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186Y1 -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186Y1
KR200486186Y1 KR2020150006645U KR20150006645U KR200486186Y1 KR 200486186 Y1 KR200486186 Y1 KR 200486186Y1 KR 2020150006645 U KR2020150006645 U KR 2020150006645U KR 20150006645 U KR20150006645 U KR 20150006645U KR 200486186 Y1 KR200486186 Y1 KR 200486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nut
tool
ho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407U (ko
Inventor
조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
Priority to KR2020150006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8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4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Abstract

본 고안은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파이프의 기둥으로 형성하되 하단에 나선결합부(11)가 구비된 포스트(10); 나선결합부(11)와 결합되는 나선결합공(21)이 상면 중앙에 구비되어 포스트(10)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베이스(20); 포스트(10)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30); 포스트(10)의 나선결합부(11)에 체결되며, 표면 사방에 공구홀(41)이 관통되어 구비된 너트(40); 너트(40) 사방의 공구홀(41) 중 대향된 2개의 공구홀에 끼워지는 끼움부(51)가 양단에 구비되고, 손잡이간(52)이 타측에 구비된 "U"자형의 공구(50); 로 구성되어 너트(40)를 힘들이지 않고 강하게 조여주거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수백개의 포스트(10)와 베이스(20)의 결합 작업을 연속 행하는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작업 능률 향상 및 작업시간 단축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The floor panel for restraint in the post of tightening system}
본 고안은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하이테크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각종 장비(컴퓨터, 전산기기 등)들이 놓이는 룸의 바닥이나 반도체를 생산하는 클린룸 바닥에 마루용 패널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 시스템에서 헤드를 받쳐주는 포스트와 베이스의 결착 상태를 신속 간편하면서도 양호하게 유지시켜주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테크 정보화 시대에 사용되는 각종 장비(컴퓨터, 전산기기 등)들이 설치되는 컴퓨터룸이나 전산실룸 또는 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클린룸 등에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를 일정 간격의 격자 형태로 반복 설치한 다음 사방의 받침대 위에 마루용 패널의 모서리가 얹히도록 연속 조립하여 패널이 일정 높이에 놓이게 하는 이중 마루시스템(Raised Access Floor System)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이중 마루시스템을 이루는 마루용 패널(이하 '패널'이라 칭함)은 위에 놓이는 각종 장비의 무거운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켜서 각종 장비의 하중에 의해 균열되거나 침하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받침대는 패널을 받쳐주는 기능 외에 패널 저면에 공간부를 확보하여 각종 장비의 수많은 배선 케이블(전선, 전화선, 네트웍 케이블)이 공간부에 놓이게 하므로 배선 시공 작업 및 유지 보수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마루용 패널은 에어홀 없이 구성되는 일반 패널과, 한류공기의 방지나 특수기계의 발열에 따른 과열방지가 요구되는 곳 또는 실내의 온도 및 습도 조절과 먼지, 분진, 미립자 등의 흡수 제거를 위해 공조용 덕트(풍도)가 설치되는 곳에 주로 설치되는 다공 패널(Perforated panel)로 구분된다.
이러한 마루용 패널 받침대 시스템은 일정 길이의 금속파이프로 만들어진 기둥 지주인 포스트, 포스트의 상단에 조립되는 헤드, 포스트의 하단에 조립되어 포스트의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베이스로 구분된다.
