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850A -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850A
KR20230063850A KR1020220121809A KR20220121809A KR20230063850A KR 20230063850 A KR20230063850 A KR 20230063850A KR 1020220121809 A KR1020220121809 A KR 1020220121809A KR 20220121809 A KR20220121809 A KR 20220121809A KR 20230063850 A KR20230063850 A KR 2023006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ger
air
support body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조연아
최동준
김현기
최정근
오민규
조유나
임재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667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80556A1/ko
Priority to PCT/KR2022/016668 priority patent/WO2023080555A1/ko
Priority to CN202211334156.4A priority patent/CN116065371A/zh
Priority to EP22204728.4A priority patent/EP4187012A3/en
Priority to EP22204724.3A priority patent/EP4194606A1/en
Priority to CN202211353359.8A priority patent/CN116065372A/zh
Priority to US17/979,102 priority patent/US20230138890A1/en
Priority to US17/979,088 priority patent/US20230151535A1/en
Publication of KR2023006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구비된 지지바디; 상기 연결면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지지바디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에 연결된 수분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흡기홀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가 구비된 팬;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가열된 증기 또는 미가열 증기를 상기 수분유로에 공급하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는 옷걸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및 세탁소에서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하며, 의류에 생긴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장치를 말한다.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되는 것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모두 갖는 세탁/건조기, 그리고, 의류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의류관리기,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의류관리기는 의류를 쾌적하고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의류관리기는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를 털어내고, 냄새를 탈취하고, 의류를 건조시키며, 의류에 향기를 더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고 제습된 공기 또는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에 생긴 구김을 제거할 수 있고, 의류를 살균소독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8454호는 통상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챔버 내부에 옷걸이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 지지부, 상기 챔버로 스팀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장치들이 구비된 기계실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처리(의류에 스팀과 열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여 의류의 건조, 주름제거, 탈취 등을 진행하는 과정)는 상기 챔버 내부에서만 이뤄지도록 구비되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챔버 이외에 의류 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고려하지 않았다.
다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옷걸이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하는 기능이 추가된 것이 있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4539호). 옷걸이 형태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팬 및 히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옷걸이 형태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팬과 히터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스팀발생기와 급수탱크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교차하도록 팬, 히터, 스팀발생기 및 급수탱크를 배치하였다. 팬과 히터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스팀발생기 및 급수탱크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직교하는 옷걸이는 급수탱크 내부의 물이 줄어들거나 스팀발생기 내부의 물이 줄어들 때 옷걸이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즉 스팀발생기와 급수탱크가 옷걸이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관계로 양쪽의 무게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개시는 의류에 수분(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 및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 가능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시에도 별개로 의류에 수분 및 공기를 공급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수평을 유지 가능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챔버, 및 상기 캐비닛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캐비닛 챔버 또는 상기 도어 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수분이나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를 제공한다.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면은 상기 팬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홀 및 상기 수분발생기에서 발생한 수분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홀은 상기 배기홀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기공급바디; 및 상기 흡기홀 및 상기 팬을 지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서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배기홀보다 상기 흡기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서 상기 배기홀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팬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C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수분발생기와 상기 배출홀을 연결하는 수분유로가 형성된 수분공급바디; 및 상기 제1연결면에 구비되는 탱크 장착부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가능하게 인입되며 상기 수분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기공급바디; 및 상기 흡기홀 및 상기 팬을 지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바디와 상기 수분공급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의 전후방향을 따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바디는 상기 수분공급바디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옥설이는 상기 수분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발생기가 수용되는 발생기 수용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수용되는 탱크 수용부; 및 상기 제1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상기 탱크 수용부로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탱크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은 각각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하향경사질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의 좌우측중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부면, 및 상기 제1상부면에서 연장되는 제1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상부면, 및 상기 제2상부면에서 연장되는 제2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1측면의 경사도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서로 다르고, 상기 제2상부면과 상기 제2측면의 경사도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배기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기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출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출홀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과 상기 배출홀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기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기홀은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의 후방에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배기홀의 크기는 상기 배출홀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고리형상의 옷걸이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는 상기 수분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팬과 상기 수분발생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공급탱크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의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지지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2지지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페이서는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제1안착바디, 상기 제1안착바디를 상기 제1지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제2안착바디, 상기 제2안착바디를 상기 제1지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 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는 전면에 캐비닛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캐비닛 챔버;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 상기 도어 챔버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2도어; 및 상기 캐비닛 챔버 내부 또는 상기 도어 챔버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는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수분이나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도어 챔버는 상기 도어 챔버의 내측면 중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챔버 장착면; 및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바디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가 상기 옷걸이 지지부에 거치되는 방향은 상기 옷걸이가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에 거치되는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에 장착시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체결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는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에 고정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귑되어 상기 체결부가 장착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수분발생기에 연결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옷걸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 상기 팬, 상기 수분발생기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구비된 지지바디; 상기 연결면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지지바디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에 연결된 수분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흡기홀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가 구비된 팬;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가열된 증기 또는 미가열 증기를 상기 수분유로에 공급하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옷걸이를 제공한다.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홀은 상기 연결면 중 의류에 가려지지 않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무게중심,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무게중심,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외부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점, 상기 히터의 무게중심,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체결부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임펠러 모터, 상기 수분발생기, 및 상기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체결부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수분발생기에 연결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의 무게중심,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의 무게중심,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의 어깨를 지지하는 제1상부면, 및 상기 제1상부면에서 연장되어 의류의 소매에 위치하는 제1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의 어깨를 지지하는 제2상부면, 및 상기 제2상부면에서 연장되어 의류의 소매에 위치하는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기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출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및 상기 연결면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홀과 상기 배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홀은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배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배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지지바디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공기유로가 구비된 공기공급바디; 상기 공기공급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흡기구와 상기 공기유로를 연결하는 흡기홀 연결부; 상기 공기공급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제1배기홀과 연결하는 제1배기홀 연통구,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제2배기홀과 연결하는 제2배기홀 연통구, 및 상기 공기유로를 상기 제3배기홀과 연결하는 제3배기홀 연통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은 상기 흡기홀 연결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흡기홀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C자 형상의 발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지지바디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수분유로가 구비된 수분공급바디; 상기 수분공급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분유로를 상기 제1배출홀과 연결하는 제1배출홀 연통구, 상기 수분유로를 상기 제2배출홀과 연결하는 제2배출홀 연통구, 및 상기 수분유로를 상기 제3배출홀과 연결하는 제3배출홀 연통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수분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발생기가 수용되는 발생기 수용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수용되는 탱크 수용부; 및 상기 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상기 탱크 수용부로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탱크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상기 공급탱크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체크밸브; 및 상기 급수탱크가 상기 탱크 수용부에 삽입되면, 상기 체크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배수구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와 상기 수분발생기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개폐를 제어하는 연결관 밸브가 구비된 공급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챔버, 상기 캐비닛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캐비닛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챔버로 공기와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 상기 도어 챔버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2도어;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베이스를 중심으로 대칭인 지점에 위치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지지면들을 연결하는 연결면,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캐비닛 챔버 또는 상기 도어 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부가 구비된 지지바디; 상기 연결면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지지바디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에 구비되어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홀에 연결된 수분유로;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외기를 상기 흡기홀로 유입시키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가 구비된 팬;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홀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어 가열된 증기 또는 미가열 증기를 상기 수분유로에 공급하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수분발생기에 연결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의 무게중심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의 경계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지지면의 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의류에 수분(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 및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 가능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분리시에도 별개로 의류에 수분 및 공기를 공급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무게 중심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수평을 유지 가능한 옷걸이 및 상기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캐비닛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챔버, 및 상기 캐비닛 챔버를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어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캐비닛 챔버 또는 상기 도어 챔버에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를 제공한다.
도 1은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기계실, 제2기계실, 및 캐비닛 챔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옷걸이 지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도어 및 제1도어 힌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어 챔버 및 제2열교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옷걸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옷걸이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9는 옷걸이 중 지지바디의 일례를 분해한 것이다.
