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8678B1 -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 Google Patents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8678B1
KR102448678B1 KR1020210023882A KR20210023882A KR102448678B1 KR 102448678 B1 KR102448678 B1 KR 102448678B1 KR 1020210023882 A KR1020210023882 A KR 1020210023882A KR 20210023882 A KR20210023882 A KR 20210023882A KR 102448678 B1 KR102448678 B1 KR 102448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ed
coupling
mount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149A (ko
Inventor
서광복
Original Assignee
서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복 filed Critical 서광복
Priority to KR102021002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6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 E03C1/06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allowing height adjustment of shower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의 수직파이프에 설치되어 샤워용구를 보관하도록 된 거치유닛으로서,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는 거치구본체;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된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홈으로 구성된 연결고정부; 및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구본체 및 상기 연결고정부를 상기 수직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은 욕실에 마련되는 수직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욕실용품이 거치되는 거치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거치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분리 없이 거치유닛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Assembled unit for mounting sh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실에 마련되는 수직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욕실용품이 거치되는 거치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거치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분리 없이 거치유닛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 사용되는 샤워 장치는 벽체에 별도의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가이드봉에 샤워기 헤드 거치구나 비누 받침대 등의 거치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종래 거치장치는 대부분 두개의 체결부재가 가이드봉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 상태에서 볼트 등을 통해 상호 체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가이드봉이 거치장치를 관통한 상태에서 레버나 볼트 등의 부재가 회전하여 가이드봉 둘레면을 가압함에 따라 가이드봉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회전되면 가압력이 해제되는 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치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 위치조절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구조상 위치조절이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볼트나 레버를 회전시켜 가이드봉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켜야 하고, 위치조절 후 다시 볼트 또는 레버를 조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존의 거치장치는 위치조절을 위한 결합 및 결합해제 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다.
특히 가이드봉이 관통되어진 구조의 종래 거치장치는 가이드봉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봉으로부터 분리가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만약 거치장치의 파손등에 의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불가피하게 가이드봉까지 벽체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89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에 마련되는 수직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욕실용품이 거치되는 거치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거치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분리 없이 거치유닛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욕실의 수직파이프에 설치되어 샤워용구를 보관하도록 된 거치유닛으로서,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는 거치구본체;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된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홈으로 구성된 연결고정부; 및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구본체 및 상기 연결고정부를 상기 수직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본체는 거치몸체와, 상기 거치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되도록 한쌍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관과, 상기 거치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어 보관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거치구본체의 안착홈 내측으로는 체결부재가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의 외면을 내측에서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내측탄성가압부재가 더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지면에 상기 거치구본체에 형성된 결합관에 체결되도록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에는 상기 결합관의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의 지지면이 상기 연결관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돌부에는 가압면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는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의 외면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가압부재가 더 체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탄성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끼움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은 욕실에 마련되는 수직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각종 욕실용품이 거치되는 거치유닛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거치유닛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되고 수직파이프의 분리 없이 거치유닛의 설치위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설치상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거치구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거치구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샤워기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설치상태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을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거치구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거치구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샤워기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립식 거치유닛이라 명명함)는 욕실의 벽면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는 수직파이프(100)에 설치되어 샤워용구 및 욕실용구 등을 보관하도록 된 거치유닛(10)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치유닛(10)은 거치구본체(20)와 연결고정부(30)와 체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구본체(20)는 상기 수직파이프(100)에 끼움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된다.
상기 거치구본체(2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구본체(20)는 거치몸체(21)와, 상기 거치몸체(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100)에 끼움되도록 한쌍의 안착홈(221)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결합나사부(223)가 형성된 결합관(22)과, 상기 거치몸체(21)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어 보관되는 거치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부(23)는 상기 거치몸체(21)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23)는 거치홀을 갖는 거치패널이며, 샤워헤드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안착홀이 마련된 샤프트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상기 거치부(23)는 샤워용구 및 욕실용구 등을 올려놓거나 끼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샤워기 거치대, 비누 거치대, 면도거울 거치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구본체(20)의 안착홈(221) 내측으로는 체결부재(40)가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의 외면을 내측에서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내측탄성가압부재(24)가 더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탄성가압부재(24)는 내측탄성가압패널(242)과 상기 내측탄성가압패널(242)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거치구본체(20)에 체결되는 내측끼움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고정부(30)는 상기 수직파이프(100)에 끼움된 상기 거치구본체(20)에 체결되는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홈(3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31)은 중공의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1)의 일단에 상기 지지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31)은 상기 결합관(22)을 감싸면서 단부에 끼움되고, 상기 지지홈(32)은 상기 수직파이프(100)에 끼움된다.
