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00Y1 - 도시농업용 텃밭 - Google Patents

도시농업용 텃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00Y1
KR200486700Y1 KR2020150008200U KR20150008200U KR200486700Y1 KR 200486700 Y1 KR200486700 Y1 KR 200486700Y1 KR 2020150008200 U KR2020150008200 U KR 2020150008200U KR 20150008200 U KR20150008200 U KR 20150008200U KR 200486700 Y1 KR200486700 Y1 KR 200486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llen
leg member
le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207U (ko
Inventor
김남준
김소원
김소영
Original Assignee
김남준
김소원
김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준, 김소원, 김소영 filed Critical 김남준
Priority to KR202015000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0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1Tunnel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rows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plant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시켜 화분으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도시농업용 텃밭에 관한 것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부; 상기 화분부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화분부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시농업용 텃밭{Urban Garden}
본 고안은 도시농업용 텃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시켜 화분으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도시농업용 텃밭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한정된 실내에서 보내기 때문에, 건축에 사용된 합성자재 및 제품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이나, 실내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에 포함되는 미생물의 오염으로, 현대인의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에 실내공간의 친환경적 구성, 쾌적성, 실내 공기의 질(Indoor air quality) 향상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최근에는 실내 공기의 질을 높이고 보다 자연친화적인 거주환경을 만들고자 실내에 식물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식물은, 실내 공기의 질을 정화시키고 그린어메니티(Green amenity)를 유발하여, 거주자로 하여금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실내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벽에 걸거나 허공에 메달아 설치하는 행거식 화분 등과 같은 식물 재배장치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도시농업은, 도시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한 농사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시농업은, 농업이 갖는 생물 다양성의 보전, 기후조절, 대기정화, 토양보전, 공동체문화, 정서함양, 여가지원, 교육, 복지 등의 다원적 가치를 도시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도시농업은, 도시의 생태계 순환구조의 회복, 지역공동체형성, 로컬 푸드, 개인의 식생활건강 뿐만 아니라, 농업에 대한 도시민들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035호(2006.05.03. 등록)는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화분몸체의 하부에 식물의 뿌리가 침수되며 침수된 상태가 노출되게 형성된 뿌리 관상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화분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 뿌리의 발육상태를 육안을 확인하여 관상할 수 있도록 한 뿌리 관상부를 형성함으로써, 뿌리의 관상을 통하여 어린이 등의 교육효과가 높아지고, 신선하고 깨끗한 이미지의 관상을 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에 따른 분갈이 시점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12861호(2010.12.28. 공개)는 실내에서 채소류, 화훼류 및 과수류 등의 작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본체유닛이 조립되어 형성됨으로써 설치장소에 따라서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며, 덮개의 회동식 개폐가 가능함에 따라 작물의 관리 및 수확이 용이한 조립식 미니텃밭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상측은 개방되되 내부는 농작물이 재배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다수 개의 본체유닛이 결합수단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유닛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부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시농업용 텃밭은, 텃밭의 높이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바닥에 두고 사용하여 항상 무릎을 굽히고 앉아서 관리하거나 관찰하므로, 어른들 또는 아이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시농업용 텃밭은, 식물에 주어지고 남은 물을 외부로 배수해 주기 위한 별도의 배출구가 없거나, 배출구가 있다 하더라도 배출구 이외의 부분에 물이 고일 수 있어 식물의 뿌리가 썩을 수 있으며, 이에 적합한 환경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6035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0-0012861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시켜 화분으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도시농업용 텃밭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부; 상기 화분부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화분부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를 포함하는 도시농업용 텃밭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부는,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부재; 및 상기 화분부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부는, 상기 화분부재 하부의 일정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화분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부는, 상기 홀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홀부재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부는, 일측이 거치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서로 접촉하여, 화분부재의 상부를 덮어주기 위한 두 개의 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화분부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거치바부재; 및 상기 거치바부재의 전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거치바부재의 후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연결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U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상단에 상기 거치부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세워주기 위한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화분부재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흐르도록, 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의 높이를 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화분부는, 상기 화분부재를 다수 개로 형성하였을 때에, 상기 다리부재의 높이가 짧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의 하부면 일부분을 상기 다리부재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의 하부면 일부분 아래에 겹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U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상단에 상기 거치부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세워주기 위한 제1다리부재;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다리부재를 세워주기 위한 제2다리부재; 및 상기 제2다리부재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2다리부재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조여주어, 상기 제1다리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시켜 화분으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도시농업용 텃밭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른들 또는 아이들이 일어서서 편리하게 식물을 관리하거나 관찰할 수 있으며, 이에 아이들의 교육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측과 후측에 위치한 지지대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식물에 주어지고 남은 물을 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화분에 물이 고이지 않아 식물이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며, 화분의 하부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흐르는 물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수하여 적합한 환경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분을 외부(예를 들면, 옥상, 정원)에 설치할 시에, 화분에 덮개를 부착 설치하여,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식물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화분을 덮어주면서 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농업용 텃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화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화분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농업용 텃밭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도시농업용 텃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농업용 텃밭(100)은, 화분부(110), 거치부(120), 두 개의 지지부(130), 받침부(140)를 포함한다.
