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14B1 - 식물 공중 식재장치 - Google Patents

식물 공중 식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14B1
KR102645814B1 KR1020210038076A KR20210038076A KR102645814B1 KR 102645814 B1 KR102645814 B1 KR 102645814B1 KR 1020210038076 A KR1020210038076 A KR 1020210038076A KR 20210038076 A KR20210038076 A KR 20210038076A KR 102645814 B1 KR102645814 B1 KR 102645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lanting
plant
horizont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367A (ko
Inventor
손창락
Original Assignee
손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락 filed Critical 손창락
Priority to KR102021003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공간의 상부에 부양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의 후크나 봉 등에 매달아 공중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식재된 식물에 영양과 수분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방향을 하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익스테리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 공중 식재장치{a plant-based plant system}
본 발명은 실내외 공간의 상부에 부양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의 후크나 봉 등에 매달아 공중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으며, 특히, 식재된 식물에 영양과 수분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방향을 하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익스테리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지공간에 형성된 화분이나 꽃 등은 도시미관 개선이나 공기질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만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 녹지공간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파트 화단 및 화분을 통해 화초나 꽃 등을 재배하며 실내외에서 취미생활, 장식용 또는 공기정화 수단으로 사용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아파트 화단이나 화분을 통해 제한적으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10-1751761호(등록일: 2017년 06월 22일)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는, 실내외에서 벽 또는 기둥의 평면체 및 곡면체를 이용하여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장식용 식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는, 상하 2개를 한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가로망봉과, 상기 가로망봉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된 세로망봉으로 이루어지는 전후방의 한 쌍의 금속망체와, 상기 한 쌍의 금속망체를 상호 일정 거리로 이격하면서 연결하여 고정해 주는 연결고정수단과, 상호 연결고정된 상기 한 쌍의 금속망체 사이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셀을 경사진 저면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한 쌍의 금속망체의 가로망봉을 감싸면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부직포와, 상기 식재셀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제공하게 되는 하부수조, 이송펌프, 이송관 및 급수튜브로 이루어지는 급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 등록된 특허등록 제10-1848837호(등록일: 2018년 04월 09일)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는, 실내외에서 스스로 자립하면서 식재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는, 상하로 인접하여 2개씩 1조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하부 가로망로 구성되는 가로망 및 상기 가로망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되는 세로망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형태의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의 하부 가로망을 지나면서 상부로 이송되고 상부 가로망을 감싸면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다시 인접한 하부 가로망의 하부 가로망을 지나면서 상부로 이송되고 상부 가로망을 감싸면서 하부로 내려오면서 연장 설치되는 꽃이나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다수의 식재셀을 형성하는 띠형태의 부직포와,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과 상기 띠형태의 부직포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식재셀과, 상기 다수의 식재셀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상기 각 식재셀의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가로망에 접하는 부분을 상기 가로망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직립식 망체 프레임의 세로망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 식재구조물들은 지면에 설치되고 벽체 형태로 이루어져 실내공간이나 실외공간을 자연친화적인 미감을 제공하며 구획하여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은 있으나 좁은 실내공간에서는 설치가 어렵고 공간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생활공간에 쉽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실내공간에 벽체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사람과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1761호(등록일: 2017년 06월 22일)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0-1848837호(등록일: 2018년 04월 09일)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공중 식재장치를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형성하여 공중에 설치시 추락의 위험 없이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금속프레임이 복수 개의 구획봉에 의하여 식재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식재되는 식물이 흔들림 없이 식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물 공중 식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금속프레임의 상단부를 넓게 형성하고 금속프레임을 덮는 형태로 부직포를 설치하여 금속프레임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의 상부를 부직포가 가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식물이 아래로 성장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익스테리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식물 공중 식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는, 함체 형태를 갖으며 금속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세로봉과 가로봉 및 구획봉이 서로 연결되어 대략 역삼각형태의 