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009Y1 -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009Y1
KR200486009Y1 KR2020180000051U KR20180000051U KR200486009Y1 KR 200486009 Y1 KR200486009 Y1 KR 200486009Y1 KR 2020180000051 U KR2020180000051 U KR 2020180000051U KR 20180000051 U KR20180000051 U KR 20180000051U KR 200486009 Y1 KR200486009 Y1 KR 200486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output
communication signal
switching transis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씨앤씨
Priority to KR2020180000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0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65Integral 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봉투 제조장치에 있어서, 특히 전면과 후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면과 후면은 2겹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은 4겹으로 이루어지며 양쪽에 손잡이를 갖는 비닐봉투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한 비닐봉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 모터 및 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벨트가 연속 회전하면서 비닐봉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이 존재하여 2겹을 구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면은 더불유(W)자 형태를 이루면서 4겹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비닐봉투(200)와; 상기 이송중인 비닐봉투를 촬영하고 2겹인 부분과 4겹인 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4겹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너비를 계산하는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와; 상기 비닐봉투(200)의 가장자리면 일단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4겹의 너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칼날을 세팅하여 절단시키고, 3가지 크기의 칼날부(a, b, 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칼날부(a, b, c)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되는 피스톤(420)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설치되며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서 하강되어 비닐봉투의 측면을 절단시키는 칼날(430)로 이루어지는 절단 칼날부(400)와; 상기 비닐봉투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에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으로 비닐봉투의 너비를 계산하고 상기 비닐봉투의 너비 데이터를 근거로 절단 칼날부(400)의 칼날부중에서 어느 한개를 선택하여 하강시키도록 제어하여 비닐봉투의 너비에 가장 적합한 칼날로 비닐봉투의 측면을 도려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00)와; 상기 절단 칼날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비닐봉투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lastic Bag}
본 고안은 비닐봉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과 후면 및 측면으로 이루어지되 전면과 후면은 2겹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은 4겹으로 이루어지며 양쪽에 손잡이를 갖는 비닐봉투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면에 관통홀을 형성한 비닐봉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피자, 양념치킨, 케익, 도너츠등의 각종 즉석식품은 그 휴대가 간편 용이하고 선호도가 높아 일반대중들 사이에 널리 애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즉석식품류는 해당식품의 부피나 넓이 등 그 형태에 알맞는 적정 형태로서 포장박스를 별도 제작하여 해당식품류를 수납포장한후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장박스는 담겨지는 해당식품류의 자체온도나 식품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 양념등의 액상류등을 감안하여 식품류의 포장시점으로부터 개봉되어 시식하는 시점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최초 포장상태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자체강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당히 두꺼운판지(골판지)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을 운반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비닐봉투를 이용하는바, 이하에서 본 고안에 적용될 일회용 비닐봉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비닐봉지(비닐포장대)는 가격이 매우 저렴하면서, 보관시에는 그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그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 방수성 및 어느 정도의 견고한 내구성도 제공할 수 있다는 여러 측면에서의 우수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일회용 비닐봉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비닐봉지(10)는, 비닐화합물,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구성은, 겹쳐지는 두장의 비닐용지로 이루어져 그 사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저장부(12)를 구비하며, 이 저장부(12)의 상단부측에는 개방되어 있어 물품이 투입되거나 인출되게 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부(12)의 하단부측에는 두장의 비닐용지가 열접합되어 상호 봉해져 있는 실링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부(12)의 양측단부측에는 보다 많은 양이나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포개져 있다가 물품이 수납되게 될 때 벌어져 내부 공간부의 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절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부(12)의 상단부 양측에는 손잡이부(16)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부(12)의 상단부 중앙에는 묶음띠(17)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장부(12)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6)의 상단측도 두장의 비닐용지가 열접합되어 상호 봉해져 있는 실링부(16a)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절첩부(15)는 "M"자 형태를 이루도록 접혀져 있게 된다.
즉, 첨언하면, 저장부(12)의 중앙 부위는 2겹으로 되어 있으나, 좌우 측단부측은 절첩부(15)로 인해 4겹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비닐봉지(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는 하단부측에 봉합되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링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해당 실링부(14)가 쉽게 터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종래에도 취약한 하단부를 보강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만큼 생산단가를 높일 수 없다는 제약성이 있어, 그 실현이 난이하였었다.