화분부(110)는, 양측에 거치부(120)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식물을 재배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110)는, 내부에 흙을 삽입할 수 있는 틀을 삽입하여, 양측부로 흙이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거치부(120)는, 전측과 후측에 지지부(130)를 각각 연결 설치하며, 화분부(110)의 양측(즉, 양측 상단)을 각각 연결 설치하여, 화분부(110)를 거치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120)는, 두 개의 거치바부재(121), 두 개의 연결바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바부재(121)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삽입부재(112)를 각각 삽입하여, 화분부(110)를 거치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바부재(121)는, 삽입부재(112)(도 2 참조)를 삽입하여, 화분부(110)를 거치시켜 주거나, 삽입부재(112)를 빼내어 화분부(110)와 분리할 수 있다.
연결바부재(122)는, 거치바부재(121)의 전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 거치바부재(121)의 후측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바부재(122)는, 거치바부재(121)와 서로 연결된 부분을 분리할 수 있으며, 거치바부재(121)의 전측 또는 후측에 삽입 결합하거나, 예를 들어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거치바부재(121)와 체결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120)는, 연결바부재(122)에서 거치바부재(121)를 분리한 다음에, 거치바부재(121)에 삽입부재(112)를 삽입하여 화분부(110)를 거치시킨 후에, 거치바부재(121)에 연결바부재(122)를 결합해 줄 수 있다.
지지부(130)는, 하부에 받침부(140)를 연결 설치하고, 거치부(1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 설치하여, 거치부(120)를 지지해 준다.
받침부(140)는, 지지부(13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130)를 받쳐준다.
일 실시 예에서, 받침부(140)는, 지지부(130)를 받쳐줌과 동시에, 두 개의 지지부(130)를 연결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도시농업용 텃밭(100)는,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부(120)에 거치시켜 화분부(110)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도시농업용 텃밭(100)은,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을 거치부(120)에 거치시켜 화분부(110)로 구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실내외 공간에 어려움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부(1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른들 또는 아이들이 일어서서 편리하게 식물을 관리하거나 관찰할 수 있으며, 이에 아이들의 교육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농업용 텃밭(100)은, 식물을 직접 기르고 식물이 자라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사용자가 힐링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화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 다수 개의 삽입부재(112)를 포함한다.
화분부재(111)는, 양측에 삽입부재(112)를 각각 고정 형성하고, 식물을 재배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재(111)는,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3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재(111)는, 예를 들어 친환경 소재의 방수천으로 형성되어, 환경에 유해하지 않으며, 가볍게 사용할 수 있고, 물을 흘려도 쉽게 흡수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재(111)는, 전측과 후측을 각각 연장 형성하여, 내부에 심어진 식물과 상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다.
