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91Y1 - 블록 지지용 러그 - Google Patents

블록 지지용 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91Y1
KR200486091Y1 KR2020160002423U KR20160002423U KR200486091Y1 KR 200486091 Y1 KR200486091 Y1 KR 200486091Y1 KR 2020160002423 U KR2020160002423 U KR 2020160002423U KR 20160002423 U KR20160002423 U KR 20160002423U KR 200486091 Y1 KR200486091 Y1 KR 200486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late girder
attachment portion
attachment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75U (ko
Inventor
노혁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2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9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 지지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는 블록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와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란하지 않다.

Description

블록 지지용 러그{Lug for supporting block}
본 고안은 블록 지지용 러그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규모가 큰 선박은 다양한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다. 특히, 선체의 형성 과정은 소조립 공정, 중조립 공정 및 대조립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조립 공정은 판재 등을 조립하여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고, 중조립 공정은 소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중규모의 블록을 제작하는 공정이며, 대조립 공정은 중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대규모의 블록을 조립하는 공정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선박 조립 과정 중 블록의 자세를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블록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크레인 등의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을 지지하면서 블록의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61718호 (2009.06.17)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 지지용 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는 블록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와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란하지 않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부착부로부터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부착부와 나란하지 않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부착부와 나란하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구비된 웨브의 표면에 일측 면이 접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구비된 플랜지의 표면에 일측 면이 접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와 플레이트 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가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에 의하여 지지된 블록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와 플레이트 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에 의하여 블록이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와 플레이트 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지지용 러그(100)는 부착부(110) 및 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착부(110)는 블록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110)가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됨에 따라 블록 지지용 러그(100) 전체가 플레이트 거더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부착부(110)는 볼트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부착부(110)는 용접에 의하여 결합되어 블록 지지용 러그(100)와 플레이트 거더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부착부(110)는 패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착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거더에 접하는 부착부(110)의 일측 면의 형상은 플레이트 거더에 구비된 웨브의 표면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2는 부착부(110) 및 플레이트 거더(10)의 부착면(110F, 10F)을 도시하고 있다. 부착부(110)는 웨브(11)의 표면에 부착된다. 웨브(11)의 표면 형상이 평면임에 따라 부착부(110)의 부착면(110F)도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웨브(11)의 표면 형상이 곡면인 경우 부착부(110)의 부착면(110F)도 웨브(11)의 표면 형상에 맞게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웨브(11)의 표면 중 일부가 돌출되거나 함몰된 경우 웨브(11)의 돌출 부분과 함몰 부분의 형상에 맞게 부착부(110)의 부착면(110F)도 함몰 부분과 돌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블록 지지용 러그(100)와 플레이트 거더(10)가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블록 지지용 러그(100)와 플레이트 거더(1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거더(10)는 웨브(11) 및 플랜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브(11) 및 플랜지(12)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웨브(11)와 플랜지(12)간의 면간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거더(10)의 단면은 "디귿" 형상일 수 있다.
블록 지지용 러그(100)는 웨브(11)에서 플랜지(12)가 돌출된 방향을 통하여 진입하여 플레이트 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웨브(11)에서 돌출 형성된 2개의 플랜지(12)의 말단을 연결하여 가상면(VF)을 형성하는 경우 웨브(11), 플랜지(12) 및 가상면(VF)에 의하여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웨브(11), 플랜지(12) 및 가상면(VF)에 의하여 수용되는 공간을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S_I)이라 하고,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이 아닌 가상면(VF)에 접한 공간을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S_O)이라 한다.