둘째, 확장가능한 절철부(15)가 양 측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피자상자 등과 같이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사각형 상자는 반듯하게 수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피가 큰 사각형 상자를 수납하게 되면, 해당 사각형 상자가 경사지도록 밖에 수납될 수 없으므로, 사각형 상자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의 형태가 파괴되게 되고, 또한 사각형 상자를 수납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립될 수도 없어, 사용상 불편함이 많고, 그 사용범위도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 실용신안 제 20-0420613호에서는 피자와 같은 상자를 용이하게 담을 수 있는 비닐봉지가 안출되었는바, 겹쳐지는 두장의 비닐용지로 이루어져 그 사이 내부에 물품(30)이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저장부(22)와, 상기 저장부(22)의 상단부측에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물품(30)이 투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하는 투입구(23)와, 상기 저장부(22)의 하단부측에 형성되어 포개져 있다가 상기 물품(30)이 수납됨에 따라 벌어져 내부 공간부의 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절첩부(24)와, 상기 저장부(22)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두장의 비닐용지가 상호 봉해지게 되는 실링부(25)와, 상기 저장부(22)의 상단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는 하단부측에 열접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고 연속되는 원단상태로 형성되게 되므로, 해당 부분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되어 사용시 쉽게 터지지 않게 되며, 또한 하단부측에 확장가능한 절첩부가 형성되어 물품의 수납에 따라 평평하게 되어 수납된 물품을 하부측에서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피자상자와 같은 사각형 상자도 반듯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고, 그 수납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자립도 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측면에서 그 효용성을 배가시키게 되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비닐봉투의 크기가 커야 하고, 다수개의 피자박스를 적층할 경우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여 식품이 눅눅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비닐봉투는 윗부분을 빼고 모두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피가 큰 피자 박스 또는 계란판등을 운반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또한 열기가 있는 피자와 같은 박스를 다수개 적층하여 운반시에는 열기가 빠져나갈 틈이 없어서 식품이 눅눅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비닐봉투의 측면에 기억자형으로 절개시켜 그 절개라인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도록하여 열기가 있는 식품 포장박스를 운반시에 적층하여 운반하여도 눅눅해지지 않토록하고, 아울러 절개라인의 틈을 이용하여 식품 박스를 용이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비닐봉투의 하부면으로 쉽게 안착가능하도록하며, 또한 측면 지지면이 식품 박스의 측면을 지지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운반이 가능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구동 모터 및 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벨트가 연속 회전하면서 비닐봉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이 존재하여 2겹을 구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면은 더불유(W)자 형태를 이루면서 4겹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비닐봉투(200)와; 상기 이송중인 비닐봉투를 촬영하고 2겹인 부분과 4겹인 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4겹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너비를 계산하는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와; 상기 비닐봉투(200)의 가장자리면 일단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4겹의 너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칼날을 세팅하여 절단시키고, 3가지 크기의 칼날부(a, b, 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칼날부(a, b, c)는 실린더(510)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되는 피스톤(520)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설치되며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서 하강되어 비닐봉투의 측면을 절단시키는 칼날(530)로 이루어지는 절단 칼날부(500)와; 상기 비닐봉투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에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으로 비닐봉투의 너비를 계산하고 상기 비닐봉투의 너비 데이터를 근거로 절단 칼날부(500)의 칼날부중에서 어느 한개를 선택하여 하강시키도록 제어하여 비닐봉투의 너비에 가장 적합한 칼날로 비닐봉투의 측면을 도려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각 제어부(600)와; 상기 절단 칼날부(500) 일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부분 냉각시키는 요부 냉각수단(400)과; 상기 절단 칼날부(500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으로 측정한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 출력을 유도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는 냉각패널(410)과; 상기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소자(420)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패널(430)과; 상기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방열 송풍팬(440)과; 상기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감지부(460)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닐봉투의 측면에 기억자형으로 절개시켜 그 절개라인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도록하여 열기가 있는 식품 포장박스를 운반시에 적층하여 운반하여도 눅눅해지지 않토록하고, 아울러 절개라인의 틈을 이용하여 식품 박스를 용이하게 삽입한 상태에서 비닐봉투의 하부면으로 쉽게 안착 가능하도록하며, 또한 측면 지지면이 식품 박스의 측면을 지지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운반이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비닐봉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비닐봉투 제조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닐봉투 제조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비닐봉투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단 칼날부의 구동 회로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도 11은 본 고안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12는 본 고안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15는 본 고안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2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21은 본 고안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22는 본 고안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23은 도 22의 요부 확대도.
