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498B1 -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498B1
KR102099498B1 KR1020170001542A KR20170001542A KR102099498B1 KR 102099498 B1 KR102099498 B1 KR 102099498B1 KR 1020170001542 A KR1020170001542 A KR 1020170001542A KR 20170001542 A KR20170001542 A KR 20170001542A KR 102099498 B1 KR102099498 B1 KR 10209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late
rounded
lower flanges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627A (ko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영 filed Critical 최원영
Priority to KR102017000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4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3Screw connections with axis at an angle, e.g. perpendicular,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둥-기둥의 연결 작업, 기둥-보의 연결 작업, 및 보-보의 연결 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설치 작업시 접합판이 회전 가능하므로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가 접합판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평판과 보강리브의 바깥쪽 측면이 상,하부 플랜지 보다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곳에 위치하므로 용접이 잘 이루어질 수 있고 그라인딩이 불필요하게 되며, 연결평판과 보강 리브의 내측면 상,하단이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용접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Coupling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plate having rounded corners}
본 발명은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둥-기둥의 연결 작업, 기둥-보의 연결 작업, 및 보-보의 연결 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설치 작업시 접합판이 회전 가능하므로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가 접합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평판과 보강리브의 바깥쪽 측면이 상,하부 플랜지 보다 내측으로 약간 들어간 곳에 위치하므로 용접이 잘 이루어질 수 있고 그라인딩이 불필요하게 되며, 연결평판과 보강 리브의 내측면 상,하단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됨으로써 용접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연결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 기둥과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이나 접합판을 이용한다.
도 1a와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합판(1)(2)(3)(4)은 다수 개의 볼트공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평판으로서, 기둥 브라켓(11)과 철골보(20)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에 설치되어 기둥 브라켓(11)과 철골보(20)를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은 기둥(10)과 기둥(10)을 연결하는 접합판 및, 보와 보를 연결하는 접합판에도 적용된다.
기둥(10)이나 철골보(20)를 설치할 때, 예를 들어 철골보(20)를 양중할 때에는 철골보(20)의 볼트공에 접합판(3)을 가볼팅한 후 철골보(20)를 양중하여 기둥(10) 또는 다른 철골보(20)에 볼팅으로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가볼팅은 볼트공 중 하나에만 볼트를 체결하므로 접합판(3)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골보(20)의 플랜지 폭이 좁을 때, 예를 들어 플랜지의 폭이 200mm 이하인 경우에는 접합판(3)이 웨브에 걸리게 되어 회전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가 접합판(30)에 걸리는 문제가 생긴다. 접합판(3)을 가볼팅하지 않은 상태에서 철골보(20)만을 양중한 후에 접합판(3)을 철골보(20)에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없어지지만, 작업이 불편해지고 비효율적으로 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한편, 접합판(3)의 폭을 줄이면 접합판(3)이 웨브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지만, 접합판(3)의 하중 지지력이 작아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접합판(1)(2)(3)(4)은 보(20)의 길이방향과 조금만 방향이 어긋나게 설치되더라도 그 모서리 부분이 상,하부 플랜지의 바깥쪽으로 삐져나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접합판(1)(2)(3)(4)의 폭을 상,하부 플랜지의 폭 보다 작게 하면 각 연결 부분에서 하중 저항력이 작아진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리고, 접합판(1)(2)(3)(4)은 그 모서리가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가 이에 부딪치는 경우에는 부상을 입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연결평판(7)은 철골보(2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철골보(20)와 보(22)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평판(7)은 그 상,하단이 철골보(20)의 상,하부 플랜지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고, 그 내측면이 웨브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평판(7)의 바깥쪽 측면(7a)은 상,하부 플랜지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바깥쪽 측면(7a)이 플랜지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깥쪽 측면(7a)의 상,하단을 플랜지에 용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용접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된 부분에는 용접봉 등이 녹아서 만들어진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연결평판(7)에 접합되는 다른 보(22)의 상,하부 플랜지 및/또는 웨브가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를 그라인딩으로 제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연결평판(7)의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7b)는, 도 3a~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요입된 원호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하단 모서리(7b)는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가 만나는 부분(21)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용접이 불량인 경우,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 또는 기둥 브라켓에 가볼팅된 접합판이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가 접합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합판의 설치 방향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접합판이 바깥쪽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 평판의 바깥쪽 측면 상,하단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용접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라인딩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평판의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 부분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접합판을 이용하여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거나, 기둥과 보를 연결하거나, 보와 보를 연결한다.
