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시 하부 본체(900)의 내측으로 상부 본체(100)의 일단을 쉽게 삽입하기 위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를 통해서 외부 물체(20)에 매달리는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본체(100)의 고리부(310)를 통해서 외부 물체(20)에 매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본체(900)는, 상부 본체(100)에 의해 바닥면(30)으로부터 공중에 떠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바닥면(30)과 접촉되지 않고 외부 물체(20)에 매달린 형태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고정 설치되지 않고 사용 공간의 한정없이 이동식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하부 본체(9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900)는 내측 본체(901) 및 내측 본체(901)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측 본체(9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본체(901)는 내측 바닥부(901a) 및 내측 바닥부(901a)로부터 상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비되는 내측 벽부(90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본체(901)의 단면적은 외측 본체(902)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측 본체(901)는 외측 본체(902)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바닥부(901a)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바닥부(901a)는 중앙부측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측을 감싸는 외곽부측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곽부측의 곡면은 중앙부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본체(901)는 내측 바닥부(901a)의 외곽부측에 존재하는 유체를 외곽부측의 곡면을 따라 내측 바닥부(901a)의 중앙부측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내측 본체(901)는 내측 바닥부(901a)의 중앙부측의 중심에 내측 배기홀(901c)을 구비할 수 있다. 내측 배기홀(901c)은 복수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홀의 크기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내측 배기홀(901c)은 각각의 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내측 바닥부(901a)의 외곽부측의 곡면을 따라 중앙부측으로 이동한 유체를 외측 본체(902)측으로 쉽게 낙하시키기 위함일 수 있다.
내측 본체(901)는 내측 배기홀(901c)의 주변에 외측 본체(90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수단을 삽입하는 복수개의 결합홀(CH)들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본체(902)는 외측 바닥부(902a)와 외측 바닥부(902a)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902b)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바닥부(902a)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영역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영역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측 본체(902)는 외측 바닥부(902a)의 중앙부측의 중심에 외측 배기홀(902c)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배기홀(902c)은 내측 배기홀(901c)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 배기홀(902c)은 내측 바닥부(901a)의 외곽부측의 곡면을 따라 내측 배기홀(901c)을 통해 낙하된 유체를 하부 본체(900)의 외측으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외측 본체(902)는 외측 배기홀(902c)의 주변에 내측 본체(901)와의 결합 수단을 삽입하는 복수개의 결합홀(CH')들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본체(902) 및 내측 본체(901)는, 외측 배기홀(902c) 및 내측 배기홀(901c) 각각의 주변에 구비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결합홀(CH', CH)들을 통해 삽입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본체(902)는 외측 벽부(902b)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만큼의 돌출되는 보조 벽부(AW)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벽부(AW)는 외측 벽부(902b)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본체(902)는 보조 벽부(AW)와 외측 벽부(902b)간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상부 본체(100)를 결합하는 상방향으로 여유 벽부(CW)를 구비할 수 있다. 여유 벽부(CW)는 상부 본체(100)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일단과 대응될 수 있다.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시, 상부 본체(100)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일단과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는, 서로 대응되어 접촉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부 본체(100)의 일단에서의 측벽부(SW)간의 폭을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본체(100)의 일단과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를 대응시킨 결합시, 상부 본체(100)의 일단이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의 내측으로 위치하며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본체(902)는 양측의 외측면에 상부 본체(100)를 결합하는 상방향으로 외측 벽부(902b)보다 돌출되는 홈지지부재(SP)를 구비할 수 있다. 홈지지부재(SP)는 상부 본체(100)의 돌기부(CL)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홈(HM)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 본체(902)의 홈(HM)은 상부 본체(100)의 돌기부(CL)와 대응되는 홈(HM)일 수 잇다. 하부 본체(900)는 상부 본체(100)와의 결합시, 외측 본체(902)의 홈(HM)에 상부 본체(100)의 돌기부(CL)를 삽입시킨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본체(900)는 상부 본체(1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대칭될 수 있다. 하부 본체(900)는 x축 방향으로 긴 폭을 갖고,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800)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커버(800)는 일단을 통해 상부 본체(100)와 결합되고, 타단을 통해 하부 본체(9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도 1을 기준으로 상단을 통해 상부 본체(100)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고, 하단을 통해 하부 본체(90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내부에 수용 공간(800a)을 가질 수 있다.