도 24는 본 고안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비닐봉투 제조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비닐봉투 제조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비닐봉투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절단 칼날부의 구동 회로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도 11은 본 고안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12는 본 고안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15는 본 고안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8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2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21은 본 고안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22는 본 고안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23은 도 22의 요부 확대도.
도 24는 본 고안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양측면에 홀을 형성한 비닐봉투 제조장치는 컨베이어(100)와, 비닐봉투(200)와,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과, 다양한 크기의 절단칼날부(500) 및, 제어부(6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구동 모터 및 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벨트가 연속 회전하면서 비닐봉투를 이송시킨다.
상기 비닐봉투(200)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이 존재하여 2겹을 구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면은 더불유(W)자 형태를 이루면서 4겹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은 이송중인 비닐봉투를 촬영하고 2겹인 부분과 4겹인 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4겹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너비를 계산한다. 미설명부호 310은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이다.
상기 절단 칼날부(500)는 비닐봉투(200)의 가장자리면 일단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4겹의 너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칼날을 세팅하여 절단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단 칼날부(500)는 3가지 크기의 칼날부(a, b, 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칼날부(a, b, c)는 실린더(510)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되는 피스톤(520)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설치되며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서 하강되어 비닐봉투의 측면을 절단시키는 칼날(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600)는 비닐봉투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에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으로 비닐봉투의 너비를 계산하고 상기 비닐봉투의 너비 데이터를 근거로 칼날부중에서 어느 한개를 선택하여 하강시키도록 제어하여 비닐봉투의 너비에 가장 적합한 칼날로 비닐봉투의 측면을 도려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참고로, 본 고안을 통해 제작이 완료된 비닐봉투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크게 전면 몸체(10)와, 후면몸체(20)와, 상부 측면 몸체(30)와, 하부 측면 몸체(40)와, 기억자형 절개라인(50)과, 손잡이(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 몸체(10)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포장박스를 담을시에는 아래부분이 직각으로 꺽여지면서 내측에 존재하는 포장상자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후면 몸체(20)는 전면몸체에 대응하여 후면에 위치되고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포장박스를 담을시에 아래부분이 직각으로 꺽여지면서 내측에 존재하는 포장상자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다.
상기 상부 측면 몸체(30)는 전면 몸체 및 후면몸체의 측면에 연장 설치되고, 더블유(W)형태로 형성되며, 총 4겹의 비닐로 이루어져 박스를 탑재하였을 경우 펼쳐지면서 일정한 부피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측면 몸체(40)는 전면 몸체 및 후면몸체의 측면에 연장설치되고, 동시에 상부 측면 몸체의 하부에 연장 설치하되 전면(41)과 브이(V)면(42) 및 후면(4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총 4겹의 비닐로 이루어져 박스를 탑재하였을 경우 브이면이 펼쳐지면서 브이면이 포장 상자의 일측면을 지지하고 동시에 관통홀이 전면 몸체 및 후면 몸체를 조립하여 생성된 공간부의 내측과 외측의 공기를 연통시킨다.
상기 기억자형 절개라인(50)은 하부 측면 몸체에 형성하되 기억자 형태로 절개라인을 형성하여 하부 측면 몸체가 전면과 브이(V)면 및 후면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유도하고, 공간부의 내측과 외측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60)는 상부 측면 몸체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손으로 걸어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바, 컨베이어를 구동하게 되면 구동모터가 회전하면서 밸트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밸트에는 가장자리 절단전 비닐봉투(200)를 올려놓고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20)는 전면과 후면이 존재하여 2겹을 구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면은 더불유(W)자 형태를 이루면서 4겹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형태이다.