상기 헤드의 표면에는 패널의 완충 및 모서리가 정 위치에 놓이도록 사방에 패널 안내돌기가 돌출된 금속패드 및 완충용 러버패드가 설치되어 패널의 충격완화 및 진동이 흡수되게 하며, 상기 베이스와 포스트 및 베이스와 금속패드는 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는 하단 외주면에 나선결합부가 형성되어 베이스의 나선결합공에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며, 이와 같이 체결된 포스트와 베이스에 진동이 가해지면 포스트의 나선결합부가 베이스의 나선결합공에서 회전되어 저절로 풀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으므로 포스트와 베이스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포스트의 나선결합부에 풀림방지용 너트를 먼저 체결하여 놓았다가 포스트를 베이스에 체결한 후 풀림방지용 너트를 아래로 내려서 베이스 상면을 강하게 눌러주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230호(2009.1.19.등록)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이하 '선행기술 1' 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클램핑용 받침부가 조립된 포스트 상단에 지지부재의 스터드볼트를 체결할 때 조정구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되 받침부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를 형성하고, 조정구 저면에는 위 돌기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 되므로 회전이 방지되게 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3230호(2009.1.19.등록) "클린룸 설치용 포스트에의 스터드볼트 고정장치"
클린룸 설치를 위한 상기 선행기술의 스터드볼트나 원통형의 포스트는 대부분 외경(직경)이 80~90mm로 형성되며, 이러한 포스트의 나선결합부에 체결되는 너트는 그 외경이 최소한 100mm 이상으로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크기의 너트 외주면을 감싸서 조여주거나 풀 수 있는 마땅한 공구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크기의 너트는 대부분 외주면 사방에 손잡이용 돌기를 구비하여 작업자들이 사방으로 돌출된 손잡이용 돌기를 손으로 잡고 돌려서 너트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작업자들이 손으로 외주면의 돌기를 잡고 돌려서 너트를 조여주는 것은 매우 힘들고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작업자들의 피로도가 심하고 작업 능률이 쉽게 저하되며, 아무리 강하게 조여도 손으로 체결하는 것은 체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의 진동에 얼마 못 가서 너트가 풀리게 되므로 포스트와 베이스의 체결상태가 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스트와 베이스의 체결상태가 변하게 되면 포스트 상단에 놓이는 헤드들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므로 그 위에 놓이는 마루패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그리고 일단 조여진 너트를 풀고자 할 때도 작업자들이 손가락 힘만으로 수많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를 받쳐주는 포스트와 받침베이스의 결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주는 너트를 힘들이지 않고 강하게 조여주거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줄이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돌기부를 이용하여 너트 사방에 형성되는 공구홀과 너트 내주면과의 두께(t)를 공구홀 크기와 대응된 두께로 형성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구로 조일 때의 힘에 대한 응력을 높여서 공구홀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을 제공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파이프의 기둥으로 형성하되 하단에 나선결합부가 구비된 포스트; 나선결합부와 결합되는 나선결합공이 상면 중앙에 구비되어 포스트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베이스; 포스트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 포스트의 나선결합부에 체결되며, 표면 사방에 공구홀이 관통되어 구비된 너트; 대향된 2개의 공구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양단에 구비되고, 손잡이간이 타측에 구비된 "U"자형의 공구; 로 구성하고, 너트의 공구홀이 있는 부위 외주면에 홀보강용 돌기부를 구비하되 상기 공구홀의 중심을 돌기부쪽으로 더 이동시켜서 너트 내주면과의 두께(t)가 공구홀 크기와 대응되거나 그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면 공구로 회전시켜 조일 때의 힘에 대한 응력을 높게 유지하여 공구홀이 쉽게 파손되지 않으므로 상기 목적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포스트와 받침베이스의 결착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주는 너트를 공구홀 및 이의 공구를 이용하여 힘들이지 않고 강하게 조여주거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수백개의 포스트와 받침베이스의 결합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U"자형 공구를 이용하여 너트를 조이거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공구홀보강용 돌기부에 의해 공구홀 주변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너트를 돌릴 때 가해지는 하중으로 부터 공구홀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공구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너트의 수명 연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마루용 패널 받침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마루용 패널 받침대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너트를 