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07Y1 - 조립식 탁자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탁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07Y1
KR200485607Y1 KR2020160003293U KR20160003293U KR200485607Y1 KR 200485607 Y1 KR200485607 Y1 KR 200485607Y1 KR 2020160003293 U KR2020160003293 U KR 2020160003293U KR 20160003293 U KR20160003293 U KR 20160003293U KR 200485607 Y1 KR200485607 Y1 KR 200485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rizontal frame
axis horizontal
ver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321U (ko
Inventor
유희운
Original Assignee
유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운 filed Critical 유희운
Priority to KR2020160003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0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4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탁자 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구조는 수직프레임과 각 수평 프레임이 체결되기 위해, 수직 프레임의 상부 일단으로 Y축 수평 프레임이 인입 설치되는 제1 설치홈이 마련되며, 수직 프레임의 상부 타단으로 X축 수평 프레임이 인입 설치되는 제2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Y축 수평 프레임의 종단은 상기 제1 설치홈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절개된 제1 체결슬릿을 구성되며, 상기 X축 수평 프레임의 종단은 상기 제2 설치홈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절개된 제2 체결슬릿을 구성되며; 상기 탁자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로 각각의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이 상호 수평을 이뤄 지지되도록 가압설치되고, 각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 상단으로 테이블이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프레임 용접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간 체결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연결 또는 장착하지 않아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여, 프레임의 제조단가를 충분히 격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탁자 구조{FABRICATED TABLE STRUCTURE}
본 고안은 탁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수단을 보유하지 않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탁자의 프레임을 상호 조립 및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자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판 상태의 상판과 이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아 있는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판을 들어 올려줌으로서 상판에 진열된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다른 물건들의 취급을 편리하게 한다. 종래의 탁자에는 다리를 접어서 사용가능한 접이식 탁자가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탁자의 경우, 2명이 탁자를 이용하든 5명이 탁자를 이용하든 항상 일정 규격의 상판 넓이를 갖는 탁자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탁자의 탁자용 지지다리는 통형인 단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길이와 부피가 커서 운반취급이 불편하고 많은 양을 운송할 수가 없어 소량씩 운송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운송비용의 부담이 증가되며 또한 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리와 상판을 분리하여도 부피가 여전히 커서 보관하는 데 많은 공간이 소요되며, 탁자 상판의 크기에 따라 그에 맞도록 제작된 별도의 지지다리가 설치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한번 제작된 지지다리는 높낮이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된 종래의 탁자는 첨부된 문헌에서와 같이, 철골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철골프레임(1)은 4개의 지주(2a,2b,2c,2d)와,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 및 하부를 연결하는 좌측 상부프레임(3a) 및 좌측보강프레임(4a)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 및 하부를 연결하는 우측 상부프레임(3b) 및 우측 보강 프레임(4b)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전방에 위치한 지주(2a)와 우측 전방에 위치한 지주(2c)의 상단을 연결하는 전방 상부프레임(5a) 및 좌측 후방에 위치한 지주(2b)와 우측 후방에 위치한 지주(2d)의 상단을 연결하는 후방 상부프레임(5b)와,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철골프레임(1)을 구성하는 4개의 지주(2a,2b,2c,2d)들 중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로 분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상부프레임(5a)과 후방 상부프레임(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을 각각 분리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에는 좌측 상부프레임(3a)의 전,후 양단이 용접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하부에는 좌측 보강프레임(4a)의 전,후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과 하부에는 각각 좌측 상부프레임(3a)과 좌측 보강프레임(4a)이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에는 우측 상부프레임(3a)의 전,후 양단이 용접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우측 보강프레임(4b)의 전,후 양단은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우측 상부프레임(3b) 및 우측 보강프레임(4b) 각각은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 및 하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각의 상단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이 각각 우측 한쌍의 지주(2c,2d)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각의 하부에 양단이 용접되어 있는 좌측 보강프레임(4a)의 중간부분에는 하부 연결프레임(6)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연결브라켓(8a)이 상기한 우측 보강프레임(4b)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국, 종래의 고정탁자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좌측 한쌍의 지주 각각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과 우측 한쌍의 지주 각각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에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양단을 체결볼트로 연결 조립하며,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 부착된 좌,우측 연결브라켓에 하부 연결프레임의 양단을 체결볼트로 연결 조립하는 수단으로 철골프레임을 견고하게 조립하여 사각형 상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사용시에는 사각형 상판을 받쳐주는 철골프레임을 좌,우측 각 쌍의 지주와 전,후방 상부 프레임 및 사각형 상판을 각각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협소한 보관장소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싣고 운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정형 탁자는 조립의 편의성과 휴대성을 야기하고 있으나, 프레임의 각 부위별 용접과 