이후,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에 의해서 4겹으로 이루어지는 절단할 부위를 측정하는바, 사진으로 촬영하여 흑백으로 변환시킨다음 색상이 더 짙은 부분을 4겹으로 판단하고, 상기 4겹 부분의 너비를 정확하게 계산한다.
그리고, 절단칼날(430)을 수직하게 이송시켜 4겹 부분의 일부를 절단하게 되는바, 4겹 부분의 중간 지점을 절단시키도록 움직인다.
즉, 비닐봉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서 4겹 부분의 너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촬영하여 4겹이 존재하는 가장자리 부분을 판독하고, 4겹 부분의 절반 지점을 절단 칼날로 절단하여 분리시키도록 한다.
실제로는 동일 크기의 비닐 봉투가 연속적으로 이송되고, 한동안 동일 크기의 비닐봉투의 이송이 끝나면 다른 종류의 비닐 봉투가 연속적으로 이송되며, 이에 따라 칼날의 수평 이송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600)에서는 비닐봉투의 절단부위 너비를 계산하여 상기 너비에 적합한 칼날부(a, b, c)를 선택하고, 이에 해당하는 칼날부의 칼날을 수직 하강시켜 비닐봉투의 측면을 절단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가장자리 부분이 4겹인 모든 비닐 봉투에 절단면을 형성하여 박스형 포장 상자의 운반에 적합한 비닐봉투로 재탄생하게 된다.
한편, 절단 칼날부(500)는 칼날에 열을 제공하여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기술개념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열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칼날에 열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절단 칼날부(500) 몸체에 과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절단 칼날부(500)의 일단에 열을 식힐 수 있는 요부 냉각수단(400)을 부가 설치하여 부분 냉각시킨다.
이하에서 요부 냉각수단(400)을 보다상세히 명하기로 한다.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와, 방열패널(430)과, 방열 송풍팬(440)과,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온도 감지부(460)와, 냉각 제어부(4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패널(41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열전소자(420)는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패널(430)은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한다.
상기 방열 송풍팬(440)은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는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킨다.
상기 온도감지부(46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냉각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냉각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에 따라 필요 구간을 냉각시키는바,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패널(410) 및 열전소자(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존재하는 부분은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위치한 부분에 냉각열이 전달되어 급속히 냉각되고, 열전소자(4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패널(43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방열패널(430)에 부착된 방열 송풍팬(440)에 의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부분 냉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열전소자(420)가 방열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하기 위해 방열패널(430)에 레일(430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열전소자(420)의 표면은 레일홈(420a)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420)가 레일(430a)을 타고 보다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레일(430a) 및 레일홈(420a)은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절단 칼날부의 주변에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작업 환경에 문제가 있는 것인바, 기준이상의 먼지가 존재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작업을 중단하고 오염된 상황을 해결토록 유도한다.