다른 실시예 형태로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너트와 공구를 분리시킨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너트에 공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술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마루용 패널 받침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마루용 패널 받침대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너트를 다른 실시예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너트와 공구를 분리시킨 일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파이프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나선결합부(11)가 구비된 포스트(10)와; 포스트(10) 하단의 나선결합부(11)와 결합되는 나선결합공(21)이 상면 중앙에 구비되어 포스트(10)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베이스(20); 포스트(10)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벽 사방에 지지간(31)이 돌출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베이스(20)를 체결하기 전에 포스트(10)의 나선결합부(11)에 먼저 체결되며, 표면 사방에 공구홀(41)이 관통되어 구비된 너트(40); 및 너트(40) 사방의 공구홀(41) 중 대향된 2개의 공구홀(41)에 끼워지는 끼움부(51)가 양단에 구비되고, 손잡이간(52)이 타측에 구비된 "U"자형의 공구(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40)는 사방의 공구홀(41)이 있는 부위의 두께를 보강시키기 위하여 공구홀(41)이 있는 부위의 외주면에 홀보강용 돌기부(42)를 구비하고, 너트(40) 내주면과의 두께(t)가 공구홀(41)의 크기와 대응되는 두께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공구홀(41)의 중심을 돌기부(42) 쪽으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보강용 돌기부(42)는 너트(40)를 손으로 돌려줄 때의 손잡이부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베이스(20)의 저면 양단에 결합되어 베이스(20)를 "H빔"에 고정시킬때 사용하는 베이스클램프 이며, 상기 베이스(20) 및 헤드(30)는 알루미늄 금속제로 형성하면 녹이 잘 슬지않고 성형성이 양호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포스트(10)의 하단에 베이스(20)를 결합하기 전에 포스트(10)의 나선결합부(11)에 너트(40)를 먼저 결합시켜서 너트(40)가 나선결합부(11)의 상부에 위치되게 한 다음 포스트(10)의 나선결합부(11)를 베이스(20)의 나선결합공(21)에 결합시킨다.
베이스(20)에 결합되어 세워지는 포스트(10)의 높이가 정해진 높이로 조절되어 결합되면 나선결합부(11)의 상부에 위치된 너트(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아래의 베이스(20) 쪽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베이스(20)의 상면에 도달할 때까지는 너트(40)가 쉽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너트(40)의 사방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부(42)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신속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너트(40)가 베이스(20) 상면에 접촉되면 이때는 작업자가 힘주어 회전시켜도 너트(40)를 강하게 조일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도 4 및 도 5 에서와 같이 너트(40) 사방의 공구홀(41) 중 대향된 양쪽 공구홀(41)에 "U"자형 공구(50) 양단의 끼움부(51)를 끼우고, 공구(50)의 손잡이간(52)을 손으로 잡아 회전시키면 너트(40)가 힘들이지 않고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당히 강하게 베이스(20)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포스트(10)에 체결된 너트(40)가 베이스(20)의 상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면 포스트(10)의 높이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베이스(20)에서 높이 조절되어 결합된 포스트(10)는 외부의 진동 등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20)에서 저절로 회전되지 않으므로 그 높이가 변하게 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40)의 공구홀(41)에 공구(50)의 끼움부(51)를 끼우고 회전시킬 때 공구홀(41) 주변에는 매우 높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너트(40)는 사방의 공구홀(41)이 있는 부위 외주면에 홀보강용 돌기부(42)가 두툼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공구홀(41)은 그 중심이 돌기부(42)쪽으로 이동되어 형성되므로 너트(40) 내주면과의 두께(t)는 상당히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공구홀(41)을 형성하는 부위의 두께(t)는 공구홀(41)의 크기에 대응되는 두께 또는 그보다 더 큰 두께를 이루고 있어서 끼움부(51)로 부터 공구홀(41) 주변에 하중이 가해질 때 그 하중에 견디는 응력이 높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공구홀(41)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베이스(20)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는 너트(40)의 압박상태를 해지시키고자 할 때도 너트(40) 사방의 공구홀(41) 중 대향된 공구홀(41)에 공구(50)의 끼움부(51)를 끼우면 공구(50)를 이용하여 너트(4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처럼 너트(40)를 손으로 직접 잡아 힘들게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신속 간편한 것이다.
