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5Y1 - 침대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침대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5Y1
KR200400955Y1 KR20-2005-0024945U KR20050024945U KR200400955Y1 KR 200400955 Y1 KR200400955 Y1 KR 200400955Y1 KR 20050024945 U KR20050024945 U KR 20050024945U KR 200400955 Y1 KR200400955 Y1 KR 200400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hinge
bed
cabinet
storag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20-2005-0024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침대용 수납장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은,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레일을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전면 일측 코너 포스트에 근접하는 지지레일과 수납장의 일측 모서리측 상판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1,2힌지구멍과, 이들 제1,2힌지구멍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1부싱 및 이 제1부싱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힌지축 그리고 수납장의 상판 하측으로 돌출된 제1힌지축의 하단과 결합되고 다수의 나사부재로 상판에 체결되는 제1플랜지로 구성되는 상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납장의 하판과 코너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브라켓트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3,4힌지구멍과, 이 제3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2부싱 및 제4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제3부싱과, 상기 제2,3부싱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설되는 제2힌지축 및 상기 제3부싱의 하측으로 체결되어 나사조절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하부힌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침대용 수납장은, 메인 프레임과 수납장의 상,하판에 대응되게 상부힌지와 하부힌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수납장의 안정된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납장 후면측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대용 수납장{a wardrobe for bed}
본 고안은 침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는 수납장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켜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도를 개선시킨 침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타 주거용 공간에 설치되는 침대는 그 용도에 따라 싱글이나 더블 및 2층 침대 등으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침대는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소비자에게 미감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침대는 사용빈도가 낮은데 반해 공간 점유율이 높은 편에 속하는 가구로서, 옷장과 같은 수납장과 책상과 별도로 구비되어 방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일정 높이에 매트리스를 구비시키고 그 하부 공간에 수납장이나 책상 등을 구비시킨 멀티 이층침대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은 옷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침대의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층 침대는 수납장을 침대의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시키는 구조에 의해 수납장의 후면측 공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침대의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수납장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켜 수납장의 후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은,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레일을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전면 일측 코너 포스트에 근접하는 지지레일과 수납장의 일측 모서리측 상판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1,2힌지구멍과, 이들 제1,2힌지구멍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1부싱 및 이 제1부싱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힌지축 그리고 수납장의 상판 하측으로 돌출된 제1힌지축의 하단과 결합되고 다수의 나사부재로 상판에 체결되는 제1플랜지로 구성되는 상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납장의 하판과 코너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브라켓트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3,4힌지구멍과, 이 제3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2부싱 및 제4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제3부싱과, 상기 제2,3부싱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설되는 제2힌지축 및 상기 제3부싱의 하측으로 체결되어 나사조절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하부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제1플랜지는 중앙에 제1힌지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이 축공에 삽입된 제1힌지축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하부힌지는 제2부싱과 제3부싱 사이에 마찰패드가 개재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이 적용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수납장의 상부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4는 수납장의 하부힌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침대(1)는 멀티형 이층 침대로서,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네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네 개의 코너 포스트(2a)와 이들 코너 포스트(2a)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3)가 놓여지는 지지레일(4)을 일체로 구비하는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3)의 하부 공간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 옷장, 책상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멀티형 이층침대(1)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매트리스(3)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는 수납장(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켜 선택적으로 수납장(5)의 후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형 이층 침대에 적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침대용 수납장은 메인 프레임(2)과 수납장(5)의 상,하측에 상부힌지(10)와 하부힌지(20)가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납장(5)이 침대(1)의 전면일측 코너 포스트(2a)를 기준으로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도 2와 같은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부힌지(10)는 메인 프레임(2)을 구성하는 코너 포스트(2a) 중 전면 일측에 위치하는 코너 포스트(2a)에 근접하는 지지레일(4) 상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힌지구멍(11)이 형성되고, 이 제1힌지구멍(11)의 하측으로 즉, 제1힌지구멍(11)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납장(5)의 일측 모서리측 상판(5a)에 제2힌지구멍(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힌지구멍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형상의 제1부싱(13)이 일체로 끼움 결합되고, 이 제1부싱(13)의 내측으로는 제1힌지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이때의 상기 제1힌지축(14)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수납장(5)의 상판(5a)에 형성된 제2힌지구멍(12)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축(14)의 하단 즉, 수납장(5)의 상판(5a) 하측면에는 판재형상의 제1플랜지(15)가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제1플랜지(15)는 제1힌지축(14)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공(15a)을 형성하고, 제1힌지축(14)과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15)는 다수의 나사부재(16)로 상판(5a)에 체결되어 위치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힌지(10)는 수납장(5)의 상판(5a)측에 제1힌지축(14)이 제1플랜지(15)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힌지축(14)은 제1,2힌지구멍에 결합된 제1부싱(13)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힌지축(14)을 구비한 수납장(5)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부힌지(20)는 상술한 상부힌지(10)의 하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부힌지(10)와 함께 수납장(5)의 회동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힌지(20)는 수납장(5)의 하판(5b)에 제3힌지구멍(21)이 형성되고, 그 하측으로 코너 포스트(2a)의 하부 일측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판재형의 브라켓트(B)에 제4힌지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제3,4힌지구멍(21,22)을 상호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3힌지구멍(21)에는 관형상의 제2부싱(23)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부싱(23)의 하측면에는 판재형상의 제2플랜지(30)가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제2플랜지(30)는 제2부싱(23)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공(30a)을 형성하고, 제2부싱(23)과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제4힌지구멍(22)에는 내주연에 나사체결이 가능하게 나사 가공된 너트 형태의 제3부싱(24)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2,3부싱의 내측에는 제2힌지축(25)이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설되며, 이때의 상기 제2힌지축(25)의 길이는 제2,3부싱의 전체 길이에 비해 단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부싱(24)의 하측으로는 지지체(26)가 나사체결에 의해 구비되어 상단부가 상기 제2힌지축(25)의 하부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체(26)는 나사 조절방식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하부면이 평평하게 가공되어 지면에 안정되게 접촉되는 형태를 갖는다.