더불어, 프레임 간의 볼트 체결 구조로 제시되어 조립 과정에서의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비전문가의 소비자가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장이 필요하여 조립의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고정형 탁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 프레임 간의 용접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실상 제작 단가의 상승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2-0007682, 공개일자 2012년 11월 07일, 고안의 명칭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수단을 보유하지 않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탁자의 프레임을 상호 조립 및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탁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조립위치로 수평 프레임의 설치 방향에 따른 설치홈을 구비하고, 수평 프레임의 조립위치로 체결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설치홈과 체결슬릿 간의 억지끼움을 통한 조립의 편의성을 유도할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은 각각으로 설치홈 및 체결슬릿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프레임 용접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간 체결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연결 또는 장착하지 않아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여, 프레임의 제조단가를 충분히 격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프레임 및 수평 프레임으로 부설되는 체결수단을 보유하지 않음에 따라, 각 프레임의 적재 및 이동 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구조는, 사각 구조로 설치되는 탁자의 프레임은 중공형의 사각 바 형태를 갖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종단 및 임의 위치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체결되는 중공형 사각 바 형태의 X축 수평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탁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각 수평 프레임이 체결되기 위해, 수직 프레임의 상부 일단으로 Y축 수평 프레임이 인입 설치되는 제1 설치홈이 마련되며, 수직 프레임의 상부 타단으로 X축 수평 프레임이 인입 설치되는 제2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Y축 수평 프레임의 종단은 상기 제1 설치홈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절개된 제1 체결슬릿을 구성되며, 상기 X축 수평 프레임의 종단은 상기 제2 설치홈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절개된 제2 체결슬릿을 구성되며; 상기 탁자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 사이로 각각의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이 상호 수평을 이뤄 지지되도록 가압설치되고, 각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 상단으로 테이블이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설치홈은 상기 Y축 수평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1)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설치홈은 상기 X축 수평 프레임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2)만큼 이격되며; 상기 Y축 수평 프레임의 제1 체결슬릿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상기 A1 길이만큼 절개되고, 상기 제1 체결슬릿은 Y축 수평프레임의 종단으로부터 제1 설치길이(D1)만큼 이격되되, 상기 제1 설치길이(D1)는 Y축 수평 프레임이 수직프레임으로 설치되는 설치방향에서 수직 프레임의 내경이고; 상기 X축 수평 프레임의 제2 체결슬릿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두께로 상기 A2 길이만큼 절개된 제2 체결슬릿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체결슬릿은 X축 수평프레임의 종단으로부터 제2 설치길이(D2)만큼 이격되되, 상기 제2 설치길이(D2)는 상기 Y축 수평 프레임이 수직프레임으로 설치된 후, 상기 Y축 수평 프레임과 제2 설치홈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설치홈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1 설치홈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설치홈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2 설치홈을 형성한 후, 각 별도의 설치홈으로 별도의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이 인입 설치되며, 상기 별도의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은 지면을 향하도록 각각으로 별도의 체결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은 각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으로 다수 개 형성된 천공홀을 통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과의 끼움 결합되는 파스너가 설치되며; 상기 파스너는 상기 각 X축 수평 프레임 및 Y축 수평 프레임을 인입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성형되고, 각 종단부는 외향되도록 굴곡되어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가압력에 의해 수평 프레임을 수용한 후,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는, 탁자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조립위치로 수평 프레임의 설치 방향에 따른 설치홈을 구비하고, 수평 프레임의 조립위치로 체결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설치홈과 체결슬릿 간의 억지끼움을 통한 조립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은 각각으로 설치홈 및 체결슬릿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프레임 용접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간 체결을 위한 별도의 수단을 연결 또는 장착하지 않아도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여, 프레임의 제조단가를 충분히 격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조립식 탁자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탁자 프레임 구조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탁자 프레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탁자 체결 파스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탁자 프레임은 사각 구조로 예시하며, 사각 구조로 설치되는 탁자의 프레임은 중공형의 사각 바 형태를 갖는 수직프레임(201)과,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종단 및 임의 위치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체결되는 중공형 사각 바 형태의 X축 수평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프레임(201)과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이 체결되기 위해, 수직 프레임(201)의 상부 일단으로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인입 설치되는 제1 설치홈(203)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설치홈(203)은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1)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1)만큼 이격되고, 수직 프레임(201)의 상부 타단으로 X축 수평 프레임(221)이 인입 설치되는 제2 설치홈(205)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설치홈(205)은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1)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2)만큼 이격된다.