10 : 포스트 11 : 나선결합부
20 : 베이스 21 : 나선결합공
30 : 헤드 31 : 지지간
40 : 너트 41 : 공구홀
42 : 돌기부 50 : 공구
51 : 끼움부 52 : 손잡이간
60 : 베이스클램프 t : 두께

Claims (2)

  1. 금속파이프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하단에 나선결합부(11)가 구비된 포스트(10)와;
    포스트(10) 하단의 나선결합부(11)와 결합되는 나선결합공(21)이 상면 중앙에 구비되어 포스트(10)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베이스(20);
    포스트(10) 상단에 끼워져 결합되며, 외벽 사방에 지지간(31)이 돌출되는 헤드(30);
    베이스(20)를 체결하기 전에 포스트(10)의 나선결합부(11)에 먼저 체결되며, 표면 사방에 공구홀(41)이 관통되어 구비된 너트(40);
    너트(40) 사방의 공구홀(41) 중 대향된 2개의 공구홀(41)에 끼워지는 끼움부(51)가 양단에 구비되고, 손잡이간(52)이 타측에 구비된 "U"자형의 공구(50);로 이루어지며,
    너트(40)의 공구홀(41)이 있는 부위 외주면에 홀보강용 돌기부(42)를 구비하되 상기 공구홀(41)의 중심을 돌기부(42)쪽으로 더 이동시켜서 너트 내주면과의 두께(t)가 공구홀(41)의 크기와 대응되거나 그보다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여
    공구(50)로 회전시켜 조일 때 너트(40)의 공구홀(41)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2. 삭제
KR2020150006645U 2015-10-12 2015-10-12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KR200486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45U KR200486186Y1 (ko) 2015-10-12 2015-10-12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645U KR200486186Y1 (ko) 2015-10-12 2015-10-12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07U KR20170001407U (ko) 2017-04-20
KR200486186Y1 true KR200486186Y1 (ko) 2018-04-12

Family

ID=5866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645U KR200486186Y1 (ko) 2015-10-12 2015-10-12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8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211A (ja) * 1999-05-06 2000-12-26 Zollmann Gmbh 締付けペンチのための締付けナット
KR200370519Y1 (ko) * 2004-09-13 2004-12-16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플로어의 높이조절장치
JP3857496B2 (ja) * 1999-09-22 2006-12-13 株式会社カナイ 座金付きナット、座金付きボルト及び取り付け治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55B1 (ko) 2002-11-16 2006-03-2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우레탄계 전구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고분자분산 액정복합막
KR20100135991A (ko) * 2009-06-18 2010-12-28 김상훈 클린룸의 바닥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의 억세스 플로어의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211A (ja) * 1999-05-06 2000-12-26 Zollmann Gmbh 締付けペンチのための締付けナット
JP3857496B2 (ja) * 1999-09-22 2006-12-13 株式会社カナイ 座金付きナット、座金付きボルト及び取り付け治具
KR200370519Y1 (ko) * 2004-09-13 2004-12-16 주식회사 해광 클린룸 플로어의 높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07U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42286A1 (en) Universal panel clamp
KR101289572B1 (ko) 조절가능한 풋 베어링
KR20160000331U (ko) 고정블럭 클램프장치용 클램핑볼트 조립체
KR101510824B1 (ko) 플랫패드를 이용한 엑세스 플로어 설치장치
KR200486186Y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조임 시스템
KR102050791B1 (ko) 발판 지지 장치
KR20160023436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JP7001335B2 (ja) 単管パイプの取り付け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締付具
KR102207807B1 (ko) 풀림 방지 클램프
KR20160128255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745952B1 (ko) 마루용 패널 받침대의 포스트 클램프
JP6739503B2 (ja) ボルト連結具
KR101531333B1 (ko) 선체블록용 전도방지장치
JP3048572U (ja) ボルト仮締め具
JP7011404B2 (ja) 折板屋根用架台
CA2823303C (en) Universal panel clamp
KR101741478B1 (ko) 발판 고정 장치
KR102174840B1 (ko) 방진 장치
US20240133417A1 (en) L-shaped bolt fastening structure using hole guard
JP3792692B2 (ja) 束体
JP6744469B2 (ja) 棒状体固定具
JP6844919B2 (ja) 固定具
JP2007205034A (ja) H型鉄骨のウェブ接続用スプライス板の仮止め用治具
JPH071381Y2 (ja) 床パネルの支持部構造
JP2017078303A (ja) 縦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