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915Y1 -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915Y1
KR200463915Y1 KR2020100010178U KR20100010178U KR200463915Y1 KR 200463915 Y1 KR200463915 Y1 KR 200463915Y1 KR 2020100010178 U KR2020100010178 U KR 2020100010178U KR 20100010178 U KR20100010178 U KR 20100010178U KR 200463915 Y1 KR200463915 Y1 KR 2004639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astening
chair
dining table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19U (ko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김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열 filed Critical 김상열
Priority to KR2020100010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91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9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6Underframes of metal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식탁 또는 의자의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체결측 프레임인 제1프레임 및 피체결측 프레임인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체결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에는, 봉형 로드에 의해 회전 마찰 및 프레스 방식으로 드로잉가공되어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의 표면으로부터 중공을 향해 보스가 형성되며, 형성된 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입구가 구형상으로 테이퍼가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볼트 체결시 기준점을 제공하는 체결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탁이나 혹은 의자용 프레임을 볼트 고정할 때 조임력이 우수하고,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어 쉽게 풀리거나 헐거워 지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프레임 자체의 특별한 변형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조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외관 품위가 향상되는 효과 외에 초기 조립시 조립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FRAME TYPE DINNER TABLE OR CHAIR}
본 고안은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탁 혹은 의자 프레임을 조립고정할 때 사용되는 볼트의 조임력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진 식탁 혹은 의자 등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은 주로 볼트 체결방식을 통해 상호 조립 고정되어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쇼핑몰에서 필요한 물품, 이를 테면 의자나 식탁 등을 구입할 경우 배송의 불편을 없애고, 이동의 용이성과 파손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형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즉, 용도에 맞는 프레임을 용접으로 접합하여 완성된 일체형 의자나 식탁 등은 부피가 크고 형상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운송상 불편이 커 물류비용이 크게 증가됨은 물론 임의의 프레임이 파손될 경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보관하기도 어렵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도 있다.
이에, 최근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간단한 공구를 통해 사용자가 즉시에 조립 사용할 수 있는 의자나 식탁 등이 개발되었고, 이들은 대부분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들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체결고정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볼트 체결방식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볼트 체결식 의자, 식탁 프레임 조립구조는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2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볼트(30)로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데, 이때 체결력의 대부분은 제1,2프레임(10,20)의 두께만큼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경량화가 요구되는 식탁 혹은 의자의 특성상 제1,2프레임(10,20)의 두께가 두껍지 않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비틀림 등의 하중을 받게 되면 체결력(조임력)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쉽게 헐거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은 소비자의 불만사항으로 작용하게 되며, 장기간 사용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삐걱거리는 소음도 발생시키게 되어 불만은 더욱 가중되게 되고, 고정볼트(30) 주변이 극심하게 마찰되면서 도장이 쉽게 벗겨져 외관이 흉하게 변함은 물론 쉽게 녹이 스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너트나 보조고정구를 사용하고 있으나, 외장형의 경우는 외관 품위가 떨어지고, 내장형, 즉 프레임 내부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비용상승은 물론 대부분 용접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난해하며 작업공수를 증대시키는 단점을 파생시킨다.
보조고정구를 사용한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0809099호 '책상'을 들 수 있는데, 개시된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보조고정구로 인서트너트(insert nut)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인서트너트는 볼트의 조임력 향상을 위한 주된 부재이기 때문에 프레임과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제공될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고, 작업시마다 끼워 넣어 맞춘 후 강한 힘을 가해 조립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초기 조립위치를 잡기 어렵고, 조립위치를 맞춘다고 해도 두 개의 프레임을 맞대었을 경우 조금만 힘이 가해져도 서로 틀어져 버리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한계도 있다.
이에,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본 고안과 동일 명칭으로 하여 드로잉 가공을 통해 볼트공에 버(Burr)를 일부러 일정길이 형성하고, 그 버의 내주면을 탭핑가공하여 나사산을 냄으로써 프레임과 별개가 아닌 일체를 유지하면서 조임력, 볼트 고정성 등을 극도로 향상시킨 기술을 특허 출원한 바 있다.