도 10은 급수탱크 및 탱크 장착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지지바디 내부의 공기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지지바디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공급부와 수분공급분의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a)는 공기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수분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옷걸이에 구비된 체결부 및 체결부 단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옷걸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 챔버(12)가 구비된 본체(1), 상기 캐비닛 챔버(12)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 챔버(12)와 분리된 의류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312)가 구비된 도어(3), 및 의류를 상기 캐비닛 챔버(12) 또는 상기 도어 챔버(312)에 고정하는 옷걸이(5)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의류의 처리는 의류에 공기(가열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 또는 수분(가열 증기 또는 미가열 증기)을 공급하여 의류의 건조, 주름제거, 탈취 등을 진행하는 과정을 의미하고, 의류의 처리공간은 상술한 처리 과정이 실행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캐비닛 챔버(12)는 의류의 처리만을 위한 처리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도어 챔버(312)는 의류의 처리와 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는 상기 캐비닛 챔버(12)가 구비된 캐비닛(1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 챔버(12)는 상기 캐비닛(11)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캐비닛 투입구(121)를 통해 상기 캐비닛(11)의 외부와 연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통해 의류(처리대상의 일례)를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투입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캐비닛 챔버 바닥면(125)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 챔버 바닥면(125)은 하부에 제1기계실(13)이 위치하는 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바닥면(1251)과 상기 도어(3)로 상기 캐비닛 챔버(12)를 폐쇄시 상기 도어 챔버(312)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영역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2바닥면(125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 챔버(12) 중 상기 제1바닥면(1251)위의 영역에 의류가 수용되어 관리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3)가 상기 캐비닛 챔버(12)를 폐쇄시, 상기 도어 챔버(3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수용되며, 상기 도어 챔버(312)는 상기 제1기계실(13) 및 상기 제1기계실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일부 영역 전방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상부면과 상기 제1바닥면(1251) 사이의 길이는 상기 도어 챔버(312)의 길이보다 작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챔버(312)에 수용되는 옷의 길이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수용되는 옷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바닥면(125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제2바닥면(1252)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챔버(312)보다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내부에 더 많은 옷을 거치할 수 있다. 옷의 개수에 따라 양 챔버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모두를 선택해서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3)의 무게로 인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전도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캐비닛(11)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제1격벽(111) 및 제2격벽(1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11)은 상기 캐비닛 내부를 제1기계실(13)과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구분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2격벽(118)은 상기 캐비닛 내부를 제2기계실(16)과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구분하는 제2격벽(11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상기 캐비닛 챔버(12)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1)의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 챔버 바닥면(125) 사이에 상기 제1기계실(13)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11)의 상부면과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제2기계실(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격벽(111)과 상기 제2격벽(118)은 각각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바닥면과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상부면일 수 있다.
상기 제1기계실(13)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하부에 위치하여 공급부(14, 15)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기계실(16)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동부(18)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격벽(111)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바닥면 및 상기 제1기계실(13)의 상부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격벽(118)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상부면 및 상기 제2기계실(16)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전면에 캐비닛 투입구(121)를 포함하는 캐비닛(11),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캐비닛 챔버(12),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개폐하는 도어(3), 상기 캐비닛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캐비닛 챔버(12)와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1기계실(13), 상기 도어(3)의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나 물품을 수용하는 도어 챔버(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폐쇄시, 상기 도어 챔버(3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내부에서 상기 제1기계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단차진 바닥면을 고려하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는 상기 제1바닥면(1251)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바닥면(1251)의 위에 위치할 것이고, 상기 제2바닥면(1252)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 챔버(312)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을 폐쇄시, 상기 제2바닥면(1252)은 상기 도어(3)의 적어도 일부분을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챔버(312)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내부에서 상기 제2기계실(1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기계실(13)이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후방에 위치하는 이유는 상기 도어(3)의 무게를 고려해서이다. 즉, 상기 도어(3)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에서 개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도어(3)의 무게로 인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도위험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기계실(13)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도어 챔버(312)의 높이는 상기 캐비닛 챔버(12) 중 상기 제1바닥면(1251)이 위치한 영역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챔버(312)에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수용가능한 옷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옷을 수용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도어챔버(312)의 높이가 상기 캐비닛 챔버(12) 중 상기 제1바닥면(1251)이 위치한 영역의 높이보다 작으며, 보조적으로 상기 도어챔버(312)에 상기 도어(3)의 일부 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캐비닛 챔버(12)를 향해 돌출된 보조박스의 형태라면, 상기 보조박스에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수용가능한 의류보다 긴 옷을 수납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박스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내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상기 제1공급부(14)의 공기순환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챔버(312)는 상기 도어(3)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3)의 후방면은 평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상기 도어 챔버(312)의 길이는 상기 상기 캐비닛 챔버(12) 중 상기 제1바닥면(1251)이 위치한 영역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공급부(14, 15)는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공기와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도 2는 상기 공급부가 공기를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공급하는 제1공급부(14) 및 수분을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공급하는 제2공급부(15)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공급부(14)는 가열된 공기(열풍)을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미가열 공기를 상기 캐비닛 챔버(12)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도 2는 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공급부(15)는 가열된 증기(스팀)이나 미가열 증기(미스트 등)를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가열된 증기를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공급하는 제2공급부(15)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1)에는 상기 제1격벽(1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챔버(12)와 제1기계실(13)을 연결하는 공기 흡입홀(111a), 공기 공급홀(111b), 및 수분 공급홀(111c)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부(14)는 상기 공기 흡입홀(111a)과 공기 공급홀(111b)을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덕트(141), 상기 덕트(141)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덕트 팬(142), 및 상기 덕트(141)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제1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캐비닛 열교환부, 143, 144, 145, 146, 147)는 상기 덕트(14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공기를 응축하는 흡열부(143),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에 열을 공급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143)와 발열부(144)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147)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냉매관(147)에는 냉매가 냉매관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압축기(145), 냉매관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146)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공급부(15)는 상기 제1기계실(13)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151),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152), 상기 저장부(151) 내부의 스팀을 상기 수분 공급홀(111c)로 안내하는 공급관(1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152)는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전기저항체(발열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급부(15)는 급수탱크(112)를 통해 물을 공급 받고, 상기 흡열부(143)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배수탱크(115)에 저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급수탱크(112)와 상기 배수탱크(115)는 상기 제1기계실(13)의 전방면을 통해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즉, 상기 급수탱크(112)는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기계실(13)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할 급수유로(11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탱크(115)도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기계실(13)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할 배수유로(116)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112)는 급수유로(113)를 통해 상기 저장부(151)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유로(113)에는 급수밸브(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115)는 배수유로(116)를 통해 상기 덕트(141)에 연결되고, 상기 덕트(141)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는 펌프(117)을 통해 상기 배수탱크(115)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챔버(12)에는 옷걸이(H, 캐비닛 옷걸이)가 지지되는 옷걸이 제어부(17, 