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11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1118A KR20220161118A KR1020210120161A KR20210120161A KR20220161118A KR 20220161118 A KR20220161118 A KR 20220161118A KR 1020210120161 A KR1020210120161 A KR 1020210120161A KR 20210120161 A KR20210120161 A KR 20210120161A KR 20220161118 A KR20220161118 A KR 202201611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et
- refresher
- heating device
- duct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1/005—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consisting of one or more rotating drums through which the laundry passes in a continuous flow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제1 캐비닛의 하부와 결합하는 어퍼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고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쇠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3 캐비닛을 포함하는 리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터브와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캐비닛을 마주하고, 상기 제3 캐비닛에 결합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여, 세탁기와 리프레셔가 일면을 공유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의류처리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처리하는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들은 주거공간 내에서 그 용도에 따라 주방, 다용도실, 거실, 실외와 같은 서로 다른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10-2020-0109194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터브와 드럼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고,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을 회전시켜, 세 탁물을 세탁한다. 세탁기는 외부 수원을 통해 상기 터브 또는 드럼에 물을 공급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터브 내의 물을 드럼으로 순환시키거나 터브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급수와 배수를 위해 주방이나 다용도실에 배치된다.
세탁기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송풍팬과 스팀발생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120993은, 건조기를 개시한다. 건조기는 가열수단과 송풍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시킨 뒤 드럼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이 종료된 세탁물을 건조하고, 수분이 함유된 세탁물을 건조기 내로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해 세탁기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건조기는 스팀을 발생시켜 발생된 스팀을 드럼 내부로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살균하거나 세탁물의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스팀의 발생을 위하여 건조기 내로 물이 급수될 수 있고, 스팀화되지 않은 물은 재사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건조되는 세탁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순환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탈취기능이 건조기에 부가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254903은, 리프레셔를 개시한다. 리프레셔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 탈취, 구김제거, 정전기 제거 및/또는 살균(이하, "리프레싱"이라고도 한다)한다.
리프레셔는 주로 정장, 코트와 같이 세척 후에 사용자가 빈번히 사용하는 의류를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정장, 코트와 같은 의류를 옷장에 걸어서 보관한다. 이에, 리프레셔는 세탁기와 달리 드레스룸, 거실, 침실과 같은 공간에 옷장과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옷장을 대신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리프레셔는 옷이나 의복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대상을 포함하여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된 종래의 의류처리기들은, 사용자가 분류한 의류를 해당 의류를 관리하는 각각의 의류처리기로 운반해야하기 때문에, 작업동선이 길어지고 의류관리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레셔가 세탁기 및 건조기와 다른 공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세탁된 젖은 의류나 건조된 의류를 리프레셔가 배치된 공간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열풍과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처리하는 종래의 의류처리기들은, 각각의 장치가 급수설비, 배수설비, 공기가열장치, 스팀발생장치, 펌프, 송풍팬, 공기유로 및 스팀유로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의류수용공간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하여, 각각의 장치가 가열장치와 스팀발생장치 등을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비용과 에너지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드럼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불쾌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행정 시에, 드럼의 회전으로 인하여 캐비닛 전체가 흔들려 세탁기 인근의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하여 과도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의류처리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공간 내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싱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에 필요한 사용자의 작업동선을 최소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 및 건조가 수행되는 공간 내에서 고온건조가 불가한 의류도 처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의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싱의 작업용이성을 향상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시스템 전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줄인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와 컨트롤패널 등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한 구성들의 높이를 낮춰 사용자의 조작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에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유로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에 공기를 공급하는 열풍유로의 길이를 최소화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후방향 폭이 확장된 리프레셔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후방향 폭을 확장한 리프레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수용공간의 상하높이가 확장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 내부의 의류수용공간의 상하높이가 확장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의 전후방향 폭과 세탁기/건조기의 전후방향 폭의 차이를 활용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로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유로의 길이를 최소화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의 히팅장치로 복수개의 의류처리기에 열풍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열풍공급에 필요한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발생에 필요한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기의 캐비닛의 흔들림을 저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의류처리기들의 캐비닛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의 상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의 상부에서 열풍을 회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와 연결되는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레셔로 공급되는 열풍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 캐비닛과 제1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캐비닛과 터브와 제2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포함한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쇠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제1 캐비닛의 하부와 결합하는 어퍼패널을 구비하여, 세탁기의 상하방향 진동을 제1 캐비닛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3 캐비닛을 포함하는 리프레셔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터브와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캐비닛을 마주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패널은, 상기 제3 캐비닛에 결합하여, 세탁기의 수평방향 진동을 제3 캐비닛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을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진재를 포함할 수 있어, 제진재를 통해 세탁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플레이트, 상기 제2 캐비닛 및 상기 제3 캐비닛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캐비닛과 상기 제3 캐비닛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캐비닛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캐비닛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어, 롤러에 의해 세탁기의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세탁기의 사이드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어, 레그에 의해 세탁기의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리프레셔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터브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제3 캐비닛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터브 및 상기 제1 드럼과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드럼과 연결되는 제1 급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어, 건조기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급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어, 리프레셔의 상부에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드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히팅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팅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2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어, 리프레셔의 상부에서 공기를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급기덕트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드럼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덕트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제1 어퍼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제2 급기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어퍼플레이트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개구된 급기구를 포함할 수 있어, 리프레셔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기덕트는, 상기 제1 드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덕트는,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덕트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2 배기덕트가 배치되는 위치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3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배기덕트는, 상기 터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배기덕트에 합지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리프레셔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급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캐비닛과 상기 제2 캐비닛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상하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3 캐비닛은, 상기 건조기 및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히팅장치와 상기 제3 캐빈시 사이에 배치되는 수납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덕트는, 상기 수납캐비닛의 후방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기덕트는, 상기 수납캐비닛의 후방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급기덕트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 배기덕트가 연장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의류처리기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동일한 공간에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를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공간 내에서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싱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공간 내에서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 건조 및 리프레싱 작업을 수행할 때, 의류의 운반에 필요한 사용자의 로드(작업양, 동선 등)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 및 건조가 수행되는 공간 내에서 고온건조가 불가한 의류를 리프레셔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와 리프레셔가 일면을 공유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프레셔의 후방공간에 열풍유로를 배치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전후방향 폭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단일의 히팅장치로 세탁기, 건조기 및 리프레셔 각각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의 배수펌프를 통해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함으로써, 응축수의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팀발생에 필요한 물을 세탁기의 급수관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스팀발생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의 캐비닛과 리프레셔의 캐비닛이 결합됨으로써,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가 건조기의 하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지면으로 흡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세탁기의 캐비닛을 건조기의 로어패널 및 리프레셔의 사이드패널과 결합시킴으로써, 세탁기 캐비닛의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팅장치가 세탁기와 건조기의 상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리프레셔의 상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팅장치가 리프레셔의 상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리프레셔의 상부에 연결되는 급기덕트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히팅장치가 건조기 및 리프레셔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건조기와 리프레셔 각각에 연결되는 급기덕트의 길이가 동시에 짧아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건조기와 리프레셔 각각에 연결되는 급기덕트의 길이가 짧아짐으로 인하여, 건조기와 리프레셔로 공급되는 열풍의 열손실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제1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제2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제1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제2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덕트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환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A)의 외형을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A)는, 하나 이상의 의류처리기(Laundry treating machine)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기는 대상물(예를들어, 의류, 수건, 이불 등)을 세탁, 건조 및/또는 리프레싱을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A)는 같은 종류의 복수의 의류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둘 이상의 건조기(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둘 이상의 세탁기(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둘 이상의 리프레셔(3)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류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건조기(1), 세탁기(2) 및 리프레셔(3)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같은 종류의 복수의 의류처리기와 이와 다른 종류의 의류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둘 이상의 세탁기, 하나의 건조기, 하나의 리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처리장치(A)는 하나의 세탁기, 하나의 건조기, 둘 이상의 리프레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A)는 의류처리기의 종류와 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경우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하나의 건조기(1), 하나의 세탁기(2) 및 하나의 리프레셔(3)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를 예로들어 설명하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건조기(1)와 세탁기(2)와 리프레셔(3)는, 각각이 제1 ~3의류처리기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1)는 "제1 의류처리기"로 이름될 수 있고, 세탁기(2)는 "제2 의류처리기"로 이름될 수 있고, 리프레셔(3)는 "제3 의류처리기"로 이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히팅장치(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81)(도 2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mounting)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후술하는 컨트롤패널(8)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히팅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상기 컨트롤패널(8)과 통신할 수 있다.
건조기(1)와 세탁기(2)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1)와 세탁기(2) 사이에는 컨트롤패널(8)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8)은, 리프레셔(3)와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을 통해 의류처리장치(A)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을 조작하여, 건조기(1), 세탁기(2) 및 리프레셔(3)의 구동을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을 조작하여, 히팅장치(50)의 가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8)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컨트롤러(81)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8)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PCB에 실장(mounting)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러(81)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컨트롤패널(8)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8)의 배면에 PCB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상기 PCB에 실장될 수 있다.
또는 세탁기(2), 건조기(1), 리프레셔(3) 및 기계실(S)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컨트롤러는 PCB에 실장될 수 있다. 각 컨트롤러들은 상호 통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한 컨트롤러는 다른 컨트롤러 및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위 제어기일 수 있다.
컨트롤패널(8)은, 의류처리장치(A)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을 통해 의류처리장치(A)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히팅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각각의 의류처리기들에 공급된 열풍은 히팅장치(50)로 다시 유입되어, 순환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2)와 건조기(1)와 리프레셔(3) 각각에 공급된 열풍을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기시킬 수도 있다. 즉,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기(2)의 터브(23)으로 공급된 열풍을 세탁기(2)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건조기(1)의 제1 드럼(13)으로 공급된 열풍을 건조기(3) 외부로 배기할 수 있고,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으로 공급된 열풍을 리프레셔(3)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기계실(S)(도 2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S)은, 히팅장치(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실(S)은, 히팅장치(50) 및 히팅장치(50) 이외의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기계실(S) 내에는, 히팅장치(50)를 비롯하여 펌프, 송풍팬, 공기유로, 스팀장치, 스팀유로, 제습장치, 컨트롤러, 모터, 팬하우징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은, 상술한 가동요소(펌프, 송풍팬, 공기유로, 스팀장치, 스팀유로, 제습장치, 컨트롤러, 모터, 팬하우징)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계실(S)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히팅장치(50)가 배치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히팅장치(50)를 포함하는 상위개념일 수도 있다.
