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682U -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 Google Patents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682U
KR20120007682U KR2020110003705U KR20110003705U KR20120007682U KR 20120007682 U KR20120007682 U KR 20120007682U KR 2020110003705 U KR2020110003705 U KR 2020110003705U KR 20110003705 U KR20110003705 U KR 20110003705U KR 20120007682 U KR20120007682 U KR 201200076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s
welding
frame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김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운 filed Critical 김영운
Priority to KR2020110003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682U/ko
Publication of KR20120007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8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2Stowable tables with detachable top leave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에 있어서,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전,후에 형성되는 좌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과 하부에는 좌측 상부 프레임과 좌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우측 전,후에 형성되는 우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과 하부에는 우측 상부 프레임과 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좌측 상부 프레임 및 좌측 보강브레임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좌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상부 프레임 및 우측 보강프레임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우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하부 연결프레임의 좌,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중간부분에 좌,우측 연결브라켓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Sectional type steel frame of fixing table}
본 고안은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을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상기 고정탁자를 보관시나 운송시에는 철골프레임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좁은 면적의 창고에 많은 량을 보관할 수 있고, 차량 적재함에 많은 량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시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고안된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상판으로 구성되는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을 각형파이프로 제작할 때에는 상기한 상판의 네모서리부분을 받쳐주는 4개의 지주 각각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주 각각의 상단을 전,후측 상부 프레임 및 좌,우측 상부 프레임으로 연결하며, 또한 4개의 지주들 중 전,후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지주 각각의 하부를 연결하는 좌,우측 보강프레임 및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을 하부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하는 구조로서 4개의 지주를 견고하게 연결시켜주는 구성으로 고정탁자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은 4개의 지주와 이들 각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는 전,후측 및 좌,우측 상부 프레임과, 상기 4개의 지주 하부를 연결하는 좌,우측 보강프레임 및 하부 연결프레임 각각을 용접으로 연결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은 부피가 커져서 협소한 보관장소에는 고정탁자를 많이 보관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화물차량을 이용하여 고정탁자를 운반하고자 할 때에도 적재함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실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홈쇼핑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는 종래의 고정탁자와 같이 철골프레임의 부피가 크고 부피를 축소할 수 없기 때문에 물류운송비가 매우 비싸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종래의 고정탁자는 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자나 물품을 공급받는 사용자 모두에게 운송비의 부담이 커져 전자상거래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탁자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판 절첩식 탁자 등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상판을 접어주기 위한 절첩구조가 복잡하고 조립부품이 많아 제작비가 고정탁자에 비하여 많이 비쌀 뿐 아니라 고장이 잘나서 사용수명이 짧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구조 개선하여 상기 고정탁자를 보관 및 운반하고자 할 때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보관시에는 좁은 장소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운반시에는 차량의 적재함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류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자상거래를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분리된 고정탁자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4개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의 상단에 연결되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 및 좌,우측 상부 프레임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전,후로 서로 마주하는 좌,우측 각 쌍의 지주 각각의 하부를 연결하는 좌,우측 보강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을 구비하여서 되는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전,후에 형성되는 좌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과 하부에는 좌측 상부 프레임과 좌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우측 전,후에 형성되는 우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과 하부에는 우측 상부 프레임과 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상부 프레임 및 좌측 보강브레임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좌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상부 프레임 및 우측 보강프레임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우측 한쌍의 지주 각 상단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의 좌,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중간부분에 좌,우측 연결브라켓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과 우측 전,후방 브라켓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 각각은 상부가 개구된 "∪"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두 쌍의 지주 각각의 상단과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중간부분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과 우측 전,후방 브라켓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 각각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 및 하부 연결프레임 각각의 양단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마주하는 상태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체결공에는 너트가 용접되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탁자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좌측 한쌍의 지주 각각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과 우측 한쌍의 지주 각각의 상단에 용접되어 있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에 전,후방 상부 프레임 각각의 양단을 체결볼트로 연결 조립하며,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에 서로 마주하게 고정 부착된 좌,우측 연결브라켓에 하부 연결프레임의 양단을 체결볼트로 연결 조립하는 수단으로 철골프레임을 견고하게 조립하여 사각형 상판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하며, 비사용시에는 사각형 상판을 받쳐주는 철골프레임을 좌,우측 각 쌍의 지주와 전,후방 상부 프레임 및 사각형 상판을 각각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협소한 보관장소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많은 량의 고정탁자를 싣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고안은 전자상거래에서 차지하는 물류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을 분리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고정탁자의 일실시예의 철골프레임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철골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측 또는 우측 한쌍의 지주 조립상태와 상부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얘의 철골프레임 및 상판의 조립공정 순서도이며,