커버(800)의 일단 및 타단은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 하부 본체(100, 900) 사이에 커버(800)를 개재하여 상, 하부 본체(100, 900)를 통해 커버(800)의 일단 및 타단을 밀폐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내부에 밀폐된 수용 공간(800a)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800)는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 본체(100, 900)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사용시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졌을 때,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 사이에 개재되어 펼쳐진 상태일 때, 상부 본체(100)에 의해 일단에서의 형태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고, 하부 본체(900)에 의해 타단에서의 형태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80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부 본체(1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그 일단을 상부 본체(100)에 결합시키고, 하부 본체(9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그 타단을 하부 본체(9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8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 하부 본체(100, 9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수용 공간(800a)은 커버(800)의 펼쳐진 상태에 의해 형성되므로, 수용 공간(800a)은 상, 하부 본체(100, 9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을 통해 커버(8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수용 공간(800a)의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x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갖고,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800a)이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 사이에 개재되어 펼쳐진 상태일 때, 상부 본체(100)에 의해 일단에서의 형태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고, 하부 본체(900)에 의해 타단에서의 형태를 유지하는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80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부 본체(1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그 일단을 상부 본체(100)에 결합시키고, 하부 본체(9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는 테두리를 따라 그 타단을 하부 본체(9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800)는 펼쳐진 상태에서 상, 하부 본체(100, 9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수용 공간(800a)은 커버(800)의 펼쳐진 상태에 의해 형성되므로, 수용 공간(800a)은 상, 하부 본체(100, 900)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을 통해 커버(800)의 단면 형상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수용 공간(800a)의 단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x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갖고,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단면 형상을 갖는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800a)이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x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갖고 y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수용 공간(800a)내에 의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진동체(210)는 수용 공간(800a)의 중앙부측으로 노출되도록 상부 본체(100)의 중앙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체(210)는 수용 공간(800a)의 단면 형상에 의해 수용 공간(800a)내에서 커버(800)와 x축의 양방향 및 y축의 양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의류는 진동체(210)에 거치되는 의류 걸이대(10)를 통해서 수용 공간(800a)내에 구비될 수 있다. 진동체(210)가 커버(800)와 x축의 양방향 및 y축의 양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둘 경우, 진동체(210)와 연결되는 의류 걸이대(10)를 통해 수용 공간(800a)에 구비되는 의류도 커버(800)와 x축 양방향 및 y축 양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둘 수 있다. 의류는 커버(800)와의 이격 거리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를 통해 관리를 받을 때 커버(800)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 하부 본체(100, 900)를 통해 커버(800)의 단면 형상을 결정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에 의류를 구비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때 커버(800)와 의류 간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의류와 커버(800)간의 마찰은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의류의 진동 동작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의류와 커버(800)간의 마찰은 의류의 진동 동작에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의 일정한 형상에 의해 커버(800)와 의류간의 일정한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사용 상태에서 의류에 대한 진동 동작 수행시 의류와 커버(800) 간의 마찰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의류와 커버(800)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커버(800)는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800)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재질의 직물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8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사용 및 미사용 상태에 