그리하여, 생산 시판중에 있으나 사용중 조립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그것은 앞서 설명하였듯이, 초기 조립시 조립위치를 특정할 수 없어 초기 조립시간이 증가하고, 불편함이 야기된 점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 개선의 필요성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 기술을 더욱 개량하여 초기 조립 위치를 특정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더욱 더 향상시킨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식탁 또는 의자의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체결측 프레임인 제1프레임 및 피체결측 프레임인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체결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에는, 봉형 로드에 의해 회전 마찰 및 프레스 방식으로 드로잉가공되어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의 표면으로부터 중공을 향해 보스가 형성되며, 형성된 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입구가 구형상으로 테이퍼가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볼트 체결시 기준점을 제공하는 체결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체결가이드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맞대었을 때 각 프레임의 두께만큼을 제외한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가이드의 길이 중앙부를 기점으로 각 프레임의 두께를 합한 거리만큼 떨어져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마주보는 방향에는 평평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반대방향은 상기 구형상으로 테이퍼 가공된 삽입공의 입구부에 대응되게 라운드부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단에는 각각 밀착판이 더 형성되되, 상기 밀착판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록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압시 오목한 부분이 제1,2프레임의 중공 내측면에 진공을 형성하면서 압착되는 형태로 흡착고정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가이드는 체결가이드의 길이 중앙부를 기점으로 각 프레임의 두께를 합한 거리만큼 떨어져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마주보는 방향에는 평평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반대방향은 상기 구형상으로 테이퍼 가공된 삽입공의 입구부에 대응되게 라운드부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탁이나 혹은 의자용 프레임을 볼트 고정할 때 조임력이 우수하고, 장시간 동안 일정한 조임력을 유지할 수 있어 쉽게 풀리거나 헐거워 지지 않아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며, 프레임 자체의 특별한 변형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조임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외관 품위가 향상되는 효과 외에 초기 조립시 조립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조립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프레임 조립구조를 보인 부분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조립구조의 기본구성을 예시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조립구조를 위한 보스 형성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조립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조립구조는 의자 혹은 식탁 등과 같은 기구물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들의 조립시 사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2는 다수가 앉을 수 있는 식탁용 프레임을 예시적으로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도 2와 같은 식탁용 프레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프레임 조립구조를 갖는 모든 기구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조립용 프레임을 가져야 한다.
이를 테면, 도 2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그것이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00)은 볼트가 최초 삽입되는 체결측 프레임을 말하는 것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세로프레임을 지칭하며, 제2프레임(200)은 상기 체결측 프레임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체결측 프레임 쪽으로 밀착 고정되는 피체결측 프레임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가로프레임을 지칭한다.
그리고, 이들 제1,2프레임(100,200)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고정볼트(30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2프레임(100,200)은 모두 사각형상이 바람직하고, 내부는 중공된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1,2프레임(100,200)의 형상이 반드시 사각형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각형 또는 원형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2프레임(100,200)에는 이들을 결속시키는 고정볼트(300)가 체결될 위치에 볼트공(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는데, 이 볼트공 중 어느 하나에는 보스(400)가 돌출된다.
상기 보스(400)는 상기 제1,2프레임(100,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둘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체결력 향상에 더 좋고, 각 프레임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어야 조립시 불편하지 않으며, 중공 내부에 형성되어야 외관 품위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2의 실시예는 상기 보스(400)가 하나만 형성된 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보스(400)는 단순히 별도의 부재를 용접 혹은 기타의 고정방식으로 덧대거나 덧붙인 것이 아니라, 상기 제1,2프레임(100,200)들 중에서 상기 보스(400)가 형성된 쪽 프레임 자체에서 연장형성된 것으로, 해당 프레임과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가공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300)가 충분히 긴 길이에 걸쳐 볼트 체결되게 되므로 조임력이 향상되어 외부 충격이나 비틀림에 의해서도 회전토크를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쉽게 풀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보스(400)는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은 방식, 이를 테면 드로잉 가공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재프레임(F, 제1,2프레임)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볼트공(B)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봉형 로드(S, 하단면이 약간 볼록해야 함)를 대고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가압(Press)하게 되면, 모재프레임(F)의 표면과 봉형 로드(S)가 서로 마찰되면서 마찰열에 의해 볼트공(B) 형성위치의 모재 조직이 연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봉형 로드(S)를 서서히 누르게 되면 해당 부위가 도 3의 (a)에서 (b)와 같은 상태로 하향 연장되면서 'D' 만큼 연장된 보스(Boss)(400)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원하는 길이(D)로 보스(400)가 형성되면, 그 내주면에 나사탭(나사산)(T)을 가공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조립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스(400)의 길이(D)는 볼트공(B)의 반경에 비례하게 되므로 볼트공(B)의 반경에 따라 보스(400)의 돌출 길이(D)를 조절할 수 있는데, 다수회의 테스트 결과 조임력을 충분히 제공하기 위해서는 3~5mm로 돌출시킴이 가장 적당하였다.