삽입부재(112)는, 화분부재(111)의 양측(즉, 양측 상단)에 각각 고정 형성되어, 거치부(120)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112)는, 거치바부재(121)를 삽입하여 화분부(110)가 거치바부재(121)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112)는, 화분부재(111)와 동일한 원단(예를 들면, 방수천)을 사용하거나, 튼튼하고 질긴 원단(예를 들면, 폴리원단)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112)는, 화분부재(111)의 외부 양측면(즉, 외부 양측면 중앙부분)에 형성하여, 거치바부재(121)에 화분부(110)를 거치한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부재(112)는, 전측과 후측이 연장 형성된 화분부재(111)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바부재(122)에 각각 거치할 수 있으며, 이에 식물과 상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화분부재(111)에 다수 개의 화분을 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화분부(110)는, 홀부재(113), 거름망부재(114), 조절밸브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부재(113)는, 화분부재(111) 하부의 일정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홀부재(113)는, 화분부재(111) 하부의 전측부분과 중앙부분 사이에 관통 형성되어, 화분부재(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즉, 화분부재(111)의 식물에 공급하고 남은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부재(113)는, 튜브의 공기주입구와 같이 화분부재(111) 하부에 압착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홀부재(113)는, U자 형태의 화분부재(111) 하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거름망부재(114)는, 홀부재(113)의 내부에 형성되어, 화분부재(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만을 배출시키며, 화분부재(111)에 있는 흙이 홀부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걸러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름망부재(114)는, 홀부재(113)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실의 위험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름망부재(114)는, 흙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걸러주어, 조절밸브부재(115)가 막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조절밸브부재(115)는, 홀부재(113)에 연결 설치되어, 홀부재(1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밸브부재(115)는, 하부에 예를 들어 호스, 파이프 등과 같이 물을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홀부재(1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밸브부재(115)는, 홀부재(113)의 내부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경우에, 외부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홀부재(113)를 연결 설치하여, 홀부재(1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새지 않고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밸브부재(115)는, 밸브를 조절하여 홀부재(1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일부를 배출하지 않고 화분부재(111)에 고이도록 함으로서, 저명관수에 필요한 장치(예를 들면, 심지)를 설치하지 않아도 식물이 물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110)는, 걸이부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는, 화분부재(111)의 양측(즉, 양측 상단)에 고정 형성되어, 거치부(120)에 화분부(110)를 걸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는, 삽입부재(112) 대신에 '∩'형태로 형성되어, 거치부(120)(즉, 거치바부재(121))에 화분부(110)를 걸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는, 가벼우면서도 단단한 재료(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를 사용하여 화분부(110)가 거치바부재(121)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거치바부재(121)에 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이부재는, 화분부재(111)의 외부 양측면(즉, 외부 양측면 중앙부분)에 형성하여, 거치바부재(121)에 화분부(110)를 걸어준 모습이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지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지지부재(131), 다리부재(132)를 포함한다. 이 때, 지지부(130)는, 화분부재(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흐르도록, 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32)의 높이를 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32)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131)는, 하부에 다리부재(132)를 연결 설치하고, U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상단에 거치부(120)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거치부(120)를 지지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131)는, U자 하단의 가운데 부분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다리부재(132)를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131)는, 단면이 U자 형태로 형성되며, 화분부(110)(즉, 화분부재(111))가 수용될만한 크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131)는, U자 상단에 거치부(120)(즉, 거치바부재(121))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홈을 각각 구비하여, 거치부(120)(즉, 거치바부재(121))의 전측과 후측을 지지해줄 수 있다.
다리부재(132)는, 지지부재(1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재(131)를 세워준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재(132)는, 예를 들어 강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철 등의 단단한 소재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지지부재(131)를 세워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재(132)는, 전측의 높이를 후측의 높이보다 짧도록 형성하여, 화분부재(111)(도 2 참조)의 식물에 공급하고 남은 물이 한 방향(즉, 후측에서 전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홀부재(113)(도 2 참조), 거름망부재(114)(도 2 참조), 조절밸브부재(115)(도 2 참조)는, 화분부재(111) 하부의 중앙부분과 전측부분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재(132)는, 전측의 높이를 후측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화분부재(111)의 식물에 공급하고 남은 물이 한 방향(즉,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홀부재(113)(도 2 참조), 거름망부재(114)(도 2 참조), 조절밸브부재(115)(도 2 참조)는, 화분부재(111) 하부의 중앙부분과 후측부분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지지부(130)는, 전측과 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32)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식물에 주어지고 남은 물을 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화분부재(111)에 물이 고이지 않아 식물이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며, 화분부재(111)의 하부에 조절밸브부재(115)를 설치하여, 흐르는 물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수하여 적합한 환경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화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 다수 개의 삽입부재(112)를 형성한다. 여기서 화분부재(111), 다수 개의 삽입부재(112)는, 도 2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화분부재(111)는, 다수 개로 형성되어, 식물을 재배한다. 이때,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를 다수 개로 형성하였을 때에,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짧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111)의 하부면 일부분을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111)의 하부면 일부분 아래에 겹치도록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를 다수 개로 형성하였을 때에, 전측과 후측에 위치한 지지부(130) 사이에 다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지지부(1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를 세 개로 형성하였을 경우에, 전측과 후측에 위치한 지지부(130) 사이에 두 개의 지지부(1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재(111)는,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짧은 부분에 위치한 면의 일부를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 위치한 면의 아래에 겹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겹친 부분의 틈 사이로 물이 새지 않고,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재(111)는, 서로 겹치는 부분을 부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단추, 벨크로, 지퍼 등과 같은 부착수단을 사용하여 부착시켜 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퍼를 사용하는 경우에, 겹치는 부분의 하부에 지퍼를 설치해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지지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230)는, 지지부재(231), 제1다리부재(232), 제2다리부재(233), 높이조절부재(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재(231)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다리부재(232)는, 지지부재(2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부재(231)를 세워준다.