따라 최소한의 부피로 접히거나,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지도록 쉽게 형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사용 상태일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0)를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서 커버(800)의 내부에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고, 커버(800)를 통해 상, 하부 본체(100, 900)를 연결하는 구조로 외부 물체(20)에 매달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커버(8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미사용 상태에서 커버(800)의 내부에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부피로 접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800)는 접혀지면서 자동적으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내측에 수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미사용 상태에서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미사용 상태일 경우,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 하부 본체(100, 900)는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9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돌기부(CL)와, 그 나머지에 형성된 돌기부(CL)를 수용하는 홈(HM)을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 하부 본체(100, 900)는 홈(HM)에 돌기부(CL)를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부 본체(100)에 돌기부(CL)를 구비하고, 하부 본체(900)에 홈(HM)을 구비할 수 있다. 상, 하부 본체(100, 900)는 하부 본체(900)의 홈(HM)에 상부 본체(100)의 돌기부(CL)를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본체(100)의 일단과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가 서로 대응되어 접촉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하부 본체(900)를 결합하는 하방향의 일단에서의 측벽부(SW)의 폭을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의 폭보다 작게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 하부 본체(100, 900)는 상부 본체(100)의 일단을 하부 본체(900)의 여유 벽부(CW)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미사용 상태에서의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시, 홈(HM)에 돌기부(CL)를 삽입하고, 상부 본체(100)의 일단을 하부 본체(900)의 내측으로 삽입시킨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에 따라 최소한의 부피로 접히면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에 따라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 공간(CS)에 수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사용 상태에서 미사용 상태로 변화할 경우, 돌기부(CL) 및 홈(HM)을 통해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접히면서 형태 변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돌기부(CL) 및 홈(HM)을 통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커버(800)는 접혀진 상태로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내측에 수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800)는 연통 공간(CS)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어진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직물재의 커버(800)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사용 및 미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커버(800)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커버(800)는 직물재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사용 상태에서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며 최대한의 부피로 펼쳐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버(800)는 펼쳐지도록 형태 변형되어 특정 형상(상, 하부 본체(100, 9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설치 및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외부 물체(20)에 매달린 상태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800)는 직물재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부피를 갖도록 접힌 상태로 형태 변형하여 상, 하부 본체(100, 900)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된 구조에 따른 부피만을 가지면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매우 컴팩트한 크기로 보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800)는 실질적으로 내측에 의류를 구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사용 상태에서 홈(HM)에서 돌기부(CL)를 이탈시켜 상, 하부 본체(100, 900) 간의 이격 거리를 멀게하여 커버(800)를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이 때, 커버(800)는 내부에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하면서 펼쳐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설치 및 사용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이동식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미사용 상태에서 홈(HM)에 돌기부(CL)를 삽입시켜 상, 하부 본체(100, 900) 간의 이격 거리를 가깝게하여 커버(800)를 접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커버(800)는 펼쳐진 상태였을 때 형성되었던 수용 공간(800a)을 제거하면서 최소한의 부피로 접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사용 후 보관 측면에서 편리한 구조를 형성하며 효과적으로 휴대 및 보관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하고, 상, 하부 본체(100, 900)에 고정 결합되는 커버(800)를 도시한 도이다.