구조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구조물의 상부와 연결하여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봉 및 상기 구획봉에 수평방향으로 상부걸림봉과 중간 걸림봉과 하부걸림봉이 밀착되는 걸림봉이 일체로 형성된 금속프레임 및, 상기 금속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부직포의 상단부가 가로봉과 상부걸림봉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고 내측으로 하향연정되면서 하부걸림봉에 걸려서 방향이 반대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부직포의 타단부가 중간걸림봉에 고정되어, 부직포의 걸림봉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직포의 단면이 "U"형태의 신축성을 갖는 식재공간을 포함하며, 여기서, 구획봉과 걸림봉의 구성에 의하여 금속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식물화분을 설치할 수 있는 식재공간이 구획 형성되어 여러 개의 식물화분을 동일한 크기공간에 식재할 수 있으며, 식물화분의 외주면을 부직포가 신장 및 수축되며 밀착하여 식재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을 상부로 이송시켜 금속프레임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화분에 수분 또는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는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와 연결되며 물을 금속프레임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송관 및 상기 이송관에 설치되어 물을 하부로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신축성을 갖으며, 평균 기공이 20 내지 30㎛이고, 두께가 1.8mm 이상이며, 밀도는 550g/m2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는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형성하여 공중에 설치되어도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취급과 관리가 용이하고, 더욱이, 하우징의 내부에 부직포에 뿌리부분이 흙과 함께 감싸 이루어진 식물화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식재됨으로서 하우징 내부공간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오염의 방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물을 순환시켜 사용시에도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물의 순환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프레임은 복수 개의 가로봉과 세로봉 및 구획봉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방향으로 대략 역삼각형 형태를 갖는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봉을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봉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천정부분과 연결하여 견고하게 식재장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고,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획봉에 의하여 구획된 식재공간의 내부에 식물화분을 삽입하여 식재함으로써 안정적인 식재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획봉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봉에 의하여 부직포의 상부와 중간과 하부가 걸림되어 고정설치됨으로서 식물화분이 식재되는 식재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부직포는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식물화분이 부직포 내부의 식재공간으로 투입되더라도 신축성에 의하여 신장과 수축되며 투입된 식물화분을 안정적으로 감싸며 고정할 수 있어 식재된 식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등 식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식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는 실내공간을 물론 실외공간에 친환경적인 조경시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화분을 통해 내부 경관의 향상과 실내 거주자에게 공기정화기능, 환경개선 기능, 심리적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물 공중 식재장치(이하, '식재장치'라 한다)(100)는 크게 함체 형태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금속프레임(20) 및 상기 금속프레임(20)을 감싸 연결되어 내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직포(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금속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상광하협의 함체 형태로 내부에 금속프레임(20)의 하부 일부분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상부로 이송시켜 금속프레임(20)의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화분(200)에 수분 또는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식물화분(200)에 수분 또는 영양분을 공급을 위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 모터펌프(미도시)를 설치하고 이송관(11)을 이용하여 금속프레임(20)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분사노즐(12)을 통하여 물 또는 영양분이 혼합된 물을 식물화분에 분사하여 식물에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프레임(20)은 복수 개의 세로봉(21)과 가로봉(22) 및 구획봉(23)이 서로 연결되어 대략 삼각형태의 구조를 이루는 본체(24)와, 상기 본체(24)의 상부에 복수 개의 연결봉(25)을 형성하여 천정과 같은 구조물의 상부와 식재장치(100)를 연결하여 식재장치(100)를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4)의 구획봉(23)은 수평방향으로 밀착되는 걸림봉(26)에 의하여 복수 개의 구획봉(23)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으며, 상기 걸림봉(26)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걸림봉(261)과 중간걸림봉(262)과 하부걸림봉(263)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획봉(23)과 걸림봉(26)의 구성에 의하여 금속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식물화분(200)을 설치할 수 있는 식재공간(34)이 구획 형성되어 여러 개의 식물화분(200)을 동일한 공간에 식재할 수 있어 식재셀을 이용하여 다양한 식물을 통한 연출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금속프레임(20)을 구성하는 세로봉(21)과 가로봉(22) 및 구획봉(23)은 연결부분에 공지의 기술인 스폿용접으로 고정하여 연결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또한, 상기 식물화분(200)은 내부에 배양토와 식물이 식재되어 식재공간(34)에 수용되는 것으로, 판상의 부직포 일면에 배양토와 식물을 위치시키고 부직포를 포개어 식물과 배양토를 감싸 화분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흡수성과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투수성이 있어 공급된 수분을 골고루 확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식재공간(34)에 수용되는 식물화분(200)은 금속프레임(20)에 조립되는 부직포(30)에 의하여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부직포(30)는 그 재질은 한정이 없고 흡수성 및 신축성이 있어 공급된 수분은 골고루 확산시킴과 동시에 수용된 식물화분에 밀착되어 식물화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게되므로, 식재되는 식물화분은 식재공간 내부에서 생장에 유리한 내부환경을 제공받게 되어 식물생장은 지장없이 보장된다.