제2다리부재(233)는, 제1다리부재(23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다리부재(232)를 세워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다리부재(233)의 지름은, 제1다리부재(232)의 지름보다 크게(예를 들어, 1mm ~ 2mm 정도) 형성되어, 제1다리부재(232)를 내부로 삽입하거나 인출시켜 줄 수 있다.
높이조절부재(234)는, 제2다리부재(233)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고, 제1다리부재(232)의 하부를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조여주어, 제1다리부재(232)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재(234)는, 화분부재(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흐르도록, 전측에 위치한 제1다리부재(232)를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 삽입하여 제1다리부재(232)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고, 후측에 위치한 제1다리부재(232)를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서 인출하여 제1다리부재(232)의 높이를 높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재(234)는,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와, 외측면에 관통 설치되고 손잡이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제1다리부재(232)를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높이조절부재(234)는, 제1다리부재(232)의 하부를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손잡이를 돌려주면, 제1다리부재(232)와 제2다리부재(233)의 틈 사이를 나사가 조여주어, 제1다리부재(23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화분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분부(110)는, 화분부재(111), 두 개의 덮개부재(11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화분부재(111)는, 도 3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며,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덮개부재(116)는, 일측이 거치부(120)(즉, 거치바부재(121))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서로 접촉한 다음에 서로 고정되어, 화분부재(111)의 상부를 덮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16)는, 일측이 거치바부재(121)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촉한 다음에 투명 비닐(또는, 천막)을 전체적으로 덮어거나 고정 설치하여 화분부재(111)의 상부를 덮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110)는, 덮개부재(116)의 일측 내부에 기어를 형성하여 덮개부재(116)의 다른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덮개부재(116)의 다른 일측이 회동하여,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덮개부재(116)의 다른 일측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덮개부재(116)의 다른 일측이 서로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부재(116)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평상시에 설치하지 않고 있다가, 도시농업용 텃밭(100)을 외부(예를 들면, 옥상, 정원)에 설치할 시에, 회동하여 서로 접촉한 다음에 투명 비닐(또는, 천)을 덮어주어 눈이 오거나 비가 오는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식물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화분부재(111)를 덮어주면서 내부를 보온할 수 있으며, 식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분부(110)는, 덮개부재(116) 대신에 딸기 고설 재배에 쓰이는 파커를 거치바부재(121)에 설치하여, 화분부재(111)를 덮어줄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도시농업용 텃밭
110: 화분부
111: 화분부재
112: 삽입부재
113: 홀부재
114: 거름망부재
115: 조절밸브부재
116: 덮개부재
120: 거치부
121: 거치바부재
122: 연결바부재
130, 230: 지지부
131, 231: 지지부재
132: 다리부재
232: 제1다리부재
233: 제2다리부재
234: 높이조절부재
140: 받침부

Claims (10)

  1.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부(110); 상기 화분부(110)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화분부(110)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거치부(120); 상기 거치부(12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120)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지지부(130, 230); 및 상기 지지부(130, 23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130, 230)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30)는, U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상단에 상기 거치부(120)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120)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재(131); 및 상기 지지부재(1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31)를 세워주기 위한 다리부재(132)를 포함하되, 화분부재(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후측에서 전측으로 흐르도록, 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32)의 높이를 후측에 위치한 다리부재(132)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분부(110)는,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부재(111); 상기 화분부재(111)의 양측에 각각 고정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20)를 삽입하기 위한 다수 개의 삽입부재(112); 및 각각 거치부(120)에 설치되고, 회동하여 서로 접촉하여 화분부재(111)의 상부를 덮어주기 위한 두 개의 덮개부재(116)를 포함하되, 상기 화분부재(111)를 다수 개로 형성하였을 때에, 상기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짧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111)의 하부면 일부분을 상기 다리부재(132)의 높이가 높은 부분에 위치한 화분부재(111)의 하부면 일부분 아래에 겹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용 텃밭.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부(110)는,