기계실(S)은, 별도의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S)이 별도의 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기계실(S)은, 제1 캐비닛(10) 및 제2 캐비닛(20)과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계실(S)은, 제1 ~3캐비닛(10, 20, 3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실(S)이 제1 ~3캐비닛(10, 20, 3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기계실(S)은 히팅장치(5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즉, 기계실(S)이 제1 ~3캐비닛(10, 20, 30)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기계실(S)은 제1 ~3캐비닛(10, 20, 30) 내부공간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기계실(S)은, 세탁기(2) 및 건조기(1)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은,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은, 세탁기(2)와 건조기(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실(S)은, 세탁기(2)와 건조기(1)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기계실(S)은, 리프레셔(3)와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기계실(S)은, 리프레셔(3)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리프레셔(3)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에 공급된 열풍을 회수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에 공급된 열풍을 회수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에 공급된 열풍을 회수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히트펌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압축기(51), 응축기(52), 증발기(53) 및 팽창장치(54)를 구비할 수 있다(도 5참조). 히팅장치(50)는, 팬(60)(도 5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장치는, "열교환유닛"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열교환채널(42)(도 5참조)에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유닛은, 냉매유로로 연결된 히트펌프장치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유닛은, 전기를 동력으로 작동하는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유닛은, 발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열교환유닛은, 상기 히터와 냉각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상기 히터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열교환채널(4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열교환채널(42)을 통과하는 공기를 제습 및 냉각시킬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 및 건조기(1)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세탁기(2)와 건조기(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세탁기(2)와 건조기(1)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와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의 후방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제2 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제3 캐비닛(3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탁기(2), 건조기(1), 및 히팅장치(50)(또는 기계실(S))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리프레셔(3)는 세탁기(2), 건조기(1)의 측방(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리프레셔(3)의 측방(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2)의 상측에 건조기(1)가 배치되고,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상측에 히팅장치(50)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세탁기(2), 건조기(1) 및 히팅장치(50)의 상하 배열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리프레셔(3)는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일측(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레셔(3)는,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리프레셔(3)의 배치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리프레셔(3)는 세탁기(2)와 건조기(1)의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리프레셔(3)의 전후방향 폭은, 세탁기(2) 및 건조기(1)의 전후방향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리프레셔(3)의 후방에는, 후술할 열풍유로 또는 스팀유로가 배치되는 리어케이스(310)가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2)는, 전면에 제2 투입구(22)(도 2참조)가 형성된 제2 캐비닛(20), 제2 캐비닛(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 도어(2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 도어(21)를 회전시켜 제2 투입구(22)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제2 투입구(22)를 통해 세탁물을 제2 드럼(24)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건조기(1)는, 전면에 제1 투입구(12)(도 2참조)가 형성된 제1 캐비닛(10), 제1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1 도어(11)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1 도어(11)를 회전시켜 제1 투입구(12)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제1 투입구(12)를 통해 세탁물을 제1 드럼(13)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리프레셔(3)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3 투입구(32)(도 3참조)가 형성된 제3 캐비닛(30)과, 제3 캐비닛(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도어(31)를 포함한다. 제3 투입구(32)는, "개구부"로 이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도어(31)를 회전시켜 제3 투입구(32)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제3 투입구(32)를 통해 세탁물을 제3 캐비닛(3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제1 캐비닛(10)과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은, 각각이 어퍼패널, 로어패널, 전방패널, 후방패널 및 사이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비닛(10)은, 제1 어퍼패널(103), 제1 로어패널(104), 제1 전방패널(101), 제1 후방패널(102) 및 제1 사이드패널(105, 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비닛(20)은, 제2 어퍼패널(203), 제2 로어패널(204), 제2 전방패널(201), 제2 후방패널(202) 및 제2 사이드패널(205, 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은, 제3 어퍼패널(303), 제3 로어패널(304), 제3 전방패널(301), 제3 후방패널(302) 및 제3 사이드패널(305, 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은, 제3 전방패널(301) 대신에 제3 도어(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세탁기(2)와 리프레셔(3) 사이공간 및 건조기(1)와 리프레셔(3) 사이공간에는, 플레이트(90)(도 10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90)는 제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와 세탁기(2)와 리프레셔(3)는, 상기 플레이트(9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건조기(1)의 제1 어퍼패널(103)과 리프레셔(3)의 제3 어퍼패널(303)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제3 어퍼패널(303)과 리어케이스(310)의 상측벽(313)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제3 사이드패널(305)과 리어케이스(310)의 측벽(315)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2)의 전방패널(201), 건조기(1)의 전방패널(101) 및 컨트롤패널(8)은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제3 도어(31)는, 세탁기(2)의 전방패널(201), 건조기(1)의 전방패널(101) 및 컨트롤패널(8)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리프레셔(3)의 제3 도어(31)는, 세탁기(2)의 제2 도어(21), 건조기(1)의 제1 도어(11)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탁기(2)의 제2 로어패널(204)과 리프레셔(3)의 제3 로어패널(304)은,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세탁기(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히팅장치(50)는, 제1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건조기(1)와 세탁기(2)와 히팅장치(50)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A)의 건조기(1)와 세탁기(2)를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세탁기(2)는, 제2 캐비닛(20)과, 제2 캐비닛(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도어(21)와, 제2 캐비닛(20)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3)와, 터브(23)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2 드럼(24)과, 제2 드럼(24)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5)와, 의류처리장치(A)에서 발생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26)와, 외부수원(미도시)과 연결되는 급수밸브(27)와, 세제가 저장되는 드로워(28)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2)는, 터브(23)와 제2 캐비닛(20)을 연결하는 서스펜션(231)을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231)은, 터브(23)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배수펌프(26)는, 제1 배수관(261)을 통해 터브(23)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펌프(26)는, 제1 배수관(261) 및 드레인관(53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제2 배수관(262)을 통해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급수밸브(27)는, 외부수원(미도시)과 세탁기(2)를 연결하는 급수라인(278, 279)(도 9참조)을 개폐할 수 있다. 급수밸브(27)는 상기 외부수원으로부터 세탁기(2)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밸브(27)는, 제1 급수관(27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71)은, 세제가 저장된 드로워(28)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수관(271)을 통해 드로워(28) 내로 유입된 물은, 드로워(28)내의 세제와 함께 제2 급수관(272)을 통해 터브(23)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건조기(1)는, 제1 캐비닛(10)과, 제1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도어(11)와, 제1 캐비닛(10)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제1 드럼(13)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는 제1 드럼(13)을 회전시키는 모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3)의 회전축에 풀리(134)가 고정될 수 있다. 벨트가 상기 풀리(134)와 드럼(13)의 원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3)의 회전력이, 풀리(134)와 벨트를 통해 드럼(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모터(133)는, 제1 드럼(1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133)는,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로어패널(104)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모터(133)는 제1 드럼(13)에 직결되어 제1 드럼(13)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캐비닛(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드럼(1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은, 제1 캐비닛(10) 내부공간의 일부일 수 있다. 기계실(S)은, 제1 캐비닛(10)의 상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기계실(S)에 배치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는 격벽(108)을 포함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격벽(10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108)은, 제1 드럼(13)이 배치되는 공간과 기계실(S)을 구획할 수 있다. 격벽(108)은, 히팅장치(50)와 제1 드럼(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108)은, 제1 캐비닛(10)과 일체형일 수 있고, 제1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가능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격벽(108)과 제1 어퍼패널(1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S)은, 격벽(108)과 제1 어퍼패널(10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히팅장치(50)가 제1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히팅장치(50)는 제1 어퍼패널(1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케이스(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고온의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52)와, 응축기(52)를 통과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하는 팬(60)과, 히팅장치(50) 내로 유입된 공기와 저온의 냉매를 열교환시켜 공기를 냉각 및 제습시키는 증발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52)와 증발기(53)는, "열교환유닛"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응축기(52)를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으로 이름한다)는, 팬(60)을 통해 송풍될 수 있고, 세탁기(2), 건조기(1), 또는 리프레셔(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공급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드럼(13)과 제1 급기덕트(4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히팅장치(50)에서 발생된 열풍은, 팬(60)에 의해 송풍되어 제1 급기덕트(43)를 통해 제1 드럼(1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히팅장치(5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터브(23)와 제3 급기덕트(48)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히팅장치(50)에서 발생된 열풍은, 팬(60)에 의해 송풍되어 제3 급기덕트(48)를 통해 터브(23)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히팅장치(5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팅장치(50)에서 발생된 열풍은, 팬(60)에 의해 송풍되어 제습덕트(46)를 통해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는, 후술할 베이스플레이트(575)(도 7참조)와 격벽(1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제습덕트(46)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습덕트(46)의 전방에는 개방부재(463)가 배치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제습덕트(46)의 전방을 개폐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제1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급기덕트(43, 45, 48)는, 제1 ~3급기덕트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1)와 연결된 급기덕트를 제1 급기덕트(43)로 이름할 수 있고, 리프레셔(3)와 연결된 급기덕트를 제2 급기덕트(45)로 이름할 수 있고, 세탁기(2)와 연결된 급기덕트를 제3 급기덕트(48)로 이름할 수 있다. 급기덕트(43, 45, 48)는, "공급덕트"로 이름될 수도 있다. 제1, 2, 3급기덕트(43, 45, 48)는 각각 "제1 ~3공급덕트"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급기덕트(43)는 제1 공급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2 급기덕트(48)는 제2 공급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3 급기덕트(45)는 제3 공급덕트로 이름될 수 있다. 급기덕트(43, 45, 48)는, "공급관"으로 이름될 수도 있다. 제1, 2, 3급기덕트(43, 45, 48)는 각각 "제1 ~3공급관"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급기덕트(43)는 제1 공급관으로 이름될 수 있고, 제2 급기덕트(48)는 제2 공급관으로 이름될 수 있고, 제3 급기덕트(45)는 제3 공급관으로 이름될 수 있다.