도 6의 확대 'C'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0)는 내측면에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코팅면(CF)을 구비할 수 있다. 코팅면(CF)은 바람직하게는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 내에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열풍, 스팀 및 먼지를 포함하는 유체의 수용 공간(800a)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800)와 달리, 내측면에 코팅면(CF)을 구비하지 않을 경우, 의류 관리 동작 수행시 발생하는 유체들이 커버를 통과하여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의류로 흡수되어야 하는 열풍 및 스팀이 커버를 통과하여 새어 나와서 제대로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커버를 통과한 먼지가 걸이형 의류 관리기를 구비하는 공간을 부유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의 내측면에 코팅면(CF)을 구비하여 열풍 및 스팀의 새어나감을 방지하여 의류 동작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를 구비하는 공간으로의 먼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와 고정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확대 'A'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100)는 측벽부(SW)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조 측벽부(SW')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측벽부(SW')는 상부 본체(100)의 측벽부(SW)의 둘레를 따라 측벽부(SW)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측벽부(SW')는 측벽부(SW)와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두고 구비되는 제1보조 측벽부(SW1) 및 제1보조 측벽부(SW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2보조 측벽부(SW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측벽부(SW')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 상태에서 하부 본체(900)의 보조 벽부(AW)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측벽부(SW)와 보조 측벽부(SW') 간에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두고 측벽부(SW)의 내측 방향으로 보조 측벽부(SW')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본체(100)는 측벽부(SW)와 제1보조 측벽부(SW1) 간에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둠으로써 측벽부(SW)의 내측 방향으로 측벽부(SW)와 이격되는 보조 측벽부(SW')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측벽부(SW')는 측벽부(SW)와의 이격 거리(R)의 폭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격 거리(R)의 폭은 도 6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상부 본체(100)는 보조 측벽부(SW')와 측벽부(SW) 간의 이격 거리(R)를 도 6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하여 상부 본체(10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커버(800)의 삽입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커버(800)는 측벽부(SW)와 보조 측벽부(SW') 간의 이격 거리(R)에 일단(상단)을 끼워서 접착되는 형태로 상부 본체(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일 예로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와 상부 본체(100)의 고정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이 확대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본체(900)는 외측 벽부(902b)의 내측으로 보조 벽부(AW)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벽부(AW)는 외측 벽부(902b)와 직접적으로 대응되어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두고 구비되는 제1보조 벽부(AW1) 및 제1보조 벽부(AW1)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2보조 벽부(AW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벽부(AW)는 상, 하부 본체(100, 900)의 결합 상태에서 상부 본체(100)의 보조 측벽부(SW')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 본체(900)는 외측 벽부(902b)와 보조 벽부(AW)간에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두고 외측 벽부(902b)의 내측 방향으로 보조 벽부(AW)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본체(900)는 외측 벽부(902b)와 제1보조 벽부(AW1) 간에 미세한 이격 거리(R)를 둠으로써 외측 벽부(902b)의 내측 방향으로 외측 벽부(902b)와 이격되는 보조 벽부(AW)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 벽부(AW)는 외측 벽부(902b)와의 이격 거리(R)의 폭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격 거리(R)의 폭은 도 6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하부 본체(900)는 보조 벽부(AW)와 외측 벽부(902b) 간의 이격 거리(R)를 도 6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하여 하부 본체(900)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커버(800)의 삽입을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커버(800)는 보조 벽부(AW)와 외측 벽부(902b) 간의 이격 거리(R)에 일단(상단)을 끼워서 접착되는 형태로 상부 본체(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일 예로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는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와 상부 본체(100)의 고정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커버(800)의 일부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0)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800)는 상, 하부 본체(100, 900)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지퍼(zipper) 구조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이를 지퍼 구조로서 구비할 경우, 지퍼부(ZP)를 구비할 수 있다.
지퍼부는 2개의 띠형 부재(L)와, 각각의 띠형 부재(L)의 일측에 구비되어 서로 맞물림 가능한 물림 부재(T) 및 슬라이드 방식으로 물림 부재의 맞물림 상태 및 맞물림 해제 상태를 구현하는 지퍼 손잡이부(HD)를 구비할 수 있다.
지퍼부(ZP)는 상부 본체(100)의 하단과 커버(800)의 상단을 결합하기 위한 제1지퍼부(ZP1) 및 하부 본체(900)의 상단과 커버(800)의 하단을 결합하기 위한 제2지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퍼부(ZP1) 및 제2지퍼부는 상부 본체(100) 및 하부 본체(900)에 각각 구비되는 점을 제외한 구조, 형태 및 구성을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는 상부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1지퍼부(ZP1)만을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1지퍼부(ZP1)는 상부 본체(100)의 하단에 하나의 띠형 부재(L)를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의 띠형 부재(L)를 커버(800)의 상단에 구비할 수 있다. 띠형 부재(L)는 접착 방식 또는 봉합 방식을 통해서 상부 본체(100)의 하단 및 커버(8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띠형 부재(L)의 결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지퍼부(ZP1)의 지퍼 손잡이부(HD)는 각각의 띠형 부재(L)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물림 부재(T)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커버(800)는 지퍼 손잡이부(HD)의 적어도 일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맞물리는 물림 부재(T)에 의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800)는 지퍼 손잡이부(HD)의 나머지 타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맞물리지 않는 물림 부재(T)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지퍼 손잡이부(HD)의 물림 부재(T)를 맞물리게 하거나, 맞물린 상태를 해제하게 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착탈 가능하게 커버(800)를 구비하여 커버(800)의 세탁 및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커버(800)와 상, 하부 본체(100, 900)의 착탈 가능한 결합 방식은 지퍼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의 커버(8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를 도시한 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길이 가변부(CG)를 구비하여 커버(800)의 일측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일 예로서, 커버(800)의 상단부에 길이 가변부(CG)를 구비한다. 길이 가변부(CG)는, 커버(800)의 중간부 또는 하단부 등 어느 부위에나 구비 가능할 수 있다.