    상기 화분부재(111) 하부의 일정한 위치에 관통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홀부재(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용 텃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부(110)는,
    상기 홀부재(113)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홀부재(113)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부재(1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용 텃밭.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20)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112)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화분부(110)를 거치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거치바부재(121); 및
    상기 거치바부재(121)의 전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 상기 거치바부재(121)의 후측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연결바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용 텃밭.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0)는,
    U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상단에 상기 거치부(120)의 양측을 연결 설치하여, 상기 거치부(120)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재(231);
    상기 지지부재(2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231)를 세워주기 위한 제1다리부재(232);
    상기 제1다리부재(232)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다리부재(232)를 세워주기 위한 제2다리부재(233); 및
    상기 제2다리부재(233)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다리부재(232)의 하부를 상기 제2다리부재(233)의 내부에 삽입한 후에 조여주어, 상기 제1다리부재(23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용 텃밭.
KR2020150008200U 2015-12-14 2015-12-14 도시농업용 텃밭 KR200486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00U KR200486700Y1 (ko) 2015-12-14 2015-12-14 도시농업용 텃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200U KR200486700Y1 (ko) 2015-12-14 2015-12-14 도시농업용 텃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07U KR20170002207U (ko) 2017-06-22
KR200486700Y1 true KR200486700Y1 (ko) 2018-07-23

Family

ID=5924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200U KR200486700Y1 (ko) 2015-12-14 2015-12-14 도시농업용 텃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961B1 (ko) * 2019-06-28 2021-03-10 김동연 반건식 식물재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22B2 (ja) * 1992-12-04 2001-06-18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5000008A (ja) * 2003-06-09 2005-01-06 Green Up Service:Kk イチゴの栽培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高設栽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035Y1 (ko) 2005-12-13 2006-05-10 조영훈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CN101678350A (zh) 2008-05-20 2010-03-24 揖斐电株式会社 蜂窝结构体
KR20100012861U (ko) * 2009-06-18 2010-12-28 이민기 조립식 미니텃밭
JP3177622U (ja) * 2012-05-31 2012-08-09 東日本機電開発 株式会社 高設栽培用支持スタンド及び高設栽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622B2 (ja) * 1992-12-04 2001-06-18 日本電産シバウラ株式会社 モールド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5000008A (ja) * 2003-06-09 2005-01-06 Green Up Service:Kk イチゴの栽培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高設栽培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762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07U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AU2008337673B2 (en) Live plant box
KR101893196B1 (ko)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CN201042144Y (zh) 植物种植架
KR20120014528A (ko) 벽면식재장치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20180001000A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설장치
JP2006271355A (ja) 観賞魚水槽を有する観葉植物の水耕栽培
CN102577921A (zh) 一种无土栽培装置
KR200486700Y1 (ko) 도시농업용 텃밭
KR200472887Y1 (ko)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101279133B1 (ko) 채소 재배기
CN204377612U (zh) 一种具有保温功能的马铃薯雾培装置
KR100817549B1 (ko) 다용도 조립식 화분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CN202979766U (zh) 水土组合栽培花盆
JP3160923U (ja) 栽培用ベンチ
CN211020216U (zh) 一种优质稻谷的培育具有自动灌溉的培育床
CN100563428C (zh) 水培花卉盆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N206658660U (zh) 一种蝴蝶兰种植用立体培养架
CN213695343U (zh) 阳台鱼菜共生立体种植墙系统
CN208175681U (zh) 一种壁挂式垂吊植物无土栽培装置
KR102645814B1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CN202635205U (zh) 一种吊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