세탁기(2), 건조기(1) 또는 리프레셔(3)에 공급된 공기는 히팅장치(50)로 회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드럼(13)과 제1 배기덕트(4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를 통해 제1 드럼(13) 내로 유입된 열풍은, 제1 드럼(13)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시킨 뒤, 제1 배기덕트(41)를 통해 히팅장치(50) 내로 회수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는, 제1 드럼(1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터브(23)와 제3 배기덕트(47)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를 통해 터브(23) 내로 유입된 열풍은, 제2 드럼(24)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을 건조시킨 뒤, 제3 배기덕트(47)를 통해 히팅장치(50) 내로 회수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기덕트(41, 44, 47)는, 제1 ~3배기덕트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기(1)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제1 배기덕트(41)로 이름할 수 있고, 리프레셔(3)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제2 배기덕트(44)로 이름할 수 있고, 세탁기(2)와 연결된 배기덕트를 제3 배기덕트(47)로 이름할 수 있다. 배기덕트(41, 44, 47)는, "토출덕트" 또는 "회수덕트"로 이름될 수도 있다. 제1, 2, 3배기덕트(41, 44, 47) 각각은, "제1 ~3토출덕트"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기덕트(41)는 제1 토출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2 배기덕트(47)는 제2 토출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3 배기덕트(44)는 제3 토출덕트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2, 3배기덕트(41, 44, 47) 각각은, "제1 ~3회수덕트"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기덕트(41)는 제1 회수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2 배기덕트(47)는 제2 회수덕트로 이름될 수 있고, 제3 배기덕트(44)는 제3 회수덕트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2, 3배기덕트(41, 44, 47) 각각은, "제1 ~3회수관" 중 어느 하나로 이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기덕트(41)는 제1 회수관으로 이름될 수 있고, 제2 배기덕트(47)는 제2 회수관으로 이름될 수 있고, 제3 배기덕트(44)는 제3 회수관으로 이름될 수 있다.
히팅장치(50)에서 발생된 열풍은, 세탁기(2), 건조기(1) 및 리프레셔(3)로 공급되어, 각각의 의류처리기(1, 2, 3)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킨 뒤, 히팅장치(50)로 회수될 수 있다. 즉, 히팅장치(50)에서 발생된 열풍은, 의류처리장치(A) 내에서 순환될 수 있다. 복수의 의류처리기(1, 2, 3) 각각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킨 뒤 히팅장치(50)로 회수되는 열풍은, 하나의 의류처리기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때에 비해 많은 양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증발기(53)는, 히팅장치(50) 내로 회수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켜, 회수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히팅장치(50)로 회수되는 공기는, 증발기(53)와 열교환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증발기(53)의 하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팬(531)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531)은, 증발기(53)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다.
드레인팬(531)은, 드레인관(532)을 통해 배수펌프(26)와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관(532)은, 드레인팬(53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배수펌프(26)와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팬(531)에 수용된 응축수는, 드레인관(532)을 통해 배수펌프(26)로 유입될 수 있고, 배수펌프(26)에 의해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리프레셔(3)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A)의 리프레셔(3)를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리프레셔(3)는,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33)을 형성하는 제3 캐비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레셔(3)는, 의류가 걸리는 행거(36)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33)의 하부를 규정하는 이너패널(34)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36)는, 제3 어퍼패널(303)과 제3 로어패널(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로어패널(304)보다 제3 어퍼패널(30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패널(34)은, 제3 어퍼패널(303)과 제3 로어패널(3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어퍼패널(303)보다 제3 로어패널(30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의 내부공간(33)에 수용되는 의류(G)는, 행거(36)와 이너패널(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내부공간(33)의 높이(H)는, 행거(36)와 이너패널(34) 사이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내부공간(33)의 높이(H)는, 히팅장치(50)가 이너패널(34)과 제3 로어패널(304) 사이에 배치될 때에 비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리프레셔와 달리 본 개시의 리프레셔(3)는, 롱코트나 정장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차지하는 높이가 큰 의류(G)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리프레셔(3)는, 세탁기(2) 및 건조기(1)의 전후방향 폭에 맞추어 전후방향 폭이 종래의 리프레셔에 비해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리프레셔(3)는, 종래의 리프레셔 비해 전후방향으로 보다 많은 양의 의류를 수용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전후방향 폭(W)은, 제3 도어(31)와 제3 후방패널(302) 사이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이너패널(34)과 제3 로어패널(304) 사이에는 수납공간(35)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35)에는, 양말, 속옷, 모자, 목도리, 장갑 등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종류의 의류가 수납될 수 있다.
이너패널(34)은, 제3 로어패널(304)의 상측에 이격되는 제1 이너패널(341)과, 제1 이너패널(341)로부터 상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제2 이너패널(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너패널(342)은, 제1 이너패널(341)로부터 제3 후방패널(302)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리프레셔(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3 후방패널(302)을 관통하여 제3 어퍼패널(303)과 결합될 수 있다. 제3 어퍼패널(303)은, 제2 급기덕트(45)와 연결되는 급기구(30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은, 행거(36)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어퍼플레이트(307)와, 제1 어퍼플레이트(307)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어퍼플레이트(3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플레이트(307)와 제2 어퍼플레이트(308)는, 제3 어퍼패널(303)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어퍼플레이트(307)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행거(36)는, 제1 어퍼플레이트(307)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어퍼플레이트(308)는, 제1 어퍼플레이트(307)의 후단으로부터 제3 후방패널(30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어퍼플레이트(308)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급기구(303a)는, 제2 어퍼플레이트(308)에 형성될 수 있다. 급기구(303a)는, 행거(36)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급기구(303a)는, 내부공간(33)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3 후방패널(302)을 관통하여 제2 어퍼플레이트(308)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3 후방패널(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1 열풍덕트(451)와, 제3 후방패널(302)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열풍덕트(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풍덕트(451)는, 리어케이스(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열풍덕트(452)는, 제3 어퍼패널(303)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열풍덕트(451)와 제2 열풍덕트(452)는, 제3 후방패널(30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열풍덕트(451)는, 리어케이스(310) 내에서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어 히팅장치(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열풍덕트(452)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어퍼플레이트(308)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3 후방패널(3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후방패널(302)에는, 내부공간(33)을 향해 개구된 배기구(30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배기구(302a)에 대응되도록 제3 후방패널(302)에 결합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으로 토출된 열풍은, 의류(G)를 건조시킨 뒤, 배기구(302a)를 통해 제2 배기덕트(44)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2 급기덕트(45)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구(302a)는, 급기구(303a)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3 후방패널(302)을 관통하여, 리어케이스(31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3 후방패널(302)을 관통하여, 리어케이스(310) 내에서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어 히팅장치(50)에 연결될 수 있다.
리프레셔(3)는, 제3 로어패널(30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롤러(39)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39)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리프레셔(3)의 롤러구조는, 세탁기(2)의 제2 로어패널(20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세탁기(2)와 리프레셔(3)의 롤러는, 의류처리장치(A)가 이동될 때, 의류처리장치(A)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A)에서의 덕트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 기준선(Y)의 좌측은 건조기(1)와 세탁기(2)의 덕트시스템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에서 기준선(Y)의 우측은 리프레셔(3)의 덕트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 기준선(Y)의 좌측은 건조기(1)와 세탁기(2)를 좌우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절개하여 덕트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에서 기준선(Y)의 우측은 리프레셔(3)의 배면을 덕트시스템의 표현을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설명에 사용된 방위개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서 기준선(Y)의 좌측을 제1 개념도(S1)로 이름할 수 있다. 도 4에서 기준선(Y)의 우측을 제2 개념도(S2)로 이름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의류처리장치(A)에서 열풍이 순환되는 유로들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 건조기(1), 세탁기(2) 및 리프레셔(3)를 상호 연결하는 유로들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에서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들을 통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건조기(1), 세탁기(2) 및 리프레셔(3)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공기가 가열되는 열교환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건조기(1)를 연결하는 제1 급기덕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리프레셔(3)를 연결하는 제2 급기덕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세탁기(2)를 연결하는 제3 급기덕트(48)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연결되는 제습덕트(46)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을 통과한 가열된 공기는, 팬(60)에 의해 송풍되어, 제1 급기덕트(43), 제2 급기덕트(45), 제3 급기덕트(48) 및 제습덕트(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건조기(1)를 연결하는 제1 배기덕트(41)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리프레셔(3)를 연결하는 제2 배기덕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히팅장치(50)와 세탁기(2)를 연결하는 제3 배기덕트(47)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제1 배기덕트(41)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리프레셔(3)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기(2)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제3 배기덕트(47)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히팅장치(5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열교환채널(42)이 구비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열교환채널(42)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유닛은, 열교환채널(42) 내에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열교환유닛은, 응축기(52)와 증발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팬(60)을 포함할 수 있다. 팬(60)은, 열교환채널(42) 내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60)은, 응축기(5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53) 및 응축기(52)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공기는, 팬(60)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팬(60)은, 열교환채널(4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제습덕트(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팬(60)을 둘러싸는 송풍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시스템은, 송풍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팬(60)은, 송풍덕트(4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덕트(420)의 내부공간은, 열교환채널(42)의 일부일 수도 있다.
팬(60)과 송풍덕트(420)는, 열교환채널(42)의 토출단부(42B)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단부(42B)는, 응축기(52)와 증발기(53)보다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1 급기덕트(43)와 연결되는 제1 토출포트(42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2 급기덕트(45)와 연결되는 제2 토출포트(427)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3 급기덕트(48)와 연결되는 제3 토출포트(426)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습덕트(46)와 연결되는 제4 토출포트(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포트(425)는, 송풍덕트(42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제1 드럼(13)과 제1 토출포트(42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427)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3 캐비닛(30)과 제2 토출포트(427)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토출포트(426)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터브(23)와 제3 토출포트(426)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제2 토출포트(427)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는, 제4 토출포트(428)와 연결될 수 있다.
