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59B1 -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 Google Patents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59B1
KR102388459B1 KR1020220016532A KR20220016532A KR102388459B1 KR 102388459 B1 KR102388459 B1 KR 102388459B1 KR 1020220016532 A KR1020220016532 A KR 1020220016532A KR 20220016532 A KR20220016532 A KR 20220016532A KR 102388459 B1 KR102388459 B1 KR 10238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apter
entry
reinforcing bar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2001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47B2230/0018Screws or bolts sliding in sectional groov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이나 기타 브래킷 등의 수단에 의존하던 상판과 다리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판을 뒤집지 않고도 다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장식 결합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수려함은 물론 만족할 수준의 견고함이 발휘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부(100);와, 상판과 일체화되고, 다리부와 보강대(30)가 설정 방향에서 결부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 내부로 상향 개입되고, 프레임 상부로 진입한 볼트(A)와의 결합으로 다리부와 프레임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어뎁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0)는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상부는 프레임(200)에 내부 개입되고 하부는 다리부(100)와 결합되는 몸체(310)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진입홀(320)과, 진입홀 상측에 형성되어 볼트(A)의 체결을 허용하는 볼트홀(330)을 포함하며,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을 포함하는 홀더부재(50)가 더 구성된다.

Description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A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용 지지대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이나 기타 브래킷 등의 수단에 의존하던 상판과 다리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판을 뒤집지 않고도 다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장식 결합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수려함은 물론 만족할 수준의 견고함이 발휘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테이블이라 함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의 통칭 개념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응접실 등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나 구조 또한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흔히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상판을 상측에 형성하고, 해당 상판 저면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고정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테이블은 상판 저면에 볼트홀을 다수 형성하고 각 볼트홀에 맞춰 다리를 배치한 뒤 볼팅을 통해 조립되는 조립식 테이블이 있으며, 간혹 상판과 다리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키는 고정식 테이블도 있다.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146호 "책상다리"가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책상상판의 저면에 금속으로 된 책상다리의 구조로 양측에 수직바가 형성되며 수직바의 사이의 상부에 전면철판과 상판이 구비된 전면프레임과, 전방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며 가방걸이가 부착되고 상부에 거치바가 형성된 후방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방프레임의 후면에 ㄷ형상으로 굴곡된 후방프레임이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술은 상판과 다리를 나사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다리가 느슨해지거나 상판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억제되며, 상판에 고정 나사가 돌출되지 않아 상판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매우 수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조립식 테이블의 다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578호 "책상다리 조립용 브라켓"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은 지지봉의 제1면에 용접되는 부착판과, 부착판의 양변에서 지지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절곡된 한쌍의 날개판과, 날개판에서 확장되어 지지봉의 제2면을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판과, 날개판 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책상다리는 날개판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책상다리를 똑바로 일으켜 세우면 고정나사 한 개를 이용하여 책상다리를 고정판에 견고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식 테이블의 경우 볼트를 통해 상판과 다리를 분해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운반에 효율적이지만 상판에 다리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판을 뒤집은 상태에서 구조를 파악해야 하고 한 손으로 긴 다리를 배치시킨 뒤 다른 한 손으로 볼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이로부터 저하되는 정밀성으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고정식 테이블의 경우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여 상판에 가해지는 많은 무게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는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사용되지만 고정 타입의 다리로 인해 부피가 상당하므로 다수의 테이블을 보관 또는 운반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장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폐단이 초래된다.