즉, 상기 결합관(22)의 안착홈(221)과 상기 연결관(31)의 지지홈(32)이 상기 수직파이프(100)를 감싸면서 끼움되어, 탈부착이 용이하게 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고정부(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관(31)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링을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찰링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이 상기 결합관(22)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마찰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이 이동되거나 상기 결합관(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상기 거치구본체(20)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구본체(20) 및 상기 연결고정부(30)를 상기 수직파이프(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지지면(41)의 중앙에 상기 거치구본체(20)에 형성된 결합관(22)에 체결되도록 체결돌부(42)가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42)에는 상기 결합관(22)의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나사부(223)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체결나사부(42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42)가 상기 결합관(22)에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40)의 지지면(41)이 상기 연결관(31)을 가압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된다.
상기 체결부재(4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금속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수직파이프(100)를 감싸면서 상기 연결관(31)을 상기 결합관(2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40)의 체결돌부(42)를 상기 결합관(22)의 단부에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관(3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연결관(31)과 상기 결합관(22)을 상호 상기 수직파이프(100) 방향으로 조여 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직파이프(100)에서 상기 결합관(22)과 상기 연결관(31)이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40)의 지지면(41)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링구조의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패드가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관(31)의 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연결관(31)이 이동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고,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부(42)에는 상기 가압면(421)에 연결공(42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423)에는 상기 체결돌부(42)가 상기 결합관(22)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100)의 외면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가압부재(43)가 더 체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43)는 탄성가압패널(431)과, 상기 탄성가압패널(431)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423)에 체결되는 끼움돌기(4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가압패널(431)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돌부(42)가 상기 결합관(22)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100)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체결돌부(42)가 상기 결합관(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외력에 의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패널(431)과 상기 내측탄성가압패널(242)의 양쪽 탄성에 의해 수직파이프(100)에 대한 더욱 강한 결속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패널(431)에는 전면에 가압코일스프링의 일단을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돌부(42)를 상기 체결관에 체결시 상기 가압코일스프링이 상기 가로파이프를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재차 상기 체결돌부(42)가 외력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결합관(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파이프(100)에 상기 거치유닛(1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1)에는 내면에 가이드돌기(311)가 일체로 더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1)이 끼움되는 상기 거치구본체(20)의 결합관(22)에는 외면에 상기 가이드돌기(311)가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홈(222)이 더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11)를 상기 가이드홈(222)에 끼워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결관(31)을 상기 결합관(22)에 끼우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관(3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거치유닛 20 : 거치구본체
21 : 거치몸체 22 : 결합관
24 : 내측탄성가압부재 242 : 내측탄성가압패널
221 : 안착홈 222 : 가이드홈
223 : 결합나사부 23 : 거치부
30 : 연결고정부 31 : 연결관
311 : 가이드돌기 32 : 지지홈
40 : 체결부재 41 : 지지면
42 : 체결돌부 421 : 가압면
422 : 체결나사부 423 : 연결공
43 : 탄성가압부재 431 : 탄성가압패널
432 : 끼움돌기 100 : 수직파이프

Claims (5)

  1. 욕실의 수직파이프에 설치되어 샤워용구를 보관하도록 된 거치유닛으로서,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는 거치구본체;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된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홈으로 구성된 연결고정부; 및
    상기 거치구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거치구본체 및 상기 연결고정부를 상기 수직파이프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에 있어서,
    상기 거치구본체는 거치몸체와,