송풍덕트(420) 내부에는, 후술할 절환장치(70)(도 6참조)의 회전체(71)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71)는, 구동모터(711)와 연결되어, 송풍덕트(42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절환장치(70)의 구동에 의해, 제1 급기덕트(43), 제2 급기덕트(45), 제3 급기덕트(48) 및 제습덕트(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A)는, 후술할 절환장치(70) 이외에도, 별도의 분배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분배장치는,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제습덕트(46) 각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즉,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상기 분배장치에 의해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제습덕트(46) 각각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배장치는, 송풍덕트(42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송풍덕트(420)와 연결된 분배유로(미도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분배장치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분배장치는, 액츄에이터와 절환댐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절환장치(70)와 상기 분배장치를 동시에 구비할 수도 있고, 절환장치(70)만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분배장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급기덕트(43)를 통해 제1 드럼(13) 내로 유입된 열풍은, 제1 드럼(13) 내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킨 뒤, 제1 배기덕트(41)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드럼(13)은, 전방측에 배치되는 전방커버(131)와,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방커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후방커버(13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배기덕트(41)는, 전방커버(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는, 제1 드럼(13)과 열교환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는, 제1 드럼(13)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열교환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의 유입단부(42A)에는, 제1 배기덕트(41)와 연결되는 제1 유입포트(4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입포트(421)는, 열교환채널(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입포트(421)는, 제2 배기덕트(4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입포트(421)는, 제1 덕트구간(44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1 배기덕트(41)에 배치되는 제1 개폐밸브(4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41a)는, 제1 배기덕트(41) 내의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41a)는, 제1 배기덕트(41)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개폐밸브(41a)는, 제1 급기덕트(43)를 통해 제1 드럼(13) 내로 열풍이 공급되지 않을 때 제1 배기덕트(41)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를 통해 제3 캐비닛(30) 내로 유입된 열풍은, 제3 캐비닛(30) 내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킨 뒤, 제2 배기덕트(44)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와 제2 배기덕트(44)는, 제3 캐비닛(30)의 제3 후방패널(30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3 캐비닛(30)과 열교환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제3 캐비닛(30)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열교환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히팅장치(50)와 제1 드럼(13) 사이에 위치한 제1 덕트구간(4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덕트구간(441)은, 후술할 베이스플레이트(575)(도 7참조)와 격벽(1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덕트구간(441)은, 후술할 이격공간(55)(도 7참조)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의 유입단부(42A)에는, 제2 배기덕트(44)와 연결되는 제2 유입포트(4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포트(422)는, 열교환채널(4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입포트(422)는, 히팅장치(50)의 케이스(57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2 배기덕트(44)에 배치되는 제2 개폐밸브(4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4a)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4a)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4a)는, 제2 급기덕트(45)를 통해 제3 캐비닛(30) 내로 열풍이 공급되지 않을 때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개폐밸브(44a)는, 제3 배기덕트(47)와 제2 배기덕트(44)가 합류되는 위치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를 통해 터브(23) 내로 유입된 열풍은, 터브(23) 내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킨 뒤, 제3 배기덕트(47)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과 열교환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열교환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제2 배기덕트(44)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제2 배기덕트(44)에 합지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 내에 유동하는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에 유동하는 공기와 합류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에는, 제3 배기덕트(47)와 연결되는 제3 유입포트(4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입포트(424)는, 제2 배기덕트(4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입포트(424)는, 제2 배기덕트(4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와 제3 유입포트(424)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와 제2 배기덕트(44)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 내의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와 합류하여 열교환채널(4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3 배기덕트(47)에 배치되는 제3 개폐밸브(4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47a)는, 제3 배기덕트(47) 내의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47a)는, 제3 배기덕트(47)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3 개폐밸브(47a)는, 제3 급기덕트(48)를 통해 터브(23) 내로 열풍이 공급되지 않을 때 제3 배기덕트(47)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습덕트(46)를 통해 유동하는 열풍은, 전방을 향해 개구된 토출구(462)를 통해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를 통해 유동하는 열풍은, 토출구(46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는, 히팅장치(50)와 제1 드럼(13) 사이에 위치한 제2 덕트구간(4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덕트구간(461)은, 후술할 베이스플레이트(575)(도 7참조)와 격벽(10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구간(461)은, 후술할 이격공간(55)(도 7참조)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의 유입단부(42A)에는, 열교환채널(42)과 연결되는 외기유입포트(423)가 형성될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는, 열교환채널(4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는, 제2 배기덕트(44)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는, 제2 배기덕트(44)의 일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는, 실내공간과 제2 배기덕트(44)를 연통시킬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 내의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와 합류하여 열교환채널(4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유입포트(423)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외기유입구(49)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유입구(49)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와 합류하여 열교환채널(4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외기유입포트(423)에 배치되는 제4 개폐밸브(4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49a)는, 외기유입포트(423) 내의 공기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49a)는, 외기유입포트(423)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제4 개폐밸브(49a)는, 제습덕트(46)로 열풍이 유입되지 않을 때 외기유입포트(423) 내의 공기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히팅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히팅장치(50)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7은 히팅장치(50)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팅장치(50)는, 케이스(570)와,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증발기(53)와 팽창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증발기(53)와 팽창장치(54)는, 냉매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히트펌프장치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증발기(53)와 팽창장치(5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팬(531)은, 증발기(5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70)는, 압축기(51)와 응축기(52)와 팬(60)과 증발기(53)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압축기(51), 응축기(52), 팬(60), 증발기(53) 및 절환장치(70)는, 케이스(570)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70)는, 커버(573)와, 커버(573)의 하측에 이격되는 베이스플레이트(575)와, 응축기(53)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벽(574)과, 응축기(53)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측벽(571)과, 응축기(53)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측벽(572)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52), 팬(60) 및 증발기(53)는, 베이스플레이트(57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베이스플레이트(575)와 전방벽(574)과 제1 측벽(571)과 제2 측벽(572)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573)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열교환채널(42)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히팅장치(50)의 후측부에 배치된 팬(60)과 연통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 내부의 공기는 팬(60)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가열유로"로 이름될 수도 있다. 응축기(52)와 증발기(53)는, 열교환채널(4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일부가 개방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커버(573)와 베이스플레이트(575)와 전방벽(574)과 제1 측벽(571)과 제2 측벽(572)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573)는, 열교환채널(42)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커버(573)와 베이스플레이트(575)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573)와 베이스플레이트(575)와 전방벽(574)과 제1 측벽(571)과 제2 측벽(572)은 열교환채널(42)를 둘러싸는 "가열덕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열덕트는 팬(60)과 연통될 수 있고, 상기 가열덕트 내의 공기는 팬(60)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응축기(52)와 증발기(53)는, 상기 가열덕트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사방이 차폐된 덕트를 의미할 수 있다.
히팅장치(50)의 내부에는 열교환채널(42)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채널(42)은, 히팅장치(50) 내부공간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기계실(S)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기계실(S)에 배치된 구성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기계실(S)에는 PCB(미도시)가 배치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컨트롤러(81)는, PCB에 실장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502)와, 열교환채널(42)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장치(50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는, 응축기(52)와 팬(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은, 팬(60)에 의해 가압되어 세탁기(2), 건조기(1) 및 리프레셔(3) 각각에 공급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1 드럼(13), 제2 드럼(24) 및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으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습장치(504)는, 상온조건(섭씨 약 25도)에서 공기를 제습시킬 수 있다. 제습장치(504)는, 데시칸트방식을 사용하여 공기를 제습시킬 수 있다. 제습장치(504)의 내부에는 제올라이트가 충전될 수 있다. 제습장치(504) 내에 충전된 제올라이트는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제습장치(504)는, 응축기(52)와 팬(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장치(504)는, 압축기(51)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도, 열교환채널(42)에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시킬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팬(6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기계실(S)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환장치(70)는, 세탁기(2), 건조기(1), 리프레셔(3) 또는 제습덕트(46)로의 열풍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송풍덕트(4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체(71)를 포함할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회전체(7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1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71)는, 구동모터(711)에 의해 송풍덕트(42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다. 팬(60)은, 회전체(7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711)는 회전체(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711)의 회전축에 구동기어(712)가 고정될 수 있다. 구동기어(712)는 피니언기어일 수 있고, 평기어(Spur Gear)일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구동기어(712)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회전체(71)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체(71)와 일체형일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링기어(Ring Gear)일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링 형상의 랙일 수 있다.
구동기어(712)와 종동기어(713)는 서로 치합될 수 있다. 구동기어(712)의 회전에 의해, 종동기어(713)는, 팬(6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종동기어(713)가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때, 종동기어(713)가 고정된 회전체(71)도 팬(6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712)는 송풍덕트(4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71)를 마주하는 송풍덕트(420)의 일면(예를 들어, 후면)에 절개부(714)가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714)는 종동기어(7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714)에 구동기어(712)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구동기어(712)와 종동기어(713)는, 절개부(714)에서 서로 치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711)의 회전축은 송풍덕트(420)의 후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이에 따라, 구동모터(711)와 구동기어(712)가 전후방향으로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구동모터(711)는 회전위치, 회전각도, 그리고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모터일 수 있다. 일 예로, 구동모터는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일 수 있다. 또는, 구동모터(711)는, 스텝모터(Step Motor)일 수 있다. 구동모터(711)는, 컨트롤패널(8) 및/또는 컨트롤러(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711)는, 컨트롤패널(8) 및/또는 컨트롤러(81)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8) 및/또는 컨트롤러(81)는, 구동모터(711)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여, 열풍이 공급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터가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모터(711)가 회전체(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풀리 타입, 복수의 기어의 치합, 또는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체와 일체로 회전할 수도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1 급기덕트(43), 제2 급기덕트(45), 제3 급기덕트(48) 및 제습덕트(46)와 연결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팬(6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고정되는 모터마운트(64)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마운트(64)는, 송풍덕트(42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711)와 구동기어(712)와 종동기어(713)는, 모터마운트(64)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1 토출포트(425)와, 제2 토출포트(427)와, 제3 토출포트(426)와 제4 토출포트(4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제1 토출포트(425)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제1 토출포트(425)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토출포트(425)는, 송풍덕트(420)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토출포트(425)는, 상하로 개구된 급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2 토출포트(42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2 토출포트(427)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427)는, 송풍덕트(420)에서 측방(Lateral side)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427)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급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제3 토출포트(426)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제3 토출포트(426)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토출포트(426)는, 송풍덕트(420)에서 측방(Lateral side)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토출포트(426)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급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토출포트(426)는, 제2 토출포트(427)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427)와 제3 토출포트(426)는, 상하로 이격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는, 제4 토출포트(428)에 연결될 수 있다. 제습덕트(46)는 제4 토출포트(428)에 삽입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제2 토출포트(427)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송풍덕트(420)에서 측방(Lateral side)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좌우방향으로 개구된 급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배기덕트(41), 제2 배기덕트(44), 제3 배기덕트(47) 및 외기유입포트(42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와 제3 배기덕트(47)와 외기유입포트(423)는, 제2 배기덕트(44)를 경유하여 히팅장치(50)와 연결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2 배기덕트(44)와 연결되는 제2 유입포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입포트(422)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입포트(422)는, 히팅장치(50)의 케이스(57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 제2 배기덕트(44), 제3 배기덕트(47) 및 외기유입포트(423)를 통해 히팅장치(5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팬(60)의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채널(42)를 통과하여 팬(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배기덕트(41)와 제2 배기덕트(44)와 제3 배기덕트(47)와 외기유입포트(423) 내에 유동하는 공기는 열교환채널(42)에서 합지되어 팬(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와 연결되는 제1 유입포트(421)는, 제2 배기덕트(4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배기덕트(41) 내의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와 합류하여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과 연통되는 외기유입포트(423)는, 제2 배기덕트(4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외기유입구(49)를 통해 외기유입포트(423)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배기덕트(44) 내의 공기와 합류하여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된 공기는, 팬(60)으로 유동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베이스플레이트(57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지지플레이트(576)와, 베이스플레이트(575)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지지플레이트(576)와 이격되는 제2 지지플레이트(5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576)와 제2 지지플레이트(577) 사이에는 이격공간(5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와 제1 급기덕트(43)와 제습덕트(46)는, 이격공간(55)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와 제1 급기덕트(43)와 제습덕트(46)는, 제1 지지플레이트(576)와 제2 지지플레이트(57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와 제1 급기덕트(43)와 제습덕트(46)는, 베이스플레이트(57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덕트(42)는, 베이스플레이트(575)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열풍토출구(462)를 통해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개방부재(463)(도 10참조)가 이격공간(55)의 전방을 개방시키면, 열풍토출구(462)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의류처리장치(A)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575)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배기덕트(44)의 일부분을 제1 덕트구간(441)으로 정의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575)의 하측에 위치한 제습덕트(46)의 일부분을 제2 덕트구간(46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를 참조하여, 절환장치(70)에서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a)는 절환장치(7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제3 급기덕트(48)로 공급될 때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8의 (b)는 절환장치(7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제3 급기덕트(48)와 제2 급기덕트(45)로 동시에 공급될 때의 작동예시도이다.
