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646B1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9646B1 KR102229646B1 KR1020210000387A KR20210000387A KR102229646B1 KR 102229646 B1 KR102229646 B1 KR 102229646B1 KR 1020210000387 A KR1020210000387 A KR 1020210000387A KR 20210000387 A KR20210000387 A KR 20210000387A KR 102229646 B1 KR102229646 B1 KR 102229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cradle
- side wall
- storage container
- fine du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이나 실내 공간에 친환경적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를 할 수 있고, 공기 중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흡착된 미세먼지를 영양분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 저장용기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상측으로 상기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전측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수구 및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홈을 포함하는 식재크래들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각각 정량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 일측벽 및 타측벽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를 폐쇄하는 후측폐쇄부와; 상단부가 상기 식재크래들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측 하부폐쇄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식재크래들과 상기 후측폐쇄부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식재크래들의 관통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벽면이나 실내 공간에 친환경적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를 할 수 있고, 공기 중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흡착된 미세먼지를 영양분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분 재배토양이 없는 실내나 도시 주택의 좁은 공간과 같이 재배할 수 없는 여건의 상태에서 관상가치가 있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흙이나 기타 배양토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통상 식물종의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성된 화분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 화분은 바닥 또는 지면에 놓아두어야 하는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고 있다.
그리고 녹지공간에 형성된 화분이나 꽃 등은 도시미관 개선이나 공기질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만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해 녹지공간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파트 화단 및 화분을 통해 화초나 꽃 등을 재배하며 실내외에서 취미생활, 장식용 또는 공기정화 수단으로 사용하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지만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아파트 화단이나 화분을 통해 제한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에 실내에 설치되는 파티션, 벽면 등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방법 등에 대해 특허문헌 0001 내지 0004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0001은 물이 수용되는 수조 부재; 상기 수조 부재 상에 연결되는 벽체 유닛; 및 상기 벽체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화분과 장식용 조형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 유닛에는 철판이 내장되고, 상기 장식 부재에는 자석이 결합되어, 상기 벽체 유닛에 상기 장식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수조 부재 내의 물이 상기 벽체 유닛에 부착된 상기 장식 부재 쪽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벽체 유닛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조 부재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벽체 적층 부재와, 상기 벽체 적층 부재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벽체 마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 유닛에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장식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 벽체형 친환경 장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녹화 벽체형 친환경 장식 장치는 벽체 유닛에 녹화를 위한 구성과 각종 조형물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금속 재질의 상하로 2개씩을 한세트로 하여 구성되는 가로망과 상기 가로망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된 세로망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망체와, 상기 금속망체의 후방으로 설치되어 식재장치에 공급되는 수분이 벽이나 기둥의 면체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수하는 방수판재와, 상기 금속망체와 상기 방수판재의 사이의 공간을 식물이 식재되는 공간인 식재셀로 형성하는 부직포와, 식재셀을 형성하는 상기 부직포를 상기 금속망체에 고정하는 고정클립과, 상기 금속망체와 상기 방수판재를 연결하면서 상호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이격고정수단과, 식재되는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급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식물화분 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의 공간환경을 미려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3은 케이스, 양액 분무기 등으로 구성되고, 케이스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고, 전방에 경사진 화분 삽입대를 구비하며, 양액 분무기는 케이스 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방으로 안개 형태의 양액을 분사하고, 화분 삽입대는 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며, 전방 경사면에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화분 삽입공을 구비하는 경사 돌출부를 상하 방향으로 다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분무 수경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워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무실, 교실, 가정집 등의 내외 벽면에 밀착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4는 수분이 흡수되는 부직포 또는 천 소재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형성된 흡수포가 전면에 고정되며 후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방수판재와; 종방향으로 위치되는 수직판과,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판 양단이 수직판에 고정되어 방수판재 상면에 고정된 식물크래들과; 상기 방수판재 하단에 위치되어 물이 수용되며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는 수중펌프가 일측에 고정된 하부수조와, 상기 수중펌프에 일측이 연결되어 흡수포 상부로 물이 이송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이 일측단에 결합되며 하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공이 흡수포와 밀착된 관수튜브가 형성된 급수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벽면식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공간의 구애 없이 다양한 형태로 식물크래들에 식재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1 내지 0004는 식물을 수직방향을 식재할 수 있어 실내의 공간환경을 미려하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으나, 식물의 뿌리가 쉽게 썩어 죽는 등 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벽면이나 실내 공간에 친환경적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녹화를 할 수 있고, 공기 중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흡착된 미세먼지를 영양분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 저장용기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상측으로 상기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전측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수구 및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홈을 포함하는 식재크래들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각각 정량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 일측벽 및 타측벽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를 폐쇄하는 후측폐쇄부와;
상단부가 상기 식재크래들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측 하부폐쇄부와;