한편,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종단은 상기 제1 설치홈(203)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상기 A1 길이만큼 절개된 제1 체결슬릿(233)을 구성하며, 상기 제1 체결슬릿(233)은 Y축 수평프레임(231)의 종단으로부터 제1 설치길이(D1)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1 설치길이(D1)는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수직프레임(201)으로 설치되는 설치방향의 내경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은 상기 제2 설치홈(205)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상기 A2 길이만큼 절개된 제2 체결슬릿(223)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체결슬릿(223)은 X축 수평프레임(221)의 종단으로부터 제2 설치길이(D2)만큼 이격된다. 상기 제2 설치길이(D2)는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수직프레임(201)으로 설치된 후,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과 제2 설치홈(205) 간의 거리이다.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X축과 Y축은 수평 프레임 간의 상호 수직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정의되는 것일 뿐, 절대적인 방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201)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설치홈(203, 205)은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의 설치 방향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직 프레임(201)의 각 설치홈(203, 205)으로 각각의 수평 프레임(221, 231)이 설치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종단이 상기 제1 설치홈(203)으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종단은 수직 프레임(201)의 내측 단부에 밀착되며,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제1 체결슬릿(233)은 상기 수직 프레임(201)의 체결면과 수평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제1 설치홈(203)으로 인입된 후,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을 상부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체결슬릿(233)은 제1 설치홈(203)의 상측 절개면을 따라 인입 설치된다. 이후,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을 상기 제2 설치홈(205)으로 인입한다.
여기서, 제2 설치홈(205)으로부터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 간의 간격은 D2로 정의되며,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부로부터 제2 체결슬릿(223)까지의 거리는 D2이다. 따라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이 제2 설치홈(205)으로 인입되면, 수직 프레임(201)의 설치면과 제2 체결슬릿(223)은 수평을 이룬다.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이 인입된 후, X축 수평 프레임(221)의 하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체결슬릿(223)은 제2 설치홈(205)의 상측 절개면으로 인입 설치된다. 동시에,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은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일측 면과 밀착되는 구조로서, X축 수평 프레임(221)과 Y축 수평 프레임(231)은 수직 프레임(201)의 내측 공간에서 상호 지지되어 프레임 간의 견고함을 유도한다.
도 4는 수직 프레임(201)의 일단으로 X축 수평 프레임(221B) 및 Y축 수평 프레임(231B)가 부설됨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의 하부로 각각의 수평 프레임이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테이블의 하단으로 별도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거나, 테이블의 면적이 클 경우에 수직 프레임(20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설치홈(203)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1 설치홈(203B)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설치홈(205)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2 설치홈(205B)을 형성한 후, 각 설치홈(203B, 205B)으로 각각의 수평 프레임(231B, 221B)을 인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각 수평 프레임(231B, 221B)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체결슬릿(233B, 223B)은 지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각 수평 프레임(231B, 221B) 간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 수평 프레임(231B, 221B)이 상호 수평하게 설치되면, 각 수평 프레임(231B, 221B)의 상단으로 별도의 평판을 안착시켜 임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각 수직 프레임(201) 간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각 수평 프레임(231B, 221B)이 설치되는 경우, 별도의 평판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이 완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수직 프레임(201) 사이로 X축 수평 프레임(221),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상호 연결되고, 각각으로 부설되는 수평 프레임(231B, 221B)이 설치된다. 이후,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 상단으로 테이블(501)이 안착되며, 상기 테이블(501)은 중량을 감안하여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테이블(501)은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에 의해 고정되는데, 스크류에 의해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테이블(501)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과의 끼움 결합되는 파스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스크류에 의해 상기 테이블(501)이 조립되는 경우, 도 6에서 수직 프레임(201)과 X축 수평 프레임(221),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조립 상태 나타낸 사진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일단 즉, 지면으로부터 수직되도록 다수 개의 천공 홀(601)을 형성한다.