이는 3mm 미만으로 돌출시킬 경우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토크를 억제할 충분한 조임력을 가질 수 없고, 5mm를 초과하게 되면 보스(400)의 두께가 얇아져 내구성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반드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보스(400)는 고정볼트(300)에 형성된 나사산과 최대한 많은 면적에 걸쳐 접촉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토크를 충분히 이겨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체결력 향상을 위해 스페이서가 더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체결되는 고정볼트(300)는 맞대어진 프레임들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체결되게 되어 있고, 또 고정볼트(300)의 끝단이 프레임의 중공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관 품위도 급격히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300) 초기 체결시 체결의 용이성, 원활성을 확보하기 위해 체결가이드(500,500',5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체결가이드(500,500',500")는 앞서 설명한 기본 조립구조에 더해지는 것으로, 최초 조립시 각 프레임들을 맞대었을 때 유동성을 줄이고, 기준점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볼트(300)의 체결시간을 단축하고, 특히 여성, 노약자, 어린이들도 십자나 일자 드라이버로 간단히 체결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는 프레임 조립시 프레임들간 구멍(볼트공)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한 손으로는 프레임이 맞대어진 부분이 틀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는 고정볼트(300)를 삽입시킨 후 공구를 들고 조이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손과 발 등의 사지를 이용하여 조립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웠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체결가이드(500,500',500")에 의해 기준점이 정해지기 때문에 이를 회전축으로 하여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돌려 구멍(볼트공)을 맞춘 상태에서 고정볼트(300)를 끼우고 공구로 조이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가이드(500,500',50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가장 바람직한 모델로 선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500,500',500")는 신축성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물로 탄성을 갖기 때문에 작업성이 더욱 좋다.
먼저, 도 4에 예시된 체결가이드(500)는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을 맞대었을 때 각 프레임의 두께만큼을 제외한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가이드(500)의 길이 일부를 기점으로 각 프레임의 두께를 합한 거리만큼 떨어져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고 한 쌍의 걸림돌기(5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50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은 평평한 걸림턱(510)을 이루고, 그 반대방향은 대략 구형상으로 돌출된 라운드부(520)를 이룬다.
여기에서, 대칭점이 길이 일부라고 설명한 이유는 도시와 같이 제1,2프레임(100,200)의 폭(즉, 두께)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동일 폭을 가질 경우에는 길이 중앙을 기점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체결가이드(5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제1,2프레임(100,200)에는 각각 삽입공(110,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110,210)은 입구가 구형상으로 테이퍼지게 가공되어 상기 라운드부(520)가 진입하기 쉽게 구성되며, 입구 반대면은 평평한 수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턱(510)이 걸려 쉽게 빠져 나올 수 없도록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입공(110,210)은 상기 고정볼트(300)를 중심으로 상부 혹은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고정볼트(300)를 체결하기 전에, 즉 조립 초기에 먼저 상기 체결가이드(500)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고정볼트(300)를 더욱 쉽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테면, 체결가이드(500)의 어느 일단을 제1프레임(100)의 삽입공(110)에 먼저 끼운다.
그 상태에서 조금 더 힘을 가하면 테이퍼 가공된 삽입공(110)의 입구를 타고 체결가이드(500)의 라운드부(520)가 탄성변형되면서 삽입공(110)을 통과하며, 통과와 동시에 걸림턱(510)이 제1프레임(100)의 내측면에 걸림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체결가이드(500)의 삽입된 단부는 제1프레임(10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접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2프레임(200)의 삽입공(210)은 동일한 방식으로 체결가이드(500)의 타단에 삽입하면 도시와 같은 형태로 제1,2프레임(100,200)이 체결가이드(500)에 의해 지지된 채 기준점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는 제1,2프레임(100,200)이 모두 체결가이드(500)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체결가이드(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유동만 가능할 뿐 간격이 떨어지거나 비틀리거나 하는 현상을 억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2프레임(100,200)을 간단히 맞춘 후 고정볼트(300)를 끼워 보스(400)에 체결하면 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가이드(500')는 도 4에 도시된 체결가이드(500)와 대부분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양단에 각각 밀착판(530)이 더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밀착판(53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각 단부 쪽으로 볼록하고, 그 반대방향인 제1,2프레임(100,200)의 내측면을 향해서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압시 오목한 부분이 제1,2프레임(100,200)의 내측면에 진공을 형성하면서 압착되는 형태로 흡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가이드(500')의 길이는 도 4에 예시된 체결가이드(500)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가이드(500")는 라운드부(520)로부터 제1,2프레임(100,200)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분을 없애고 아주 짧은 길이를 갖도록, 즉 제1,2프레임(100,20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 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3가지의 실시예가 대칭구조를 갖지 않고, 각각 한 쪽에만 형성된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가이드(500,500',500")를 부가함으로써 체결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체결시간을 단축하면, 안정적인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노약자, 여성, 어린이 등도 아주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고정볼트(300)의 나사산과 접촉되는 면이 더욱 더 증대되어 체결력은 물론 조임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비틀림 등에 의해 고정볼트(300)가 풀리려는 회전토크가 발생하더라도 체결력, 즉 조임력이 이 회전토크보다 더 크게 되므로 고정볼트(300)는 쉽게 풀리지 않고 장시간 동안 지속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체결 부위가 헐거워지거나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삐걱거림과 같은 소음도 발생하지 않게 되고, 고정볼트(300) 체결부위가 유동되지 않아 해당 부위의 도장면이 벗겨지지도 않으므로 외관품위도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체결가이드(500,500',500")에 의해 보조 고정효과가 생겨 고정성, 체결유지력 등이 더 증대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게 된다.