따라서, 보관과 운반 및 활용이 용이한 조립식 테이블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되 상판을 뒤집거나 저면을 구조를 확인하지 않고도 상판과 다리를 쉽고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테이블용 지지대를 개발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146호 "책상다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578호 "책상다리 조립용 브라켓"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을 기반으로 상판과 다리를 신속 정밀하게 조립되게 하는 것은 물론 유지 보수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되는 테이블용 지지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을 뒤집지 않고도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다리를 결합할 수 있어 조립의 효율성과 작업의 신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테이블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다리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의 구성을 최소화하고자 하며, 최소한의 볼트마저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장 결합방식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측 방향에서의 슬라이드 진입 여부에 의한 상호 탈·부착 방식의 홀더부재로 인해 기존 대비 상판 조립작업의 어려움과 불편이 적극 해소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부(100);와, 상판과 일체화되고, 다리부와 보강대(30)가 설정 방향에서 결부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 내부로 상향 개입되고, 프레임 상부로 진입한 볼트(A)와의 결합으로 다리부와 프레임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어뎁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0)는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상부는 프레임(200)에 내부 개입되고 하부는 다리부(100)와 결합되는 몸체(310)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진입홀(320)과, 진입홀 상측에 형성되어 볼트(A)의 체결을 허용하는 볼트홀(330)을 포함하며,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을 포함하는 홀더부재(5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어뎁터(300)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210);과, 하우징에 어느 일 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횡 방향에 대한 보강대(30)의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2개 1조의 연장부(220);와, 하우징 상단에서 수평 전개되어 상판(10)과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결합면(2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다리부와 상판을 서로 결부시키기 위하여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디(211);와, 어뎁터(300)와 볼트(A)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상하 내통된 중공부(212);와, 바디 저부에서 중공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내부에는 어뎁터를 수용하고, 상부에는 볼트(A)가 안착되게 하는 수용부(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310)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진입부(311);와, 진입부의 저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하향 연장되어 다리부(100)에 억지끼움되는 가압블록(3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블록(312)은 다리부(100)의 내경과 대응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케이스(312-1);와, 케이스의 중공부로 개입되어 케이스를 팽창시키는 확장블록(31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장블록(312-2)은 진입부(311)의 상부로부터 수직 개입되며 케이스(312-1)를 관통하여 하향 노출된 메인볼트(313)와의 결합으로 진입부와 일체화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12-1)와 확장블록(312-2)은 서로 맞닿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메인볼트(313)의 조임에 따라 케이스의 내부를 가압하여 팽창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312-1)는 측면마다 수직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팽창력이 강화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홀더부재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는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10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프레임(20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50)는 상판 저부에 결부되는 고정프레임(51); 및 보강대를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내지 인출됨에 따라 개구된 상단이 고정프레임과 맞물려 외부와 차단되는 구속프레임(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과, 스토퍼와 조작편 사이의 임의 지점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5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과, 수용가이드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구속프레임(52)의 걸림돌부(52-4)를 안착 유도하는 걸림홈(5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프레임(200)은 보강대(30)를 인입 구속하기 위한 가압프레임(7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압프레임(70)은 보강대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폭을 보유하고 보강대 내측 상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상부(71)와, 끼움상부에 비해 축소된 폭으로 형성되어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압력 분산 내지 배출을 유도하고 보강대 내측 하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하부(72)와, 끼움상부에서 끼움하부에 이르기까지 수직 방향에 대해 설정 너비로 절개 형성되면서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측부 사이 간극의 축소가 유도되는 절개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가압프레임(70)은 절개홀(73)을 기준으로 양측이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게 하거나 또는 끼움하부(72)를 기반으로 끼움상부(71)가 보강대(30) 내부로의 진입 시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요동되게 하여 보강대 규격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에 어뎁터를 결합하고, 상판에 프레임을 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단순히 다리부의 상측으로 노출된 어뎁터에 상판의 프레임을 개입시키는 행위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상판과 다리부의 결합과 분해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 간 구조가 단조로워 테이블의 활용과 운용 및 보관 