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74Y1 - 조립식 폴 - Google Patents

조립식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374Y1
KR200486374Y1 KR2020160006296U KR20160006296U KR200486374Y1 KR 200486374 Y1 KR200486374 Y1 KR 200486374Y1 KR 2020160006296 U KR2020160006296 U KR 2020160006296U KR 20160006296 U KR20160006296 U KR 20160006296U KR 200486374 Y1 KR200486374 Y1 KR 200486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ole
base member
coupled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수
Original Assignee
최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수 filed Critical 최창수
Priority to KR2020160006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폴과 관련된다. 본 고안은 실시예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홀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홀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폴대가 연장되는 도중에 결합되어 상기 폴대를 지지하는 중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폴{Assembly pole}
본 고안은 조립식 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CCTV의 지지나 버스 정류소 안내판의 지지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에 세워서 설치하는 조립식 폴과 관련된다.
CCTV나 버스 정류소 안내판은 먼 곳까지 촬영이 가능하거나 멀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폴을 세운 후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폴은 밑판과 폴대 등 여러 개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구성들은 서로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폴로 완성된 후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었다. 또한 폴대가 하나의 긴 봉으로 이루어져 설치 및 운반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467호에는 폴대를 조립식으로 개선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폴은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조립식 폴 역시 그 형태는 종래의 폴의 형태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면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흔들림이 있는 경우 안전에 위협 요소가 될 수 있고, CCTV가 설치된 경우 촬영한 영상이 왜곡되어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조립되는 부분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구성들의 조립성을 높여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더욱 높이는 방안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467호 (2012.09.06)
본 고안은 폴대가 여러 개로 이루어지고 폴의 각 구성들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폴의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홀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홀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폴대가 연장되는 도중에 결합되어 상기 폴대를 지지하는 중간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립식 폴은 상기 상단부재에 결합되는 암 브래킷 및 상기 암 브래킷에 결합되어 연장되고 일단에 CCTV가 결합되는 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가운데에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둘레에 상기 폴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 및 다리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단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을 마감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폴대의 끝단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상기 폴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폴대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폴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흔들림이 적어 안전성이 높으며 CCTV를 설치한 경우 흔들림이 최소화된 고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구성들의 조립성을 높여 설치 및 운반의 용이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베이스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상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중간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중간고정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100)은 베이스부재(1), 상단부재(2), 폴대(3) 및 중간고정부재(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재(1)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단부재(2)에도 베이스부재(1)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는 각각 조립식 폴(100)의 하부와 상부를 이룬다.