상기 천공 홀(601)이는 각 수평 프레임 상부로 테이블을 결합하기 위한 설치 홀이며, 상기 천공 홀(601)으로 스크류를 인입시킨 후, 테이블(501)과의 체결을 유도한다.
즉, 테이블(501)을 고정 설치하기 위해,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은 수직 프레임(201)의 안측으로 D1 만큼 인입된 후, 제1 체결슬릿(233)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201)으로 구성된 제1 설치홈(203)의 상측 절개면으로 인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은 제2 설치홈(205)으로 D2 만큼 인입된 후, 제2 체결슬릿(223)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201)으로 구성된 제2 설치홈(205)의 상측 절개홈으로 인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단부는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측부와 제2 설치홈(205)의 상측 절개홈에 의해 상호 지지되어 결합한다. 결국, 수직 프레임(201)은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에 의해 상호 지지되며, 이후 과정에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을 하부로부터 가압하여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수직 프레임(201)의 종단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 상단으로 테이블(501)을 안착시킨 후,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천공홀(601)으로 스크류를 인입시켜 상기 테이블(501)과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을 상호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과 테이블(501) 간의 체결을 스크류가 아닌 별도의 파스너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스크류에 의해 각 수평 프레임과 테이블을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테이블의 하부에 클립을 장착하여 각 수평 프레임의 상부로 가압 체결하는 구조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클립 구조의 파스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소정의 탄성을 갖고 각 수평 프레임으로 가압 설치될 때, 탄성에 의해 각 수평 프레임의 임의 위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서 인지되는 바와 같이 클립 구조의 파스너(701)는 금형 사출 또는 압출방식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테이블(501) 하단의 설정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파스너(701)는 수평 프레임을 인입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성형되며, 각 종단부는 외향되도록 굴곡되어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가압력에 의해 수평 프레임을 수용한 후, 탄성에 의해 수평 프레임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스너(701)는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의 중앙 위치로 각각 인입 설치되도록 테이블(501)의 하단에 고정되며, 적어도 4개의 파스너(701)가 각 수평 프레임(221, 231)으로 인입 고정되어 테이블(501)의 유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각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201)의 조립이 이루어진 후, 각 수평 프레임 상으로 상기 테이블(501)을 가압함으로써, 파스너(701)에 의해 상호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는 별도의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을 결합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파스너는 클립 구조를 갖지 않고, 테이블 하단에 임의 위치로 자석 수단을 결합한 후, 각 수평 프레임과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 수단은 네오디움 자석이 바람직하며, 테이블의 하부 임의 위치로 해당 자력 수단을 수용시킬 수 있는 홈을 형성한 후, 해당 홈으로 네오디움 자석을 장착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탁자 테이블의 프레임이 완성된 후, 상기 테이블을 안착시킴으로써 탁자의 프레임과 테이블 간 자력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진다. 즉, 테이블을 안착함으로써, 테이블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석 방식의 파스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 프레임(201) 및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의 재질이 철로 이루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반면, 상기 클립 구조의 파스너 또는 스크류에 의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수직 프레임(201) 및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의 재질은 무관할 것이다.
201 : 수직 프레임 203, 203B : 제1 설치홈
205, 205B : 제2 설치홈 221, 221B : X축 수평 프레임
223, 223B : 제2 체결슬릿 231, 231B : Y축 수평 프레임
233, 233B : 제1 체결슬릿 501 : 테이블
601 : 천공홀 701 : 파스너

Claims (5)

  1. 사각 구조로 설치되는 탁자의 프레임은 중공형의 사각 바 형태를 갖는 수직프레임(201)과,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종단 및 임의 위치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체결되는 중공형 사각 바 형태의 X축 수평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탁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201)과 각 수평 프레임(221, 231)이 체결되기 위해, 수직 프레임(201)의 상부 일단으로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인입 설치되는 제1 설치홈(203)이 마련되며, 수직 프레임(201)의 상부 타단으로 X축 수평 프레임(221)이 인입 설치되는 제2 설치홈(205)이 마련되고;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종단은 상기 제1 설치홈(203)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절개된 제1 체결슬릿(233)이 구성되며,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종단은 상기 제2 설치홈(205)으로 인입된 후 상부로 가압 설치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절개된 제2 체결슬릿(223)이 구성되며;