상기 접합판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를 갖되 그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며, 다수 개의 볼트공을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15mm ~ 4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하부 플랜지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합판(111)(114)은 그 폭(w)이 상,하부 플랜지의 폭 보다 약간 작고 접합판(111)(114)의 양측은 상,하부 플랜지의 폭 방향 끝단 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플랜지의 하면과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서 웨브의 양쪽에 설치되는 접합판(113)(115)은 그 양측이 상,하부 플랜지의 폭 방향 끝단 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에 설치되는 접합판(112)은 웨브의 높이 보다 작은 높이를 갖고 그 상,하단이 상,하부 플랜지에 닿지 않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보(30)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른 보를 연결하는 연결 평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평판(130)은, 보(30)의 상,하부 플랜지(30a)(30b) 및 웨브(30c)에 결합되는 제1 부분(131); 및, 제1 부분(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2 부분(136);을 포함한다.
제1 부분(131)의 바깥쪽 측면(132)은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방향 끝단 보다 웨브(30c) 쪽으로 소정 간격(g)만큼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상기 소정 간격(g)은 10mm ~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부분(131)의 내측면의 상,하단 모서리(134)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호 형상의 곡률이 웨브(30c)와 상부 플랜지(30a)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30c)와 하부 플랜지(30b)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하단 모서리(134)에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보(30)의 측면에서 웨브(30c)와 상,하부 플랜지(30a)(30b)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 리브(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140)의 상,하단은 상,하부 플랜지(30a)(30b)에 용접되고 내측면은 웨브(30c)에 용접된다. 보강 리브(140)의 바깥쪽 측면(142)은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방향 끝단 보다 웨브(30c) 쪽으로 소정 간격(g)만큼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상기 소정 간격(g)은 10mm ~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 리브(140)의 내측면의 상,하단 모서리(144)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호 형상의 곡률이 웨브(30c)와 상부 플랜지(30a)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30c)와 하부 플랜지(30b)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하단 모서리(144)에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보 또는 기둥 브라켓에 가볼팅된 접합판이 회전 가능하므로,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가 접합판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접합판의 설치 방향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접합판이 바깥쪽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연결 평판의 바깥쪽 측면 상,하단에서 이루어지는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용접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라인딩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넷째, 연결평판(130)과 보강리브(140)의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134)(144)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둥과 보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
도 1c는 철골보에 가볼팅된 접합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a의 A-A'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b는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접합판 중의 하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
도 8a는 보가 접합판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D-D'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 평판과 보강 리브가 설치된 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F-F' 단면도.
도 12와 도 13은 각각 연결평판과 보강 리브의 또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구조는 기둥과 기둥의 연결, 기둥과 보의 연결 및, 보와 보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도면들에는 볼트공에 볼트와 너트가 설치되지 아니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면을 단순화하여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볼트공에 볼트와 너트가 설치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접합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구조는 접합판(111)(112)(113)(114)(115)(116)(117)(118)을 이용하여 기둥(철골기둥, 10)과 보(철골보, 20)를 연결한다. 접합판(111)(112)(113)(114)(115)(116)(117)(118)은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평판으로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접합판의 모서리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둥글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서리가 곡률 반경 15mm ~ 40mm가 되도록 둥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면 접합판의 설치 방향이 보(20) 또는 브라켓(11)의 길이방향과 조금 어긋나게 되더라도 모서리가 보(20) 또는 브라켓(11)의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종래의 접합판(1)(2)(3)(4)은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접합판(1)(2)(3)(4)의 설치 방향이 보(20) 또는 브라켓(11)의 길이방향과 조금만 차이가 나더라도 모서리 부분이 바깥으로 튀어 나오게 되고, 이와 같이 바깥으로 튀어나온 부분은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힐 우려가 있었다.
