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87B1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Google Patents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1887B1 KR102621887B1 KR1020210058750A KR20210058750A KR102621887B1 KR 102621887 B1 KR102621887 B1 KR 102621887B1 KR 1020210058750 A KR1020210058750 A KR 1020210058750A KR 20210058750 A KR20210058750 A KR 20210058750A KR 102621887 B1 KR102621887 B1 KR 1026218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unit
- upper body
- clothing
- ai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1442—Handling hangers, e.g. stacking, dispensing
- A47G25/145—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 A47G25/1457—Devices for holding or carrying multiple loaded hangers comprising a hanging hook or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진동부를 포함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상단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에 상기 상부본체를 걸기 위한 걸이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함으로써, 입식 옷걸이, 행거 등의 외부 물체에 상부본체를 걸어 사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공간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상부에서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도입하여,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고 순환시켜 의류의 건조 및 구김 완화가 가능한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처리하는 가전기기는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세탁, 건조, 리프레시, 살균 등 옷에 대해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복수 개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의류관리기는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하고, 의류의 구김을 줄이는 등의 의류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의류관리기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를 걸어 놓고 의류를 처리하는 형태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의류관리기는 열풍, 스팀 등을 사용하여 의류의 리프레시, 의류의 먼지 제거, 의류의 구김 완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캐비닛 형태의 의류관리기는 부피가 커서 설치 시 큰 공간이 필요하고, 매우 고가여서 구매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집, 회사 등 한정적인 공간 내에서만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식 옷걸이, 행거 등의 외부 물체에 상부본체를 걸어 사용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공간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상부에서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도입하여,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고 순환시켜 의류의 건조 및 구김 완화가 가능한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의류진동부를 포함하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상단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에 상기 상부본체를 걸기 위한 걸이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결되는 열풍공급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상기 열풍공급부를 보호하는 사이드바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바디부는,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일단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타단에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홀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수용공간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바람을 일으키는 팬부; 상기 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열발생부; 상기 팬부와 상기 열발생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열발생부로부터 상기 팬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열발생부를 둘러싸고, 상기 팬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풍공급홀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열풍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열풍홀을 포함하는 통과부재; 상기 통과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통과부재의 모서리로부터 직상향으로 형성된 사이드부재; 및 상기 사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열풍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상부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통해 가열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어 상기 내부 공기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의류진동부는 의류걸이대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걸이대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로부터 이격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로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여,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키고 젖은 의류를 건조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도입시키고, 열풍공급부를 유입구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용이하게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풍공급부는 제2가이드를 포함함으로써 , 제2가이드를 통해 열풍을 제공하는 방향을 다양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 및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모드별로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의류에 대응되는 열풍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배기부를 포함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구를 통해 상부본체로 유입시키고, 외부 공기를 열풍공급부를 통해 가열시켜 수용공간의 내부 공기를 형성하며, 내부 공기를 배기부 및 유출구를 통해 유출시키는 공기 순환 구조를 가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바디부의 유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 및 열풍공급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 방향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바디부의 유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 및 열풍공급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 방향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를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처럼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및 상태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막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이미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의류진동부(200)를 포함하고, 수용공간(90)을 형성하는 커버(800)가 결합되는 상부본체(100); 상기 상부본체(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20)에 상기 상부본체(100)를 걸기 위한 걸이부(300); 및 상기 수용공간(90)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의류진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의류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의류에 진동을 전달하여, 의류에 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진동을 통해 의류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의류가 정지상태에서 운동하거나, 운동 방향이 바뀌는 등의 외력을 받는 경우, 먼지는 관성에 의해 의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의류걸이대(10)와 연결되어 의류걸이대(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걸이대(10)는 상의, 바지, 신발, 속옷 등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류걸이대(10)는 일정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지 않으며, 의류를 걸 수 있는 모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커버(8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커버(80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800)의 상단은 상부본체(10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800)는 내부에 수용공간(90)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버(800)는 옷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800)는 투명, 불투명, 또는 반투명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800)는 열풍, 스팀 및 먼지가 의류관리기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커버(800)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 상태에 따라 접힐 수 있다. 커버(800)는 상부에만 개구부를 가질 수 있고,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하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경우에, 커버(800)는 후술할 하부본체(900)와 연결될 수 있다.