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가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져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최소화되고, 특히 최소한의 체결수단마저 내장식 결합으로 이루어져 볼트 머리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으므로 테이블의 외관이 심미해지고, 보다 넓은 범위를 온전히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홀더부재로 인해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 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 증대 및 조작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지지대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프레임과 어뎁터가 볼트에 의해 일체화 구속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요부의 결합관계를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테이블용 지지대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다리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판을 뒤집지 않고도 다리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장식 결합으로 이루어져 외관이 수려하여지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은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부(100);와, 상판과 일체화되고, 다리부와 보강대(30)가 설정 방향에서 결부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 내부로 상향 개입되고, 프레임 상부로 진입한 볼트(A)와의 결합으로 다리부와 프레임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어뎁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0)는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상부는 프레임(200)에 내부 개입되고 하부는 다리부(100)와 결합되는 몸체(310)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진입홀(320)과, 진입홀 상측에 형성되어 볼트(A)의 체결을 허용하는 볼트홀(330)을 포함하며,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을 포함하는 홀더부재(50)가 더 구성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다리부(1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 입설되며, 상판(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 1조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재는 금속재나 합성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외형은 환관이나 각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다리부(100)는 저부에 미끌림 등으로 인해 소음이 자제되도록 논슬립 패드가 부착될 수도 있고, 테이블의 높이를 소정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좌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테이블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캐스터(Caster)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상판(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다리부(100)의 결합을 유도하면서 보강대(30)의 설치 자리를 제공함에 따라 테이블이 뒤틀리지 않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200)은 어뎁터(300)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210);과, 하우징에 어느 일 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보강대(30)의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2개 1조의 연장부(220);와, 하우징 상단에서 수평 전개되어 상판(10)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결합면(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하 내통되며, 저부로는 다리부(100)의 진입을 허용하여 내부 결합을 유도되게 하고, 상부로는 볼트(A)의 진입을 허용하여 내부 수용된 다리부가 구속될 수 있도록 진입로와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면이 결합면(230)에 의해 평평하게 이루어져 상판(10)과의 접촉에 안정감을 부여하고, 상기 결합면(2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마련되어 볼트나 피스 등 체결수단의 진입을 허용함으로써 상판과 프레임(200)을 서로 결부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210)은 바디(211);와, 어뎁터(300)와 볼트(A)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상하 내통된 중공부(212);와, 바디 저부에서 중공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내부에는 어뎁터를 수용하고, 상부에는 볼트(A)가 안착되게 하는 수용부(21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20)는 하우징(210)의 정면이나 배면에서 외향 연장되는 제1연장부(221)와,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외향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제1연장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연장부(222)로 구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221)와 제2연장부(222)는 보강대(30)의 내경과 대응하는 원 기둥 또는 사각 기둥의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볼팅없이 보강대와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장부(221)와 제2연장부(222)는 선단에 소정의 영역만큼 절개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수축과 팽창을 발휘하며, 이는 보강대(30)와 억지끼움 과정에서 제1연장부와 제2연장부가 보강대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어뎁터(300)는 다리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판의 결합을 유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판에 선결합된 프레임(200)을 다리부에 신속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경로 및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어뎁터(300)는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상부는 프레임(200)에 내부 개입되고 하부는 다리부(100)와 결합되는 몸체(310);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진입홀(320);과, 진입홀의 상측 일부에 형성되어 볼트(A)의 체결을 허용하는 볼트홀(3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310)는 하광상협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진입부(311);와, 진입부의 저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하향 연장되어 다리부(100)에 억지끼움되는 가압블록(312);으로 구분 구성되며, 상기 진입부는 몸체의 상부 영역을 말하고, 가압블록은 몸체의 하부 영역을 말한다.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진입부(311)는 몸체(310)의 상부 영역으로써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의 수용부(213)에 내부 개입되고, 상기 가압블록(312)은 몸체의 하부 영역으로써 진입부의 저면과 동일한 면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져 다리부(100) 상단에 억지끼움된다.