한편, 접합판(111)(112)(113)(114)(115)(116)(117)(118)에서 모서리의 곡률 반경이 15mm 보다 작으면 접합판의 설치 방향이 어긋날 경우 모서리가 바깥으로 튀어나올 가능성이 커지고 작업자가 뾰족한 모서리로 인해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이 40mm 보다 크면, 볼트공의 위치 선정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10)의 측면에 H형 단면의 브라켓(11)이 설치되고 브라켓(11)이 보(20)와 접합되는 경우, 접합판(111)(112)(113)(114)(115)은 브라켓(11)과 보(20)의 상,하부 플랜지의 양면과 웨브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부 플랜지의 상면과 하부 플랜지의 하면에 설치되는 접합판(111)(114)은 그 폭(w)이 상,하부 플랜지의 폭 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합판의 양측에 남는 여유 폭(s)이 대략 5mm ~ 15mm 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여유 폭(s)이 5mm 보다 작으면 접합판의 설치방향이 약간 어긋날 경우에 접합판이 상,하부 플랜지의 바깥으로 돌출될 우려가 있고, 상기 여유 폭(s)이 15mm 보다 크면 접합판의 하중 저항력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의 하면과 하부 플랜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접합판(113)(115)도 접합판(111)(114)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접합판(113)(115)은 웨브에서부터 플랜지 끝단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합판(113)(115)의 양측에 남는 여유 폭이 대략 5mm ~ 15mm가 되도록 한다. 즉, 접합판(115)의 폭방향 양측 끝단은 상,하부 플랜지의 폭 방향 끝단 및 웨브와 5mm ~ 15mm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수치범위가 갖는 임계적 의의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아울러, 웨브에 설치되는 접합판(112)은 웨브의 높이 보다 약간 작은 높이를 갖고, 접합판(112)의 상,하단은 상,하부 플랜지에 닿지 않는다.
한편,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은 기둥과 기둥의 연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10)이 H형 단면을 갖는 철골 기둥 또는 강재 기둥인 경우, 접합판(116)(117)(118)은 웨브 및 플랜지에 설치되어 기둥(1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구성은 아래와 같은 장점도 갖는다.
접합판을 이용하여 보(20)를 기둥이나 다른 보에 결합시키는 경우, 접합판을 보(20)에 가볼팅한 후 양중하여 기둥 또는 다른 보에 결합시킨다. 도 8a ~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볼팅은 다수 개의 볼트공 중 하나에만 볼트를 체결하므로 가볼팅된 접합판(115)이 볼트공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8b에서 붉은 선으로 표시된 접합판(115)은 접합판(115)이 회전된 것을 나타낸다.
이 때, 접합판(115)은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합판(3)의 모서리가 웨브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접합판(115)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기타 부재가 접합판(115)에 걸리게 되더라도 접합판(115)이 회전되므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이에 비해,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합판(3)의 모서리가 각지게 되면, 플랜지의 폭이 200mm 이하인 경우 가볼팅된 접합판(3)은 그 모서리가 웨브에 걸리게 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 또는 기타 부재가 접합판(3)에 걸리면 부상 등의 위험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연결 평판과 보강 리브가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E'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F-F'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 평판(130)은 보(30)의 상,하부 플랜지(30a)(30b) 및 웨브(30c)에 결합되는 제1 부분(131) 및, 제1 부분(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2 부분(136)을 포함한다. 제2 부분(136)은 볼트공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볼트에 의해서 다른 보(32, 도 9에는 미도시)와 접합된다. 그리고, 보(30)는 접합판(121)(122)(123)에 의해서 이웃하는 보(30)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부분(131)은 그 상단이 상부 플랜지(30a)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하단이 하부 플랜지(30b)에 용접으로 결합되며, 내측면이 웨브(30c)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부분(131)의 바깥쪽 측면(132)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 방향 끝단 보다 소정 간격(g)만큼 안쪽(웨브쪽)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30a)(30b)의 폭이 300mm일 때 상기 바깥쪽 측면(132)이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 방향 끝단 보다 대략 10mm ~ 20mm 만큼 안쪽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연결 평판(130)의 바깥쪽 측면(132)이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 방향 끝단 보다 약간 안쪽에 위치하게 되면 바깥쪽 측면(132)의 상,하단을 상,하부 플랜지(30a)(30b)에 용접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용접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깥쪽 측면(132)의 상,하단이 용접으로 인해 돌출되더라도(용접봉이 녹아서 돌출부가 형성됨) 플랜지(30a)(30b) 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지는 않게 되므로, 다른 보(32)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와 상기 돌출된 부분(돌출부)이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에 비해, 기존의 연결평판(도 3a, 3b의 7)은 그 바깥쪽 측면(7a)이 상,하부 플랜지의 폭 방향 끝단과 일치했는데, 이로 인해 용접봉이 녹아서 만들어진 