걸이부(300)는 상부본체(100)의 상단에 위치하여 상부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본체(100)를 입식 옷걸이, 행거 등의 외부 물체(20)에 걸어두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걸이부(300)에 의해 상부본체(100) 및 커버(800)는 바닥면(30)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 물체(20)에 매달린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풍공급부(400), 스팀분사부(500), 및/또는 배기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 스팀분사부(500), 및 배기부(700)는 상부본체(100)에 위치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는 열풍을 생성하여 의류에 제공할 수 있다. 열풍은 젖은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고, 스팀 발생에 의한 옷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열풍은 옷의 구김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스팀분사부(500)는 스팀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의류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스팀 및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의 먼지 제거 및 구김을 완화시킬 수 있다. 스팀은 커버(800) 수용공간(90)의 내부 공기 중에 있는 먼지를 흡수하여, 커버(800) 하부로 떨어뜨릴 수 있다.
배기부(700)는 커버(800) 내부의 수용공간(90)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를 커버(800) 및 상부본체(100)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기부(700)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내부 공기를 커버(800) 밖으로 내보냄으로써 의류발생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가 상부본체(100)에 위치함으로써, 상부본체(100)는 본 발명의 구조에서 가장 많은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상부본체(100) 내에 의류진동부(200)를 위치시킴으로써, 무거운 상부본체(100)는 상대적으로 적게 진동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상부본체(10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의류걸이대(10)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고정된 상태에서, 의류걸이대(10) 및 의류만 상대 진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부본체(100)의 내부 구조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본체(100)는, 상기 열풍공급부(400)에 연결되는 열풍공급홀(111)이 형성된 바디부(110); 및 상기 바디부(110)에 결합하여, 상기 열풍공급부(400)를 보호하는 사이드바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열풍공급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홀(111)은 열풍공급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공급홀(111)은 열풍공급부(400)의 후술할 제2가이드(450)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열풍공급부(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스팀분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제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는 배기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상부본체(100)의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에서 상대적으로 무거울 수 있다. 무거운 바디부(110)는 의류진동부(200)의 진동으로부터, 진동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사이드바디부(120)는 상부본체(100)의 벽을 구성할 수 있다. 사이드바디부(120)는 바디부(11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바디부(120)는 걸이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부(120)는 걸이부(300)와 결합하여 바디부(110)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바디부(120)는 열풍공급부(400), 스팀분사부(500), 배기부(700) 등의 구성요소를 보호할 수 있다. 사이드바디부(120)는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상부본체(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이드바디부(120)의 구성과 열풍공급홀(111) 및 열풍공급부(400)의 위치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바디부(120)는, 상기 사이드바디부(120)의 일단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1); 및 상기 사이드바디부(120)의 타단에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122);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홀(111)은 상기 유입구(121)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부(400)는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수용공간(90)에 제공할 수 있다.