상기 몸체(310)는 진입부(311)의 하단에 가압블록(312)이 배치되고, 진입부를 수직으로 관통 개입된 메인볼트(313)가 가압블록에 체결됨에 따라 일체화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가압블록(312)은 다리부(100)의 내경과 대응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케이스(312-1);와, 케이스의 중공부로 개입되어 케이스를 팽창시키는 확장블록(312-2);으로 구분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볼트(313)는 진입부(311)의 내부 상에 볼트 머리가 걸림되고, 진입부 하단으로 노출된 나사부가 케이스(312-1)를 관통하며, 케이스를 관통한 나사부가 확장블록(312-2)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312-1)와 확장블록(312-2)은 서로 맞닿는 각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졌으며. 메인볼트(313)의 조임 여부에 따라 확장블록이 케이스의 내부 상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케이스의 내부를 팽창시킨다. 특히 상기 케이스(312-1)는 각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절개가 이루어져 벌림이 용이해짐에 따라 팽창력을 배가시켰다.
결과적으로 어뎁터(300)는 케이스(312-1)를 다리부(100)의 내경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메인볼트(313)를 조임시켜 확장블록(312-2)으로 하여금 케이스를 팽창시킴에 따라 어뎁터와 다리부 간의 억지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6과 같이 수용부(213)에 어뎁터(300)가 개입 수용된 상태에서 바디(211)의 상부를 통해 거치편(B)과 볼트(A)가 순차 개입된다.
상기 거치편(B)은 링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수용부(213)의 상단에 안착시키되 수용부에 수용된 어뎁터(300)의 진입홀(320)과 동심원상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거치편(B)의 상측으로 볼트(A)를 수직 개입시켜 볼트 머리가 거치편에 걸림되게 한다. 한편, 상기 볼트(A)는 거치편(B)을 관통하여 하단으로 노출된 나사부가 어뎁터(300)의 진입홀(320) 일부구간에 형성된 볼트홀(330)에 결부되어 어뎁터(300)와 프레임(200)을 일체화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어뎁터(300)가 프레임(200)의 내부로 진입하여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볼트(A)가 체결됨에 따라 다리부(100)의 흔들림 내지 각종 외력에 의한 각도변화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고, 결합력을 적극 향상시켜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홀더부재(50)는 2개 1조의 제반 구성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회동에 의한 원터치 체결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부재(50)는 상판(10)과 보강대(30)를 서로 결부시키기 위하여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상판(10) 저부의 임의 위치에 볼트 등의 조립수단으로 고정 체결되고, 고정 위치는 상판 조립 시 보강대(30)와 중첩되는 지점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수단 없이 상판을 보강대 상면에 위치시키는 일련의 동작만으로도 상판과 보강대가 서로 일체되게 하기 위함이며, 상판 위치 선정에 의하여 고정프레임이 보강대 상에 안착된 후 소정의 구속프레임(52)을 도면과 같은 방향으로 진입시켜 고정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기밀한 결속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록(51-1)은 설치 대상 보강대의 너비를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구조적 특성상 보강대를 포용 가능한 수준의 너비라면 보강대 규격에 제한됨이 없이 범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수용가이드(51-2) 및 안내홀(51-3)은 추후 기술할 구속프레임(52)의 스토퍼(52-2) 일체가 내입되는 통로로, 메인블록 저부로 하향 연장되면서 좌우 동일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수용가이드(51-2)와 안내홀(51-3)은 구속프레임의 너비와 대응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 보강대의 삽입 수용을 위하여 최소 보강대에 비해 넓은 이격거리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구속프레임(52)은 전술한 고정프레임(51)과 상호 치합되면서 원터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구성으로, 양측 후단의 폭 조절에 기인하여 고정프레임 내부로의 원활한 이·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수단이 된다.
