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99B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99B1
KR100809099B1 KR1020060031529A KR20060031529A KR100809099B1 KR 100809099 B1 KR100809099 B1 KR 100809099B1 KR 1020060031529 A KR1020060031529 A KR 1020060031529A KR 20060031529 A KR20060031529 A KR 20060031529A KR 100809099 B1 KR100809099 B1 KR 10080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legs
top plate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010A (ko
Inventor
장용건
Original Assignee
장용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건 filed Critical 장용건
Priority to KR102006003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99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포장 면적에 비해 두께가 슬림(slim)하여 포장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2중 구조를 갖는 4개의 다리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 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좌, 우로 길게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어 상판 하부의 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넓게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사각파이프, 책상, 테이블

Description

책상{DESK}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다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리의 조립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책꽂이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꽂이틀이 책상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책꽂이가 더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본체 110 : 전면프레임
112,122,132,142 : 상판받침 114 : 전면좌측다리
116 : 전면우측다리 120 : 후면프레임
124 : 후면좌측다리 126 : 후면우측다리
128 : 상판보강프레임 130 : 좌측면프레임
134 : 좌측앞다리 136 : 좌측뒷다리
138 : 좌측면보강프레임 140 : 우측면프레임
144 : 우측앞다리 146 : 우측뒷다리
148 : 우측면보강프레임 150 : 고정볼트
151 : 머리 152 : 몸통
153,163 : 나사 160 : 인서트너트
161 : 전면플랜지 162 : 후면플랜지
164 : 나사원통 200 : 상판
210 : 보조상판 300 : 책꽂이틀
310 : 좌측프레임 310a,350a : 나사
312,322 : 원호부 314 : 좌측앞다리
316,326 : 받침부 318 : 좌측뒷다리
320 : 우측프레임 324 : 우측앞다리
328 : 우측뒷다리 330 : 전면받침대
340 : 후면받침대 350 : 책꽂이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간단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포장 면적에 비해 두께가 슬림(slim)하여 포장 보관 및 운반 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2중 구조를 갖는 4개의 다리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 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좌, 우로 길게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어 상판 하부의 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넓게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책상은 상판의 각 모서리에 다리가 조립 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각 다리의 높낮이가 미세하게 차이가 나서 책상 전체가 흔들리게 되는 등 불안정하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경우 상판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각 모서리에 다리가 조립되게 한 후 다시 뒤집어서 사용될 위치에 놓아야 하는 등 조립의 불편함도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책상을 좌, 우로 길게 하여서 되는 것을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는데, 긴 책상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중간에도 다리를 받쳐야 함으로써, 책상의 하부공간이 외관상 보기 안 좋게 되는 한편, 책상 하부 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넓게 사용 및 활용을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조립이 간단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하고, 둘째, 포장 면적에 비해 두께가 슬림(slim)하여 포장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며, 셋째, 2중 구조를 갖는 4개의 다리에 의해 흔들림이나 뒤틀림 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좌, 우로 길게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어 상판 하부의 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넓게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판을 이루는 상판이 