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옷걸이(H)는 의류가 지지되는 거치부(H1), 상기 거치부에 고정된 체결후크(H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제어부(17, 18)는 체결후크(H2)가 지지되는 옷걸이 지지부(17), 상기 옷걸이 지지부(17)가 상기 캐비닛 챔버(12) 내부에서 운동하게 하는 구동부(1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 지지부(17)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부(18)는 상기 제2기계실(16)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는 상기 구동부(18)에 의해 진동하는 제1바디(171),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향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1바디(171)에 결합된 제2바디(17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71)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X축 방향)에 평행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71)는 제1연결바디(172) 및 제2연결바디(173)를 통해 상기 제2격벽(118)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바디(172)는 상기 제2격벽(118)과 상기 제1바디(171)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2연결바디(173)는 상기 제2격벽(118)과 상기 제1바디(171)의 타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8)의 작동 시 상기 제1바디(171)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바디(172)와 제2연결바디(173)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74)는 바디 가이드(176, 177)를 통해 상기 제1바디(17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가이드는 상기 제1바디(171)에 고정된 레일(176), 상기 제2바디(174)에 고정된 블록(17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록(177)은 상기 레일(176)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176)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174)는 상기 바디 가이드(176, 177)에 의해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외부(캐비닛 챔버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174)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캐비닛 옷걸이(H)를 상기 제2바디(174)에 고정하거나 상기 제2바디(174)에서 분리할 때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 제1바디(17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바디(174)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X축 방향)에 평행한 바(bar)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바디(174)의 상부면에는 상기 체결후크(H2)가 수용되는 후크 수용홈(1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71) 및 제2바디(174)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격벽(111)에 구비된 상기 공기 공급홀(111b)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슬릿(slit)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넓은 면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공기 흡입홀(111a) 및 수분 공급홀(111c) 역시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에 평행한 슬릿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흡입홀(111a) 및 공기 공급홀(111b)은 상기 캐비닛(11)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의 연장방향,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바디(171) 또는 상기 제2바디(174)의 연장방향, 은 상기 캐비닛(11)의 전후방향 또는 깊이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공기 공급홀(111b)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옷걸이 지지부(17)에 거치되는 옷 사이 사이로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공기순환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에 거치된 옷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8)는 상기 제2기계실(16)에 고정된 주동부(18a), 벨트(18c)를 통해 상기 주동부(18a)에 연결된 종동부(18b), 상기 종동부(18b)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바디(171)에 전달하는 변환부(18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동부(18a)는 제2기계실(16)에 고정된 모터(181), 상기 모터의 회전축(183, 모터 축)에 고정된 주동풀리(1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동부(18b)는 상기 제2격벽(118)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회전축(185),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기계실(16)에 위치하는 종동풀리(184),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위치하는 암(18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85)의 지지를 위해, 상기 제2격벽(118)에는 축 지지부(186, 베어링 하우징)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동풀리(182)와 종동풀리(184)는 상기 벨트(18c)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다만, 상기 주동풀리는 모터 축(183)에 고정된 주동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종동풀리는 상기 회전축(185)에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된 종동기어로 구비될 경우 상기 벨트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변환부(18d)는 상기 제1바디(171)에 구비된 홈이나 슬롯(slot)형태의 안내부재(189), 및 상기 암(187)의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부재(189)에 삽입되는 안내부재 체결부(18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 (189)은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너비 방향(Y축 방향, 제1바디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안내부재는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89)의 길이는 상기 안내부재 체결부(188)가 형성하는 회전궤적의 지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18)가 작동하면, 상기 제1바디(171), 제2바디(174), 및 캐비닛 옷걸이(H)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깊이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반면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너비방향으로의 운동은 억제(regulate)될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18)의 원운동이 옷걸이 지지부(17)의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전후방향 또는 깊이방향에 따른 왕복운동운동으로 변환될 것이다.
만약, 상기 옷걸이 지지부(1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후방향으로 왕복운동시, 상기 제2바디(174)가 상기 제1바디(171)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2바디(174)가 상기 캐비닛(11) 또는 상기 도어(3)에 부딪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는 상기 제2바디(174)를 상기 제1바디(171)에 고정시키는 스토퍼(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바디(174)에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178)의 결합되는 돌기수용부(179)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178)는 모터(미도시)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돌기수용부(179)에 삽입되거나 상기 돌기수용부(179)로부터 분리되어 멀어지도록 움직이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수용부(179)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는 홈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2바디(174)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후크 수용홈(175)에 옷걸이를 거치한 후, 상기 제2바디(174)를 상기 바디가이드(176, 177)을 통해 후방으로 끝까지 이동시킬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도어(3)를 닫게 되는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폐쇄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178)를 제어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돌기수용부(179)로 이동시키 상기 제2바디(17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3)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돌기를 상기 돌기수용부(179)에서 분리시켜 상기 제2바디(174)를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2바디(174)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아래쪽에 도시한 확대도는 상기 캐비닛 챔버(12)가 상기 도어(3)에 의해 폐쇄시, 상기 스토퍼(178)에 의해 상기 제1바디(171)와 상기 제2바디(174)가 결합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챔버(12)는 상기 도어(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도어(3)는 제1힌지(35)를 통해 상기 캐비닛(1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도어(31), 제2힌지(36)를 통해 상기 제1도어(31)에 고정되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된 도어 챔버(3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도어(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31)의 개방시, 상기 제1힌지(35)는 상기 제1도어(31)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방(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모션(MA), 및 상기 제1도어(31)가 상기 캐비닛(11)의 너비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모션(MB)이 조합된 모션을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31)가 상기 제1모션(MA)과 상기 제2모션(MB)이 조합된 모션을 실행하도록 상기 제1힌지(35)를 구성한 것은, 상기 본체(1)의 측면에 다른 물체(옷장이나 다른 가전기기)가 위치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상기 제1모션(MA)과 상기 제2모션(MB)이 조합된다는 것은 상기 제1모션(MA)과 상기 제2모션(MB)이 시간순서대로 하나씩 일어나는 일련의 단계를 뜻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제1모션(MA)과 상기 제2모션(MB)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의 개폐시에는 상기 제1모션(MA)와 상기 제2모션(MB)가 조합된 곡선의 궤적을 그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3)의 이동시, 상기 도어(3)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마주보면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즉, 상기 도어(3)의 전면은 항상 전방을 바라보면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개방시에도, 상기 도어 챔버(312)의 구동을 위해 상기 제2도어(34)의 전면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사용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도어(31)가 회전하려면 상기 캐비닛(11)의 측면에 제1도어의 모서리가 회전 가능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31)가 상기 제1모션(MA)과 제2모션(MB)을 실행하도록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캐비닛(11)의 측면과 물체의 측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밖에 없고, 이는 실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나 인테리어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제1도어(31)의 모션(제1모션과 제2모션의 조합)은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제1힌지(35)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힌지(35)는 상기 캐비닛(11)에 고정되는 제1고정바디(351), 상기 제1도어(31)에 고정된 제2고정바디(352), 상기 제1고정바디와 제2고정바디를 연결하는 제1연결 바(353, 제1힌지 제1연결 바) 및 제2연결 바(354, 제1힌지 제2연결 바)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36)는 상기 제1힌지(35)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제1힌지와 다른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제2힌지(36)가 상기 제1도어(31)에 고정된 제1도어 고정바디(361), 상기 제2도어(34)에 고정된 제2도어 고정바디(362), 상기 두 고정바디(361, 362)를 연결하는 제1연결 바(제2힌지 제1연결 바, 363) 및 제2연결 바(제2힌지 제2연결 바, 364)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31)는 상기 도어 챔버(312)가 구비된 제1도어바디(3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도어 챔버(312)는 상기 제1도어바디(311)의 일면(제1도어 바디의 전방면)이 상기 캐비닛 챔버(12) 내부를 향해 절곡된 공간(캐비닛 챔버 내부를 향해 돌출된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챔버(312)는 상기 제1도어바디(311)에 구비되되 상기 캐비닛 챔버(12) 내부에 위치하는 의류의 처리공간 및 전시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31)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21)를 폐쇄한 경우, 상기 도어 챔버(312)가 상기 캐비닛 챔버(12)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 챔버(312)가 상기 캐비닛 챔버(12)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도어(3)를 통한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도어 챔버(312) 내부의 열손실도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 챔버(312)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6은 상기 도어 챔버(312)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도어 챔버(312)는 도어챔버 상부면(314), 도어챔버 바닥면(315), 도어챔버 장착면(316), 및 두 개의 도어챔버 측면을 통해 형성되며, 상기 도어 챔버(312)의 일면에는 도어 투입구(313)가 구비된다.