폴대(3)는 베이스부재(1)의 홀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단부재(2)의 홀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중간고정부재(4)는 폴대(3)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폴대(3)가 연장되는 도중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폴대(3)를 지지한다.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에 복수의 폴대(3)가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폴(100)의 기본 구조가 완성되고 중간고정부재(4)가 도중에 개재되어 폴대(3)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폴(100)은 여러 개의 폴대(3)로 이루어지므로 외력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부재(1)는 조립식 폴(100)의 하단 부분에 해당하는 요소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재(1)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둘레의 4개의 부분에 90도의 각도를 두고 제1결합홀(12)이 형성된다. 제1결합홀(12)에는 폴대(3)가 결합된다. 한편 제1결합홀(12)을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제1결합홀(12)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121)가 형성된다. 제1결합홀(12)에 형성된 리브(121)는 결합되는 폴대(3)의 일단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폴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폴대(3)의 일단과 제1결합홀(12)의 리브(121)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홀을 형성하고 폴대(3)의 일단이 제1결합홀(12)에 끼워진 후 나사결합홀에 볼트를 체결하면 폴대(3)를 제1결합홀(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의 가운데에는 중앙홀(11)이 형성되고 중앙홀(11)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111)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홀(11)에 형성된 리브(111)에 의해 중앙홀(11)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 전기선이나 영상신호선이 결속되는 터미널(T)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중앙홀(11)을 폐쇄하는 커버(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에 의해 중앙홀(11)에 형성된 공간은 밀폐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선, 영상신호선, 터미널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에는 다리(5)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2결합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홀(13)은 제1결합홀(12) 사이에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90도의 각도를 두고 슬릿 형상의 제2결합홀(13)이 4개가 형성된다. 이 제2결합홀(13)에 다리(5)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결합홀을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 역시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다리(5)는 절곡되어 형성되고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되는 다리(5)의 일단이 제2결합홀(13)을 통과한다. 다리(5)의 일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에 너트가 체결되어 베이스부재(1)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가 고정되는 형태의 일 예를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기저부(B)에 베이스부재(1)가 고정된다. 기저부에는 중앙홀(11)로 배선을 하기 위한 제1배선관(P1)과 중앙홀(11)로부터 폴대(3)의 중공홀(H)로 배선을 하기 위한 제2배선관(P2) 및 다리(5)가 배치될 수 있다. 기저부는 기저부 형상의 거푸집에 각 배선관(P1, P2)과 다리(5)를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부어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기저부를 만들면 조립식 폴(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전기선이나 영상신호선의 배선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베이스부재(1)는 제1결합홀(12)에 복수의 폴대(3)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홀(11)에 큰 지름을 가진 하나의 폴대를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단부재(2)는 조립식 폴(100)의 상부 끝단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식 폴(100)의 일단을 마감하는 탑플레이트(21)와 이 탑플레이트(21)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폴대(3)의 끝단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탑플레이트(21)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홀이 형성된다. 한편 탑플레이트(21)의 원주 상에는 90도의 각도를 두고 돌출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22)에 홀이 형성된다. 탑플레이트(21)의 중앙에 형성된 홀은 CCTV(10)를 설치하거나 배선통로로 사용할 수 있다. 돌출부(22)의 수는 베이스부재(1)의 제1결합홀(12)과 대응되는 수로 이루어진다.
폴대(3)와 상단부재(2)의 결합은 폴대(3)와 베이스부재(1)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대(3)의 다른 쪽 일단과 상단부재(2)의 돌출부(2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홀을 형성하고 폴대(3)의 다른 쪽 일단이 돌출부(22)의 홀에 끼워진 후 나사결합홀에 볼트를 체결하면 폴대(3)를 돌출부(2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폴대(3)와 돌출부(22)를 서로 용접하거나 나사체결 형식으로 돌려 끼워 결합시키는 것에 비해 간단한 작업이다.
한편 탑플레이트(21)의 뒷면에는 안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면 돌출부(22) 사이의 위치에 180도의 각도를 두고 직사각형의 홈이 2개 형성된다. 이 안착홈은 암 브래킷(arm bracket, 6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자리가 된다. 암 브래킷(61)은 안착홈이 형성된 부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암 브래킷은 CCTV를 지지하는 암(arm, 62)이 결합되기 위한 요소이다.
암 브래킷(61)은 대략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암(62)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된다. 암 브래킷(61)의 홀에는 암(62)이 결합되어 연장되며 이 암(62)에 CCTV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다수의 CCTV를 함께 설치할 수 있다.
폴대(3)는 조립식 폴(100)이 세워지도록 기둥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복수로 구성되어 일단이 베이스부재(1)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단부재(2)에 결합된다. 폴대(3)는 종래의 폴대(3)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여러 개 사용한다.