올려지는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평의 상판받침 양쪽에 전면좌측다리와, 전면우측다리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양쪽 다리가 마주보는 면의 상,하에 수평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면프레임과; 수평의 상판받침 양쪽에 후면좌측다리와, 후면우측다리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양쪽 다리의 전면 상, 하에 수평으로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프레임과; 수평의 상판받침 양쪽에 좌측앞다리와, 좌측뒷다리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에는 전면좌측, 후면좌측다리의 관통홀과 대응하는 인서트너트가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과; 수평의 상판받침 양쪽에 우측앞다리와, 우측뒷다리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에는 전면우측, 후면우측다리의 관통홀과 대응하는 인서트너트가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전면좌,우측다리, 후면좌,우측다리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좌,우측앞다리, 좌,우측뒷다리에 설치된 인서트너트에 고정볼트가 조임 되어, 상판받침과, 2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전면좌측,좌측앞다리, 전면우측,우측앞다리, 후면좌측,좌측뒷다리, 후면우측,우측뒷다리에 의해 상기 상판이 지지되게 하는 것과, 상기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은 사각 파이프로 되고, 상판받침의 양쪽 다리, 상판받침의 양쪽 다리, 상판받침의 양쪽 다리, 상판받침의 양쪽 다리의 연결부위는 원호를 이루는 것과, 상기 좌측면프레임과 우측면프레임은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보다 높게 되고, 전,후면프레임의 상판받침에는 상판이 설치되며, 좌,우측프레임의 상판받침에는 보조상판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 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은 전면프레임 보 다 높게 되고, 좌측프레임의 양쪽 다리 사이에는 좌측면보강프레임을, 우측프레임의 양쪽 다리 사이에는 우측면보강프레임이 설치되게 하되,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판받침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하는 한편, 좌,우측면보강프레임에 상판보강프레임이 설치되게 하며, 상기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의 상판받침에는 보조상판이,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판받침과, 상판보강프레임에는 상판이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것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좌측앞다리와 좌측뒷다리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 한편, 좌측 앞, 뒷다리의 상부가 원호부를 이루게 되고, 좌측앞다리에 "L"자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되는 좌측프레임과: 우측앞다리와 우측뒷다리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 한편, 우측 앞, 뒷다리의 상부가 원호부를 이루게 되고, 우측앞다리에 "L"자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되는 우측프레임과: 좌, 우측앞다리의 내측면 사이와, 좌, 우측뒷다리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전, 후면받침대로 구성되는 책꽂이틀의 상기 받침대가 고정되게 하고, 전, 후면받침대와 좌, 우측프레임의 사이에 책꽂이가 결합되게 하여서 되는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책상 본체(100)는 전면프레임(110), 후면프레임(120), 좌측측면프레임(130), 우측면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프레임(110)은 수평을 이루는 상판받침(112)의 한 쪽에는 전면좌측다리(114)가, 반대편 쪽에는 전면우측다리(116)가 평행하게 수직 하향 절곡 형성되 고, 전면좌측다리(114)와, 전면우측다리(116)에는 상, 하에 수평의 관통홀(2a)이 형성되는데, 전면좌측다리(114)와 전면우측다리(116)가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후면프레임(120)은 수평을 이루는 상판받침(122)의 한쪽에는 후면좌측다리(124)가, 반대편 쪽에는 후면우측다리(126)가 평행하게 수직 하향 절곡 형성되고, 후면좌측다리(124)와, 후면우측다리(126)에는 상, 하에 수평의 관통홀(2a)이 형성되는데, 각 다리(124)(126)의 전, 후면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면프레임(130)은 수평을 이루는 상판받침(132)의 한 쪽에는 좌측앞다리(134)가, 반대편 쪽에는 좌측뒷다리(134)가 평행하게 수직 하향 절곡 형성되고, 좌측앞다리(134) 중 전면좌측다리(114)에 면접되는 곳에 전면좌측다리(114)에 형성된 관통홀(2a)과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되며, 좌측뒷다리(136) 중 후면좌측다리(124)에 면접되는 곳에 후면좌측다리(124)에 형성된 관통홀(2a)과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면프레임(140)은 수평을 이루는 상판받침(142)의 한쪽에는 우측앞다리(144)가, 반대편 쪽에는 우측뒷다리(144)가 평행하게 수직 하향 절곡 형성되고, 우측앞다리(144) 중 전면우측다리(116)에 면접되는 곳에 전면우측다리(116)의 관통홀(2a)과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되며, 우측뒷다리(146) 중 후면우측다리(126)에 면접되는 곳에 후면우측다리(126)의 관통홀(2a)과 동일한 위치에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된다.