즉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를 수용 거치한 상태로 상판 저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51)을 수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바, 이러한 구속프레임(52)은 상판 조립 시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간편하게 고정프레임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보강대의 낙하 혹은 뜻하지 않은 이탈은 물론 구속프레임의 유동 또한 적극 제어되므로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가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과 극명하게 구분되는 것이며, 종래에는 보강대나 기타 지지를 요하는 수단에 상판이 조립되는 경우 작업의 편의를 위해 결합 대상 상판을 뒤집어 배치한 후 해당 조립 부위가 외부에 드러나게 하여 조립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낮은 자세로 상판 하방에 접근 후 조립되었는바, 조립 작업 후 재차 상당한 중량의 테이블을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과 낮은 자세에서 조립이 실시되어야 하는 등 어떠한 경우에도 설치, 보수의 모든 작업 시 그 취급이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은 상판의 조립해체 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구속프레임(52)을 제안한다.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으로 이루어짐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바디(52-1)는 도면과 같이 U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타 보강대의 규격이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스토퍼(52-2)는 바디(52-1) 상단의 양측 외주면에서 측 방향으로 설정 범위 돌출한 형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스토퍼에 의해 고정프레임과 구속프레임의 상호 결합 내지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편(52-3)은 수용가이드의 안내홀(51-3) 상으로 맞물림 유지되면서 슬라이드 운용되는 스토퍼(52-2)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설정 방향에 대한 탄성이 보유된다.
즉 이러한 조작편(52-3)은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안내홀 내부로 구속프레임을 진입시키는 경우 사용자 가압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고정프레임과의 원활한 치합을 도모한다.
특히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홀더부재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2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프레임(20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되게 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50)는 전술한 것처럼 상판 저부에 결부되는 고정프레임(51); 및 보강대를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내지 인출됨에 따라 개구된 상단이 고정프레임과 맞물려 외부와 차단되는 구속프레임(5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과, 스토퍼와 조작편 사이의 임의 지점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52-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과, 수용가이드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구속프레임(52)의 걸림돌부(52-4)를 안착 유도하는 걸림홈(5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레임(20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프레임(200)은 보강대(30)를 인입 구속하기 위한 가압프레임(7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압프레임(70)은 보강대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폭을 보유하고 보강대 내측 상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상부(71)와, 끼움상부에 비해 축소된 폭으로 형성되어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압력 분산 내지 배출을 유도하고 보강대 내측 하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하부(72)와, 끼움상부에서 끼움하부에 이르기까지 수직 방향에 대해 설정 너비로 절개 형성되면서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측부 사이 간극의 축소가 유도되는 절개홀(7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가압프레임(70)은 절개홀(73)을 기준으로 양측이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게 하거나 또는 끼움하부(72)를 기반으로 끼움상부(71)가 보강대(30) 내부로의 진입 시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요동되게 하여 보강대 규격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미니피스를 활용하여 체결력 증대 내지 결합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에 어뎁터를 결합하고, 상판에 프레임을 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단순히 다리부의 상측으로 노출된 어뎁터에 상판의 프레임을 개입시키는 행위만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상판과 다리부의 결합과 분해가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 간 구조가 단조로워 테이블의 활용과 운용 및 보관 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가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져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최소화되고, 특히 최소한의 체결수단마저 내장식 결합으로 이루어져 볼트 머리 등이 외부 노출되지 않으므로 테이블의 외관이 심미해지고, 보다 넓은 범위를 온전히 테이블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홀더부재로 인해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 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 증대 및 조작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판
30. 보강대
50. 홀더부재
70. 가압프레임
100. 다리부
200. 프레임
300. 어뎁터
1. 지지대

Claims (11)

  1. 상판(10)을 지지하는 다리부(100);와, 상판과 일체화되고, 다리부와 보강대(30)가 설정 방향에서 결부되는 프레임(200);과, 프레임 내부로 상향 개입되고, 프레임 상부로 진입한 볼트(A)와의 결합으로 다리부와 프레임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어뎁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뎁터(300)는 하광상협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상부는 프레임(200)에 내부 개입되고 하부는 다리부(100)와 결합되는 몸체(310)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진입홀(320)과, 진입홀 상측에 형성되어 볼트(A)의 체결을 허용하는 볼트홀(330)을 포함하며,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을 포함하는 홀더부재(5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0)은,