즉, 상기 부직포(30)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흡수성 및 신축성을 갖으며, 평균 기공이 20 내지 30㎛이고, 두께가 1.8mm 이상이며, 밀도는 550g/m2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평균기공이 20㎛ 미만이면 기공이 너무 작아 부직포의 통풍성이 저하되며 평균기공이 30um 이상이 되면 누수의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양측을 말아 접고 박음질하여 상부걸림봉(261)이 끼움되는 끼움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부(32)가 상부걸림봉(261)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본체(24)의 상부걸림봉(261)과 중간걸림봉(262)과 하부걸림봉(263)에 걸려 대략 "U" 형태로 설치되어 식물화분(200)이 유입되는 입구(31)와 식재되는 식재공간(3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식재공간(34)에 식재되는 식물화분(200)의 크기에 따라서 신장 또는 수축되어 식물화분(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됨으로서 식재된 식물화분(200)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거나 또는 강한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흔들림 없이 식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상부의 상단부는 가로봉(22)과 상부걸림봉(261)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고 구획봉(23)에 스폿용접을 통하여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부직포(30)는 내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되고 하부의 하부걸림봉(263)을 감싸면서 다시 상방으로 연장되고 중간의 중간걸림봉(262)을 타단부가 감싸는 형태로 연결고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대략 본체(24)의 내부에 "U"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본체(24)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입구(31)가 서로 대항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재장치(100)의 양측으로 식물화분(200)을 식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30)는 본체(24)와 스폿용접 되는 부분에 구멍(35)을 형성되어 원활하게 부직포(30)가 설치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식재장치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복수 개의 가로봉(22)과 세로봉(21) 및 구획봉(23)의 모서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대략 삼각기둥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구획봉(23)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연결하여 동일한 크기의 식재공간(34)로 형성하고, 상부와 하부에 상부걸림봉(261)과 중간걸림봉(262)과 하부걸림봉(263)을 용접하여 본체(24)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부직포(30)의 상부와 하부를 접철하여 끼움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30)의 상단부가 상기 가로바(22)와 상부걸림봉(261)을 감싸며 고정되게 되고 부직포(3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하향이동되고 방향이 상방으로 바뀌면서 금속프레임(20)의 중간걸림봉(262)에 고정되면서 상기 본체(24)의 측면방향이 개방된 입구(31)가 형성되고 "U" 자 형태의 식재공간(34)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부직포(30)의 타단부인 하단부가 금속프레임(20)의 중간걸림봉(262)을 감싸며 밀착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30)를 본체(24)에 결합함으로써 부직포(30)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획봉(23)에 의하여 동일한 크기의 식재공간(34)로 구획되고 내부의 부직포(30)는 단면이 대략 "U" 형태로 내부에 식물화분(200)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재공간(34)에 식물화분(200)을 입구(31)를 통하여 삽입하여 식재하면 부직포(30)가 신축성에 의하여 투입된 식물화분의 크기에 비례하여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식재된 식물화분(20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서 식재된 식물화분은 흔들림 없이 식재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식재공간(34)내에 삽입된 식물화분(200)은 공중에 현수되어 떠 있는 상태이면서도 하부에서 측면의 식재공간(34)내에 식재된 식물화분(200)을 어떠한 방해도 없이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프레임(20)의 하부에 하우징(10)을 결합하고 금속프레임(20)의 하부가 내부에 일부분 수용되는 형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금속프레임(20)과 하우징(10)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본체(24)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연결봉(25)에 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고 천정과 같은 실내공간의 상면에 연결하여 식재장치(100)가 전체적으로 공중에 부양되는 형태로 설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의 