한편, 상기 하부힌지(20)는 제2부싱(23)과 제3부싱(24) 사이에 마찰패드(27)를 개재하여 마찰에 의한 부품간섭과 소음을 최소화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하부힌지(20)는 요약하면, 수납장(5)의 하판(5b)과 코너 포스트(2a)에 연결되는 브라켓트(B)에 제3,4힌지구멍(21,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제2,3힌지구멍에 각각 힌지축과 지지체(26)가 삽입되는 제2,3부싱이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수납장(5)의 하판(5b)에 일체로 구비되는 제2부싱(23) 부분이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수납장(5)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침대용 수납장은, 메인 프레임과 수납장의 상,하판에 대응되게 상부힌지와 하부힌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수납장의 안정된 회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수납장 후면측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힌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 및 도 4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 2 : 메인 프레임
2a : 코너 포스트 3 : 매트리스
4 : 지지레일 5 : 수납장
5a : 상판 5b : 하판
10 : 상부힌지 11,12 : 제1,2힌지구멍
13 : 제1부싱 14 : 제1힌지축
15 : 제1플랜지 16 : 나사부재
20 : 하부힌지 21,22 : 제3,4힌지구멍
23,24 : 제2,3부싱 25 : 제2힌지축
26 : 지지체 27 : 마찰패드

Claims (4)

  1.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레일을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전면 일측 코너 포스트에 근접하는 지지레일과 수납장의 일측 모서리측 상판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1,2힌지구멍과, 이들 제1,2힌지구멍에 일체로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1부싱 및 이 제1부싱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힌지축 그리고 수납장의 상판 하측으로 돌출된 제1힌지축의 하단과 결합되고 다수의 나사부재로 상판에 체결되는 제1플랜지로 구성되는 상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수납장의 하판과 코너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용접으로 접합되는 브라켓트에 수직하게 연결 형성되는 제3,4힌지구멍과, 이 제3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관형상의 제2부싱 및 제4힌지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너트 형태의 제3부싱과, 상기 제2,3부싱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설되는 제2힌지축 및 상기 제3부싱의 하측으로 체결되어 나사조절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체로 구성되는 하부힌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는 중앙에 제1힌지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이 축공에 삽입된 제1힌지축은 용접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싱의 하측면에는 제2부싱의 하단이 삽입되는 축공을 형성하고, 제2부싱과는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는 판재형상의 제2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힌지는 제2부싱과 제3부싱 사이에 마찰패드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KR20-2005-0024945U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KR200400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45U KR200400955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45U KR200400955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5Y1 true KR200400955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45U KR200400955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07Y1 (ko) 2009-06-16 2010-03-15 오형미 책상일체형 침대
CN102763994A (zh) * 2012-08-06 2012-11-07 贵州大学 一种大学公寓多功能床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07Y1 (ko) 2009-06-16 2010-03-15 오형미 책상일체형 침대
CN102763994A (zh) * 2012-08-06 2012-11-07 贵州大学 一种大学公寓多功能床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64348U (zh) 一种便于收纳的折叠桌
KR200400955Y1 (ko) 침대용 수납장
KR200448107Y1 (ko) 책상일체형 침대
US20090301361A1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KR101716002B1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100809099B1 (ko) 책상
US5427341A (en) Furniture base construction
KR100997904B1 (ko) 개선된 선반 구조
US6931676B1 (en) Corner bed arrangement
CN211021807U (zh) 一种抽拉式储物床
JP3128259U (ja) 折り畳めるナイトテーブルがヘッドボードに格納できるベッド
KR200377719Y1 (ko) 침대와 옷장을 일체로 구비한 조합형 책상
KR200400956Y1 (ko) 침대용 수납장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200235232Y1 (ko) 책상기능을 갖는 침대
CN112515401A (zh) 一种抽拉式储物床
KR200335952Y1 (ko) 디자인 가변형 소파
KR100517314B1 (ko) 공동주택 침실용 벽걸이 침대
JP3192043U (ja) システムユニット畳家具セット
JP2002125783A (ja) 家 具
KR200468733Y1 (ko) 독서용 책장
JPH0354602Y2 (ko)
KR200400954Y1 (ko) 침대용 사다리
KR200167779Y1 (ko) 절첩식 침대의 헤드판을 이용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