    어뎁터(300)의 내부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부를 가진 하우징(210);
    하우징에 어느 일 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횡 방향에 대한 보강대(30)의 결합을 유도되게 하는 2개 1조의 연장부(220);
    하우징 상단에서 수평 전개되어 상판(10)과의 접촉 면적을 확보하는 결합면(230);
    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은,
    다리부와 상판을 서로 결부시키기 위하여 설정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디(211);
    어뎁터(300)와 볼트(A)의 진입을 허용하기 위해 상하 내통된 중공부(212);
    바디 저부에서 중공부를 향해 연장 돌출되어 내부에는 어뎁터를 수용하고, 상부에는 볼트(A)가 안착되게 하는 수용부(213);
    를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10)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진입부(311);
    진입부의 저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하향 연장되어 다리부(100)에 억지끼움되는 가압블록(312);
    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312)은,
    다리부(100)의 내경과 대응하며 내부에 중공부를 가진 케이스(312-1);
    케이스의 중공부로 개입되어 케이스를 팽창시키는 확장블록(312-2);
    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블록(312-2)은 진입부(311)의 상부로부터 수직 개입되며 케이스(312-1)를 관통하여 하향 노출된 메인볼트(313)와의 결합으로 진입부와 일체화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2-1)와 확장블록(312-2)은 서로 맞닿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메인볼트(313)의 조임에 따라 케이스의 내부를 가압하여 팽창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2-1)는 측면마다 수직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어 팽창력이 강화된 것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
    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
    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0220016532A 2022-02-08 2022-02-08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38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32A KR102388459B1 (ko) 2022-02-08 2022-02-08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32A KR102388459B1 (ko) 2022-02-08 2022-02-08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459B1 true KR102388459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532A KR102388459B1 (ko) 2022-02-08 2022-02-08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5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6Y1 (ko) 2005-10-20 2006-01-25 주식회사 은성교구 책상다리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15056B1 (ko)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KR101633855B1 (ko) *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200490578Y1 (ko) 2018-04-18 2019-12-03 장승열 책상다리 조립용 브라켓
KR102105593B1 (ko) * 2020-01-13 2020-04-28 (주)대한오에이퍼니쳐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102222819B1 (ko) * 2020-12-04 2021-03-0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KR20210155146A (ko) * 2020-06-15 2021-12-22 (주) 장성산업 탁자 다리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46Y1 (ko) 2005-10-20 2006-01-25 주식회사 은성교구 책상다리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15056B1 (ko)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KR101633855B1 (ko) *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
KR200490578Y1 (ko) 2018-04-18 2019-12-03 장승열 책상다리 조립용 브라켓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2105593B1 (ko) * 2020-01-13 2020-04-28 (주)대한오에이퍼니쳐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20210155146A (ko) * 2020-06-15 2021-12-22 (주) 장성산업 탁자 다리 장착 장치
KR102222819B1 (ko) * 2020-12-04 2021-03-0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942B1 (ko)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US3610686A (en) Cast-aluminum stack chair
US6571720B2 (en) Non-swiveling height adjustable podium
US10213015B1 (en) Pneumatic assist adjustable table
US6976732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WO2003099074A2 (en) Canopy
US20160192771A1 (en) Leg Assembly
US4615559A (en) Folding table/bench combination
US20070039150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US20220218110A1 (en) Three-leg star shaped assembly structure for supporting chair legs
KR200459267Y1 (ko) 낚시좌대
KR102388459B1 (ko)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US9414676B1 (en) Table and chair with self-stabilizing system
US8448314B2 (en) Sofa sleeper installation and system
US3917368A (en) Pedestal stand column assembly
KR101933838B1 (ko)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KR102432702B1 (ko) 클립을 이용한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422953B1 (ko) 결합력과 견고성이 증대된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102432720B1 (ko) 클립과 자성체를 이용한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KR200485607Y1 (ko) 조립식 탁자 구조
KR102539661B1 (ko) 슬라이드 운용의 간편 조립구조를 기반으로 한 보조가구 탈착형 다용도 테이블
KR102539632B1 (ko) 슬라이드 운용의 개별 밀착식 결합구조에 기반한 간편 조립형 다용도 테이블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US20040060484A1 (en) Shelf or stand device
KR200495858Y1 (ko) 조립이 용이한 협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