유입구(121)는 사이드바디부(12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유입구(121)는 외부 공기가 상부본체(100) 안으로 들어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유입구(121)는 복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121)는 복수의 미세한 홀을 가짐으로써, 이물질이 상부본체(100)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입구(121)는 사이드바디부(120)의 일단에 위치하여, 공기 순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바디부의 유출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출구(122)는 사이드바디부(120)의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유출구(122)는 내부 공기가 상부본체(100) 밖으로 나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유출구(122)는 복수의 홀을 가질 수 있다. 유입구(121)는 사이드바디부(120)의 타단에 위치하여, 공기 순환의 끝점이 될 수 있다. 유입구(121) 및 유출구(122)는 사이드바디부(120)의 양 끝단에 위치함으로써, 수용공간(90)에서 내부 공기의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 및 열풍공급부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풍공급홀(111)은 유입구(121)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열풍공급홀(111)은 열풍공급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열풍공급홀(111)이 유입구(121)와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열풍공급부(400)는 유입구(121)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가 유입구(121)와 인접하여 형성되어, 유입구(121)를 통과하여 들어오는 외부 공기는 곧바로 열풍공급부(40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열풍공급부(4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할 수 있고, 커버(800) 내부의 수용공간(90)에 열풍을 제공하여 내부 공기 혹은 의류를 가열할 수 있다. 다음에서, 열풍공급부(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풍공급부(40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바람을 일으키는 팬부(410); 상기 팬부(410)의 아래에 위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열발생부(430); 상기 팬부(410)와 상기 열발생부(4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열발생부(430)로부터 상기 팬부(410)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부(420); 상기 열발생부(430)를 둘러싸고, 상기 팬부(410)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440); 및 상기 제1가이드(44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풍공급홀(111)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45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부(410)는 유입구(121)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 팬부(410)는 열풍공급부(400)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팬부(410)는 제어부(41)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팬부(410)는 팬(411)을 회전시켜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바람을 일으켜 열발생부(430)로 보낼 수 있다. 팬부(410)는 바람을 일으키는 팬(4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팬부(410)는 팬(411)을 둘러싸고, 팬(411)의 중심축을 고정하는 팬고정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열발생부(430)는 팬부(4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팬부(410)에 의해 외부 공기는 열발생부(430)를 통과할 수 있다. 열발생부(430)는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열발생부(430)는 발열할 수 있다. 열발생부(430)는 열발생부(43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는 가열되어 열풍의 형태로 수용공간(90)에 진입할 수 있고, 수용공간(90)의 내부 공기를 형성할 수 있다.
단열부(420)는 팬부(410)와 열발생부(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열부(420)는 열발생부(430)로부터 팬부(410)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420)는 단열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420)를 도입함으로써, 단열부(420)는 열발생부(430)에서 발생하는 열을 팬부(410)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팬부(4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부(420)는 사각 고리 형상에서 네 개의 꼭짓점 부위가 사각 고리 내부 방향으로 인입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이드(440)는 열발생부(43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440)는 팬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440)는 팬부(410)와 연결되어, 제1가이드(440)와 팬부(410) 사이에 열발생부(430) 및 단열부(4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제1가이드(440)는 열발생부(430)로부터 외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제1가이드(400)는 일측면에, 단열부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가이드(440) 하단에는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450)는 제1가이드(440) 하부와 연결되고, 바디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가이드(450)는 팬부(410), 단열부(420), 열발생부(430) 및 제1가이드(440)를 바디부(110) 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제2가이드(450)의 구체적인 구조는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가이드(450)는, 상기 열풍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열풍홀(455)을 포함하는 통과부재(452); 상기 통과부재(452) 상에 위치하여, 상기 통과부재(452)의 모서리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된 사이드부재(451); 및 상기 사이드부재(451)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100)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453);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부재(452)는 복수의 열풍홀(455)을 포함할 수 있다. 열풍홀(455)은 제1가이드(440)에서 불어오는 열풍을 통과시키는 홀을 의미한다. 열풍공급홀(111)은 열풍공급부(400)와 연결되는 홀로서 열풍홀(455)과는 구별된다. 열풍홀(455)은 제2가이드(450)의 통과부재(452)에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열풍공급부(400)는 바디부(110)에 위치할 수 있다. 열풍홀(455)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드시 나열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풍이 통과할 수 있는 다양한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풍홀(455)을 도입함으로써 열발생부(430)에 이물질, 신체의 일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열풍을 통과시킬 수 있다.