상기의 관통홀(2a)은 도 3 도시와 같이 각 다리(114)(116)(124)(126)의 상,하에 수평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의 인서트너트(160)는 도 4 도시와 같이 원통체로 형성되는데, 앞쪽에는 전면플랜지(161)가, 그 뒤쪽에는 후면플랜지(162)가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평행하게 형성되고, 뒤쪽의 내부면에는 나사부(163)가 일체로 형성되며, 각 다리(134)(136)(144)(146)의 상,하에 형성된 구멍(2c)에 고정된다. 상기에 있어, 구멍(2c)의 앞쪽에는 전면프랜지(161)가, 뒤쪽에는 후면플랜지(162)가 위치하는 동시에 전, 후면플랜지(161)(162)가 구멍(2c)의 둘레를 협지하는 상태로 고정되며, 각 다리(114)(116)(124)(126)의 관통홀(2a)과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 있어, 상기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110)(120)(130)(14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되고, 상판받침(112)의 양쪽 다리(114,116), 상판받침(122)의 양쪽 다리(124,126), 상판받침(132)의 양쪽 다리(134,136), 상판받침(142)의 양쪽 다리(144,146)의 연결부위는 1/4 원호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에 있어, 각 다리(114)(116)(124)(126)(134)(136)(144)(146)의 높이는 같게 되는 한편, 각 상판받침(112)(122)(132)(142)의 높이 역시 같게 되고, 각 상판받침(112)(122)(132)(142)에는 상판(200)을 고정되게 할 수 있는 구멍(2c)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는데,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면프레임(130)(140)은 동일한 폭을 이루면서 형성되나, 후면프레임(120)은 전면프레임(110) 보다 더 큰 폭을 이루면서 형성되는데, 다리 2개의 폭만큼 더 큰 폭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좌측면프레임(130)과 우측면프레임(140)을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 보 다 높게 되게 하고, 전, 후면프레임(110)(120)의 상판받침(112)(122)에는 상판(200)이 설치되게 하며, 좌, 우측프레임(130)(140)의 상판받침(132)(142)에는 보조상판(210)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후면프레임(120), 좌측면프레임(130), 우측면프레임(140)을 전면프레임(110) 보다 높게 되게 하고, 좌측프레임(130)의 양쪽 다리(134)(136) 사이에는 좌측면보강프레임(138)을, 우측프레임(140)의 양쪽 다리(144)(146) 사이에는 우측면보강프레임(148)이 설치되게 하되,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판받침(112)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하는 한편, 좌, 우측면보강프레임(138)(148)에 상판보강프레임(128)이 설치되게 하며, 상기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120)(130)(140)의 상판받침(122)(132)(142)에는 보조상판(210)이,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판받침(112)과, 상판보강프레임(128)에는 상판(200)이 설치되게 하여서 된다. 상기에 있어, 보조상판(210)에는 책 또는 프린터 등과 같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도 8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 설치되는 책꽂이틀(30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책꽂이틀(300)은 상부가 원호를 이루는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의 사이에 책꽂이(350)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프레임(310)은 좌측앞다리(314)와 좌측뒷다리(318)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데, 상부에 원호부(312)가 형성되고, 좌측앞다리(314)에 "L" 자 형상의 받침부(316)가 연장된다.
상기 우측프레임(320)은 우측앞다리(324)와 우측뒷다리(328)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데, 상부에 원호부(322)가 형성되고, 우측앞다리(324)에 "L" 자 형상의 받침부(326)가 연장된다.
상기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좌, 우에 평행하게 되는데, 전면받침대(330)과 후면받침대(240)에 의해 간격이 유지된다.
상기 전면받침대(330)는 좌측프레임(310)의 좌측앞다리(314) 내측면과 우측프레임(320)의 우측앞다리(324) 내측면에 고정되고, 후면받침대(340)는 좌측프레임(310)의 좌측뒷다리(318) 내측면과 우측프레임(320)의 우측뒷다리(328) 내측면에 고정되며, 전, 후면받침대(330)(340)는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고정 설치된다.
상기의 책꽂이틀(300)은 도 9 도시와 같이 책상 본체(100)의 상판(200)에 얹혀져 설치되는데, 좌, 우측프레임(310)(320)의 각 받침부(316)(326)가 상판(200)에 얹혀지는 한편, 수직으로 나사(310a)가 조임 되어 고정되고, 전, 후면받침대(330)(340)의 상부에 통체로 되는 책꽂이(350)가 설치되는데, 책꽂이(350)의 양쪽 내측면에서 나사(350a)가 조임 되게 하되, 좌측앞다리(314), 우측앞다리(324)에 조임 되게 하여 고정되게 한다.