돌출부가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었고, 이에 따라 연결평판(7)에 접합되는 다른 보(22)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가 상기 돌출부와 간섭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소정 간격(g)이 10mm 보다 작으면 돌출부가 플랜지(30a)(30b)의 바깥으로 돌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소정 간격(g)이 20mm 보다 크면 연결평판(130)의 하중 지지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보강리브(140)는 보를 보강하기 위해서 보(30)의 측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보강리브(140)는 상,하단이 플랜지(30a)(30b)에 용접되고 내측면이 웨브(30c)에 용접되며 바깥쪽 측면(142)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깥쪽 측면(142)은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 방향 끝단 보다 소정 간격(g) 만큼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소정 간격(g)의 바람직한 범위(10mm ~ 20mm)와 그 수치적 의의는 연결 평판(130)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도 12 ~ 13은 각각 연결평판과 보강 리브의 또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 ~ 13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a ~ 11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연결평판(130)은 그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134)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술(上述)한 연결평판(130)과 다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서리(134)의 곡률이 웨브(30c)와 상부 플랜지(30a)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30c)와 하부 플랜지(30b)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서리(134)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 구성은 용접 품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이에 비해, 도 3a ~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서리(7b)가 안쪽으로 요입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용접이 불량인 경우,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보강리브(140)는 그 내측면의 상,하단의 모서리(144)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술(上述)한 보강리브(140)와 다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서리(144)의 곡률이 웨브(30c)와 상부 플랜지(30a)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30c)와 하부 플랜지(30b)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모서리(144)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된 구성은, 모서리(13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접 품질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1, 2, 3, 4,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21, 122, 123 : 접합판
10 : 기둥 11 : 기둥 브라켓
20, 22, 30, 32 : 보 30 : 보
30a : 상부 플랜지 30b : 하부 플랜지
30c: 웨브
31 :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가 만나는 부분
7, 130 : 연결 평판 131 : 연결평판의 제1 부분
134 : 연결평판의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
136 : 연결평판의 제2 부분 7a, 132, 142 : 바깥쪽 측면
140 : 보강 리브
144 : 보강 리브의 내측면 상,하단의 모서리
w : 접합판의 폭
s : 상,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끝단과 접합판 사이의 거리
g : 상,하부 플랜지(30a)(30b)의 폭방향 끝단과 바깥쪽 측면(132)(142) 사이의 거리

Claims (15)

  1. 상,하부 플랜지와 웨브를 구비하여 H형 단면을 갖는 보를 기둥이나 다른 보에 연결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a) 다수 개의 볼트공을 갖고 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 직사각형 접합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접합판을 상기 보의 볼트공 중 어느 하나에 가볼팅하여 접합판을 보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 이후에, 가볼팅된 보와 접합판을 양중하여 다른 보 또는 기둥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접합판은 상,하부 플랜지의 끝단에서부터 웨브까지의 거리 보다 작은 폭을 갖고,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15mm ~ 40mm이며,
    접합판은 상부 플랜지의 하면과 하부 플랜지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되, 모서리가 둥글지 않고 직각을 이루는 경우에는 접합판이 웨브에 걸려서 회전되지 않지만 접합판의 네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므로 가볼팅된 볼트공을 중심으로 웨브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여 상기 (c) 단계의 양중 및 양중 이후의 작업시 접합판이 작업자 또는 다른 부재에 걸리더라도 접합판이 회전되므로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합판의 폭방향 양측 끝단은 상,하부 플랜지의 폭 방향 끝단 및 웨브와 5mm ~ 15mm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의 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다른 보를 연결하는 연결 평판(130)을 포함하고,
    연결 평판(130)은,
    보의 상,하부 플랜지 및 웨브에 결합되는 제1 부분(131); 및,
    제1 부분(131)과 일체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볼트공이 형성된 제2 부분(136);을 포함하고,