사이드부재(451)는 통과부재(45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통과부재(452)의 모서리로부터 상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부재(451)는 제1가이드(44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53)는 제2가이드(450)를 바디부(110)에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453)는 나사, 볼트 등에 의해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가이드(450) 및 바디부(110)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는, 옷의 유형 기타 필요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작부(40) 및 제어부(41)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부본체(100)는, 상기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40); 및 상기 조작부(40)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열풍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40)에 의해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1)는 상기 조작부(40)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조작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40)는 전원 On/Off, 스팀분사여부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0)는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풍은 '상', '중', '하'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세 가지 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다양한 단계로 조절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제어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조작부(40)에 의한 선택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크게 '상', '중', '하'로 열풍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세 가지 단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부(40)에서 선택될 수 있는 단계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제1모드의 경우 열풍은 '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작부(40)에서 제1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1)는 제1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부피가 작은 속옷, 신발 등과 같은 의류에는 짧은 커버(8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좁은 수용공간(90)에 너무 센 열풍이 가해지면 과열될 수 있고, 전력 소모가가 비효율적으로 커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41)는 열풍을 '약'으로 조절하여 의류에 따른 열풍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모드의 경우 열풍은 '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작부(40)에서 제2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1)는 제2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부피가 중간 정도 되는 티셔츠, 바지 등과 같은 의류에는 중간 길이의 커버(8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너무 약한 열풍이 가해지면 의류관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너무 강한 열풍이 가해지면 과열되거나 전력 소모가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1)는 열풍을 '중'으로 조절하여 의류에 따른 열풍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3모드의 경우 열풍은 '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조작부(40)에서 제3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41)는 제3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부피가 길이가 큰 패딩, 코트 등과 같은 의류에는 긴 커버(80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너무 약한 열풍이 가해지면 의류관리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41)는 열풍을 '강'으로 조절하여 의류에 따른 열풍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7에 참조하면, 세 가지의 사용 상태를 볼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유입구(121)를 통해 상부본체(100)로 들어올 수 있다. 외부 공기는 열풍공급부(400)에 의해 열풍공급부(4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는 흡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수용공간(9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열된 외부 공기는 수용공간(90)에서 내부 공기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내부 공기의 순환을 살펴보면, 내부 공기는 복수의 열풍홀(455)을 통해 들어오는 가열된 외부 공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내부 공기는 유입된 외부 공기 외에도 처음부터 내부에 존재한 공기 및 스팀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공기는 열풍홀(455)로부터 하향으로 흐를 수 있다. 하향으로 흐르는 내부 공기는 수용공간(90)의 중앙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수용공간(90)의 중앙 방향으로 흐르는 내부 공기는 배기부(700)를 향해 다시 상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어서, 내부 공기는 배기부(700) 및 유출구(122)를 통과하여 상부본체(100)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열풍은 가열된 외부 공기로 주변 공기보다 온도가 높고 밀도가 낮아 주변 공기 위로 상승하는 성질을 갖는다. 열풍공급부(400)는 상부본체(100)에 위치하므로, 열풍공급부(400)는 의류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공기 흐름에 따라, 내부 공기는 포물선 형태 또는 'U'자 형태로 순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 순환은 수용공간(90)에 열풍을 오래 머무르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열풍을 오래 머무르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는 감소할 수 있고, 건조 효과 및 구김 완화 효과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열풍이 옷의 상부에서 다가가므로, 의류는 바람의 날리는 효과를 적게 받을 수 있다.