재약이 없고, 금속프레임(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역삼각형의 형태로 상부가 넓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에 식재된 식물화분(200)의 상부를 부직포가 가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식물이 아래 지면측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되어 실내공간을 물론 실외공간에 친환경적인 조경시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화분을 통해 내부 경관의 향상과 실내 거주자에게 공기정화기능, 환경개선 기능, 심리적 쾌적함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본원발명에 따른 식재장치(100)는 내부에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식물이 아래 방향으로 성장하는 스킨답시스와 같은 하수형 식물 및 다양한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고, 식재각도를 조절하여 천정면과 평행에 근접시켜 다양한 식물을 식재할 수가 있어 천정면에 식물디자인이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구조이고, 부직포의 삼투압으로 식물 근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공중정원의 누수문제 및 하중을 저감하는 구조로,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지면방향으로 식물이 성장하며 실내공간의 친환경 조경시설로 제공함과 동시에 공기정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특징과 더불어, 식물이 천정과 같은 면에 붇어 성장하는 예를 들어 트리안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 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식재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천정이나 벽면을 타고 성장하여 실내공간의 인테리어와 동시에 공기정화가능과 쾌적함을 제공하는 등 식재되는 식물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내외의 공간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테리어/익스테리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는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형성하여 공중에 설치되어도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취급과 관리가 용이하고, 더욱이, 하우징의 내부에 부직포에 뿌리부분이 흙과 함께 감싸 이루어진 식물화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식재됨으로서 하우징 내부공간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오염의 방지를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물을 순환시켜 사용시에도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물의 순환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금속프레임은 복수 개의 가로봉과 세로봉 및 구획봉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방향으로 대략 삼각대 형태를 갖는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봉을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봉에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천정부분과 연결하여 견고하게 식재장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고,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획봉에 의하여 구획된 쎌 내부에 식물화분을 삽입하여 식재함으로써 안정적인 식재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획봉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걸림봉에 의하여 부직포의 상부와 하부가 걸림되어 고정설치됨으로서 식물화분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부직포는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하여 크기가 서로 다른 식물화분이 부직포 내부의 식재공간으로 투입되더라도 신축성에 의하여 신장과 수축되며 투입된 식물화분을 안정적으로 감싸며 고정할 수 있어 식재된 식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등 식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식물의 안정적인 성장을 보장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 공중 식재장치는 실내공간을 물론 실외공간에 친환경적인 조경시설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재된 식물화분을 통해 내부 경관의 향상과 실내 거주자에게 공기정화기능, 환경개선 기능, 심리적 쾌적함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이송관
12 : 분사노즐 20 : 금속프레임
21 : 세로봉 22 : 가로봉
23 : 구획봉 24 : 본체
25 : 연결봉 26 : 걸림봉
30 : 부직포 31 : 입구
32 : 끼움부 34 : 식재공간
35 : 구멍

Claims (3)

  1. 실내외에서 천정과 같은 상부에 와이어를 통하여 공중에 부양되는 형태로 설치하여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장식기능을 갖는 식물 공중 식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식물 공중 식재장치(100)는,