    제1 부분(131)은 그 바깥쪽 측면(132)이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끝단 보다 웨브 쪽으로 10mm ~ 20mm 들어간 곳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바깥쪽 측면(132)의 상,하단을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한 경우, 용접으로 인한 돌출부가 상,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끝단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부분(131)의 내측면의 상,하단 모서리(134)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곡률은 웨브와 상부 플랜지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와 하부 플랜지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의 측면에서 웨브와 상,하부 플랜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 리브(140)를 포함하고,
    보강 리브(140)의 상,하단은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되고 내측면은 웨브에 용접되며,
    보강 리브(140)의 바깥쪽 측면(142)은 상,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끝단 보다 웨브 쪽으로 10mm ~ 20mm 들어간 곳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바깥쪽 측면(142)의 상,하단을 상,하부 플랜지에 용접한 경우, 용접으로 인한 돌출부가 상,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끝단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보강 리브(140)의 내측면의 상,하단 모서리(144)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으로 둥글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곡률은 웨브와 상부 플랜지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 및, 웨브와 하부 플랜지가 만나는 부분(31)의 곡률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시공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01542A 2017-01-04 2017-01-04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KR102099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42A KR102099498B1 (ko) 2017-01-04 2017-01-04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1542A KR102099498B1 (ko) 2017-01-04 2017-01-04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27A KR20180080627A (ko) 2018-07-12
KR102099498B1 true KR102099498B1 (ko) 2020-04-09

Family

ID=6291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1542A KR102099498B1 (ko) 2017-01-04 2017-01-04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7895A (zh) * 2019-10-12 2020-02-04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用在逆作法中可拆卸式钢结构柱帽及其截面尺寸计算方法
KR102182930B1 (ko) 2020-02-27 2020-11-25 이진희 강도가 강화된 지지프레임 결합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338A (ja) * 2005-02-22 2006-09-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リベット継手の補修方法、補修構造体
US20160002910A1 (en) * 2013-03-15 2016-01-07 James Green Self-supporting and load bearing structural joint
JP2016014306A (ja) * 2014-07-03 2016-01-28 茂己 山本 鉄骨構造物の溶接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1338A (ja) * 2005-02-22 2006-09-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リベット継手の補修方法、補修構造体
US20160002910A1 (en) * 2013-03-15 2016-01-07 James Green Self-supporting and load bearing structural joint
JP2016014306A (ja) * 2014-07-03 2016-01-28 茂己 山本 鉄骨構造物の溶接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627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8297A (en) Fittings for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of steel frame construction
US4014089A (en) Method of connecting beams and columns of steel frame construction
KR102099498B1 (ko) 모서리가 둥근 접합판을 이용한 연결 구조
JP4092873B2 (ja) 梁部材およびその梁部材と柱部材の接合部の構造
US5630622A (en) Structural weld joint with internal gusset
JPH0751524Y2 (ja) 柱の接合部用金物
JP2023051547A (ja) 梁接合構造及び鉄骨造建物
KR101048570B1 (ko) 모노레일형 크레인거더의 단면구성방법
JP7237668B2 (ja) デッキ用受け材及び該デッキ用受け材の取付方法
JP2017066624A (ja) ユニット建物
JP2010285754A (ja) 鉄骨構造物
KR20140137999A (ko) ㄱ 형강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조의 접합부
KR101720103B1 (ko) 건축 구조물용 합성보
JP2018162554A (ja) 柱梁接合方法および柱梁接合構造
JP689379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KR102373168B1 (ko) 합성기둥
JP7100433B2 (ja) 鋼製柱および柱梁接合構造
KR101953016B1 (ko) 좌굴 방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셋 플레이트의 무용접/조립형 보강방법
KR101754936B1 (ko) 선조립 기둥 설치용 주각부
TWI604113B (zh) 接合板預先結合之斜撐桿件
JPH08144368A (ja) エンドプレート形式鉄骨構造体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KR101679327B1 (ko) 보강대 임시고정 지그 조립체
JP2002294864A (ja) 横梁の取付工法とその工法に用いるウェヴプレート
JP7266417B2 (ja) 梁部材の搬入方法
KR102289254B1 (ko) Z형 이음부를 갖는 기둥 보 접합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