폴대(3)는 중앙이 빈 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빈 부분에는 CCTV로 연결되는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배선될 수 있다.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영상이 손상될 수도 있으므로 전선과 영상신호선은 서로 다른 폴대를 통해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폴대를 사용함으로써 영상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대(3)의 끝단에는 마감캡(31)이 결합된다. 마감캡(31)은 폴대(3)의 내부로 빗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기밀을 위해 마감캡(31)은 오링(미도시)을 개재하여 폴대(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마감캡(31)에는 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CCTV에 배선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홀에 전선 보호용 주름관(미도시)을 결합시키고 주름관을 통해 배선을 하며 홀과 주름관의 틈은 실리콘 등의 실링재로 메워 기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에 결합되는 각 폴대(3)는 하나로 이루어져 폴대(3)의 양쪽 단부가 베이스부재(1)와 상단부재(2)에 결합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폴대가 이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폴대가 이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중간고정부재(4)는 폴대(3)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폴대(3)가 연장되는 도중에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폴대(3)를 지지하는 구성 요소로서, 폴대(3)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중심부(41)와, 중심부(4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2) 및 연장부(42)의 끝단에 결합되고 폴대(3)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말단부(33)를 포함한다.
도 4(a)을 참조하면 중간고정부재(4)는 중심부(41) 주변의 4개 부분에 90도의 각도를 두고 홀이 형성되는 말단부(43)가 위치하고 중심부(41)와 말단부(43)가 연장부(42)에 의해 서로 이어지는 형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연장부(42)와 말단부(43)가 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되는 폴대(3)의 수에 따라 연장부(42)와 말단부(43)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41)에는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화분이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L)를 끼우고 고정하여 거치할 수 있다. 홀을 형성하지 않고 평탄한 형태로 구성한 후 거치할 수도 있으나 홀을 형성하는 경우 아래로 면적이 좁아지는 물건의 경우나 상측에 테두리가 있는 물건의 경우 홀에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거치가 가능하므로 더 편리하다. 또한 램프를 설치한 경우 인접한 2개의 폴(3)에 투명 칸막이를 설치하여 빗물 등이 램프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간고정부재(4)는 말단부(43)에 나사결합홀이 형성되고, 말단부(43)에 폴대(3)가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결합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폴대(3)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폴대(3)에 말단부(43)의 나사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홀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말단부(43)에 체결된 볼트가 폴대(3)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결합방식을 이용하면 폴대(3)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이나 영상신호선이 폴대(3) 내부로 돌출되는 볼트의 끝단과 간섭할 염려가 없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대(3)가 여러 개의 단위 폴대(3)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폴대(3)와 제2폴대(3)가 이어지는 부분을 중간고정부재(4)의 말단부(43)가 감싸고 말단부(43)의 외측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폴대(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말단부(43)의 내주면에 리브(431)를 형성하면 용이하게 제1폴대(3)와 제2폴대(3)가 고정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중간고정부재(4)를 1개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폴대(3)의 길이나 지지하는 힘을 고려하여 여러 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폴의 각 구성들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 및 볼트, 너트 등의 체결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설치 및 운반이 용이하다.
상술한 구성들인 조립식 폴의 구성들(베이스부재(1), 상단부재(2), 폴대(3), 중간고정부재(4) 등)은 절연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절연체로는 PVC(polyvinyl chloride),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등이 있다.
종래에는 강도 등을 위하여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폴을 제작하였으나, 이렇게 할 경우 누전, 감전 등의 위험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을 재질로 하고 그 두께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하게 되면, 기존의 폴에서 문제가 되는 누전, 감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 면에서도 우수한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부품폴을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다양한 색상의 폴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즉 다양한 색상별로 부품폴을 대량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폴의 경우, 금속재의 물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후, 겉면에 색상을 입히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긁히거나 기타 여러 이유로 인하여 색상이 벗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진 부분과 색상이 남아 있는 부분의 색상차가 큰 경우에는 그 부분이 미관을 크게 해치는 관계로, 색상이 벗겨지더라도 그 부분의 색상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색상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PVC,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하는 경우 재료 위에 덧칠을 할 필요없이 재료 자체가 원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 겉면이 손상을 입더라도 색상의 변화는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PVC 등을 이용하는 경우 색상이 벗겨질 것을 우려하지 않고,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폴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조립식 폴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베이스부재