팬(60)은, 시로코팬일 수 있다. 팬(60)은, 회전에 의해 회전축(6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팬(60)은, 회전방향과 접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팬(60)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 집중될 수 있다.
팬(60)은, 팬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61)과, 회전축(61)의 반경외측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블레이드(62)와, 블레이드(62)와 연결되고 팬(6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된 아우터바디(6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바디(63)는, 환형일 수 있다. 회전축(61)과 블레이드(62)는, 아우터바디(6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61)이 회전하면, 아우터바디(63)와 블레이드(62)도 회전축(6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체(71)는, 종동기어(713)가 형성된 회전판(71a)과, 회전판(71a)과 연결된 스크롤(71b)과, 회전판(71a)에 형성된 축관통구(71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71a)은, 원판형일 수 있고, 팬(6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회전판(71a)의 일측면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동기어(713)는, 회전판(71a)과 일체형일 수 있다. 종동기어(713)가 구동기어(711)와 맞물려 회전하면, 회전판(71a)은, 팬(6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판(71a)은, 회전축(61)이 관통되는 축관통구(71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61)은, 축관통구(71c)를 통과하여 팬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팬(60)은, 열교환채널(42)과 회전판(7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판(71a)은, 열교환채널(42) 및 팬(6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71a)은, 송풍덕트(420) 내부에 팬(6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71b)은, 회전판(71a)과 일체형일 수 있다. 회전판(71a)이 회전되면 스크롤(71b)도 회전될 수 있다. 스크롤(71b)은, 팬(60)의 회전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스크롤(71b)은, 팬(6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60)은, 스크롤(71b)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롤(71b)은, 송풍채널(7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채널(72)은, 스크롤(71b)의 외둘레면 중 절개된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스크롤(71b)은, 팬(6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고, 송풍채널(72)은, 스크롤(71b)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팬(60)의 외측 영역을 의미할 수도 있다.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송풍채널(72)을 통해 송풍덕트(4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회전판(71a)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71b)이 회전되면, 송풍채널(72)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즉, 스크롤(71b)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61)을 중심으로 송풍채널(72)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711)는, 스크롤(71b)을 회전시켜 송풍채널(72)의 위치를 변동시킴으로써, 송풍덕트(4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덕트(420)의 종단면의 형상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스크롤(71b)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71b)과 송풍덕트(420)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팬(60)의 상측에 위치한 제1 벽(420a)과, 팬(60)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벽(420b)과, 팬(60)의 일측에 위치한 제3 벽(420c)과, 팬(60)의 타측에 위치한 제4 벽(420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포트(425)는, 제2 벽(420b)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토출포트(427)는, 제3 벽(420c)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토출포트(426)는, 제3 벽(420c)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4 토출포트(428)는, 제4 벽(420d)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따르면 구동모터(711)는 회전체(71)를 제1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체(71)가 상기 제1 각도로 회전되면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3 급기덕트(48)로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송풍채널(72)은, 제3 토출포트(426)의 내부공간과만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세탁기(2)로만 공급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따르면 구동모터(711)는 회전체(71)를 제2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체(711)가 상기 제2 각도로 회전되면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3 급기덕트(48)와 제2 급기덕트(45)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송풍채널(72)은, 제3 토출포트(426)의 내부공간과 제2 토출포트(427)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팬(6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세탁기(2)와 리프레셔(3)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송풍채널(72)은, 제3 토출포트(426)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제1 송풍채널(72a)과, 제2 토출포트(427)의 내부공간과 연통된 제2 송풍채널(72b)을 포함할 수 있다.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1 송풍채널(72a)을 통해 세탁기(2)로 공급될 수 있다. 팬(6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는, 제2 송풍채널(72b)을 통해 리프레셔(3)로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에 신호를 입력하여 절환장치(7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8)에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는 구동모터(711)로 전달되어 구동모터(711)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패널(8)에 세탁기(2)로의 열풍공급 신호를 입력하면, 구동모터(711)는 송풍채널(72)이 도 8의 (a)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체(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패널(8)에 세탁기(2)와 리프레셔(3)로의 열풍동시공급 신호를 입력하면, 구동모터(711)는 송풍채널(72)이 도 8의 (b)와 같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체(7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을 참조하여, 히팅장치(50)가 각 의류처리기(1, 2, 3)에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9은, 의류처리장치(A)의 배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히팅장치(50)는, 격벽(10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의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격벽(10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절환장치(70)는, 건조기(1)의 제1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덕트(420)는, 제1 급기덕트(43)과 제2 급기덕트(45)과 제3 급기덕트(48)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송풍덕트(4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제1 드럼(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이격공간(55)을 통과하여 제1 후방패널(102)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급기덕트(43)는, 제1 후방패널(102)을 관통하여 제1 드럼(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제3 캐비닛(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제1 사이드패널(106)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는, 리프레셔(3)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은,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터브(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는 제1 급기부(481)와, 제1 급기부(48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급기부(482)와, 제2 급기부(482)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제3 급기부(4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기부(481)는, 송풍덕트(420)와 연결될 수 있고,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급기부(481)는, 제1 사이드패널(106)을 관통하여 리어케이스(31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급기부(481)는, 제3 후방패널(30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급기부(482)는, 제1 급기부(481)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기부(482)는,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기부(482)는, 제1 사이드패널(106) 및 제2 사이드패널(206)과 마주할 수 있다.
제3 급기부(483)는, 제2 급기부(482)의 하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급기부(483)는,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어 제2 사이드패널(206)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급기부(483)는, 제2 사이드패널(206)을 관통하여 제2 캐비닛(20) 내부에서 터브(2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제2 배기덕트(44)에 합지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배기덕트(44)에 합지될 수 있다.
제3 배기덕트(47)는, 터브(23)와 연결되는 제1 배기부(471)와, 제1 배기부(47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배기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기부(471)는, 터브(23)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사이드패널(206)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배기부(471)는, 제2 사이드패널(206)을 관통하여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기부(472)는, 제1 배기부(47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기부(472)는, 제1 사이드패널(106) 및 제2 사이드패널(206)과 마주할 수 있다.
제2 배기부(472)는, 제2 배기덕트(44)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부(472)의 상단은 제2 배기덕트(44)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돌출된 제3 유입포트(424)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배기부(472)는 제3 유입포트(42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리프레셔(3)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리어케이스(310) 내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기덕트(44)는, 이격공간(55) 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열교환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격공간(55)은, 베이스플레이트(575)와 격벽(20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구간(441), 제2 덕트구간(461) 및 제1 급기덕트(43)는, 이격공간(55)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는, 히팅장치(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1 스팀공급관(502a)을 통해 제1 드럼(13)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2 스팀공급관(502b)을 통해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1 스팀공급관(502a)은, 스팀발생장치(50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 드럼(13)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팀공급관(502b)은, 스팀발생장치(502)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제3 캐비닛(3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은, 팬(60)이 형성하는 송풍력에 의해 제1 드럼(13) 및 리프레셔(3) 내부공간(33) 각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팬(60)은, 스팀발생장치(502)에서 발생된 스팀을 가압하여, 제1 드럼(13) 및 리프레셔(3) 내부공간(33)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 스팀공급관(502a) 및 제2 스팀공급관(502b) 각각에는, 스팀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상기 밸브(미도시)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1 드럼(13) 및 리프레셔(3) 내부공간(33) 각각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세탁기(2)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스팀발생장치(506)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복수의 스팀발생장치(502, 506)을 구비할 수 있다. 히팅장치(50)에 배치된 스팀발생장치(502)를 "제1 스팀발생장치"로 이름할 수 있고, 세탁기(2) 내부에 배치된 스팀발생장치(506)를 "제2 스팀발생장치"로 이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2 스팀발생장치(506)와 터브(23)를 연결하는 제3 스팀공급관(506a)과, 제2 스팀발생장치(506)로부터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을 향해 연장되는 제4 스팀공급관(50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팀발생장치(506)는, 제2 캐비닛(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팀발생장치(506)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3 스팀공급관(506a)을 통해 제2 드럼(24) 내로 분사될 수 있다. 제2 스팀발생장치(506)에서 발생된 스팀은, 제4 스팀공급관(506b)을 통해 리프레셔(3)의 내부공간(33)으로 분사될 수 있다.
제4 스팀공급관(506b)은, 제2 스팀발생장치(506)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제3 캐비닛(30)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팀공급관(506a) 및 제4 스팀공급관(506b) 각각에는, 스팀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상기 밸브(미도시)의 개도를 조절하여, 제2 드럼(24) 및 리프레셔(3) 내부공간(33) 각각으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세탁기(2)는, 터브(23)로 차가운 물을 공급하는 냉수급수관(278) 및 터브(23)로 따뜻한 물을 공급하는 온수급수관(279)과 연결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는, 냉수급수관(278) 또는 온수급수관(279)과 연결될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 506)는, 냉수급수관(278) 또는 온수급수관(279)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 506)는, 터브(23)와 연결되는 급수관(278, 279)으로부터 분지된 제3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 506)는, 온수급수관(279)을 통해 따뜻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스팀발생장치(502, 506)는, 온수급수관(279)을 통해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캐비닛(10, 20, 30)들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의류처리장치(A)의 사시도이다.
제2 캐비닛(20)은, 제1 캐비닛(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캐비닛(20)은, 제3 캐비닛(3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2)의 제2 어퍼패널(203)은, 건조기(1)의 제1 로어패널(104)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로어패널(104)은, 제2 어퍼패널(20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어패널(104)과 제2 어퍼패널(203)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어패널(104)과 제2 어퍼패널(203) 중 어느 하나에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리세스(미도시)가 형성되어, 돌기가 리세스에 삽입되는 결합방식을 통해 제1 로어패널(104)과 제2 어퍼패널(203)이 결합될 수도 있다.