도 6은 상기 도어 투입구(313)가 상기 제1도어바디(311)의 정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은 상기 도어챔버 상부면(314)의 후단, 상기 도어챔버 바닥면(315)의 후단, 및 두 도어챔버 측면의 후단을 연결하되 상기 도어 투입구(313)를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바디(311)에는 제1장치 챔버(317)와 제2장치 챔버(3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치 챔버(317)는 상기 도어 챔버(3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장치 챔버(318)는 상기 도어 챔버(31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1장치 챔버(317)은 상기 도어챔버 바닥면(315)을 통해 상기 도어 챔버(312)와 구분되고, 상기 제2장치 챔버(318)는 상기 도어챔버 상부면(314)을 통해 상기 도어 챔버(312)와 구분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도어(34)는 상기 제2힌지(36)를 통해 상기 제1도어바디(311)에 연결된 제2도어바디(341), 및 상기 제2도어바디(341)에 구비된 투명바디(3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바디(342)는 상기 도어 챔버(312)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도어바디(341)에는 상기 도어 투입구(313)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상의 도어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투명바디(342)는 상기 제2도어바디(341)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 관통홀을 폐쇄하는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바디(342)는 가시광선(visible ray)이 투과가능한 재질로 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챔버(312)에 수용된 의류나 물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면, 상기 투명바디(342)의 재질은 투명한 물질이 아니라 반투명한 물질일수도 있다.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는 상기 캐비닛 옷걸이(H)를 비롯한 상기 옷걸이(5)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장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는 의류, 가방, 또는 악세서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32)은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에 옷걸이(5)가 거치될 경우, 의류가 상기 선반(3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는 상기 선반(32)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선반 지지부(31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지지부(316a)는 상기 도어 챔버(312)의 너비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슬롯 형상의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바디(311)에는 상기 도어 투입구(313)를 감싸는 실링부(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3)는 상기 도어 투입구(313)가 상기 제2도어(34)에 의해 폐쇄된 경우 상기 제1도어바디(311)와 상기 제2도어바디(341)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도어 챔버(312) 내부의 공기나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33)는 상기 제1도어바디(311)의 전방면(도어 투입구가 형성된 면)과 상기 제2도어바디(34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장치 챔버(317)와 상기 제2장치 챔버(31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2열교환부(37)가 구비된다.
상기 제2열교환부(37)는 상기 도어 챔버(312)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도 6은 상기 제2열교환부(37)가 상기 제1장치 챔버(317)와 상기 제2장치 챔버(318) 각각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열교환부(37)는 상기 제1장치 챔버(317)에 구비된 제1유로(371), 상기 제1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기(372, 제2열교환부), 상기 제1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1팬(375), 상기 제2장치 챔버(318)에 구비된 제2유로(376), 상기 제2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2팬(37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챔버 바닥면(315)에는 상기 도어 챔버(312)와 상기 제1장치 챔버(317)를 연결하는 하부 유입구(315a) 및 하부 배출구(315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371)는 상기 하부 유입구(315a)에 연결된 흡기덕트(371a), 상기 하부 배출구(315b)에 연결된 배기덕트(371b), 상기 두 덕트(371a, 371b)를 연결하는 연결덕트(371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75)은 상기 연결덕트(371c)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72)는 열전소자 또는 열전모듈(Thermoelectric Module)로 구비될 수 있다. 열전소자 또는 열전모듈은 서로 다른 두 금속을 결합한 상태로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서로 다른 금속의 양 단에 온도 차가 일어나는 현상(펠티에 효과)을 이용한 소자 또는 모듈을 의미하며, 열전소자로 구비된 열교환기(372)에는 상기 흡기덕트(371a)에 구비되어 공기를 냉각시키는 흡열핀(373), 및 상기 배기덕트(371b)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핀(374)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도어챔버 상부면(314)에는 상기 도어 챔버(312)와 상기 제2장치 챔버(318)를 연결하는 상부 배출구(314b)가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바디(311)의 전방면(제2도어바디를 마주보는 면, 도어 투입구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제2장치 챔버(318)에 연결된 상부 유입구(314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상부 유입구(314a)는 상기 도어챔버 상부면(314)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유입구(314a)가 상기 제1도어바디(311)의 전방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실링부(33)는 상기 도어 투입구(313) 및 상기 상부 유입구(314a)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유로(376)는 상기 상부 유입구(314a)와 상부 배출구(314b)를 연결하는 덕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유로(376)에는 상기 제2팬(377)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유로(376) 내부에는 상기 제2팬(377)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378, 제3열교환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375)이 작동하면, 상기 도어 챔버(3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하부 유입구(315a)를 통해 상기 흡기덕트(371a)로 유입된다. 상기 흡기덕트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열핀(373)을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발열핀(374)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배기덕트(371b) 및 하부 배출구(315b)를 통해 도어 챔버(312)로 재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도어 챔버(312)에 수납된 의류나 악세서리 등을 건조할 수도 있고,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팬(375) 및 열교환기(372)의 작동 중 상기 제2팬(377) 및 가열부(378)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챔버(312)에 수납된 의류나 악세서리의 양이 많을 경우, 건조나 습도 제어를 단시간에 실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팬(377)의 작동 시, 상기 도어 챔버(3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2유로(376)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가열부(378)를 통과하면서 가열될 것이다.
상기 제2유로(376)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된 의류에 곧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배출구(314b)는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어 챔버(312)나 캐비닛 챔버(12)에 장착 가능한 옷걸이(5)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옷걸이(5)는 통상적인 옷걸이(5)와 유사하게 고리형태의 체결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무관하게 일반적인 바 형태의 행어에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옷걸이 지지부(17),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 수용홈(175), 에 거치시킬 수 있거나, 상기 도어 챔버(312)에 구비되는 지지바디 장착부(39, 도 14참조)에 거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옷걸이(5)가 앞서 설명한 캐비닛 옷걸이(H)와 구분되는 점은, 상기 옷걸이(5)에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53, 도 8참조),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5, 도 8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와 별개로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된 의류를 독립적으로 관리(care)할 수 있다.
즉,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상기 캐비닛 챔버(12) 또는 상기 도어 챔버(312) 에서도 사용가능하지만, 이와 무관하게 옷장 내부, 행어바 또는 후크형태의 고리와 같이 일반적인 옷걸이가 거치될 수 있는 곳에서도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만약, 상기 옷걸이(5)가 상기 캐비닛 챔버(12)에 사용된다면 상기 옷걸이 지지부(17)에 거치되어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무방하게 상기 캐비닛 챔버(12)의 좌우 측면, 또는 후방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거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 및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기계실(13)을 구비할 수 없을 정도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기 옷걸이(5)를 활용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열풍 및/또는 스팀(또는 수분)을 분사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구비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옷걸이(5)만으로도 독립적으로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된 의류에 열풍 및/또는 스팀(도는 수분)을 공급하여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5)는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51), 상기 지지바디(51)를 상기 도어 챔버(312)에 구비된 지지바디 장착부(39)에 고정하는 체결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상부 중 상기 체결부(52)를 사이에 두고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51)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스페이서(6a, 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지지바디(51)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기홀(514a)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홀(5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디(51)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탱크(5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옷걸이(5)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공급탱크(558)와 중첩되게 상기 공급탱크(55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옷걸이95)의 무게 밸런스를 고려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부(52)는 상기 옷걸이(5)의 높이방향으로 상기 흡기홀(514a)과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지지바디(51)에서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의류를 거치시, 의류에 의해 상기 흡기홀(514a)이 가려져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지지바디(51)의 상측, 좌우측면, 그리고 상기 지지바디(5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디바닥면(516)에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5)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에 상기 흡기홀(514a)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의류의 다양한 영역으로 토출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의류에 최대한 균일하게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탱크(558)를 통해 공급되는 수분이는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배출홀(518)은 상기 지지바디의 상측, 상기 우측면, 바디바닥면(516)에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홀(517)과 상기 배출홀(518)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기홀(541a)이 개구된 방향을 전방으로 보면,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배출홀(518)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홀(517)의 크기는 상기 배출홀(518)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수분과 공기의 입자의 크기를 고려하면, 수분을 분사시키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상기 배출홀(518)의 크기가 상기 배기홀(517)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옷걸이(5)가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 위치하는 지지바디 장착부(39)에 결합을 고려하면, 상기 배출홀(518)이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 가깝게 위치하여,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출홀(518)은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서 상기 배기홀(517)보다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좌우측이 상기 지지바디(51)의 중심영역보다 전방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이다. 즉, 상기 전방을 향해 휜 활 형태이다. 상기 지지바디(51)가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의 형태를 갖는 것은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되는 의류의 형상이나 패턴을 고려해서 일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홀의 방향을 가급적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서 멀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상기 옷걸이(5)를 분해한 일례이다.