상기 식재크래들과 상기 후측폐쇄부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식재크래들의 관통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의 후측면 중간부에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의 상부면에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각각 배치되는 급수노즐과, 상기 급수노즐에 연결되는 급수배관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특히,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의 하단부에는 웨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의 상측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의 유입구 하부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고, 상기 유도관의 하부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어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의 상측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은 벽면이나 실내 공간에 다양한 식물들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녹화를 할 수 있고, 공기 중 미세먼지를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에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흡착된 미세먼지를 영양분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기성이 우수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을 우려가 적는 등 식물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의 후측을 개략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식재크래들의 일부의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급수노즐 및 급수배관이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송풍팬이 유도관을 통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B-B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의 후측을 개략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식재크래들의 일부의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급수노즐 및 급수배관이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송풍팬이 유도관을 통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B-B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의 후측을 개략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은 크게, 하우징(10), 물 저장용기(20), 식재크래들(30), 급수부(40), 후측폐쇄부(50), 전측 하부폐쇄부(60) 및 송풍팬(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식재크래들(30), 상기 후측폐쇄부(50) 등을 설치하고,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배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상부판(110)과, 상기 상부판(1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의 전측부에는 상기 식재크래들(30)을 고정하기 위한 수평바(140) 및 수직바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용기(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물(w)이 저장된다.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전후폭은 관리 편의성 및 공기 정화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식재크래들(30)의 폭보다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전후폭이 상기 식재크래들(30)의 폭보다 전측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물을 쉽게 채울 수 있고, 물 저장용기(2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관리편의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전후폭이 상기 식재크래들(30)의 폭보다 후측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식재크래들(30)에 공급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상기 물 저장용기(20) 내로 낙하됨으로서 주변이 낙수에 의해 흥건하게 될 우려가 없고, 또한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되어 하측으로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에 부딪침으로서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이 물의 표면에 흡착되어 공기가 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물 저장용기(20) 내에는 상기 급수부(40)의 펌프가 배치된다.
도 4는 식재크래들의 일부의 종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식재크래들(30)은 수직방향으로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수직판부(310)와 복수의 식재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부(310)는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상측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 사이의 전측부에 고정설치된다. 즉 상기 수직판부(31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의 전측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바(140)와, 상기 수평바(14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바(미도시)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은 상기 수직판부(310)에 좌우 및 상하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고, 배수구(322) 및 관통구(323)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은 상기 수직판부(310)에 후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일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식재홈(320)은 식물 또는 화분을 풍성하게 식재하고 식물의 식재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에는 흙을 직접 채워 식물을 식재하는 것보다는 식물이 식재된 포트를 삽입하거나, 식물의 뿌리를 감싸하고 있는 흙을 부직포 등으로 감싼 상태로 삽입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의 후측면(321) 중간부에 상기 급수부(40)로부터 공급된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구(322)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상부면에는 관통구(323)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배수구(322)는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에 과다하게 물이 급수된 경우 효과적으로 오버플로우시키기 위하여, 좌우로 길쭉하게 형성된 장방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식재홈(320)의 후측면의 배수구(322)의 상측에는 전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연장판과(324)와, 상기 수평연장판과(324)의 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연장판(325)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식재홈(320)의 후측면에 수평연장판과(324) 및 수직연장판(325)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식재홈(320)에 삽입되는 식물이 식재된 포트의 배수효과를 향상시켜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의 상부면에 관통구(323)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송풍팬(70)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관통구(323)로 유입되어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전측으로 배기되고, 상측에 위치한 상기 식재홈(320)의 배수구(322)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관통구(323) 내로 떨어져 식재된 식물에 공급된다. 이에 통기성이 우수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을 우려가 적고, 상측의 상기 식재홈(320)의 배수구(322)로부터 떨어지는 물을 하측의 상기 식재홈(320)에 식재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급수노즐 및 급수배관이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부(40)는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에 정량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수노즐(410), 급수배관(420) 및 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노즐(410)은 도 5와 같이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 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급수배관(420)은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에 배치된 급수노즐(410)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펌프는 상기 물 저장용기(20) 내에 배치되어, 상기 물 저장용기(20) 내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배관(420)으로 공급하여, 상기 급수노즐(41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식재홈(320)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후측폐쇄부(5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판(110), 일측벽(120) 및 타측벽(130)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후측부를 폐쇄한다.