    상기 탁자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다수 개의 수직 프레임(201) 사이로 각각의 X축 수평 프레임(23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상호 수평을 이뤄 지지되도록 가압설치되고, 각 X축 수평 프레임(23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 상단으로 테이블(501)이 안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홈(203)은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1)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1)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설치홈(205)은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두께보다 작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201)의 종단으로부터 간격(A2)만큼 이격되며;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의 제1 체결슬릿(233)은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상기 간격(A1) 길이만큼 절개되고, 상기 제1 체결슬릿(233)은 Y축 수평프레임(231)의 종단으로부터 제1 설치길이(D1)만큼 이격되되, 상기 제1 설치길이(D1)는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수직프레임(201)으로 설치되는 설치방향에서 수직 프레임(201)의 내경이고;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의 제2 체결슬릿(223)은 상기 수직프레임(201)의 두께로 상기 간격(A2) 길이만큼 절개된 제2 체결슬릿(223)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체결슬릿(223)은 X축 수평프레임(221)의 종단으로부터 제2 설치길이(D2)만큼 이격되되, 상기 제2 설치길이(D2)는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이 수직프레임(201)으로 설치된 후, 상기 Y축 수평 프레임(231)과 제2 설치홈(205) 간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홈(203)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1 설치홈(203B)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설치홈(205)의 수직 하향으로 별도의 제2 설치홈(205B)을 형성한 후, 각 설치홈(203B, 205B)으로 별도의 X축 수평 프레임(221B) 및 Y축 수평 프레임(231B)이 인입 설치되며, 상기 X축 수평 프레임(221B) 및 Y축 수평 프레임(231B)은 지면을 향하도록 각각으로 체결슬릿(233B, 223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501)은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으로 다수 개 형성된 천공홀(601)을 통해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501)의 하단에 구비되어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과의 끼움 결합되는 파스너(701)가 설치되며;
    상기 파스너(701)는 상기 각 X축 수평 프레임(221) 및 Y축 수평 프레임(231)을 인입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갖도록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태로 성형되고, 각 종단부는 외향되도록 굴곡되어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가압력에 의해 수평 프레임을 수용한 후, 탄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탁자 구조.

KR2020160003293U 2016-06-13 2016-06-13 조립식 탁자 구조 KR200485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93U KR200485607Y1 (ko) 2016-06-13 2016-06-13 조립식 탁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293U KR200485607Y1 (ko) 2016-06-13 2016-06-13 조립식 탁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21U KR20170004321U (ko) 2017-12-21
KR200485607Y1 true KR200485607Y1 (ko) 2018-03-14

Family

ID=6125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293U KR200485607Y1 (ko) 2016-06-13 2016-06-13 조립식 탁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346A (zh) * 2018-11-29 2019-02-22 苏州市职业大学 一种便携式户外野餐桌
KR102608873B1 (ko) * 2021-11-08 2023-12-01 정명래 평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72Y1 (ko) 2010-11-04 2012-08-06 박상영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
KR101397547B1 (ko)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68B2 (ja) * 1988-07-20 1994-03-16 征男 浅利 家具等における三方向角パイプの接合構造
KR20120007682U (ko) 2011-04-29 2012-11-07 김영운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72Y1 (ko) 2010-11-04 2012-08-06 박상영 가구용 금속제 다리구조.
KR101397547B1 (ko)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21U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1629B2 (en) Chair assembly
US6789859B1 (en) User assembled metallic cabinet
KR102105593B1 (ko)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200485607Y1 (ko) 조립식 탁자 구조
US10251485B2 (en) Seating furniture
US7510244B1 (en) Event chair construction
US3917368A (en) Pedestal stand column assembly
KR100809099B1 (ko) 책상
US20200069069A1 (en) Lightweight electric bedstead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KR101097100B1 (ko) 의자 일체형 조립식 테이블
KR20200002862U (ko) 수납이 편리한 소파
KR102388459B1 (ko)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498381B1 (ko) 조립식 소파
KR102503473B1 (ko) 조립용 테이블
EP1969968A1 (en) Quick-assembly modular chair
JP7019189B2 (ja) 板材支持具及び間仕切り体
CN218718015U (zh) 一种床体支腿的装配结构
KR200349008Y1 (ko) 조립식 수납장
KR20100011849U (ko) 조립식 의자
JP3239530U (ja) テーブル長椅子セット
CN219594110U (zh) 一种可拆卸的吧椅
JP3184466U (ja) 椅子
JP5378823B2 (ja) パレット積層治具
US5692624A (en) Modular framing unit and furniture made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