100 : 제1프레임 110,210 : 삽입공
200 : 제2프레임 300 : 고정볼트
400 : 보스 500,500',500" : 체결가이드
510 : 걸림턱 520 : 라운드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식탁 또는 의자의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된 체결측 프레임인 제1프레임 및 피체결측 프레임인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체결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에는, 봉형 로드에 의해 회전 마찰 및 프레스 방식으로 드로잉가공되어 상기 제1프레임 혹은 제2프레임의 표면으로부터 중공을 향해 보스가 형성되며, 형성된 보스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볼트공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입구가 구형상으로 테이퍼가공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고정볼트 체결시 기준점을 제공하는 체결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체결가이드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맞대었을 때 각 프레임의 두께만큼을 제외한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가이드의 길이 중앙부를 기점으로 각 프레임의 두께를 합한 거리만큼 떨어져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마주보는 방향에는 평평한 걸림턱이 형성되고, 반대방향은 상기 구형상으로 테이퍼 가공된 삽입공의 입구부에 대응되게 라운드부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가이드의 양단에는 각각 밀착판이 더 형성되되, 상기 밀착판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볼록하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가압시 오목한 부분이 제1,2프레임의 중공 내측면에 진공을 형성하면서 압착되는 형태로 흡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4. 삭제
KR2020100010178U 2010-10-03 2010-10-03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KR2004639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78U KR200463915Y1 (ko) 2010-10-03 2010-10-03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178U KR200463915Y1 (ko) 2010-10-03 2010-10-03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19U KR20120002519U (ko) 2012-04-12
KR200463915Y1 true KR200463915Y1 (ko) 2012-11-30

Family

ID=4660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178U KR200463915Y1 (ko) 2010-10-03 2010-10-03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91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735B2 (ja) * 1992-04-03 2001-04-25 アイデアソシエイツ リミテッド チューブ状の台枠を有する家具
JP2003125867A (ja) * 2001-08-16 2003-05-07 Sun Wave Ind Co Ltd 金属製キャビネット
KR100809099B1 (ko) * 2006-04-06 2008-03-04 장용건 책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735B2 (ja) * 1992-04-03 2001-04-25 アイデアソシエイツ リミテッド チューブ状の台枠を有する家具
JP2003125867A (ja) * 2001-08-16 2003-05-07 Sun Wave Ind Co Ltd 金属製キャビネット
KR100809099B1 (ko) * 2006-04-06 2008-03-04 장용건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19U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353B2 (en) Trampoline
US9523381B1 (en) Socket assembly
US10973324B2 (en) Corner member for a supportive frame assembly
US20120084940A1 (en) Castor Having a Greater Structural Strength to Bear a Heavier Load
KR100483907B1 (ko) 선반 체결용 클램프
TWM572856U (zh) Bicycle handle riser coupling device
KR200463915Y1 (ko) 프레임형 식탁 또는 의자 조립구조
KR200269767Y1 (ko) 의자 조립용 파이프 연결부재
EP1969240A1 (en) Integrated joiner
US3390421A (en) Chair base
TWI513145B (zh) 馬達定子組
US6152540A (en) Golf trolley wheel connection assembly
TWI444215B (zh) The weight of the golf club head
KR200374475Y1 (ko) 선반 체결용 클램프
JP2016203198A (ja) リベット締結装置
KR20110035730A (ko) 프레임형 식탁ㆍ의자 조립구조
KR101267255B1 (ko) 지구의
KR102448678B1 (ko)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CN209587110U (zh) 换挡杆及汽车
JP3162744U (ja) 組立式ラック
TWI454400B (zh) 自行車之快拆結構
GB2548215A (en) Easily assembled pedal structure
TWI306070B (ko)
JPH0345623Y2 (ko)
TWI580834B (zh) 縫紉機夾線調整旋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