상기 후측폐쇄부(5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판(110)에 설치되는 송풍팬(70)에 의해 상기 식재크래들(30)의 후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하우징(10)의 후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관통구(323)를 통해 배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측폐쇄부(50)의 재질 및 구조는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트, 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단부가 상기 식재크래들(3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는 상기 후측폐쇄부(50)와 상기 식재크래들(30) 사이로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관통구(323)를 통해 배기되지 않고 상기 식재크래들(30)과 상기 물 저장용기(20) 사이의 공간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는 경질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청소 등을 하기 위해 상기 물 저장용기(20)를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바깥으로 쉽게 빼기 위하여, 유연한 시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가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하부가 상측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도 3과 같이 웨이트(610)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송풍팬(70)은 외기를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와 상기 식재크래들(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관통구(323)를 통해 외측으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고 식물의 잎이 바람에 날리도록 함으로서 식물의 잎을 튼튼하게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에 생동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에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도 1 등과 같이 상기 송풍팬(7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판(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하우징의 (10)의 일측벽(120) 또는 타측벽(13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60)와 상기 식재크래들(3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외기는 상기 물 저장용기(20)의 물 표면과 부딪쳐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이 물 표면에 흡착되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관통구(323)를 통해 배기됨으로서,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에 흡착하여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송풍팬이 유도관을 통해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물저장 용기에 저장된 물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관(8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유도관(80)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판(110)의 유입구 하부에 연통되도록 고정설치된다.
상기 유도관(80)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직접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에 부딪치지 않아, 상기 식재홈(320)에 배치된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단시간 내에 건조시킬 우려가 없고, 오히려 상기 유도관(80)을 통해 배출되는 외기가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과 부딪혀 일부 가습된 상태로 상기 식재크래들(30)의 식재홈(320)의 관통구(323)를 통해 배기됨에 따라 더욱 식물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B-B선에 따른 종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상기 유도관(80)의 하부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송풍팬(70)에 의해 유입되어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물 저장용기(20)에 저장된 물의 상측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8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은 벽면이나 실내 공간에 다양한 식물들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녹화를 할 수 있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식물의 뿌리가 썩을 우려가 적는 등 식물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 미세먼지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에 흡착하여 공기를 정화하며, 흡착된 미세먼지를 영양분으로 식물에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자연 친환경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물 저장용기,
30: 식재크래들, 40: 급수부,
50: 후측폐쇄부, 60: 전측 하부폐쇄부,
70: 폐쇄부, 80: 유도관
30: 식재크래들, 40: 급수부,
50: 후측폐쇄부, 60: 전측 하부폐쇄부,
70: 폐쇄부, 80: 유도관
Claims (9)
-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측벽 및 타측벽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물 저장용기와;
상기 물 저장용기의 상측으로 상기 일측벽 및 타측벽 사이의 전측부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배수구 및 관통구가 형성되는 복수의 식재홈을 포함하는 식재크래들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각각 정량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 일측벽 및 타측벽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를 폐쇄하는 후측폐쇄부와;
상단부가 상기 식재크래들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하단부가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측 하부폐쇄부와;