부착부(110)의 높이(D)는 플레이트 거더(10)에 구비된 양측 플랜지(12)의 내측면간 거리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부착부(110)의 높이(D)는 플레이트 거더(10)에 구비된 양측 플랜지(12)의 내측면간 거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것이다. 부착부(110)의 높이(D)가 양측 플랜지(12)의 내측면간 거리에 대응함에 따라 부착부(110)와 웨브(11)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다. 블록을 지지함에 있어서 몸체부(120)에 외력이 작용하고, 해당 외력은 부착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 중에는 부착부(110)에서 플랜지(12)를 향하는 방향의 외력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외력 성분이 작용하더라도 부착부(110)의 양측 말단이 플랜지(12)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부착부(110)와 웨브(11)와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몸체부(120)는 부착부(110)에서 연장 형성되어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110)는 패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가장자리의 측면을 제외한 2개의 넓은 면을 가질 수 있다. 부착부(110)의 2개의 넓은 면 중 하나는 웨브(11)에 접하는 부착면(110F)이고, 다른 하나는 몸체부(120)가 형성되는 면(이하, 노출면이라 한다)일 수 있다.
몸체부(120)는 부착부(110)의 노출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부착부(110)와 몸체부(120)는 서로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20)는 부착부(11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11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20)도 패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몸체부(120)의 가장자리 측면 중 하나가 부착부(110)의 노출면에 접합된 형상으로 몸체부(120)와 부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부착부(110)에 접하는 몸체부(120)의 일측 부분의 높이(D1)는 부착부(110)의 높이(D)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110)에 접하는 몸체부(120)의 일측 부분의 높이(D1)는 부착부(110)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 구간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부착부(110)에 접한 몸체부(120)의 높이(D1)와 부착부(110)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몸체부(120)의 높이(D2)가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부착부(110)의 높이(D)와 동일한 높이(D1, D2)가 유지되는 몸체부(120)의 일부는 적어도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S_I)에 수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S_I)에 수용되는 몸체부(120)의 일부(이하, 수용 부분이라 한다)(120a)가 부착부(110)의 높이(D)와 동일한 높이를 가짐에 따라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 거더(10)의 플랜지(1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부분(120a)의 높이가 부착부(110)의 높이와 동일함에 따라 수용 부분(120a)의 양측 가장자리가 플레이트 거더(10)의 양측 플랜지(12)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블록 지지용 러그(100)를 플레이트 거더(10)에 결합함에 있어서 수용 부분(120a)과 플랜지(12)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부분(120a)과 플랜지(12)간의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수용 부분(120a)과 플랜지(12)가 접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블록 지지용 러그(100)와 플레이트 거더(10)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반 장치에 의하여 몸체부(120)에 작용하는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플레이트 거더(1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몸체부(120)는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돌출 부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부분(120b)은 운반 장비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돌출 부분(120b)에는 운반 장비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 홀(H)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 장비에 구비된 후크가 걸림 홀(H)에 삽입되어 운반 장비에 의한 몸체부(120)의 지지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가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록(20)에는 플레이트 거더(10)가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거더(10)는 외력에 대하여 블록(20)의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블록(2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블록(20)에는 다수의 플레이트 거더(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2개의 플레이트 거더(10)가 블록(20)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블록 지지용 러그(100)는 웨브(11)에서 플랜지(12)가 돌출된 방향을 통하여 진입하여 플레이트 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블록(20)을 올바르게 지지하기 위하여 하나의 플레이트 거더(10)에 적어도 2개의 블록 지지용 러그(1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플레이트 거더(10)에 2개의 블록 지지용 러그(100)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4개의 블록 지지용 러그(100)를 이용하여 블록(20)의 4개의 지점을 지지함에 따라 올바른 자세를 블록(2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비교적 규모가 큰 선박의 선체 형성 과정은 소조립 공정, 중조립 공정 및 대조립 공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박 조립 과정 중 블록(20)의 자세를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블록(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전환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블록(20)의 상하 전환을 위하여 블록 지지용 러그(100)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의 서로 다른 면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10)에 블록 지지용 러그(100)가 결합되고, 크레인과 같은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블록 지지용 러그(100)를 지지함으로써 블록(20)의 상하 전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에 의하여 지지된 블록의 자세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블록(20)은 블록 지지용 러그(L1, L2)가 이용되어 운반 장치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S510). 운반 장치의 케이블(C1, C2)이 블록 지지용 러그(L1, L2)에 연결되어 상측 방향으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블록(20)을 지면에서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블록(20)의 자세를 변경하기 위하여 일측 플레이트 거더(G2)에 결합된 블록 지지용 러그(L2)의 케이블(C2)이 제거되고, 다른 일측 플레이트 거더(G1)에 결합된 블록 지지용 러그(L1)의 케이블(C1)은 유지될 수 있다(S520). 도 6의 해당 단계는 좌측 플레이트 거더(G2)의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연결된 케이블(C2)이 제거되고, 우측 플레이트 거더(G1)의 블록 지지용 러그(L1)에 연결된 케이블(C1)이 유지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케이블의 연결이 유지되는 블록 지지용 러그를 제 1 블록 지지용 러그(L1)라 하고, 케이블의 연결이 해제된 블록 지지용 러그(100)를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라 한다.