도 6은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철골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측 또는 우측 한쌍의 지주 조립상태와 상부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은 철골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철골프레임(1)은 4개의 지주(2a,2b,2c,2d)와,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 및 하부를 연결하는 좌측 상부프레임(3a) 및 좌측보강프레임(4a)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 및 하부를 연결하는 우측 상부프레임(3b) 및 우측 보강프레임(4b)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전방에 위치한 지주(2a)와 우측 전방에 위치한 지주(2c)의 상단을 연결하는 전방 상부프레임(5a) 및 좌측 후방에 위치한 지주(2b)와 우측 후방에 위치한 지주(2d)의 상단을 연결하는 후방 상부프레임(5b)와,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철골프레임(1)을 보관 및 운반시에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협소한 장소에 많은 량의 보관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차량의 적재함에 많은 량을 실을 수 있도록 하므로써 물류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철골프레임(1)을 구성하는 4개의 지주(2a,2b,2c,2d)들 중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로 분리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전방 상부프레임(5a)과 후방 상부프레임(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을 각각 분리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에는 좌측 상부프레임(3a)의 전,후 양단이 용접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하부에는 좌측 보강프레임(4a)의 전,후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상단과 하부에는 각각 좌측 상부프레임(3a)과 좌측 보강프레임(4a)이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에는 우측 상부프레임(3a)의 전,후 양단이 용접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우측 보강프레임(4b)의 전,후 양단은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의 하부에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우측 상부프레임(3b) 및 우측 보강프레임(4b) 각각은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상단 및 하부에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각의 상단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이 각각 우측 한쌍의 지주(2c,2d)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각의 하부에 양단이 용접되어 있는 좌측 보강프레임(4a)의 중간부분에는 하부 연결프레임(6)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연결브라켓(8a)이 상기한 우측 보강프레임(4b)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의 상단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이 각각 좌측 한쌍의 지주(2a,2b)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우측 보강프레임(4b)의 중간부분에는 하부 연결프레임(6)의 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측 브라켓(8b)이 상기한 좌측 보강프레임(4a)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와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은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막힌 "∪"자형 단면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 브라켓들 각각에는 체결볼트(9)가 관통하는 체결공(91)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양측 체결공(91)들 중 일측 체결공에는 너트(92)가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각 브라켓들 각각에 조립되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의 양단 및 하부 연결브라켓(6)의 양단 각각에는 체결볼트(9)가 관통하는 조립공(9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와 하부 연결프레임(6)이 4개의 지주 각각의 상단에 용접으로 부착된 브라켓과 좌,우측 보강프레임 각각의 중간부분에 용접으로 부착된 브라켓을 감싸는 상태로 조립되어 체결볼트(9)로 결합시키는 구조의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각 상단 및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의 중간부분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와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이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의 양단 속으로 삽입된 상태로 연결시킨 다음 각 프레임들의 일측 외측에서 체결볼트(9)를 관통시키고 반대측에서 너트(92)로 나사조립하는 구조로 연결 조립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0은 철골프레임(1) 위에 얹혀지는 상태로 조립 설치되는 사각형으로 된 고정탁자의 상판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철골프레임(1)을 고정탁자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기립시켜 놓고, 이어서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을 조립하는데, 이때에는 먼저,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좌,우 양단은 서로 마주하고 있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 및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각각에 끼워넣고, 이어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 각각에 형성된 체결공(91)을 통해 체결볼트(9)를 끼워주게 되면(도 2 참조) 상기 체결볼트(9)는 체결공(91)을 통해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좌,우측단에 형성된 조립공(93)을 관통하여 너트(92)에 나사조립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은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의 좌측 보강프레임(4a)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좌측 연결브라켓(8a)과 상기 우측 한쌍의 지주(2c,2d)의 우측 보강프레임(4b)의 중간부분에 돌출된 우측 연결브라켓(8b)에 하부 연결프레임(6)의 양단을 각각 끼워넣고, 이어서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에 형성된 체결공(91)으로 체결볼트(9)를 끼워주게 되면(도 2 참조) 상기 체결볼트(9)는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에 형성된 체결공(91)을 통해 하부 연결프레임(6)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공(93)을 관통하여 너트(92)에 나사조립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의 체결공(91)을 관통하여 너트(92)에 나사조립되는 체결볼트(9)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6)은 좌,우측 한쌍의 지주(2a,2b)(2c,2d)를 견고하게 연결시킨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철골프레임(1)의 상부에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판(10)을 설치하게 되면 고정탁자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되어 사용되는 고정탁자를 창고 등에 보관하고자 할 때 또는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좌측 한쌍의 지주(2a,2b) 및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 및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각각에 나사체결되어 있는 체결볼트(9)를 나사풀림하고, 또한 하부 연결프레임(6)의 좌,우 양단이 연결되있는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에서도 