반대로, 의류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열풍은 가열된 외부 공기로서, 상승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때, 의류의 하부에서 생성된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곧바로 배기부(70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공기가 수용공간(90)에 상대적으로 짧게 머무르면서, 커버(800)내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본체(100)에 열풍공급부(400)를 위치시킴으로써, 내부 공기가 수용공간(90)에 오래 머무르도록 하여 전력 소모가 감소, 효율적인 건조 및 구김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100)에 열풍공급부(400)를 위치시킴으로써, 상부본체(100)에 무게를 더 가중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진동부(200)의 진동에 의한 상부본체(100)의 진동을 더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열풍공급부(400) 및 스팀분사부(500)의 위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본체(100)의 일단에 열풍공급부(400)가 위치하고, 상부본체(100)의 타단에 배기부(700)가 위치하며, 그 사이에 스팀분사부(500)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스팀분사부(500)는 배기부(700) 및 열풍공급부(400) 사이에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발생한 스팀은 배기부(700) 및 열풍공급부(400) 사이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여 스팀밀집구역(8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내부 공기를 상술한 포물선 형태 또는 'U'자 형태로 순환시키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내부 공기는 스팀밀집구역(80)을 통과하여 의류의 구김을 완화시킬 수 있고, 젖은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반대로, U자 형태의 순환 구조가 아니거나, 스팀분사부(500)가 배기부(700) 및 열풍공급부(400) 사이에 있지 않은 경우, 스팀밀집구역(80)이 내부 공기의 순환 경로가 아닌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공기는 스팀밀집구역(80)을 통과하지 않아, 의류의 구김 완화 및 건조 효과는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열풍의 방향 조절이 가능한 통과부재(452) 구조를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과부재(452)는, 복수의 열풍홀(455)이 아닌 블레이드(454)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과부재(452)는 고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과부재(452)는 복수의 블레이드(45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454)는 양단이 통과부재(452)에 연결되어, 연결 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454)는 열풍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열풍은 복수의 블레이드(454) 방향에 따라 수용공간(9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열풍이 수용공간(90)에 제공되는 방향에 따라서 내부 공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순환될 수 있다. 의류걸이대(10)는 상부본체(100)에 연결된 진동체와 연결될 수 있다. 의류걸이대(10)에 위치한 의류는 수용공간(9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는 제1방향으로 열풍을 수용공간(9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방향은 열풍공급부(400)의 직하방향을 의미한다. 열풍공급부(400)는 상부본체(100)의 일단에 위치하여 의류에 곧바로 열풍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공간(90) 내의 빈 공간(의류와 커버의 측면 사이)으로 열풍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열풍은 수용공간(90)의 깊은 곳까지 제공될 수 있고, 옷의 하부까지 접촉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400)는 제2방향으로 열풍을 수용공간(90)에 제공할 수 있다. 제2방향은 수용공간(90)의 중앙 방향(의류 방향)을 의미한다. 열풍공급부(400)는 상부본체(100)의 일단에 위치하여 의류에 직접적으로 열풍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열풍이 직접 의류에 닿게 됨으로써, 의류의 건조 및 구김 완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 방향에 관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열풍공급부(400)는 제3방향으로 열풍을 수용공간(90)에 제공할 수 있다. 제3방향은 의류의 반대 방향(커버(800)의 측면 방향)을 의미한다. 즉, 열풍공급부(400)는 상부본체(100)의 일단에 위치하여 커버(800)에 화살표를 따라 직접적으로 열풍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열풍은 수용공간(90)을 형성하는 커버(800)의 내부 형태에 따라 분산될 수 있다. 커버(800)에 부딪힌 열풍은 커버(800)의 모양을 따라 이동하여, 의류의 전면 및 후면에 분산되어 흐를 수 있다. 의류의 전면으로 향하는 열풍은 실선으로 나타나 있고, 의류의 후면으로 향하는 열풍은 파선으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열풍은 의류의 전, 후면 방향에서 의류와 접촉하여, 의류의 건조 및 구김 완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의류진동부(200)에 대해 추가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진동부(200)는 의류걸이대(10)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걸이대(10)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는 폭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상의를 의류걸이대(10)에 걸었을 경우를 가정하면, 폭 방향은 상의의 전후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 방향은 상의의 측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의류진동부(200)는 진동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체(210)는 상부본체(100)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본체(100)의 하부는 진동체(210)가 상부본체(100) 밖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의류진동부(2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진동체(2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걸이대(10)는 진동체(21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진동체(210)는 의류걸이대(10)를 진동시킬 수 있고, 의류걸이대(10)는 의류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체(210)는 폭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진동체(210)는 의류걸이대(10)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걸이대(10)는 의류를 폭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의류걸이대(10)에 의류를 걸면, 의류걸이대(10)는 의류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하면, 의류걸이대(10)에 상의를 걸 때, 상의의 전후면 방향은 폭 방향을 의미하고, 상의의 측면 방향은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진동체(210)가 폭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의류는 전후면 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고, 의류는 공기에 의한 저항을 크게 받는다. 