일측 케이블(C2)이 제거됨에 따라 블록(20)은 다른 일측 케이블(C1)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이하, 지속적으로 블록(20)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지지 케이블(C1)이라 한다. 또한, 일측 케이블(C2)이 제거되고 지지 케이블(C1)에 의하여만 지지되고 있는 블록(20)의 상태를 반전환 상태라 한다.
반전환 상태에서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케이블(이하, 재연결 케이블이라 한다)(C3)이 연결될 수 있다(S530). 그리고, 지지 케이블(C1)과 재연결 케이블(C3)을 적절히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블록(20)의 상하 전환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S540).
한편, 반전환 상태에서 재연결 케이블(C3)을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연결함에 있어서 블록(20)의 일부분에 의하여 재연결 케이블(C3)이 간섭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에 의하여 간섭된 상태로 재연결 케이블(C3)이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연결되는 것이다.
재연결 케이블(C3)이 블록(20)에 간섭되는 경우 재연결 케이블(C3)을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연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에 연결된 재연결 케이블(C3)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경우 블록(20)과 재연결 케이블(C3)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블록(20) 및 재연결 케이블(C3)이 손상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는 반전환 상태에서 재연결 케이블(C3)과 블록(20)간의 간섭을 완화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와 플레이트 거더(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록 지지용 러그(200)는 부착부(210) 및 몸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착부(210)는 블록(20)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S_I)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21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부착부(110)의 형태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몸체부(220)는 부착부(210)에서 연장 형성되어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 부분(P)(도 9 참조)이 운반 장비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0)는 제 1 돌출부(221) 및 제 2 돌출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돌출부(221)는 부착부(210)로부터 돌출된 것이고, 제 2 돌출부(222)는 제 1 돌출부(2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 1 돌출부(221)는 부착부(210)와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돌출부(221)는 부착부(210)의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돌출부(222)는 부착부(210)와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돌출부(221)에서 연장되는 제 2 돌출부(222)의 연장 방향(DE)은 부착부(210)의 표면과 평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 돌출부(222)의 연장 방향(DE)은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 방향(DO)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연장 방향(DE)은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 방향(DO)에 대하여 수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부분(P2)의 연장 방향(DE)은 일측 플랜지(12)의 넓은 면을 포함하는 가상면(미도시)을 향하거나 해당 가상면에 수직한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에 의하여 블록이 지지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블록(20)은 반전환 상태에서 블록 지지용 러그(100, 200)가 케이블(C1, C3)에 연결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블록 지지용 러그(이하, 기본형 러그라 한다)(100)가 제 1 블록 지지용 러그(L1)의 역할을 수행하고, 도 7에 도시된 블록 지지용 러그(이하, 확장형 러그라 한다)가 제 2 블록 지지용 러그(L2)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기본형 러그(100) 및 확장형 러그(200)는 사전에 플레이트 거더(G1, G2)에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즉, 블록(20)의 상하면을 전환하기 이전에 기본형 러그(100) 및 확장형 러그(200)가 플레이트 거더(G1, G2)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블록(20)의 상하면 전환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확장형 러그(200)에서 케이블이 제거된 이후에 재연결 케이블(C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은 블록(20)의 반전환 상태에서 확장형 러그(200)에 재연결 케이블(C3)이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확장형 러그(200)의 몸체부(220)에 연장 부분(P2)이 포함됨에 따라 재연결 케이블(C3)과 블록(20)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이로 인하여, 블록(20) 및 재연결 케이블(C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용 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블록 지지용 러그(300, 400)는 부착부(310, 410) 및 몸체부(320, 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착부(310, 410)는 블록(20)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S_I)에 삽입되어 플레이트 거더(10)에 결합될 수 있다. 부착부(310, 410)는 제 1 접합부(311, 411) 및 제 2 접합부(312, 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접합부(311, 411)의 일측 면은 플레이트 거더(10)에 구비된 웨브(11)의 표면에 일측 면이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접합부(312, 412)의 일측 면은 플레이트 거더(10)에 구비된 플랜지(12)의 표면에 접할 수 있다.
결국, 부착부(310, 410)는 웨브(11) 및 플랜지(12)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착부(310, 410)의 단면도 플레이트 거더(10)의 단면과 마찬가지로 "디귿"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접합부(311, 411) 및 제 2 접합부(312, 412)가 플레이트 거더(10)의 내측면에 접하여 결합됨에 따라 블록 지지용 러그(300, 400)와 플레이트 거더(10)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다.
몸체부(320, 420)는 부착부(310, 410)에서 연장 형성되어 플레이트 거더(10)의 외측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며, 돌출 부분이 운반 장비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몸체부(320, 42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몸체부(120, 220)의 형태 및 기능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300, 400, L1, L2: 블록 지지용 러그
110, 210, 310, 410: 부착부
120, 220, 320, 420: 몸체부