즉, 절단 칼날부의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절단 칼날부 주변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토록 유도한다.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먼지 측정 계산부(3000)로 전송되며, 먼지 측정 계산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
본 고안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엑츄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전용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전용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먼지 측정계산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0: 컨베이어
200: 비닐봉투
300: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
400: 절단칼날부
500: 제어부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먼지 측정 계산부
4000: 디스플레이

Claims (6)

  1. 구동 모터 및 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벨트가 연속 회전하면서 비닐봉투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것으로서 전면과 후면이 존재하여 2겹을 구성하고 전면과 후면의 양쪽 가장자리면은 더불유(W)자 형태를 이루면서 4겹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비닐봉투(200)와;
    상기 이송중인 비닐봉투를 촬영하고 2겹인 부분과 4겹인 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4겹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너비를 계산하는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와;
    상기 비닐봉투(200)의 가장자리면 일단을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4겹의 너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칼날을 세팅하여 절단시키고, 3가지 크기의 칼날부(a, b, 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칼날부(a, b, c)는 실린더(510)와,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하강 되는 피스톤(520)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설치되며 피스톤의 하강에 의해서 하강되어 비닐봉투의 측면을 절단시키는 칼날(530)로 이루어지는 절단 칼날부(500)와;
    상기 비닐봉투가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도중에 절단부위 너비 판단수단(300)으로 비닐봉투의 너비를 계산하고 상기 비닐봉투의 너비 데이터를 근거로 절단 칼날부(500)의 칼날부중에서 어느 한개를 선택하여 하강시키도록 제어하여 비닐봉투의 너비에 가장 적합한 칼날로 비닐봉투의 측면을 도려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각 제어부(600)와;
    상기 절단 칼날부(500) 일단에 설치되어 베이스를 부분 냉각시키는 요부 냉각수단(400)과;
    상기 절단 칼날부(500의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2000)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으로 측정한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경보음 출력을 유도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는 냉각패널(410)과;
    상기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소자(420)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패널(430)과;
    상기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방열 송풍팬(440)과;
    상기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감지부(460)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L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키고,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KR2020180000051U 2018-01-04 2018-01-04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KR200486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51U KR200486009Y1 (ko) 2018-01-04 2018-01-04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051U KR200486009Y1 (ko) 2018-01-04 2018-01-04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009Y1 true KR200486009Y1 (ko) 2018-03-22

Family

ID=6180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051U KR200486009Y1 (ko) 2018-01-04 2018-01-04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0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56B1 (ko) * 2018-02-26 2018-07-06 (주)파코코리아인더스 실내 환기 시스템
KR20200071468A (ko) 2018-12-11 2020-06-19 이상일 비닐봉투 제조기의 비닐봉투 접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239A (ko) * 2004-12-28 2006-07-04 태진기계 주식회사 비닐백 제조장치
KR100802258B1 (ko) * 2007-02-27 2008-02-11 박종택 절단기 일체형 밴드 실링기
KR20110054830A (ko) * 2009-11-18 2011-05-25 박종택 고속 비닐봉지 제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5239A (ko) * 2004-12-28 2006-07-04 태진기계 주식회사 비닐백 제조장치
KR100802258B1 (ko) * 2007-02-27 2008-02-11 박종택 절단기 일체형 밴드 실링기
KR20110054830A (ko) * 2009-11-18 2011-05-25 박종택 고속 비닐봉지 제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056B1 (ko) * 2018-02-26 2018-07-06 (주)파코코리아인더스 실내 환기 시스템
KR20200071468A (ko) 2018-12-11 2020-06-19 이상일 비닐봉투 제조기의 비닐봉투 접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7540B2 (ja) 膨張可能なウェブを膨張および封止する機械
KR200486009Y1 (ko) 비닐봉투의 제조장치
US20110023413A1 (en) Packaging apparatus
KR200486659Y1 (ko) 비닐봉투 제조장치
ES2673495T3 (es) Sistema para proveer almohadillas infladas
KR100790735B1 (ko) 포장장치
KR200487108Y1 (ko) 롤형 비닐 포장지 제조장치
KR200486352Y1 (ko) 비닐원단의 절단장치
AU75397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op seal packaging
US20180312282A1 (en) Horizontal form-fill-seal packaging system
KR20210051946A (ko) 비닐 분할커팅유닛
KR101677212B1 (ko) 포장백 제조장치
JP5271819B2 (ja) 胴巻き包装機
US3405501A (en) Packaging machine
ES2346557T3 (es) Modulo de aplicacion de funcionamiento autonomo, en especial para una maquina de embalaje.
KR100850260B1 (ko) 세척모터를 구비한 액체 사면 포장기
JP2022543226A (ja) フィルム材料の連続運動インパルスヒートシーリング
JP5446463B2 (ja) 包装装置
KR200168962Y1 (ko) 수동식 포장 실링장치
KR20090111201A (ko) 낱장 절취가능한 비닐시트 묶음 형성장치 및 비닐시트묶음
IT1307294B1 (it) Apparato e metodo di confezionamento in film.
JPH06278722A (ja) 包装装置用シール装置
JP2001213406A (ja) 包装装置、包装方法及び包装品
KR100806147B1 (ko) 음식물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100351588B1 (ko) 지퍼를 부착시킬 수 있는 사이드 실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