의류는 의류의 상부에서 진동힘을 받고 의류의 중부 및 하부는 공기 저항을 받으므로, 의류는 파동 형태로 흔들릴 수 있다. 따라서, 의류진동부(200)는 상대적으로 약한 진동힘으로도 의류를 크게 흔들게 되므로, 먼지는 옷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반대로, 진동체(210)가 길이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의류는 측면 방향으로 진동을 하게 되고, 의류는 공기에 의한 저항을 적게 받는다. 의류는 의류의 상부에서 진동에너지를 받더라도, 의류는 파동 형태가 아닌 좌우 왕복 형태로 흔들릴 수 있다. 결국, 의류진동부(200)는 상대적으로 강한 진동힘을 필요로 하므로, 먼지 제거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본체(900)를 포함한 사용 상태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상기 커버(800)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본체(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900)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100)로부터 이격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100)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하부본체(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본체(900)는 커버(80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800)는 하단에 하부본체(900) 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하부본체(900)를 채택하는 경우 커버(800)는 하단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하부본체(9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커버(800)는 커버(800)의 상부 및 하부에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800)가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200)와 연결됨으로써, 상부본체(100), 커버(800) 및 하부본체(900)는 폐쇄된 수용공간(9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서,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하부본체(900)는 바닥면(30)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에 무게를 가할 수 있다. 상부본체(100)는 의류진동부(200)에 의해 흔들릴 수 있으므로,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에 무게를 가하여, 상부본체(100)의 의류진동부(200)에 의해 상부본체(100)가 흔들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사용 상태에서, 상부본체(100)는 고리부(310)에 의해 외부 물체(20)에 매달리고,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로부터 이격되며, 하부본체(900)는 바닥면(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사용 상태에서,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 상태에서 상부본체(100)로부터 이격되었던 하부본체(900)를 미사용 상태에서 상부본체(100)와 결합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보관 및 이동이 쉬워진다. 즉, 미사용 상태에서, 상부본체(100)는 고리부(310)에 의해 외부 물체(20)에 매달리고, 하부본체(900)는 상부본체(100)와 결합되며, 하부본체(900)는 바닥면(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100) 및 하부본체(9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옮겨지거나 바닥면(30) 상에서 보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는 회전 가능한 고리부(310)를 가짐으로써, 외부 물체(20)의 형태나 공간 제약으로부터 더 자유로울 수 있다. 고리부(310)가 길이 방향을 향하는 경우, 길이 방향의 여유 공간이 없는 경우 설치가 불가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310)를 90도 회전시키는 경우 공간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처럼, 봉의 방향과 길이 방향이 같게 설치함으로써 공간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걸이부(300)를 채택함으로써 커버(800) 및 하부본체(900)를 바닥면(30)으로부터 이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캐비닛 형태로 구성된 고정 설치형 의류관리기와 달리 자유롭게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의류걸이대 20 : 외부 물체
30 : 바닥면 40 : 조작부
41 : 제어부 80 : 스팀밀집구역
100 : 상부본체 90 : 수용공간
110 : 바디부 111 : 열풍공급홀
120 : 사이드바디부 121 : 유입구
122 : 유출구 200 : 의류진동부
210 : 진동체 300 : 걸이부
310 : 고리부 320 : 상판
321 : 고리회전부 400 : 열풍공급부
410 : 팬부 411 : 팬
412 : 팬고정부재 420 : 단열부
430 : 열발생부 440 : 제1가이드
450 : 제2가이드 451 : 사이드부재
452 : 통과부재 453 : 고정부재
454 : 블레이드 455 : 열풍홀
500 : 스팀분사부 700 : 배기부
800 : 커버 900 : 하부본체
30 : 바닥면 40 : 조작부
41 : 제어부 80 : 스팀밀집구역
100 : 상부본체 90 : 수용공간
110 : 바디부 111 : 열풍공급홀
120 : 사이드바디부 121 : 유입구
122 : 유출구 200 : 의류진동부
210 : 진동체 300 : 걸이부
310 : 고리부 320 : 상판
321 : 고리회전부 400 : 열풍공급부
410 : 팬부 411 : 팬
412 : 팬고정부재 420 : 단열부
430 : 열발생부 440 : 제1가이드
450 : 제2가이드 451 : 사이드부재
452 : 통과부재 453 : 고정부재
454 : 블레이드 455 : 열풍홀
500 : 스팀분사부 700 : 배기부
800 : 커버 900 : 하부본체
Claims (9)
-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가 결합되는 상부본체;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돌출되어 의류걸이대를 진동시키는 진동체를 포함하는 의류진동부;
상기 상부본체의 상단에 위치하여, 외부 물체에 상기 상부본체를 걸기 위한 걸이부;
상기 상부본체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에 스팀밀집구역을 형성하는 스팀분사부; 및
상기 상부본체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본체의 하면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공급부;를 포함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열풍공급부에 연결되는 열풍공급홀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하여, 상기 열풍공급부를 보호하는 사이드바디부;를 포함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디부는,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일단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타단에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홀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된 열풍을 상기 수용공간에 제공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바람을 일으키는 팬부;