11 : 중앙홀 12 : 제1결합홀 13 : 제2결합홀 111, 121 : 리브
112 : 커버
2 : 상단부재
21 : 탑플레이트 22 : 돌출부 211 : 안착홈
3 : 폴대 31 : 마감캡
4 : 중간고정부재
41 : 중심부 42 : 연장부 43 : 말단부 431 : 리브
5 : 다리
61 : 암 브래킷 62 : 암
T : 터미널 B : 기저부 P1 : 제1배선관 P2 : 제2배선관
H : 중공홀 L : 램프
10 : CCTV 100 : 조립식 폴

Claims (5)

  1.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부를 마감하는 상단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홀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단부재의 홀에 다른 일단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대 및
    상기 폴대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폴대가 연장되는 도중에 결합되어 상기 폴대를 지지하는 중간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상단부재 및 중간고정부재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은 각 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폴대는 복수의 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상단부재, 상기 중간고정부재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각 부재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중간고정부재는,
    상기 폴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폴대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는 말단부
    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에 결합되는 암 브래킷 및 상기 암 브래킷에 결합되어 연장되고 일단에 CCTV가 결합되는 암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가운데에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둘레에 상기 폴대가 결합되는 제1결합홀 및 다리가 결합되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는 조립식 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을 마감하는 탑플레이트,
    상기 탑플레이트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폴대의 끝단이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는 돌출부
    를 포함하는 조립식 폴.
  5. 삭제
KR2020160006296U 2016-10-28 2016-10-28 조립식 폴 KR200486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96U KR200486374Y1 (ko) 2016-10-28 2016-10-28 조립식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96U KR200486374Y1 (ko) 2016-10-28 2016-10-28 조립식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74Y1 true KR200486374Y1 (ko) 2018-05-10

Family

ID=6216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96U KR200486374Y1 (ko) 2016-10-28 2016-10-28 조립식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7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467A (ko) 2004-05-17 2004-07-07 이선희 비데에 사용하는 순간가열 히터조립체.
KR200427302Y1 (ko) * 2006-07-07 2006-09-22 주식회사 태원기전 다목적 가로등
KR20120065917A (ko) * 2011-03-15 2012-06-21 주식회사 대로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KR20160003114U (ko) * 2015-03-06 2016-09-19 김광일 감시카메라용 지주 높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467A (ko) 2004-05-17 2004-07-07 이선희 비데에 사용하는 순간가열 히터조립체.
KR200427302Y1 (ko) * 2006-07-07 2006-09-22 주식회사 태원기전 다목적 가로등
KR20120065917A (ko) * 2011-03-15 2012-06-21 주식회사 대로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KR20160003114U (ko) * 2015-03-06 2016-09-19 김광일 감시카메라용 지주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14B1 (ko) Cctv 통합 폴대
JP4480198B2 (ja) 導電性バー通し装置を有する壁の通過装置
US8895859B2 (en) Temporary cable cover
KR101830875B1 (ko) Cctv 카메라를 위한 제어함체의 결합구조
CN102576926A (zh) 车顶安置天线装置
KR200486374Y1 (ko) 조립식 폴
KR200477857Y1 (ko) 보안 카메라 설치용의 조립식 폴
WO2016059962A1 (ja) アース用端子金具
KR102181473B1 (ko) 지주대의 아암 결합 장치
US10087648B2 (en) Pipe cover
KR20180025076A (ko) 방우 콘센트
US976879A (en) Base for poles or posts.
JP2000252150A (ja) 封止コイルの製造方法
KR20090120264A (ko) 조립식 하부구조를 갖는 가로등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CN206962122U (zh) 一种玻璃封装密封连接器
KR101742299B1 (ko) 시설물 기둥 어셈블리
KR200378167Y1 (ko) 전신지주 보강구조
KR101547503B1 (ko) 지주에 체결되는 표지판의 체결장치
US3049201A (en) Base details
KR101300718B1 (ko) 감시카메라용 고정브라켓
JP2003232056A (ja) 配管構造
JP2014152531A (ja) 他物固定具
JP2019186208A (ja) 筒形カットアウト
JP2001207763A (ja) 門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