건조기(1)는, 세탁기(2)의 상하방향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캐비닛(10)은, 제2 캐비닛(20)의 상측에서 제2 캐비닛(20)과 결합됨으로써, 제2 캐비닛(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2 캐비닛(2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롤러(29)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9)는, 제2 로어패널(20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캐비닛(2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롤러(29)를 "제1 롤러"로 이름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롤러(39)를 "제2 롤러"로 이름할 수 있다. 제1 롤러(29)와 제2 롤러(39)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롤러(29, 39)는, 의류처리장치(A)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A)를 이동시킬 때 적어도 일부가 회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3 캐비닛(3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레그(38)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38)는, 제3 사이드패널(305)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레그(38)는, 의류처리장치(A)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레그(38)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캐비닛(3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레그(38)는, 세탁기(2)에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세탁기(2)는, 제2 캐비닛(20)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레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2)의 레그(미도시)는, 리프레셔(3)의 레그(38)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세탁기(2)의 레그(미도시)는, 제2 사이드패널(205)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세탁기(2)의 레그(미도시)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롤러와 레그는, 의류처리장치(A)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롤러와 레그는, 세탁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세탁기(2)에서 발생된 진동은, 상기 롤러와 레그를 통해 지면으로 흡수될 수 있다. 상기 롤러와 레그는, 제2 캐비닛(20)의 흔들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9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90)는,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90)는, 제2 사이드패널(206)과 제3 사이드패널(306)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91)와, 제2 로어패널(204)과 제3 로어패널(304)을 연결하는 제2 플레이트(92)와, 제2 플레이트(92)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 그립(9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제2 캐비닛(20) 및 제3 캐비닛(3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탄력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제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세탁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세탁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제2 캐비닛(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 드럼(24)의 고속 회전 시, 제2 드럼(24)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제2 사이드패널(206)은 좌우방향으로 출렁거릴 수 있다. 제1 플레이트(91)는, 제2 사이드패널(206)과 제3 사이드패널(306)에 배치되어, 제2 사이드패널(206)이 출렁거리면서 제3 사이드패널(306)과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92)는, 제2 로어패널(204)과 제3 로어패널(304)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92)는, 제2 플레이트(92)를 관통하는 체결부재(94)를 통해 제2 로어패널(204) 및 제3 로어패널(304)과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90)와 제3 캐비닛(30)은, 세탁기(2)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은, 제2 캐비닛(20)의 측방에 배치되어 세탁기(2)에서 수평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90)는,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3 캐비닛(30)에 의한 진동감소효과를 증폭시킬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90)는 탄력성 높은 재질 혹은 제진재를 포함할 수 있어, 세탁기(2)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90)는, 제2 캐비닛(20)과 제3 캐비닛(30)을 결합시킴으로써, 제2 캐비닛(2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3 캐비닛(30)은, 제2 캐비닛(20)의 일측에서 제2 캐비닛(2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립(93)은, 플레이트(90)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립(93)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립(93)을 잡고 의류처리장치(A)를 이동시킬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이격공간(55)의 전방측을 차폐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제습덕트(46)와 외기유입포트(42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열풍토출구(462)와 외기유입구(49)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개방부재(463)와 연결되는 힌지(463a)와, 힌지(463a)를 회전시키는 모터(463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63a)는, 제1 전방패널(1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463a)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힌지(463a)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힌지(463a)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463b)가 힌지(463a)를 회전시키면, 개방부재(463)는, 힌지(463a)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개방부재(463)는, 전방을 향해 회전되어 이격공간(55)의 전방을 개방할 수 있다. 개방부재(463)가 이격공간(55)의 전방을 개방하면,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공기가 외기유입포트(423)를 통해 열교환채널(42)로 유입될 수 있고, 제습덕트(46)를 통과하는 공기가 의류처리장치(A)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모터(46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모터(463b)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패널(8)을 조작하여 이격공간(55)을 개방시킬 수 있다.
제습덕트(46)와 외기유입포트(423)는, 제1 도어(11) 및 제2 도어(21)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덕트(46)와 외기유입포트(423)가 배치된 위치가 높아짐으로 인하여, 제습덕트(46)를 통해 유동하는 고온건조한 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습덕트(46)와 외기유입포트(423)는, 리프레셔(3)의 상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급기덕트(48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의 급기덕트(450, 480)가 연결된 상태의 의류처리장치(A)의 배면도이다.
도 11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급기덕트(450, 480) 이외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히팅장치(50)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가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분지되는 경우, 제3 토출포트(426)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제1 열풍덕트(451)로부터 하측으로 분지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0)는, 송풍덕트(42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급기덕트(450)는, 제3 후방패널(302)의 후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제3 후방패널(302)의 후측에서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급기덕트(480)는, 제2 캐비닛(20) 내부로 연장되어 터브(23)와 연결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A)는, 제3 급기덕트(480)가 제2 급기덕트(450)로부터 분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절밸브(45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2 급기덕트(450) 내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1 열풍덕트(451)(도 3참조) 내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2 열풍덕트(452)(도 3참조)와 제3 급기덕트(480)를 개폐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2 열풍덕트(452)와 제3 급기덕트(480)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2 열풍덕트(452)와 제3 급기덕트(480)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제2 열풍덕트(452)와 제3 급기덕트(48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밸브(453)는, 팬(60)에 의해 제2 급기덕트(450)로 송풍된 공기를 제2 열풍덕트(452)와 제3 급기덕트(480)로 분배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조절밸브(453)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조절밸브(453)를 제어하여, 팬(60)으로부터 제2 급기덕트(450)로 공급된 열풍을 리프레셔(3) 내부공간(33)으로 공급할 수 있다. 컨트롤러(81)는, 조절밸브(453)를 제어하여, 팬(60)으로부터 제2 급기덕트(450)로 공급된 열풍을 제2 드럼(24)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세탁기(2) 및 리프레셔(3)와 연결되는 급기덕트의 구조는 도 9 또는 도 11에서 설명한 급기덕트의 구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세탁기(2) 및 리프레셔(3)와 연결되는 급기덕트를 도 9와 같이 설치할 수도 있고, 도 11과 같이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B)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B)는, 통합프레임(910)과, 통합프레임(910)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리프레셔(3')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레셔(3')는, 통합프레임(910)의 일측방에 배치되는 제3 캐비닛(920)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캐비닛(920) 및 리프레셔(3')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도 1 내지 도 11참조)와 동일하다. 제3 캐비닛(920) 또는 제3 캐비닛(920)의 일부는, "측방프레임"으로 이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B)는, 통합프레임(910)의 중간에 배치되는 수평격벽(913)을 포함한다.
통합프레임(910)의 로어패널(915)과 수평격벽(913) 사이에는 터브(23)와 제2 드럼(24)이 배치되는 세탁실(911)이 형성될 수 있다. 세탁실(911) 내부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 내부 구조와 동일하다.
통합프레임(910)의 전면에는 제2 투입구(2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B)는 제2 투입구(22)를 개폐하는 제2 도어(917)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프레임(910)의 어퍼패널(914)과 수평격벽(913) 사이에는, 제1 드럼(13)이 배치되는 건조실(912)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실(912) 내부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 내부 구조와 동일하다.
통합프레임(910)의 전면에는 제1 투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B)는 제1 투입구(12)를 개폐하는 제1 도어(918)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격벽(913)은, 세탁실(911)과 건조실(912)을 구획할 수 있다. 수평격벽(913)을 기준으로 하측에 세탁실(9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건조실(9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격벽(913)은, 통합프레임(910)과 분리가능할 수 있다. 수평격벽(913)은, 통합프레임(910)에 조립될 수 있고, 수평격벽(913)이 통합프레임(910)에 조립되기 전에 세탁실(911)과 건조실(912)은 연통될 수 있다.
수평격벽(913)의 상측을 건조기(1')로 구분할 수 있고, 수평격벽(913)의 하측을 세탁기(2')로 구분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수평격벽(9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실(9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실(9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외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C)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C)는, 단일프레임(930)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C)는, 단일프레임(930) 내에 배치되는 수직격벽(941)과, 수직격벽(941)과 단일프레임(930)의 일측패널(934)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격벽(94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을 기준으로 일측패널(934)과 수직격벽(941)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세탁실(936)과 건조실(937)이 구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세탁실(936)은, 단일프레임(930)의 로어패널(932)과 수평격벽(9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세탁실(936) 내부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 내부 구조와 동일하다.
단일프레임(930)의 전방패널(933)에는 제2 투입구(2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C)는 제2 투입구(22)를 개폐하는 제2 도어(939a)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실(937)은, 단일프레임(930)의 어퍼패널(931)과 수평격벽(9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실(937) 내부의 구조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3) 내부 구조와 동일하다.
단일프레임(930)의 전방패널(933)에는 제1 투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C)는 제1 투입구(12)를 개폐하는 제1 도어(939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격벽(941)과 타측패널(935) 사이에는 의류를 관리하는 리프레쉬실(938)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 리프레쉬실(938)이 형성된 리프레셔(3'')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리프레셔(3)와 동일하다.
단일프레임(930)의 전방패널(933)에는 제3 투입구(32)가 형성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C)는 제3 투입구(32)를 개폐하는 제3 도어(939c)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격벽(941)은, 세탁실(936)과 리프레쉬실(938)을 구획할 수 있다. 수직격벽(941)은, 건조실(937)과 리프레쉬실(938)을 구획할 수 있다. 수직격벽(941)을 기준으로 일측에 세탁실(936) 및 건조실(937)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에 리프레쉬실(93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격벽(941)과 일측패널(934) 사이에는, 서로 연통된 세탁실(936)과 건조실(937)이 형성될 수 있고, 수직격벽(941)과 타측패널(935) 사이에는, 리프레쉬실(938)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격벽(941)은, 단일프레임(930)과 분리가능할 수 있다. 수직격벽(941)은, 단일프레임(930)에 조립될 수 있고, 수직격벽(941)이 단일프레임(930)에 조립되기 전에 세탁실(936), 건조실(937) 및 리프레쉬실(938)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은, 세탁실(936)과 건조실(937)을 구획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을 기준으로 하측에 세탁실(936)이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건조실(937)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은, 단일프레임(930)과 분리가능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은, 단일프레임(930)에 조립될 수 있고, 수평격벽(942)이 단일프레임(930)에 조립되기 전에 세탁실(936)과 건조실(937)은 연통될 수 있다.