도 10에는 상기 책꽂이(350) 위에 또 하나의 책꽂이(350)가 더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데, 상기 책꽂이(350)는 좌, 우측프레임(310)의 받침부(316)(326)가 상판(200)에 나사(310a)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받침부(316)(326)가 "L"자 형상을 이루게 됨으로써,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것이 예방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a)전면프레임(110)의 전면좌측다리(114) 외측면에 좌측면프레임(130)의 좌측앞다리(134)가 면접되게 하고, 전면좌측다리(114)의 관통홀(2a)을 통해 좌측앞다리(134)의 인서트너트(160)에 고정볼트(150)가 도 5 도시와 같이 조임 되게 하고,
b)전면프레임(110)의 전면우측다리(124) 외측면에 우측면프레임(140)의 우측앞다리(144)가 면접되게 하고, 전면우측다리(124)의 관통홀(2a)을 통해 우측앞다리(144)의 인서트너트(160)에 고정볼트(150)가 도 5 도시와 같이 조임 되게 하고,
c)좌측면프레임(130)의 좌측뒷다리(136) 뒷면에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좌측다리(124) 앞면이 면접되게 하고, 후면좌측다리(124)의 관통홀(2a)을 통해 좌측뒷다리(134)의 인서트너트(160)에 고정볼트(150)가 도 5 도시와 같이 조임 되게 하고,
d)우측면프레임(140)의 우측뒷다리(146) 뒷면에 후면프레임(120)의 후면우측다리(126) 앞면이 면접되게 하고, 후면우측다리(126)의 관통홀(2a)을 통해 우측뒷다리(146)의 인서트너트(160)에 고정볼트(150)가 도 5 도시와 같이 조임 되게 하고,
e)각 프레임(110)(120)(130)(140)의 상판받침(112)(122)(132)(142)에 상판(200)을 올려놓고 각각의 구멍(2c)을 통해 저면으로 나사가 조임되게 하면 조립이 완료 되는 것으로,
f)각 상판받침(112,122,132,142)과, 2개 한 쌍을 이루게 되는 전면좌측,좌측앞다리(114,134), 전면우측,우측앞다리(116,144), 후면좌측,좌측뒷다리(124,136), 후면우측,우측뒷다리(126,146)에 의해 상기 상판(200)이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좌측면프레임, 우측면프레임을 고정볼트로 간단하게 조립되게 하는 한편, 상판을 나사로 고정되게 하여서 소비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상판에 각 프레임이 적층되는 상태로 포장되어 포장 면적에 비해 두께가 슬림하게 됨으로써, 포장 보관 및 운반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4개소의 다리가 2개 한 쌍씩 2중 구조로 되어 흔들림이나 뒤틀림 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좌, 우로 긴 책상을 만들어 사용하여도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어 책상의 하부 공간을 사용자가 보다 넓게 사용 및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삭제
  2. 수평의 상판받침(112) 양쪽에 전면좌측다리(114)와, 전면우측다리(116)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양쪽 다리(114)(116)가 마주보는 면의 상,하에 수평으로 관통홀(2a)이 형성되는 전면프레임(110)과; 수평의 상판받침(122) 양쪽에 후면좌측다리(124)와, 후면우측다리(126)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양쪽 다리(124)(126)의 전면 상, 하에 수평으로 관통홀(2a)이 형성되는 후면프레임(120)과; 수평의 상판받침(132) 양쪽에 좌측앞다리(134)와, 좌측뒷다리(136)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134)(136)에는 전면좌측, 후면좌측다리(114)(136)의 관통홀(2a)과 대응하는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되는 좌측면프레임(130)과; 수평의 상판받침(142) 양쪽에 우측앞다리(144)와, 우측뒷다리(146)가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다리(144)(146)에는 전면우측, 후면우측다리(116)(126)의 관통홀(2a)과 대응하는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되는 우측면프레임(140)으로 구성되는 책상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110)(120)(130)(140)은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전면좌,우측다리(114)(116), 후면좌,우측다리(124)(126)에 형성된 관통홀(2a)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상기 좌,우측앞다리(134)(144), 좌,우측뒷다리(136)(146)에 상기 관통홀(2a)과 대응하는 인서트너트(160)가 설치되게 하여, 통상의 고정볼트(150)가 상기 관통홀(2a)을 통해 상기 인서트너트(160)에 조임되게 하여서 전면좌측,좌측앞다리(114,134), 전면우측,우측앞다리(116,144), 후면좌측,좌측뒷다리(124,136), 후면우측,우측뒷다리(126,146)가 결합되게 하며, 상기 상판받침(112)(122)(132)(142)에 상판(200)이 지지되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프레임(130)과 우측면프레임(140)은 전면프레임(110)과 후면프레임(120) 보다 높게 되고, 전,후면프레임(110)(120)의 상판받침(112)(122)에는 상판(200)이 설치되며, 좌,우측프레임(130)(140)의 상판받침(132)(142)에는 보조상판(210)이 설치되는 책상.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120), 좌측면프레임(130), 우측면프레임(140)은 전면프레임(110) 보다 높게 되고, 좌측프레임(130)의 양쪽 다리(134)(136) 사이에는 좌측면보강프레임(138)을, 우측프레임(140)의 양쪽 다리(144)(146) 사이에는 우측면보강프레임(148)이 설치되게 하되,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판받침(112)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하는 한편, 좌,우측면보강프레임(138)(148)에 상판보강프레임(128)이 설치되게 하며, 상기 후면, 좌측면, 우측면프레임(120)(130)(140)의 상판받침(122)(132)(142)에는 보조상판(210)이, 상기 전면프레임(110)의 상판받침(112)과, 상판보강프레임(128)에는 상판(200)이 설치되게 하여서 되는 책상.