상기 옷걸이(5)는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바디(51), 상기 지지바디(51)의 상측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바디를 거치시키는 체결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는 고리형태의 옷걸이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상부에서 상기 체결부(52)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스페이서(6a, 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디(5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53) 및 의류에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에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52)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바디(51)는 대칭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a, 6b)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의류가 대칭적인 형상이기 때문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기 옷걸이(5)의 분해도에서 상기 지지바디(51) 및 상기 스페이서(6a, 6b)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체결부(52)가 고정되는 베이스(513), 상기 베이스(513)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511), 상기 베이스(513)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지지면(512), 상기 베이스(513)와 지지면들(511, 512)을 연결하는 연결면(5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511)과 제2지지면(512)은 상기 베이스(513)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의류의 개략적인 형태가 대칭되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상기 제1지지면(511)은 상기 베이스(513)의 좌측단에 위치하는 제1경계(P1)에서 연장되는 하향 경사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면(512)은 상기 베이스(513)의 우측단에 위치하는 제2경계(P2)에서 연장되는 하향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514)은 의류의 전방면을 향하는 제1연결면(5141), 및 의류의 후방면을 향하는 제2연결면(514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511)과 상기 제2지지면(512)가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이유는 의류의 크기를 고려해서이다. 상기 옷걸이(5)에 걸리는 의류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어린이 옷일 수도 있고 성인옷일 수도 있다. 예컨대, 사각형태의 지지바디로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이 경사지지 않은 수평한 평면의 경우, 만약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크기가 성인옷의 크기를 고려하여 설계되었다면 성인 옷보다 크기가 작은 어린이 옷을 거치시키기 어렵다. 반대로 어린이 옷을 기준으로 한다면, 성인 옷을 거치시키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옷이 상기 옷걸이(5)에 대칭적인 형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 상기 제1지지면(511)과 상기 제2지지면(512)는 경사면으로 구비된 것이다. 즉,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되는 옷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지지면(511)과 상기 제2지지면(512)에 거치되는 부분이 달라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디(51)에는 바디바닥면(516)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바디바닥면(516)은 상기 제1지지면(511)의 자유단, 제2지지면(512)의 자유단, 및 양 연결면(5141, 5142)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면(514)에는 공기를 상기 지지바디(51) 내부로 유입시키는 흡기홀(514a)이 구비된다. 상기 흡기홀(514a)은 의류의 전방면을 향하는 상기 제1연결면(5141)과 의류의 후방면을 향하는 상기 제2연결면(514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5)가 단독으로 활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면(5141) 및 상기 제2연결면 (5141)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옷걸이(5)가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 거치되는 것을 고러하면, 상기 흡기홀(514a)이 상기 제1연결면(5141)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흡기홀(514a)은 의류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지지바디(51)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이는 외부 공기의 흡입이 용이한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바디바닥면(516)보다 상기 체결부(52)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511) 및 제2지지면(512) 각각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517), 및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홀(518)이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면(511)은 상기 베이스(513)에 고정되어 의류의 상부 또는 의류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 중 일측부분을 지지하는 제1상부면(511a), 및 상기 제1상부면(511a)에서 연장되는 제1측면(511b)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면(512)은 상기 베이스(513)에 고정되어 의류의 상부 또는 의류의 타측부분을 지지하는 제2상부면(512a), 및 상기 제2상부면(512a)에서 연장되어 의류의 소매에 위치하는 제2측면(512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는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는 다양한 의류의 크기에 관계없이 의류를 거치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측면(511b)와 상기 제2측면(512b)는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과는 다른 각도로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511b)와 상기 제2측면(512b)는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보다 각각 가파르게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의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되는 의류의 자중을 이용하여 최대한 의류에 인장력(tension)을 가해 의류의 구김(wrinkles)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되는 의류 중 상기 제1상부면(511a)와 상기 제2상부면(512a)에서 지지되지 않는 부분에 최대한 공기 및/또는 수분(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상부면(511a)과 상기 제2상부면(512a)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제1측면(511b)와 상기 제2측면(512b)이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제1상부면(511a)과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각각 구비된 제1배기홀(517a), 상기 제1측면(511b)과 상기 제2측면(512b) 각각에 구비된 제2배기홀(517b), 및 상기 바디바닥면(51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배기홀(517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홀(518)은 상기 제1상부면(511a)과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각각 구비된 제1배출홀(518a), 상기 제1측면(511b)과 상기 제2측면(512b) 각각에 구비된 제2배출홀(518b), 및 상기 바디바닥면(51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3배출홀(518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제1배기홀(517a), 제2배기홀(517b), 제3배기홀(517c)로 구비되고, 상기 배출홀(518)은 상기 제1배출홀(518a), 제2배출홀(518b), 및 제3배출홀(518c)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연결면(5141)과 상기 제2연결면(5142)은 상기 옷걸이(5)의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바디(5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상기 배출홀(518)의 위치를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바디(51)에 걸린 의류가 상기 배기홀(517) 및 상기 배출홀(518)을 폐쇄함으로서 유로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옷걸이(5)는 의류와 상기 지지바디(5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6a, 6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a, 6b)는 상기 지지바디(51)에 구비되어 의류와 상기 제1지지면(51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1스페이서(6a), 및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되어 의류와 상기 제2지지면(5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제2스페이서(6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6a)는 의류가 지지되는 제1안착바디(61) 및 상기 제1안착바디(61)를 상기 제1지지면(511)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6b)는 의류가 지지되는 제2안착바디(65) 및 상기 제2안착바디(65)를 상기 제2지지면(512)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6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62)는 상기 제1안착바디(61)를 상기 제1상부면(511a)에 고정하는 바(bar)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66)는 상기 제2안착바디(65)를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고정하는 바(bar)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바디(61)에는 상기 제1상부면(511a)에 구비된 제1배기홀(517a) 및 제1배출홀(518a)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안착바디 관통홀(611)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안착바디(65)에는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구비된 제1배기홀(517a) 및 제1배출홀(518a)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안착바디 관통홀(651)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6a)에는 상기 제1안착바디(61)의 상단과 상기 제1지지면(511)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상부 중 일부를 지지하는 제1상부 지지부(6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스페이서(6b)에는 상기 제2안착바디(65)의 상단과 상기 제2지지면(512)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의류의 상부 중 다른 일부를 지지되는 제2상부 지지부(6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홀(514a)은 의류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 및 제2상부 지지부(67)가 구비될 경우,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공급탱크(558)과 상기 지지바디(51)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558)를 수용하는 탱크 장착부(514b)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공급탱크(558)는 상기 연결면(514)에 구비된 탱크 장착부(514b)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된다. 상기 공급탱크(558)의 바닥면에는 배수구(558a)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558a)는 밸브(558b)에 의해 개방이 제어된다. 상기 밸브(558b)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59)는 상기 밸브(558b)를 작동시켜 상기 배수구(558a)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559a), 상기 액추에이터(559a)와 상기 수분발생기(556)를 연결하는 연결관(559b), 및 상기 연결관(559b)의 개폐를 제어하는 연결관 밸브(559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탱크(558)가 상기 탱크 장착부(514b)에 삽입되면, 상기 액추에이터(559a)는 상기 밸브(558b)를 작동시켜 상기 배수구(558a)를 개방한다. 상기 배수구(558a)가 개방되면 상기 공급탱크(558) 내부의 물은 상기 연결관(559b)으로 유입되고, 상기 연결관 밸브(559c)가 연결관(559b)를 개방한 때 상기 수분발생기(556)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공급부(53)는 공기유로(532, 도 13(a)참조)가 구비된 공기공급바디(5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바디(531)는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바닥면(516)이 상기 지지바디(51)에서 분리되면 상기 지지바디(51)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로(532)는 상기 흡기홀(514a)과 상기 배기홀(517)을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공기유로(532)는 흡기홀 연결부(533)를 통해 상기 흡기홀(514a)에 연결되고, 배기홀 연결부(534, 535, 536)를 통해 상기 배기홀(517)에 연결된다. 즉, 상기 배기홀 연결부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1배기홀(517a)과 연결하는 제1배기홀 연통구(534),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2배기홀(517b)과 연결하는 제2배기홀 연통구(535), 및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3배기홀(517c)과 연결하는 제3배기홀 연통구(536, 도 13(a) 참조)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에는 팬(537) 및 히터(538, 제1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537)은 상기 흡기홀(514a) 및 흡기홀 연결부(533)을 통해 외기를 상기 공기유로(532)로 유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흡기홀 연결부(533)에 위치된 임펠러(537a) 및 상기 공기공급바디 또는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537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은 상기 모터(537b)에 구비되는 회전축의 중심(또는 상기 흡기홀 연결부(533)의 중심, 또는 상기 흡기홀(514a)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8)는 상기 임펠러(537a)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상기 히터(538)은 C자 형상의 발열체(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저항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8)는 상기 임펠러(537a)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상(또는 흡기홀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C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체결부(52)를 향하도록(공기공급바디의 최상단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가 상기 히터(538)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팬(537)이 회전시, 공기는 팬(537)의 회전방향, 즉, 상기 옷걸이(5)의 전후방향, 을 따라 상기 흡기홀(514a)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팬(537)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공기유로(532)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팬을 시로코(sirocco) 팬이라 부를 수 있다. 즉, 상개 팬(237)의 회전축 또는 상기 모터(537b)의 회전축을 따라 유입된 공기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팬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지지바디(51)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지지바디(51)의 다른 일면 이상에 구비될 것이다.