수평격벽(942)의 상측을 건조기(1'')로 구분할 수 있고, 수평격벽(942)의 하측을 세탁기(2'')로 구분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수평격벽(9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실(937)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실(937)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외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D)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D)는, 건조기(1'''), 세탁기(2'''), 제1 리프레셔(3'''), 히팅장치(50''') 및 제2 리프레셔(3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1''')와 세탁기(2''')는, 제1 리프레셔(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1''')와 세탁기(2''')는 제2 리프레셔(300''')의 측방(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기(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의 건조기(1)와 동일할 수 있다. 세탁기(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의 세탁기(2)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는, 건조기(1''')와 세탁기(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는, 제2 리프레셔(300''')의 측방(Lateral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건조기(1'''), 세탁기(2'''), 제1 리프레셔(3''') 및 제2 리프레셔(300''')의 배치위치는 상기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리프레셔(3''')의 상측에 건조기(1''')와 세탁기(2''')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건조기(1'''), 세탁기(2'''), 제1 리프레셔(3''') 및 제2 리프레셔(300''')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리프레셔(3''')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2 리프레셔(300''')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의 좌우방향 폭은, 제2 리프레셔(300''')의 좌우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의 좌우방향 폭은, 건조기(1''') 및 세탁기(2''')의 좌우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의 내부에는, 와이셔츠, 외투, 바지 등 차지하는 높이가 작은 의류들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리프레셔(300''')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1 리프레셔(3''')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리프레셔(300''')의 내부에는, 롱코트, 가운 등 차지하는 높이가 큰 의류들이 수용될 수 있다. 제2 리프레셔(3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의 리프레셔(3)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와 제2 리프레셔(300''')는, 일체형일 수 있다. 제1 리프레셔(3''')와 제2 리프레셔(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체적인 외관이 'ㄱ'자형일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제1 리프레셔(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히팅장치(50''')의 배치위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세탁기(2''')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리프레셔(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히팅장치(50''')는, 제1 리프레셔(3''')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건조기(1''')와 세탁기(2''')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히팅장치(50''')는, 제2 리프레셔(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 세탁기(2'''), 제1 리프레셔(3''') 및 제2 리프레셔(300''') 각각에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 제1 리프레셔(3''') 및 제2 리프레셔(300''') 각각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와 제1 리프레셔(3''')와 제2 리프레셔(300''') 각각에 열풍을 공급하여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고, 스팀을 공급하여 수용된 의류를 살균시킬 수 있다.
히팅장치(5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의 히팅장치(50)와 동일할 수 있다.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300''') 및 히팅장치(50''')를 연결하는 덕트시스템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A)의 덕트시스템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E)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E)의 배면도이다.
의류처리장치(E)는, 건조기(1)와 세탁기(2)와 리프레셔(3)와 히팅장치(50)를 포함한다. 건조기(1), 세탁기(2), 리프레셔(3) 및 히팅장치(5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A)에서의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히팅장치(50)의 배치위치는, 건조기(1)와 세탁기(2)의 상측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히팅장치(50)는, 건조기(1)와 세탁기(2)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건조기(1)와 세탁기(2)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히팅장치(50)는, 제1 드럼(13)과 터브(23)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드럼(13)과 터브(23)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드럼(13)과 터브(23)의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E)에서 급기덕트(450)와 배기덕트(440)는, 히팅장치(50)가 배치되는 위치가 달라짐에도 불구하고, 수납캐비닛(9)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가로질러 리프레셔(3)와 히팅장치(50)를 연결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E)는, 리프레셔(3)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납캐비닛(9)을 포함한다. 수납캐비닛(9)은, 건조기(1)와 리프레셔(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은, 세탁기(2)와 리프레셔(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은, 히팅장치(50)와 리프레셔(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은, 제1 사이드패널(106)과 제3 사이드패널(3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은, 제2 사이드패널(206)과 제3 사이드패널(30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캐비닛(9)은, 리프레셔(3)와 세탁기(2) 사이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리프레셔(3)와 건조기(1)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캐비닛(9)은, 리프레셔(3)와 세탁기(2) 사이공간 및 리프레셔(3)와 건조기(1) 사이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수납캐비닛(9)은, 제1 수납캐비닛(9a)과 제2 수납캐비닛(9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캐비닛(9a)은, 제2 수납캐비닛(9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납캐비닛(9a)은, 제2 수납캐비닛(9b)보다 상하방향 높이가 클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은, 의류처리장치(E)의 부속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캐비닛(9)의 내부공간에는, 옷걸이, 세제통, 린스통, 먼지털이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수납캐비닛(9)의 내부공간에는, 의류 혹은 세탁물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의류처리장치(E)는, 히팅장치(50)와 리프레셔(3)를 연결하는 급기덕트(4500) 및 배기덕트(4400)를 포함한다. 급기덕트(4500)와 배기덕트(4400)는, 리프레셔(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덕트(4500)와 배기덕트(4400)는, 수납캐비닛(9)의 후방공간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급기덕트(4500)와 배기덕트(440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납캐비닛(9)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지날 수 있다.
리프레셔(3)와 히팅장치(50) 사이에 수납캐비닛(9)이 배치됨으로 인하여, 급기덕트(4500)와 배기덕트(4400)의 길이는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E)의 급기덕트(4500)의 길이(L1)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A)의 급기덕트(45)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E)의 배기덕트(4400)의 길이(L2)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A)의 배기덕트(44)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배기덕트(4400)의 길이(L2)는, 급기덕트(4500)의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배기덕트(4400)를 통과하는 공기는, 히팅장치(50)로 유입되기 전에 충분히 식을 수 있다.
리프레셔(3)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는, 건조기(1) 내부에서 건조되는 의류에 비해 고온에 취약한 의류일 수 있다. 히팅장치(50)에서 가열되어 건조기(1)로 공급되는 고온의 공기가 리프레셔(3)로 곧바로 공급될 경우, 리프레셔(3) 내부의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구조를 통해 급기덕트(4500)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히팅장치(50)에서 가열된 공기가 급기덕트(4500)를 통과하면서 적정온도로 식은 상태로 리프레셔(3)로 공급될 수 있어, 리프레셔(3)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통해 배기덕트(4400)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리프레셔(3) 내부의 공기가 배기덕트(4400)를 통과하면서 식은 상태로 히팅장치(50)로 유입됨으로써, 히팅장치(50)에서의 열교환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건조기
2: 세탁기
3: 리프레셔 8: 컨트롤패널
10: 제1 캐비닛 13: 제1 드럼
20: 제2 캐비닛 23: 터브
24: 제2 드럼 30: 제3 캐비닛
41: 제1 배기덕트 42: 열교환채널
43: 제1 급기덕트 44: 제2 배기덕트
45: 제2 급기덕트 46: 제습덕트
47: 제3 배기덕트 48: 제3 급기덕트
49: 외기유입구 50: 히팅장치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증발기 60: 팬
70: 절환장치 71: 회전체
72: 송풍채널 81: 컨트롤러
3: 리프레셔 8: 컨트롤패널
10: 제1 캐비닛 13: 제1 드럼
20: 제2 캐비닛 23: 터브
24: 제2 드럼 30: 제3 캐비닛
41: 제1 배기덕트 42: 열교환채널
43: 제1 급기덕트 44: 제2 배기덕트
45: 제2 급기덕트 46: 제습덕트
47: 제3 배기덕트 48: 제3 급기덕트
49: 외기유입구 50: 히팅장치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증발기 60: 팬
70: 절환장치 71: 회전체
72: 송풍채널 81: 컨트롤러
Claims (20)
-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제1 캐비닛의 하부와 결합하는 어퍼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고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쇠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3 캐비닛을 포함하는 리프레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캐비닛은,
상기 터브와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캐비닛을 마주하고, 상기 제3 캐비닛에 결합하는 사이드패널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을 결합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제진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기 제2 캐비닛 및 상기 제3 캐비닛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캐비닛과 상기 제3 캐비닛의 하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캐비닛을 관통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캐비닛을 관통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의 사이드패널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리프레셔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터브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히팅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장치는,
상기 제3 캐비닛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 및 상기 제1 드럼과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드럼과 연결되는 제1 급기덕트; 및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2 급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히팅장치와 연결되는 제1 배기덕트; 및
상기 히팅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는 제2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제1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
상기 건조기 및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3 캐비닛을 포함하는 리프레셔;
상기 제1 드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장치;
상기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제1 드럼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1 드럼과 연결되는 제1 급기덕트; 및
상기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리프레셔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고,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와 연결되는 제2 급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기덕트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급기덕트는,
상기 히팅장치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에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셔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어퍼플레이트;
상기 제1 어퍼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어퍼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급기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어퍼플레이트에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개구된 급기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연결되는 제1 배기덕트; 및
상기 리프레셔의 상부로부터 측방(Lateral side)으로 연장되어 상기 히팅장치에 연결되는 제2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기덕트가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제2 배기덕트가 배치되는 위치보다 높은 의류처리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제3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배기덕트는,
상기 터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배기덕트에 합지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장치에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터브 내부로 공급하고, 상기 리프레셔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급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 캐비닛 및 상기 제1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드럼을 포함하는 건조기;
상기 제1 캐비닛과 상하로 배치되는 제2 캐비닛, 상기 제2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드럼을 포함하는 세탁기;
상기 건조기 및 상기 세탁기의 일측에 이격되고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3 캐비닛을 포함하는 리프레셔;
상기 제1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제1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상하로 배열되는 히팅장치;
상기 히팅장치와 상기 제3 캐비닛 사이에 배치되는 수납캐비닛;
상기 히팅장치와 상기 제1 드럼을 연결하는 제1 급기덕트; 및
상기 히팅장치와 상기 리프레셔를 연결하고, 상기 수납캐비닛의 후방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급기덕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럼과 상기 히팅장치를 연결하는 제1 배기덕트; 및
상기 리프레셔와 상기 히팅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수납캐비닛의 후방공간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배기덕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기덕트가 연장된 길이는 상기 제2 배기덕트가 연장된 길이보다 짧은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210348388.9A CN115404635A (zh) | 2021-05-28 | 2022-04-01 | 衣物处理装置 |
CN202210348385.5A CN115404634A (zh) | 2021-05-28 | 2022-04-01 | 衣物处理装置 |
CN202210348985.1A CN115404638A (zh) | 2021-05-28 | 2022-04-01 | 衣物处理装置 |
US17/827,228 US20220380957A1 (en) | 2021-05-28 | 2022-05-2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7/827,165 US20220380956A1 (en) | 2021-05-28 | 2022-05-2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7/827,308 US20220380971A1 (en) | 2021-05-28 | 2022-05-2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22176004.4A EP4095304A1 (en) | 2021-05-28 | 2022-05-3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22175974.9A EP4095300A1 (en) | 2021-05-28 | 2022-05-3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22176012.7A EP4095305B1 (en) | 2021-05-28 | 2022-05-30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69528 | 2021-05-28 | ||
KR1020210069528 | 2021-05-28 | ||
KR20210071149 | 2021-06-01 | ||
KR1020210071149 | 2021-06-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1118A true KR20220161118A (ko) | 2022-12-06 |
Family
ID=84406839