커버(800)는 길이 가변부(CG)에 의해 도 8의 Z축 방향으로 길이 가변할 수 있다.
길이 가변부(CG)는 일 예로서 지퍼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길이 가변부(CG)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가변부(CG)는 봉합 방식으로 커버(80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길이 가변부(CG)를 커버(800)에 결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길이 가변부(CG)는 잠금 상태일 경우, 커버(800)의 길이를 가변시키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길이 가변부(CG)는 잠금 해제 상태일 경우, 커버(800)의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z축 방향으로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의류에 대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커버(800)는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해제 상태에 의해 z축 방향으로 길이 가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800a)이 길이 가변부(GC)에 의해 가변한 길이만큼 z축 방향으로 공간 확장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좌측에 도시된 도면은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이 경우, 커버(800)는 길이 가변하지 않은 상태로 수용 공간(800a)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는 길이 가변부(CG)와 대응되는 위치에 여유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유 커버는 일정한 세로 폭 및 가로 폭을 가지며 커버(800)와 동일한 직물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상태시, 여유 커버는 접혀진 상태로 수용 공간(800a)측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에 도시된 도면은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길이 가변부(CG)는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해제 및 잠금을 구현하도록 결합된 지퍼 손잡이를 통해서 잠금 해제될 수 있다.
길이 가변부(CG)의 잠금 해제시, 커버(800)는 길이 가변부(CG)에 의해 수용 공간(800a)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존재하던 여유 커버를 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800a)은 여유 커버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보다 공간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의 커버(800)를 구비함으로써, 비교적 긴 길이의 의류(예를 들어, 롱코트 및 롱패딩 등)도 수용 공간(800a)에 충분히 수용하여 보다 다양한 종류의 의류에 대한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길이 가변 가능한 구조의 커버(800)를 통해서 의류의 크기에 따라 수용 공간(800a)을 확장하거나, 유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 관리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체적 조절 가능한 커버(800)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에 결합되는 체적 조절 수단(VC)을 더 포함하여 커버(8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800a)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800)는 일측에 체적 조절 수단(VC)을 구비할 수 있다. 체적 조절 수단(VC)은, 바람직하게는, 도 9의 y축의 양방향인 일 예의 커버(800)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일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의 y축 방향의 전방에 체적 조절 수단(VC)을 구비할 수 있다. 체적 조절 수단(VC)은 커버(800)의 전방의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체적 조절 수단(VC)은 일 예로서 끈 조임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적 조절 수단(VC)은 체적 조절 끈(LN) 및 원하는 위치에서 체적 조절 끈(LN)을 조여서 고정시키는 스토퍼(S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커버(800)의 둘레를 따라 커버(800)를 관통하도록 체적 조절 끈(LN)을 구비하고, 체적 조절 끈(LN)의 일단 및 타단을 커버(800)의 외측으로 노출시킨 다음, 그 일단 및 타단에 스토퍼(ST)를 통과시키는 구조로 체적 조절 수단(VC)을 구비할 수 있다.