체결볼트(9)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과 상기 좌측 한쌍의 지주(2a,2b) 및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은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철골프레임(1)을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 및 전방 상부 프레임(5a), 후방 상부 프레임(5b),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분리된 각 부재 즉, 좌측 한쌍의 지주(2a,2b), 우측 한쌍의 지주(2c,2d), 전방 상부프레임(5a), 후방 상부프레임(5b),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을 따로따로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상거래를 통해 주문받은 고정탁자 물품을 배송할 때 상기한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1)을 좌측 한쌍의 지주(2a,2b), 우측 한쌍의 지주(2c,2d),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하부 연결프레임(6)으로 각각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물류운송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후방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의 양단을 좌측 전,후방 지주(2a,2b)의 상단에 용접된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과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에 감싸도록 연결시키게 되면 상기 각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된 조립공(93)과 상기 각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91)들이 서로 일치하게 되며, 이어서 각 프레임들의 양단 외측에서 체결볼트(9)를 삽입시켜서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볼트끝단에 너트(92)를 나사조립하게 되면 철골프레임(1)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반대로 체결볼트(9)의 끝단에 나사조립되어 있는 너트(92)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좌측 한쌍의 지주(2a,2b)와 우측 한쌍의 지주(2c,2d) 및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을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철골프레임(1)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물류운송비를 줄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 : 철골프레임 2a,2b,2c,2d : 지주
3a,3b : 좌,우측 상부 프레임 4a,4b : 좌.우측 보강프레임
5a,5b :전,후방 상부 프레임 6 : 하부 연결프레임
7a : 좌측 전방 브라켓 7b : 좌측 후방 브라켓
7c : 우측 전방 브라켓 7d : 우측 후방 브라켓
8a,8b : 좌,우측 연결 브라켓 9 : 체결볼트
91 : 체결공 92 : 너트
93 : 조립공

Claims (4)

  1. 4개의 지주(2a,2b,2c,2d)와, 상기 각 지주의 상단에 연결되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좌,우측 상부 프레임(3a,3b)과,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전,후로 서로 마주하는 좌측 한쌍의 지주(2a,2b) 및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각의 하부를 연결하는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과,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프레임(6)을 구비하여서 되는 고정탁자의 철골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좌측 전,후에 형성되는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 상단과 하부에는 좌측 상부 프레임(3a)과 좌측 보강프레임(4a)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4개의 지주들 중 우측 전,후에 형성되는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 상단과 하부에는 우측 상부 프레임(3b)과 우측 보강프레임(4b) 각각의 양단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상부 프레임(3a) 및 좌측 보강브레임(4a)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좌측 한쌍의 지주(2a,2b) 각 상단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좌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상부 프레임(3b) 및 우측 보강프레임(4b)이 용접으로 고정 연결된 우측 한쌍의 지주(2c,2d) 각 상단에는 상기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각각의 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이 각각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프레임(6)의 좌,우측단을 착탈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 각각의 중간부분에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과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은 상부가 개구된 "∪"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4개의 지주(2a,2b,2c,2d) 각각의 상단과 좌,우측 보강프레임(4a,4b) 각각의 중간부분에 용접으로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과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에는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의 양단을 착탈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9)가 관통하는 체결공(91)이 마주하는 상태로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 체결공에는 너트(92)가 용접되어 고정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전,후방 브라켓(7a,7b)와 우측 전,후방 브라켓(7c,7d) 및 좌,우측 연결브라켓(8a,8b) 각각은 전,후방 상부 프레임(5a,5b) 및 하부 연결프레임(6) 각각의 양단 속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프레임.
KR2020110003705U 2011-04-29 2011-04-29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KR2012000768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705U KR20120007682U (ko) 2011-04-29 2011-04-29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705U KR20120007682U (ko) 2011-04-29 2011-04-29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82U true KR20120007682U (ko) 2012-11-07

Family

ID=4751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705U KR20120007682U (ko) 2011-04-29 2011-04-29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68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61U (ko)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주경 금속 프레임 조립용 연결 브래킷 세트
KR20170004321U (ko) 2016-06-13 2017-12-21 유희운 조립식 탁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61U (ko) 2015-04-29 2016-11-09 주식회사 주경 금속 프레임 조립용 연결 브래킷 세트
KR20170004321U (ko) 2016-06-13 2017-12-21 유희운 조립식 탁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8750B1 (en) Assembled pallet
KR200488279Y1 (ko) 가구용 프레임 조립 구조체
KR20090122156A (ko) 접철방식의 조립식 컨테이너
JP2013185375A (ja) コンテナハウスの結合構造
KR101976485B1 (ko)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KR20120007682U (ko) 고정탁자의 조립식 철골 프레임
KR20130092111A (ko) 조립식 선반
KR100896869B1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모서리 연결구조
JP5107966B2 (ja) 鉄骨構造物
KR102461622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 프레임
KR200459256Y1 (ko) 파렛트 랙
KR20140007700A (ko) 포장박스를 가진 화물적재용 팔레트
JP2001307697A (ja) 蓄電池用架台および収納箱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US20110047890A1 (en) Method of Packaging a Storage Building Kit of Parts
KR101228981B1 (ko) 침대프레임
KR101425162B1 (ko) 조립식 컨테이너
JP2001287815A (ja) ラックのフレーム構造
KR20100084359A (ko) 조립식 스틸박스
KR20090030387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전후판 조립구조
JP6025086B1 (ja) 台車
JP5950229B2 (ja) 組立台車
JP2012056766A (ja) 連結ラック用の連結棚
KR200404125Y1 (ko) 조립형 박스
KR102532858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