    함체 형태를 갖으며 금속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 개의 세로봉(21)과, 상기 세로봉(21)의 양단부가 고정되게 상기 세로봉(21)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로봉(22)과, 상기 세로봉(21)과 가로봉(22)의 접점 또는 인접한 부분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복수 개의 구획봉(23)이 서로 연결되어 역삼각형태의 구조를 갖는 본체(24)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봉(22)의 사이에는 상기 가로봉(22)과 같이 연장되는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연결봉(25)이 고정되고, 상기 가로봉(22)에 근접한 구획봉(23)에는 상기 가로봉(22)과 동일하게 평행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상부걸림봉(261)이 고정되고, 상기 구획봉(23)의 중간에는 상기 가로봉(22)과 동일하게 평행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중간걸림봉(262)이 고정되고 상기 구획봉(23)의 하단에는 하부걸림봉(263)이 고정된 금속프레임(20)과,
    상기 금속프레임(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단부인 상부가 가로봉(22)과 상부걸림봉(261)을 감싸는 형태로 밀착되게 고정되고 구획봉(23)을 따라 하향으로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걸림봉(263)을 지나면서 방향을 바꿔 상부로 연장되어 타단부가 중간걸림봉(262)에 고정되며, 그 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입구(31)를 갖는 식재공간(34)이 형성된 "U"형태의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30)를 포함하며,
    상기 부직포(30)는 외향으로 개방된 입구(31)를 갖는 식재공간(34)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공간(34)의 내부로 식물화분(200)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금속프레임(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획봉(23)에 의하여 구획된 부분에 여러 개의 식물화분(200)을 동일한 크기공간에 식재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화분(200)의 외주면을 부직포가 신장 및 수축되며 밀착하여 식재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공중 식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038076A 2021-03-24 2021-03-24 식물 공중 식재장치 KR10264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76A KR102645814B1 (ko) 2021-03-24 2021-03-24 식물 공중 식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76A KR102645814B1 (ko) 2021-03-24 2021-03-24 식물 공중 식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367A KR20220133367A (ko) 2022-10-05
KR102645814B1 true KR102645814B1 (ko) 2024-03-12

Family

ID=8359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76A KR102645814B1 (ko) 2021-03-24 2021-03-24 식물 공중 식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761B1 (ko) * 2014-08-06 2017-06-29 손창락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37B1 (ko) 2015-01-02 2018-04-17 손창락 자립형 식재화분 구조체
KR101822494B1 (ko) * 2015-08-24 2018-01-26 김숙자 고설재배용 재배베드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761B1 (ko) * 2014-08-06 2017-06-29 손창락 평면체 및 곡면체에 설치가능한 다기능 장식용 식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367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09581B (zh) 竖直壁用花盆及其花盆支承框架
US8495833B2 (en) Live plant box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CN107771030A (zh) 植物垂直栽培装置的柱单元
KR102076358B1 (ko) 벽면녹화 및 공기정화 시스템
CN108401729B (zh) 装配式抗振节水防蚊虫植物墙
US20170359969A1 (en) Portable Suspended Trellis and Planter System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JP4976785B2 (ja) 屋根の緑化システム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102645814B1 (ko) 식물 공중 식재장치
KR20080097302A (ko) 벽면 조경물 및 이의 제작방법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JP2021023244A (ja) パーテーション
KR102229646B1 (ko)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CN213695199U (zh) 绿墙系统
JP3823251B2 (ja) 立体型植栽構造物
TWM444706U (zh) 複合式植栽盆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TWI620498B (zh) 植物栽培布
CN110651661A (zh) 一种黑木耳的吊架高效栽培方法
JPH1075664A (ja) 擬態段積用植木鉢
TWI750965B (zh) 栽種盆
JP7101914B1 (ja) 段付容器型パーテーション
CN214902414U (zh) 一种可调式时花成品化的种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