즉,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제1연결면(5141)에 구비되는 반면, 상기 배기홀(517)은 상기 제1상부면(511a), 상기 제2상부면(512a), 상기 제1측면(511b), 상기 제2측면(512b) 및 상기 바디바닥면(516)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일례일 뿐, 상기 흡입홀(514a)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유로(532)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른 타입의 팬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 히터(538)는 상기 배기홀(517)보다 상기 흡입홀(514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터(538)은 상기 팬(537)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인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팬(53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발산되기 전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위함일 뿐 아니라, 상기 히터(538)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팬(537)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히터(538)의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히터(538)가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바디(51)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의해 지지되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53) 및 의류에 수분 또는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5)는 수분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분발생기(556), 상기 수분발생기(556)에서 발생한 수분 또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는 수분유로(552, 도 13(b)참조)를 형성하는 수분공급바디(551) 및 상기 수분발생기(556)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558, 도 8참조) 및 상기 공급탱크(558)에서 상기 수분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로(5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전술한 상기 공급탱크(558)를 제외한 나머지를 도시하였다.
상기 공기공급부(53)는 상기 수분공급부(55)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기홀(517) 및 상기 배출홀(518)의 위치를 고려하여 공기 및 수분(또는 스팀)의 이동경로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동경로가 길수록 송기 및 수분의 열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은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의 전방에 위치할 것이다.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의 최고높이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의 최고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홀 연결부(533)과 상기 흡기홀(514a)의 연결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분발생기(556), 상기 공급탱크(558) 및 상기 공급유로(559)는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와 수분공급바디(5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분발생기(556), 상기 공급탱크(558) 및 상기 공급유로(559)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수용부(56)가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발생기(55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생기 수용부(562), 및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558)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수용부(56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562)는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의 바닥면이 수분공급바디(551)의 상부면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탱크 수용부(561)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의 바닥면이 공기공급바디(531)의 상부면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탱크 장착부(514b)가 상기 수분발생기(556)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펌프 없이 공급탱크의 물을 수분발생기로 공급), 상기 탱크 수용부(561)의 높이는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면에 구비된 탱크 장착부(514b)는 상기 연결면(514)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 수용부(561)에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공급탱크(558)의 밸브(558b)는 상기 공급탱크(558)가 상기 탱크 장착부(514b)를 통해 상기 수용부(56)에 삽입된 때 상기 액추에이터(559a)에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2는 상기 공급탱크(558)가 상기 탱크 장착부(514b)를 통해 상기 탱크 수용부(561)에 삽입된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가 구비될 경우, 상기 수분공급관(557)은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의 양측면(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발생기 수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해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511)에 구비된 배출홀(518)과 상기 제2지지면(512)에 구비된 배출홀(518)로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는 상기 흡기홀(514a)로 유입된 공기(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상기 배기홀(517)로 이동시키는 공기공급부(53), 수분(가열된 증기 또는 미가열 증기)을 발생시켜 상기 배출홀(518)로 공급하는 수분공급부(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팬(537)은 상기 배기홀(517)보다 상기 흡기홀(514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데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일단 상기 옷걸이의 내부, 즉 상기 지지바디(51)의 내부로 흡입되면 너비방향보다 전후방향 폭이 작은 상기 지지바디(51)의 특성 및 상기 배기홀(517)의 크기를 고려하면,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므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 보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보다 많은 힘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홀(518)은 상기 흡기홀(514a)보다 상기 배기홀(517)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홀(518)을 통해 배출된 수분이 다시 흡기홀(514a)을 통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팬(537)은 상기 배기홀(517)보다 상기 흡기홀(514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537)은 상기 배출홀(518)보다 상기 흡기홀(514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디(51)의 좌우균형을 고려하면, 상기 흡기홀(517)은 상기 제1지지면(511)과 상기 제2지지면(5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팬(537)도 상기 제1지지면(511)과 상기 제2지지면(5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53)는 공기유로(532)가 구비된 공기공급바디(53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바디(531)는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의 바디바닥면(516)이 상기 지지바디(51)에서 분리되면 상기 지지바디(51)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유로(532)는 상기 흡기홀(514a)과 상기 배기홀(517)을 연결하는 유로이다. 상기 공기유로(532)는 흡기홀 연결부(533)를 통해 상기 흡기홀(514a)에 연결되고, 배기홀 연결부(534, 535, 536)를 통해 상기 배기홀(517)에 연결된다. 즉, 상기 배기홀 연결부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1배기홀(517a)과 연결하는 제1배기홀 연통구(534),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2배기홀(517b)과 연결하는 제2배기홀 연통구(535), 및 상기 공기유로(532)를 상기 제3배기홀(517c)과 연결하는 제3배기홀 연통구(536)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에는 팬(537) 및 히터(538, 제1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537)은 상기 흡기홀(514a) 및 흡기홀 연결부(533)을 통해 외기를 상기 공기유로(532)로 유입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흡기홀 연결부(533)에 위치된 임펠러(537a) 및 상기 공기공급바디 또는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537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은 상기 흡기홀 연결부(533)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8)는 상기 임펠러(537a)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으로, 상기 히터(538)은 C자 형상의 발열체(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저항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38)는 상기 임펠러(537a)의 원주면을 감싸는 형상(또는 흡기홀 연결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C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상기 체결부(52)를 향하도록(공기공급바디의 최상단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55)는 내부에 수분유로(552)가 구비된 수분공급바디(55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바디(551)는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디의 바디바닥면(516)이 상기 지지바디(51)에서 분리되면 상기 지지바디(51) 내부로 삽입되거나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분유로(552)는 수분발생기(556)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상기 배출홀(518)에 공급하는 유로이다. 상기 수분유로(552)에는 상기 배출홀(518)에 연결되는 배출홀 연결부(553, 554, 55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배출홀 연결부는 상기 수분공급바디(5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분유로(552)를 상기 제1배출홀(518a)과 연결하는 제1배출홀 연통구(553), 상기 수분유로(552)를 상기 제2배출홀(518b)과 연결하는 제2배출홀 연통구(554), 및 상기 수분유로(552)를 상기 제3배출홀(518c)과 연결하는 제3배출홀 연통구(55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가열된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미가열 증기(mist 등)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발생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3(b)는 상기 수분발생기(556)가 스팀발생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b)의 수분발생기(55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바디(556a),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556b, 제2히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수분공급관(557)을 통해 상기 수분유로(552)에 연결되고, 상기 수분공급관(557)에는 수분이 상기 수분유로(552)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상기 공급탱크(558)에 저장된 물을 상기 공급유로(559) 통해 공급받는다.