    상기 거치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파이프에 끼움되도록 한쌍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결합나사부가 형성된 결합관과,
    상기 거치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샤워용구가 거치되어 보관되는 거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구본체의 안착홈 내측으로는 체결부재가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의 외면을 내측에서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내측탄성가압부재가 더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마찰링을 부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상기 마찰링에 의해 상기 연결관이 상기 결합관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마찰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관이 이동되거나 상기 결합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지지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패드가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관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지지면에 상기 거치구본체에 형성된 결합관에 체결되도록 체결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에는 상기 결합관의 내주연에 형성된 결합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체결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의 지지면이 상기 연결관을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부에는 가압면에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에는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결합관에 체결시, 상기 수직파이프의 외면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도록 탄성가압부재가 더 체결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탄성가압패널과, 상기 탄성가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는 끼움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KR1020210023882A 2021-02-23 2021-02-23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KR102448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82A KR102448678B1 (ko) 2021-02-23 2021-02-23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882A KR102448678B1 (ko) 2021-02-23 2021-02-23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49A KR20220120149A (ko) 2022-08-30
KR102448678B1 true KR102448678B1 (ko) 2022-09-29

Family

ID=8311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882A KR102448678B1 (ko) 2021-02-23 2021-02-23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86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784A (ja) * 2000-12-25 2002-07-10 Reliance Inc スライド式シャワーフック取付装置
JP2002220861A (ja) * 2001-01-25 2002-08-09 Inax Corp シャワーフック装置
KR200470966Y1 (ko) * 2012-07-24 2014-01-22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서포팅 유닛
KR200488929Y1 (ko) * 2017-11-01 2019-04-05 김기옥 높이조절 가능한 샤워용구 홀더유닛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S20040083A1 (it) * 2004-07-09 2004-10-09 Bossini S R L Ora Bossini Spa Dispositivo per il fissaggio ad una parete di un'asta saliscendi di un gruppo doccia
KR102049956B1 (ko) * 2018-01-29 2019-11-28 대림통상 주식회사 샤워수전용 악세사리수용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4784A (ja) * 2000-12-25 2002-07-10 Reliance Inc スライド式シャワーフック取付装置
JP2002220861A (ja) * 2001-01-25 2002-08-09 Inax Corp シャワーフック装置
KR200470966Y1 (ko) * 2012-07-24 2014-01-22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서포팅 유닛
KR200488929Y1 (ko) * 2017-11-01 2019-04-05 김기옥 높이조절 가능한 샤워용구 홀더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49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0975B2 (en) Bolt holding device and connecting system
US20080298886A1 (en) Bicycle tube-clamp assembly
RU241057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становки объектов на стенк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10271516A1 (en) Socket Adaptor Apparatus and Methods
KR102448678B1 (ko) 샤워용구 거치용 조립식 유닛
AU2008324400A1 (en) Connecting fitting and installation arrangement
US6070940A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backrest, armrest, and seat of a chair
CN211565761U (zh) 一种新型弹簧拆装工具
JP6691626B1 (ja) ブラケット取り付け構造
US20090211014A1 (en) Grab bar with insert
CN109404376B (zh) 面板紧固机构以及面板安装方法
CN111202445B (zh) 一种柔性连接的食品加工机
CN214314307U (zh) 一种线缆锁紧结构
US20170020349A1 (en) Fixing device of toilet cover
CN210707703U (zh) 一种agv外壳连接的隐藏式固定装置
KR101779869B1 (ko) 일체화된 관 앵커를 갖는 소켓 조인트
CN112013080A (zh) 一种实现自适应调节绳索张紧状态的旋压式紧固件装置
CN220910811U (zh) 一种管件定位抱箍
CN212839178U (zh) 一种实现自适应调节绳索张紧状态的旋压式紧固件装置
CN217170864U (zh) 自行车座管调整结构
JP2000005044A (ja) 固定具からなる組
CN216478369U (zh) 低压断路器用紧固螺栓
CN211059185U (zh) 工程机械防松铰接结构
CN210122191U (zh) 便于拆装螺旋桨的无人机
CN218898897U (zh) 导轨组件及抽屉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