상기 식재크래들과 상기 후측폐쇄부 사이의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시켜 상기 식재크래들의 관통구로 배출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된 외기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의 상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은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의 후측면 중간부에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의 상부면에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배출되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식재크래들의 식재홈에 각각 배치되는 급수노즐과, 상기 급수노즐에 연결되는 급수배관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배관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는 유연한 재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하부폐쇄부의 하단부에는 웨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판의 유입구 하부와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의 하부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어 배출되는 외기를 상기 물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의 상측 주변으로 확산시키는 확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0387A KR102229646B1 (ko) | 2021-01-04 | 2021-01-04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0387A KR102229646B1 (ko) | 2021-01-04 | 2021-01-04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9646B1 true KR102229646B1 (ko) | 2021-03-18 |
Family
ID=7523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0387A KR102229646B1 (ko) | 2021-01-04 | 2021-01-04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96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68351A (zh) * | 2022-07-20 | 2023-01-06 | 王四平 | 一种透气式种植装置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4528A (ko) | 2010-08-09 | 2012-02-17 | 손창락 | 벽면식재장치 |
JP2012039969A (ja) * | 2010-08-20 | 2012-03-01 | Hayahei Shibata | 緑化ディスプレイ装置 |
KR20130011757A (ko) * | 2011-07-22 | 2013-01-30 | 강현철 |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
KR20140022177A (ko) * | 2012-08-13 | 2014-02-24 | 주식회사 세파란 |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
KR20140023720A (ko) * | 2012-08-17 | 2014-02-27 | 김재혁 | 수경재배기 |
KR200472483Y1 (ko) | 2012-04-04 | 2014-05-07 | 김희수 | 녹화 벽체형 친환경 장식 장치 |
KR20160080617A (ko) * | 2014-12-30 | 2016-07-08 | 주식회사 가든포유 |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
KR101697818B1 (ko) | 2014-08-19 | 2017-01-19 | 손창락 | 식물화분 식재장치 |
KR200485979Y1 (ko) | 2016-08-17 | 2018-03-19 |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 직립형 분무 수경 재배 장치 |
JP2019170297A (ja) * | 2018-03-29 | 2019-10-10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壁面緑化パネル |
KR102089615B1 (ko) * | 2019-10-10 | 2020-03-16 | 홍종현 | 공기정화 벽면 녹화 구조체 |
-
2021
- 2021-01-04 KR KR1020210000387A patent/KR102229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14528A (ko) | 2010-08-09 | 2012-02-17 | 손창락 | 벽면식재장치 |
JP2012039969A (ja) * | 2010-08-20 | 2012-03-01 | Hayahei Shibata | 緑化ディスプレイ装置 |
KR20130011757A (ko) * | 2011-07-22 | 2013-01-30 | 강현철 | 벽면 녹화용 식생장치 |
KR200472483Y1 (ko) | 2012-04-04 | 2014-05-07 | 김희수 | 녹화 벽체형 친환경 장식 장치 |
KR20140022177A (ko) * | 2012-08-13 | 2014-02-24 | 주식회사 세파란 |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
KR20140023720A (ko) * | 2012-08-17 | 2014-02-27 | 김재혁 | 수경재배기 |
KR101697818B1 (ko) | 2014-08-19 | 2017-01-19 | 손창락 | 식물화분 식재장치 |
KR20160080617A (ko) * | 2014-12-30 | 2016-07-08 | 주식회사 가든포유 |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
KR200485979Y1 (ko) | 2016-08-17 | 2018-03-19 |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 직립형 분무 수경 재배 장치 |
JP2019170297A (ja) * | 2018-03-29 | 2019-10-10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壁面緑化パネル |
KR102089615B1 (ko) * | 2019-10-10 | 2020-03-16 | 홍종현 | 공기정화 벽면 녹화 구조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68351A (zh) * | 2022-07-20 | 2023-01-06 | 王四平 | 一种透气式种植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9614B1 (ko) | 벽면식재장치 | |
KR100858993B1 (ko) |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 |
US8495833B2 (en) | Live plant box | |
JP5232929B1 (ja) | 植物育成装置 | |
KR101400375B1 (ko) | 식물재배장치 | |
KR101893196B1 (ko) | 가정용 식물재배장치 | |
KR101466179B1 (ko) |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 |
KR100858994B1 (ko) | 이끼 벽을 이용한 실내조경 시스템 | |
KR20140003163U (ko) | 실내벽면 녹화용 화분 장치 | |
KR102229646B1 (ko) |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가진 녹화 벽체형 식생 구조물 | |
JP5856828B2 (ja) | 室内用植栽パーテション | |
KR200207813Y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 |
KR101421236B1 (ko) | 공기정화용 탁자 | |
CN205284348U (zh) | 墙体绿化系统 | |
KR102158978B1 (ko) | 공기정화 재배기 | |
JP2010154822A (ja) | 水気耕栽培装置 | |
CN103931440B (zh) |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 |
KR20140038138A (ko) |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 |
KR102645814B1 (ko) | 식물 공중 식재장치 | |
KR20100129974A (ko) |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 |
CN209882822U (zh) | 一种毛细自灌溉生态鱼缸花盆 | |
CN204206832U (zh) | 一种室内碳化软木立式植物栽培装置 | |
CN2265671Y (zh) | 多功能工艺花盆 | |
CN218483337U (zh) | 一种低矮建筑物生态墙 | |
KR101099546B1 (ko) |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