상기 공급탱크(558)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5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59)는 상기 공급탱크(558)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바디(556a)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공급탱크(558)는 상기 연결면(514)에 구비된 탱크 장착부(514b)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된다. 상기 공급탱크(558)의 바닥면에는 배수구(558a)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구(558a)는 밸브(558b)에 의해 개방이 제어된다. 상기 밸브(558b)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559)는 상기 밸브(558b)를 작동시켜 상기 배수구(558a)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559a), 상기 액추에이터(559a)와 상기 수분발생기의 저장바디(556a)를 연결하는 연결관(559b), 및 상기 연결관(559b)의 개폐를 제어하는 연결관 밸브(559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탱크(558)가 상기 탱크 장착부(514b)에 삽입되면, 상기 액추에이터(559a)는 상기 밸브(558b)를 작동시켜 상기 배수구(558a)를 개방한다. 상기 배수구(558a)가 개방되면 상기 공급탱크(558) 내부의 물은 상기 연결관(559b)으로 유입되고, 상기 연결관 밸브(559c)가 연결관(559b)를 개방한 때 상기 저장바디(556a)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수분발생기(556), 상기 공급탱크(558) 및 상기 공급유로(559)는 상기 지지바디(51) 내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와 수분공급바디(5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분발생기(556) , 상기 공급탱크(558) 및 상기 공급유로(559)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56)가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발생기(55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생기 수용부(562), 및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558)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수용부(56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는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의 바닥면이 수분공급바디(551)의 상부면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탱크 수용부(561)는 상기 공기공급바디(531)의 바닥면이 공기공급바디(531)의 상부면을 향해 절곡된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탱크 장착부(514b)가 상기 수분발생기(556)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펌프 없이 공급탱크의 물을 수분발생기로 공급), 상기 탱크 수용부(561)의 높이는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의 높이보다 높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연결면에 구비된 탱크 장착부(514b)는 상기 연결면(514)을 관통하여 상기 탱크 수용부(561)에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공급탱크(558)의 밸브(558b)는 상기 공급탱크(558)가 상기 탱크 장착부(514b)를 통해 상기 탱크 수용부(561)에 삽입된 때 상기 액추에이터(559a)에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가 구비될 경우, 상기 수분공급관(557)은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의 양측면(저장바디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발생기 수용부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통해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면(511)에 구비된 배출홀(518)과 상기 제2지지면(512)에 구비된 배출홀(518)로 공급되는 수분의 양을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임펠러 모터(537b),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 수분발생기의 히터(556b) 등은 상기 체결부(52)에 구비된 체결부 단자(521)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는 상기 캐비닛 옷걸이(H)를 비롯한 상기 옷걸이(5)가 지지되는 지지바디 장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2)가 상기 도어 챔버에 구비된 지지바디 장착부(39)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에는 상기 체결부 단자(521)와 전원을 연결하는 지지바 단자(393)가 구비되어야 한다.
즉,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는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 고정된 지지바(391), 상기 지지바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52)가 안착되는 장착홈(3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 단자(393)은 상기 장착홈(392) 내부에 고정되되 전원에 연결된 도체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 단자(521)는 상기 체결부(52)가 상기 장착홈(392)에 삽입된 때 상기 지지바 단자(393)에 접촉하는 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옷걸이(5)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옷걸이95)에 외부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연결선(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은 상기 체결부(52)가 상기 베이스(513)에 고정된 후크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체결부(52)는 상기 베이스(513)에서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을 향해 돌출된 체결 바(bar)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상기 공급탱크(558)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공급탱크(558)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분발생기의 히터(556b)에 의해 불필요하게 상기 공급탱크(558)의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상기 공급탱크에 저장된 물이 가열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상기 수분공급바디(551) 또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발생기 수용부(56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5)의 보수(repair) 및 분해를 고려하면, 상기 수분발생기(556)는 상기 지지바디(51)보다 상기 수분공급바디(551)에 지지되도록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구조의 옷걸이(5)는 상기 공급탱크(558)에 저장된 물의 양이 변하거나, 상기 수분발생기(556)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이 변할 경우,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수가 높아질 경우 무게중심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발생기(556)과 상기 공급탱크(558)가 도 14에 도시된 것 같이 상하로 배치지 않고, 좌우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수분발생기(556)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가 다르므로 상기 옷걸이(5)의 좌우 무게밸런스를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옷걸이(5)의 무게중심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옷걸이(5)에 거치된 의류가 상기 체결부(5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문제(후크 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된 경우 옷걸이가 기울어지는 현상), 상기 체결부(52)나 장착홀(394)의 내구성 저하나 전력이 옷걸이(5)에 공급되지 않는 문제(체결 바 형태의 체결부가 구비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제2도어(34)의 투명바디(342)를 통해 상기 도어 챔버(312)에 수납된 의류나 악세서리 등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데, 상기 옷걸이(5)가 기울어진 상태에 있거나 상기 장착홀(394)이 파손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옷걸이(5)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무게가 무거운 것들의 무게중심을 상기 베이스(513)와 상기 제1지지면(511)의 경계(P1, 제1경계)와 상기 베이스(513)와 상기 제2지지면(512)의 경계(P2, 제2경계)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도 14은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의 무게중심,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을 상기 제1경계(P1)와 제2경계(P2) 사이에 배치시킨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옷걸이(5)의 무게중심 변경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의 무게중심,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은 상기 체결부(52)가 상기 베이스(513)에 고정된 지점을 통과하는 수직선(P3)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구조는 일례에 관한 것이므로,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의 무게중심,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 중 2개 또는 3개의 무게중심들만 상기 제1경계(P1)와 상기 제2경계(P2) 사이에 배치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체결부(52)가 일반적으로 고정되게 거치되지 않는 행어에 거치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옷걸이(5)의 무게중심이 상기 체결부의 하부, 즉, 상기 제1경계(P1)와 상기 제2경계(P2)사이에 있지 않고 일측으로 치우치게 된다면, 상기 체결부를 중심으로 불필요한 토크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경계(P1)와 제2경계(P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경계(P1)와 제2경계(P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 및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경계(P1)와 제2경계(P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의 무게중심은 상기 제1경계(P1)와 제2경계(P2)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팬의 무게중심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중심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팬(537)의 무게중심은 상기 임펠러(537a)의 무게중심과 상기 임펠러 모터(537b)의 무게중심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임펠러 모터(537b)의 무게 중심은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임펠러 모터(537b)의 무게 중심이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을 상기 제1경계(P1)와 상기 제2경계(P2) 사이에 배치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옷걸이(5)의 심미감(흡기홀의 위치) 및 흡기홀(514a)로 유입되어 상기 제1지지면(511)과 제2지지면(512) 각각에 구비된 배기홀(517)로 분배되는 공기의 양을 고려하면, 상기 임펠러 모터의 무게중심보다 임펠러의 회전중심을 다른 구성요소의 무게중심에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임펠러(537a)의 회전중심, 상기 공기공급부의 히터(538)의 무게중심, 상기 수분발생기(556)의 무게중심, 및 상기 공급탱크(558)의 무게중심 중 적어도 2개의 무게중심들은 상기 제1경계(P1)와 상기 제2경계(P2) 사이에 배치하거나 상기 수직선(P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인 옷걸이(5)의 다른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52)가 체결 바 형태로 구비되면, 상기 체결부 단자(521)는 상기 체결 바의 자유단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는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316)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 바가 삽입되는 장착홀(394) 및 상기 장착홀 내부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된 도어 단자(39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홀(514a)은 의류에 의해 외부공기의 흡입이 최대한 방해받지 않을 수 있는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 및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가 구비될 경우, 상기 흡기홀(514a)은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기홀(514a)의 최상단은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를 연결한 직선(H)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홀(514a)의 최하단은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를 연결한 직선(H)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흡기홀(514a)의 중심은 상기 제1상부 지지부63)와 상기 제2상부 지지부(67)를 연결한 수평선(H)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1상부면(511a) 및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구비되는 상기 제1배기홀(517a)에서 나오는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자 마자 다시 상기 흡기홀(514a)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상부면(511a) 및 상기 제2상부면(512a)에 구비되는 상기 제1배출홀(518a)에서 나온 수분이나 스팀이 상기 흡기홀(514a)을 통해 바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공급탱크(558)의 물이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히터(538)와 상기 공급탱크(558)의 사이를 이격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홀(514a)를 상기 공급탱크(558)로부터 이격시키되, 상기 체결부(52)가 위치한 영역이 가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39)에는 상기 캐비닛 옷걸이(H)가 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옷걸이 및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그 제어방법 등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본체 11: 캐비닛