Claims (3)

  1. 블록에 구비된 플레이트 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결합되는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거더의 외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와 상기 몸체부는 서로 나란하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 거더는 웨브 및, 상기 웨브의 표면에서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부의 높이는 상기 2개의 플랜지의 내측면간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부착부에 접하는 상기 몸체부의 해당 부분의 높이는 상기 부착부의 높이와 동일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부착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향으로 일정 구간 동일하게 유지되는 블록 지지용 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부착부로부터 돌출된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1 돌출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부착부와 나란하지 않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부착부와 나란한 블록 지지용 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구비된 웨브의 표면에 일측 면이 접하는 제 1 접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 거더에 구비된 플랜지의 표면에 일측 면이 접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지지용 러그.
KR2020160002423U 2016-05-04 2016-05-04 블록 지지용 러그 KR200486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23U KR200486091Y1 (ko) 2016-05-04 2016-05-04 블록 지지용 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23U KR200486091Y1 (ko) 2016-05-04 2016-05-04 블록 지지용 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75U KR20170003875U (ko) 2017-11-15
KR200486091Y1 true KR200486091Y1 (ko) 2018-04-03

Family

ID=6040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23U KR200486091Y1 (ko) 2016-05-04 2016-05-04 블록 지지용 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91Y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8361A (en) * 1976-10-06 1978-05-09 A-Lok Corporation Lifting arrangements for massive objects
JPH0829913B2 (ja) * 1989-12-15 1996-03-2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吊り上げ治具
KR20090061718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배수 사용이 가능한 t형 러그
KR101258928B1 (ko) * 2011-04-04 2013-05-07 서홍삼 재사용가능한 러그
KR101359406B1 (ko) * 2012-07-04 2014-02-10 천영민 열관류 시편 카트리지 이송장치
KR20150000542U (ko) * 2013-07-25 2015-0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운반선용 컴프레셔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75U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00B1 (ko) 특정 콘크리트 패널 내의 건축용 자재 조종 앵커
JP2009121479A (ja) タワーを組立て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A2656939A1 (en) Mat ramp securement and method
US20090162138A1 (en) Longitudinal member assembly with joint
KR200486091Y1 (ko) 블록 지지용 러그
CN211196116U (zh) 一种前保机构安装支架及汽车
KR20180060650A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507426B1 (ko)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KR102099498B1 (ko)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CN202064271U (zh) 斜桥调节连接器
US20030137487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a metal frame and an electric module for us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77790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접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102033546B1 (ko) 멀티 어스 터미널
KR101928298B1 (ko)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KR10128697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JP3820292B2 (ja) 建物ユニット用連結具
KR200383881Y1 (ko) 액자형 보드
CN211259233U (zh) 一种线缆加工位置调整连接结构
JP2007218076A (ja) 連結金具,受け金具及び建築用接合金具
WO2022088753A1 (zh) 电池包和具有其的车辆
KR102249856B1 (ko) 차량용 부품 체결 구조
KR102255500B1 (ko) 커넥터 레버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180043927A (ko) 리프팅 러그
CN217934075U (zh) 电池包及电池装置
CN219838617U (zh) D柱内板、后侧围结构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