커버(800)는 체적 조절 수단(VC)을 통해 수용 공간(800a)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800)는 스토퍼(ST)를 도 9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어 체적 조절 끈(LN)을 고정시키는 것을 통해 수용 공간(800a)의 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에 구비되는 의류의 개수 및 크기에 따라 체적 조절 수단(VC)을 통해서 커버(800)의 수용 공간(800a)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에 적어도 한 벌 이상의 의류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 공간(800a)에 한 벌의 의류만이 구비될 경우, 수용 공간(800a)에 구비되는 의류의 개수 및 크기 대비 너무 큰 수용 공간(800a)의 부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수용 공간(800a)에 구비되는 의류의 개수 및 크기를 고려하여 체적 조절 수단(VC)을 통해서 수용 공간(800a)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걸이형 의류 관리기(1)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호*
1: 걸이형 의류 관리기
100: 상부 본체 200: 의류 진동부
300: 걸이부 800: 커버
900: 하부 본체
ZP: 지퍼부 CG: 길이 가변부
VC: 체적 조절 수단

Claims (5)

  1. 외부 물체에 매달리는 상부 본체;
    상기 상부 본체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진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의 진동 방향에 따라 의류 걸이대를 진동시키는 의류 진동부;
    상기 상부 본체가 상기 외부 물체에 매달리도록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본체의 내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매달리며, 상기 상부 본체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있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직물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 하부 본체의 결합시 접히도록 변형되어 상기 상, 하부 본체의 내측에 수납되고,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체적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본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커버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체적 조절 수단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의 체적이 조절되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내측면에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코팅면을 구비하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 하부 본체와 고정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형 의류 관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 하부 본체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으로 길이 가변 가능한, 걸이형 의류 관리기.
  5. 삭제
KR1020210059733A 2021-05-10 2021-05-10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54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33A KR102547090B1 (ko) 2021-05-10 2021-05-10 걸이형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733A KR102547090B1 (ko) 2021-05-10 2021-05-10 걸이형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23A KR20220152623A (ko) 2022-11-17
KR102547090B1 true KR102547090B1 (ko) 2023-06-22

Family

ID=8423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733A KR102547090B1 (ko) 2021-05-10 2021-05-10 걸이형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4011A1 (en) * 2000-12-14 2002-10-24 Merih Pasin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CN108330663A (zh) * 2018-04-17 2018-07-27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简易可调家用型干衣机
KR101984025B1 (ko) * 2018-10-31 2019-06-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102045456B1 (ko) * 2019-01-31 2019-11-18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복합 의류 관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450A (ko) 1999-10-23 2000-01-15 박철우 스크랩용 커터
KR102199468B1 (ko) * 2019-05-07 2021-01-06 (주)일코전자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조립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4011A1 (en) * 2000-12-14 2002-10-24 Merih Pasin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CN108330663A (zh) * 2018-04-17 2018-07-27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简易可调家用型干衣机
KR101984025B1 (ko) * 2018-10-31 2019-06-04 주식회사 로이첸 의류 크린장치
KR102045456B1 (ko) * 2019-01-31 2019-11-18 주식회사 이노텍코리아 복합 의류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23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3205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ealing unit
RU262908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9359710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7922046B2 (en) Brassiere cleaning and storage container
CA2893213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accommodation unit
CN116180411A (zh) 衣物处理装置
KR102547090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JP2023520166A (ja) 衣類処理装置
EP1620594A1 (en) Fabric treatment device
US11313070B2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2567897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20220150770A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KR102370643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KR102559785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US20080201976A1 (en) Fabric Treatment Device
CN112442849B (zh) 衣物处理装置
KR102592052B1 (ko) 회전 가능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KR102485964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US6070282A (en) Fabric support device for an automatic washer
KR102542906B1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102621887B1 (ko)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KR102520674B1 (ko) 걸이형 의류 관리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5163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6759B1 (ko) 스팀을 이용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CA2491120A1 (en) Fabric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