111: 제1격벽 111a: 공기 흡입홀 111b: 공기 공급홀
111c: 수분 공급홀 112: 급수탱크 113: 급수유로
114: 급수밸브 115: 배수탱크 116: 배수유로
117: 펌프 12: 캐비닛 챔버 121: 캐비닛 투입구
15: 제2공급부 16: 제2기계실 17: 옷걸이 지지부
171: 제1바디 172: 제1연결바디 173: 제2연결바디
174: 제2바디 176: 레일 177: 블록
3: 도어 311: 제1도어바디 312: 도어 챔버
313: 도어 투입구 316: 도어챔버 장착면 316a: 선반 지지부
317: 제1장치 챔버 318: 제2장치챔버 32: 선반
34: 제2도어 341: 제2도어 바디 342: 투명바디
35: 제1힌지 36: 제2힌지 371: 제1유로
372: 열교환기 373: 흡열핀 374: 발열핀
375: 제1팬 377: 제2팬 378: 가열부
5: 옷걸이 513: 베이스 511: 제1지지면
511a: 제1상부면 511b: 제1측면 512: 제2지지면
512a: 제2상부면 512b: 제2측면 514: 연결면
514b: 탱크 장착부 518: 배출홀 516: 바닥면
52: 체결부 53: 공기공급부 531: 공기공급바디
532: 공기유로 533: 흡기홀 연결부 534: 제1배기홀 연통구
536: 제3배기홀 연통구 537: 팬 537b: 임펠러 모터
538: 히터 551: 수분공급바디 552: 수분유로
553: 제1배출홀 연통구 555: 제3배출홀 연통구 557: 수분공급관
558: 공급탱크 561: 탱크 수용부 562: 발생기 수용부
6a: 제1스페이서 6b: 제2스페이서 61: 제1안착바디
611: 제1안착바디 관통홀 62: 제1고정부 63: 제1상부 지지부
65: 제2안착바디 651: 제2안착바디 관통홀 67: 제2상부 지지부

Claims (34)

  1.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수분이나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무게중심 및 상기 수분발생기의 무게중심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은
    상기 팬의 회전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면 및 상기 제2지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지지면은
    상기 공기공급부를 지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홀 및 상기 수분발생기에서 발생한 수분 또는 스팀을 배출하는 배출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홀은
    상기 배기홀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기공급바디; 및
    상기 흡기홀 및 상기 팬을 지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서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배기홀보다 상기 흡기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서 상기 배기홀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팬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체결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C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수분발생기와 상기 배출홀을 연결하는 수분유로가 형성된 수분공급바디; 및
    상기 제1연결면에 구비되는 탱크 장착부를 통해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가능하게 인입되며 상기 수분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흡기홀과 상기 배기홀을 연결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공기공급바디; 및
    상기 흡기홀 및 상기 팬을 지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바디와 상기 수분공급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의 전후방향을 따라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바디는
    상기 수분공급바디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분발생기가 수용되는 발생기 수용부;
    상기 공기공급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수용되는 탱크 수용부; 및
    상기 제1연결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공급탱크가 상기 탱크 수용부로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탱크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은
    각각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질수록 하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의류의 좌우측중 일측을 지지하는 제1상부면, 및 상기 제1상부면에서 연장되는 제1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면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의류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상부면, 및 상기 제2상부면에서 연장되는 제2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1측면의 경사도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서로 다르고,
    상기 제2상부면과 상기 제2측면의 경사도는
    상기 베이스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기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제1상부면과 상기 제2상부면에 각각 구비된 제1배출홀, 및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2측면 각각에 구비된 제2배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과 상기 배출홀은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배기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은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기홀은
    상기 복수 개의 배출홀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의 크기는
    상기 배출홀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고리형상의 옷걸이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팬과 상기 수분발생기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공급탱크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지지바디의 후방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에서 이격시켜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지지면에 위치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제2지지면에 위치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페이서는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제1안착바디, 상기 제1안착바디를 상기 제1지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의류가 지지되는 제2안착바디, 상기 제2안착바디를 상기 제1지지면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는 옷걸이.
  27. 전면에 캐비닛 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통해 의류를 수용하는 캐비닛 챔버;
    상기 캐비닛 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도어 챔버;
    상기 도어 챔버를 개방하거나 폐쇄 가능한 제2도어; 및
    상기 캐비닛 챔버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 챔버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옷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는
    의류를 지지하는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디를 매달기 위해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지지바디에 구비되며, 수분이나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분발생기;를 포함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분발생기는
    상기 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챔버는
    상기 도어 챔버의 내측면 중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챔버 장착면; 및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바디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챔버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가 상기 옷걸이 지지부에 거치되는 방향은
    상기 옷걸이가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에 거치되는 방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에 장착시 전원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팬, 및 상기 수분발생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체결부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1. 제30항에
    상기 지지바디 장착부는
    상기 도어챔버 장착면에 고정된 지지바,
    상기 지지바에 귑되어 상기 체결부가 장착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바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수분발생기에 연결되는 공급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1지지면 및 제2지지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지지면과 제2지지면을 연결하여 각각 상기 지지바디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제1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는
    상기 옷걸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부, 상기 팬, 상기 수분발생기와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121809A 2021-11-02 2022-09-26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671 WO2023080556A1 (ko) 2021-11-02 2022-10-28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CT/KR2022/016668 WO2023080555A1 (ko) 2021-11-02 2022-10-28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N202211334156.4A CN116065371A (zh) 2021-11-02 2022-10-28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EP22204728.4A EP4187012A3 (en) 2021-11-02 2022-10-31 Hange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2204724.3A EP4194606A1 (en) 2021-11-02 2022-10-31 Hanger having air and steam blowing arrangement
CN202211353359.8A CN116065372A (zh) 2021-11-02 2022-11-01 衣架以及具备衣架的衣物处理装置
US17/979,102 US20230138890A1 (en) 2021-11-02 2022-11-02 Hanger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7/979,088 US20230151535A1 (en) 2021-11-02 2022-11-02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9168 2021-11-02
KR1020210149168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50A true KR20230063850A (ko) 2023-05-09

Family

ID=864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809A KR20230063850A (ko) 2021-11-02 2022-09-26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78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329073B1 (en) Fabric treatment apparatus
EP23894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194606A1 (en) Hanger having air and steam blowing arrangement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310180A1 (en) Clothes care apparatus
KR20220161118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28762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63850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55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20230063854A (ko) 옷걸이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US20200385915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187012A2 (en) Hanger for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4414496A1 (en) Garment processing device
KR20230065662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6566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21887B1 (ko) 열풍을 이용한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220152796A (ko) 배기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KR20240037101A (ko) 의류 관리기
CN118489022A (zh) 衣物处理装置
CN116670353A (zh) 衣物处理设备
KR20230124284A (ko) 의류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