상기 팬부의 아래에 위치하여 흡입된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열발생부;
상기 팬부와 상기 열발생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열발생부로부터 상기 팬부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단열부;
상기 열발생부를 둘러싸고, 상기 팬부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풍공급홀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열풍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열풍홀을 포함하는 통과부재;
상기 통과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통과부재의 모서리로부터 직상향으로 형성된 사이드부재; 및
상기 사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열풍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상기 열풍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모드, 제2모드 또는 제3모드에 따라 열풍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상부본체로 유입되고,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통해 가열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공급되어 상기 내부 공기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기는 상기 배기부 및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순환 구조를 가지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진동부는 의류걸이대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걸이대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는, 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로부터 이격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상부본체와 결합할 수 있는,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750A KR102621887B1 (ko) | 2021-05-06 | 2021-05-06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750A KR102621887B1 (ko) | 2021-05-06 | 2021-05-06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1469A KR20220151469A (ko) | 2022-11-15 |
KR102621887B1 true KR102621887B1 (ko) | 2024-01-04 |
Family
ID=8404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8750A KR102621887B1 (ko) | 2021-05-06 | 2021-05-06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188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54011A1 (en) * | 2000-12-14 | 2002-10-24 | Merih Pasin |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
JP2006158585A (ja) * | 2004-12-06 | 2006-06-22 | Sanyo Electric Co Ltd | 衣類乾燥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5894A (ja) * | 1981-07-20 | 1983-01-29 | 三洋電機株式会社 | 乾燥機 |
KR20000000450A (ko) | 1999-10-23 | 2000-01-15 | 박철우 | 스크랩용 커터 |
KR101892271B1 (ko) * | 2016-11-18 | 2018-08-28 | 김준호 | 의류 보관 장치 |
KR102199468B1 (ko) * | 2019-05-07 | 2021-01-06 | (주)일코전자 | 의류관리기 및 의류관리기의 조립부재 |
-
2021
- 2021-05-06 KR KR1020210058750A patent/KR1026218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154011A1 (en) * | 2000-12-14 | 2002-10-24 | Merih Pasin | Applian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fabrics with a built-in working indicator |
JP2006158585A (ja) * | 2004-12-06 | 2006-06-22 | Sanyo Electric Co Ltd | 衣類乾燥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1469A (ko) | 2022-1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282309B (zh) | 衣物处理设备 | |
US9010158B2 (en) | Fabric treatment apparatus | |
US8789288B2 (en) | Pedestal drying machine using PTC heater | |
KR20110099914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9863087B2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20230151535A1 (en) |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110067754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20161118A (ko) | 의류처리장치 | |
CN111394928A (zh) | 具有感应加热器的洗衣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2621887B1 (ko) |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
KR100845843B1 (ko) | 리프레쉬 장치 | |
JP6047759B2 (ja) | 洗濯機 | |
KR102370643B1 (ko) | 걸이형 의류 관리기의 제어 방법 | |
KR20110099913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42906B1 (ko) | 배기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 |
JP2003311070A (ja) | 洗濯乾燥機 | |
KR20140023121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10112881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0808172B1 (ko) | 리프레쉬 장치 | |
KR102376759B1 (ko) | 스팀을 이용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 |
KR102592052B1 (ko) | 회전 가능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 |
US20230138890A1 (en) |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2574259B1 (ko) |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 |
KR20230063850A (ko) |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
AU2021450620B2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