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의 상부에, 좌측앞다리(314)와 좌측뒷다리(318)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 한편, 좌측 앞, 뒷다리(314)(318)의 상부가 원호부(312)를 이루게 되고, 좌측앞다리(314)에 "L"자 형상의 받침부(316)가 형성되는 좌측프레임(310)과: 우측앞다리(324)와 우측뒷다리(328)가 수직을 이루면서 앞뒤로 평행하게 되는 한편, 우측 앞, 뒷다리(324)(328)의 상부가 원호부(322)를 이루게 되고, 우측앞다리(324)에 "L"자 형상의 받침부(326)가 형성되는 우측프레임(320)과: 좌, 우측앞다리(314)(324)의 내측면 사이와, 좌, 우측뒷다리(318)(328)의 내측면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전, 후면받침대(330)(340)로 구성되는 책꽂이틀(300)의 받침대(316)(326)가 고정되게 하고, 전, 후면받침대(330)(340)와 좌, 우측프레임(310)(320)의 사이에 책꽂이(350)가 결합되게 하여서 되는 책상.
KR1020060031529A 2006-04-06 2006-04-06 책상 KR10080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29A KR100809099B1 (ko) 2006-04-06 2006-04-06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529A KR100809099B1 (ko) 2006-04-06 2006-04-06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010A KR20070100010A (ko) 2007-10-10
KR100809099B1 true KR100809099B1 (ko) 2008-03-04

Family

ID=3880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529A KR100809099B1 (ko) 2006-04-06 2006-04-06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15Y1 (ko) * 2010-10-03 2012-11-30 김상열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KR101246541B1 (ko) * 2010-12-02 2013-03-21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1246542B1 (ko) * 2010-12-02 2013-03-26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1531812B1 (ko) *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56B1 (ko)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001U (ko) * 1973-07-06 1975-04-01
JPS52109001U (ko) * 1976-02-14 1977-08-19
JPS52121302U (ko) * 1976-03-12 1977-09-14
JPS5414703U (ko) * 1977-07-04 1979-01-30
US4467730A (en) * 1982-01-04 1984-08-28 The Telescope Folding Furniture Co. Inc. Table with releasable to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001U (ko) * 1973-07-06 1975-04-01
JPS52109001U (ko) * 1976-02-14 1977-08-19
JPS52121302U (ko) * 1976-03-12 1977-09-14
JPS5414703U (ko) * 1977-07-04 1979-01-30
US4467730A (en) * 1982-01-04 1984-08-28 The Telescope Folding Furniture Co. Inc. Table with releasable to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915Y1 (ko) * 2010-10-03 2012-11-30 김상열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KR101246541B1 (ko) * 2010-12-02 2013-03-21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1246542B1 (ko) * 2010-12-02 2013-03-26 장용건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1531812B1 (ko) * 2015-03-13 2015-06-25 (주)대우가구 조립형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010A (ko)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644B2 (en) Supporting frame
KR100809099B1 (ko) 책상
US8528969B2 (en) Class chair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JP2006212106A (ja) 学習家具
US10045620B2 (en) Reconfigurable furniture system
JP2008067820A (ja) ベッド装置
US20230371692A1 (en) Wooden dining chair
JP3224503U (ja) 木製シェルフ
KR200379700Y1 (ko) 수직으로 적재 가능한 의자
KR200400955Y1 (ko) 침대용 수납장
KR101190435B1 (ko) 다기능 가구
JP3241992U (ja) 簡易組立式テーブル
KR101301903B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조립식 책상
US3335990A (en) Furniture supporting means
KR102343994B1 (ko) 트랜스포밍 가구
CN210842104U (zh) 一种可拆装收纳柜
JP2008011945A (ja) ベッドと机の組合せ家具
CN213882299U (zh) 一种可拆装折叠的转角架
JP2016202517A (ja)
KR200485770Y1 (ko) 책상용 프레임
KR200327839Y1 (ko) 의자
JP4905177B2 (ja) 机システム
JP6597998B2 (ja) 収納棚
JP2006346083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