Family Applications (4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9232A KR20220161109A (ko) | 2021-05-28 | 2021-07-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3A KR20220161112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4A KR20220161113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5A KR20220161114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444A KR20220161121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61A KR20220161118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56A KR20220161117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446A KR20220161123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55A KR20220161116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54A KR20220161115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6520A KR20220161125A (ko) | 2021-05-28 | 2021-09-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7677A KR20220161127A (ko) | 2021-05-28 | 2021-09-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7678A KR20220161128A (ko) | 2021-05-28 | 2021-09-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29A KR102633222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28A KR102603616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32A KR102603615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3400A KR102633220B1 (ko) | 2021-05-28 | 2021-10-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5589A KR102608560B1 (ko) | 2021-05-28 | 2021-10-1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7851A KR20220161137A (ko) | 2021-05-28 | 2021-10-1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1153A KR20220161138A (ko) | 2021-05-28 | 2021-10-21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038A KR20220161139A (ko) | 2021-05-28 | 2021-10-22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893A KR20220161141A (ko) | 2021-05-28 | 2021-10-2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892A KR20220161140A (ko) | 2021-05-28 | 2021-10-2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6A KR20220161142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90A KR20220161146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9A KR20220161145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8A KR20220161144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7A KR20220161143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7432A KR20220161147A (ko) | 2021-05-28 | 2021-11-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7433A KR20220161148A (ko) | 2021-05-28 | 2021-11-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9299A KR20220161149A (ko) | 2021-05-28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9300A KR20220161150A (ko) | 2021-05-28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73123A KR20220161152A (ko) | 2021-05-28 | 2021-12-0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78052A KR20220161153A (ko) | 2021-05-28 | 2021-12-1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81104A KR20220161155A (ko) | 2021-05-28 | 2021-12-1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81103A KR20220161154A (ko) | 2021-05-28 | 2021-12-1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02650A KR20220161157A (ko) | 2021-05-28 | 2022-01-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61A KR20220161161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60A KR20220161160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58A KR20220161158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59A KR20220161159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7480A KR20220161164A (ko) | 2021-05-28 | 2022-02-1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7479A KR20220161163A (ko) | 2021-05-28 | 2022-02-10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9232A KR20220161109A (ko) | 2021-05-28 | 2021-07-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3A KR20220161112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4A KR20220161113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10915A KR20220161114A (ko) | 2021-05-28 | 2021-08-2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444A KR20220161121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3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0156A KR20220161117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446A KR20220161123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55A KR20220161116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0154A KR20220161115A (ko) | 2021-05-28 | 2021-09-0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6520A KR20220161125A (ko) | 2021-05-28 | 2021-09-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7677A KR20220161127A (ko) | 2021-05-28 | 2021-09-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7678A KR20220161128A (ko) | 2021-05-28 | 2021-09-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29A KR102633222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28A KR102603616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28832A KR102603615B1 (ko) | 2021-05-28 | 2021-09-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3400A KR102633220B1 (ko) | 2021-05-28 | 2021-10-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5589A KR102608560B1 (ko) | 2021-05-28 | 2021-10-1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37851A KR20220161137A (ko) | 2021-05-28 | 2021-10-1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1153A KR20220161138A (ko) | 2021-05-28 | 2021-10-21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038A KR20220161139A (ko) | 2021-05-28 | 2021-10-22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893A KR20220161141A (ko) | 2021-05-28 | 2021-10-2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42892A KR20220161140A (ko) | 2021-05-28 | 2021-10-25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6A KR20220161142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90A KR20220161146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9A KR20220161145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8A KR20220161144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3287A KR20220161143A (ko) | 2021-05-28 | 2021-11-24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7432A KR20220161147A (ko) | 2021-05-28 | 2021-11-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7433A KR20220161148A (ko) | 2021-05-28 | 2021-11-29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9299A KR20220161149A (ko) | 2021-05-28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69300A KR20220161150A (ko) | 2021-05-28 | 2021-11-3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73123A KR20220161152A (ko) | 2021-05-28 | 2021-12-0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78052A KR20220161153A (ko) | 2021-05-28 | 2021-12-13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81104A KR20220161155A (ko) | 2021-05-28 | 2021-12-1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10181103A KR20220161154A (ko) | 2021-05-28 | 2021-12-16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02650A KR20220161157A (ko) | 2021-05-28 | 2022-01-07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61A KR20220161161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60A KR20220161160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58A KR20220161158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3259A KR20220161159A (ko) | 2021-05-28 | 2022-01-28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7480A KR20220161164A (ko) | 2021-05-28 | 2022-02-10 | 의류처리장치 |
KR1020220017479A KR20220161163A (ko) | 2021-05-28 | 2022-02-10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3) | KR2022016110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751862B (zh) * | 2022-12-07 | 2024-10-1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烘干设备 |
KR20240106349A (ko) * | 2022-12-29 | 2024-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세탁기용 필터 장치 |
WO2024143781A1 (ko) * | 2022-12-29 | 2024-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세탁기용 필터 장치 |
KR20240106350A (ko) * | 2022-12-29 | 2024-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 및 세탁기용 필터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0993B1 (ko) | 2013-09-04 | 2020-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KR20200109194A (ko) | 2019-03-12 | 2020-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
KR102254903B1 (ko) | 2019-10-28 | 202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20753A (ja) * | 1999-02-02 | 2000-08-08 | Hitachi Ltd | 流路切替機 |
KR100662369B1 (ko) * | 2004-11-30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열풍공급용 옷걸이가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
KR100841308B1 (ko) * | 2005-04-22 | 2008-06-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 장치 |
KR100658842B1 (ko) * | 2005-09-16 | 2006-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재생 시스템 및 방법 |
KR100960067B1 (ko) | 2006-06-01 | 2010-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
KR101265598B1 (ko) * | 2006-06-23 | 2013-05-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합 의류 처리 시스템 |
KR100948574B1 (ko) * | 2007-04-04 | 2010-03-18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가변 토출유로를 갖는 송풍장치 |
KR20080100964A (ko) * | 2007-05-15 | 2008-1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어셈블리 |
JP4858321B2 (ja) * | 2007-06-13 | 2012-01-1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KR100839519B1 (ko) * | 2007-07-12 | 2008-06-19 | 이종범 | 의류용 먼지제거장치 |
KR101414636B1 (ko) | 2008-03-26 | 201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1476178B1 (ko) | 2007-11-19 | 2014-1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팀을 이용하는 세탁장치 |
KR101448629B1 (ko) * | 2008-01-16 | 2014-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보조의류처리장치 |
KR101430478B1 (ko) * | 2008-04-01 | 2014-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ES2452546T3 (es) | 2008-12-09 | 2014-04-01 | Lg Electronics Inc. | Aparato de tratamiento de la ropa |
KR101607891B1 (ko) | 2009-07-31 | 2016-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
KR20110110660A (ko) | 2010-04-01 | 2011-10-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택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
KR20110130091A (ko) * | 2010-05-27 | 2011-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KR101929485B1 (ko) | 2012-07-30 | 2018-1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
KR102317036B1 (ko) | 2015-03-20 | 2021-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KR20190131259A (ko) * | 2018-05-16 | 2019-11-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KR20190137440A (ko) | 2018-06-01 | 2019-1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21
- 2021-07-07 KR KR1020210089232A patent/KR2022016110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8-23 KR KR1020210110913A patent/KR20220161112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8-23 KR KR1020210110914A patent/KR2022016111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8-23 KR KR1020210110915A patent/KR20220161114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444A patent/KR2022016112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161A patent/KR2022016111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156A patent/KR2022016111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446A patent/KR2022016112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155A patent/KR20220161116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09 KR KR1020210120154A patent/KR2022016111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4 KR KR1020210126520A patent/KR2022016112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8 KR KR1020210127677A patent/KR2022016112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8 KR KR1020210127678A patent/KR2022016112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09-29 KR KR1020210128829A patent/KR102633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29 KR KR1020210128828A patent/KR1026036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29 KR KR1020210128832A patent/KR102603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0-07 KR KR1020210133400A patent/KR1026332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0-13 KR KR1020210135589A patent/KR1026085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10-15 KR KR1020210137851A patent/KR20220161137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21 KR KR1020210141153A patent/KR2022016113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22 KR KR1020210142038A patent/KR2022016113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25 KR KR1020210142893A patent/KR2022016114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0-25 KR KR1020210142892A patent/KR20220161140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1-24 KR KR1020210163286A patent/KR20220161142A/ko unknown
- 2021-11-24 KR KR1020210163290A patent/KR20220161146A/ko unknown
- 2021-11-24 KR KR1020210163289A patent/KR20220161145A/ko unknown
- 2021-11-24 KR KR1020210163288A patent/KR20220161144A/ko unknown
- 2021-11-24 KR KR1020210163287A patent/KR20220161143A/ko unknown
- 2021-11-29 KR KR1020210167432A patent/KR20220161147A/ko unknown
- 2021-11-29 KR KR1020210167433A patent/KR20220161148A/ko unknown
- 2021-11-30 KR KR1020210169299A patent/KR20220161149A/ko unknown
- 2021-11-30 KR KR1020210169300A patent/KR20220161150A/ko unknown
- 2021-12-06 KR KR1020210173123A patent/KR20220161152A/ko unknown
- 2021-12-13 KR KR1020210178052A patent/KR20220161153A/ko unknown
- 2021-12-16 KR KR1020210181104A patent/KR20220161155A/ko unknown
- 2021-12-16 KR KR1020210181103A patent/KR20220161154A/ko unknown
-
2022
- 2022-01-07 KR KR1020220002650A patent/KR20220161157A/ko unknown
- 2022-01-28 KR KR1020220013261A patent/KR20220161161A/ko unknown
- 2022-01-28 KR KR1020220013260A patent/KR20220161160A/ko unknown
- 2022-01-28 KR KR1020220013258A patent/KR20220161158A/ko unknown
- 2022-01-28 KR KR1020220013259A patent/KR20220161159A/ko unknown
- 2022-02-10 KR KR1020220017480A patent/KR20220161164A/ko unknown
- 2022-02-10 KR KR1020220017479A patent/KR20220161163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0993B1 (ko) | 2013-09-04 | 2020-06-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KR20200109194A (ko) | 2019-03-12 | 2020-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
KR102254903B1 (ko) | 2019-10-28 | 2021-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61118A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20380956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380965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26872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220380971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380963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380964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220380967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080078366A (ko) |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