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844Y1 -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 Google Patents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844Y1
KR200484844Y1 KR2020170001221U KR20170001221U KR200484844Y1 KR 200484844 Y1 KR200484844 Y1 KR 200484844Y1 KR 2020170001221 U KR2020170001221 U KR 2020170001221U KR 20170001221 U KR20170001221 U KR 20170001221U KR 200484844 Y1 KR200484844 Y1 KR 200484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frame
cast
base fram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선
Original Assignee
(주)한독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독메디텍 filed Critical (주)한독메디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8Braces for connecting two cast parts, e.g. hinged cast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5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hook and loop-type fastener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그물형 캐스트를 환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에 관한 것으로, 제 1 캐스트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제 2 캐스트를 감싸면서 폐곡선을 형성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고,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가 형성되고 회전프레임에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이 회전에 의해 제 1 스토퍼와 제 2 스토퍼에 각각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Two-step fixing clip detachably attached to net type cast and net type cast having the same}
환부에 캐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캐스트에 장착되는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에 관한 것이다.
깁스(gips)란 관절이나 척추 등의 뼈가 탈골되거나 골절된 경우, 환부(患部)를 감싸 움직임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의료용 기구를 말한다. 주로 정형외과분야에서 치료용으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환부를 붕대로 감싸고 난 뒤 석고 재질의 회반죽을 환부 주위에 감싸 응고시킴으로서 환부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깁스는 절개나 파손시 다시 재접합이 어렵고, 석고의 무게로 인해 깁스를 착용한 환자에게 상당한 부담을 주며, 석고 특성상 통풍이 원활하지 않아 가려움이나 악취 등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열가소성 재질을 그물형 구조로 성형하여 통풍성과 경량화를 도모한 그물형 캐스트(cast)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그물형 캐스트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형태가 변형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치료부위에 부착하여 적절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물형 구조로 인해 통풍성이 강하여 기존의 깁스가 가진 비통풍성의 단점을 제거하였다.
그물형 캐스트는 통상 60℃의 증기나 고온수로 가열함으로써 변형상태가 된다. 다만, 이렇게 가열된 그물형 캐스트를 직접 피부에 접촉시키는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그물형 캐스트 부착전에 환자의 환부를 피부보호대로 감싸게 된다. 여기서, 그물형 캐스트가 적절한 형태로 변형되도록 환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을 그물형 캐스트에 장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수단에는 케이블타이(cable tie)가 있으나, 피부보호대를 벗기기 위해 그물형 캐스트를 절개하거나 분해하는 과정에서 케이블타이를 파손하지 않고는 피부보호대를 제거할 수 없는 일회성이 있었다. 다른 고정수단의 대표적인 예로 단순 결합되는 고리형 클립이 있으나, 외력에 의해 쉽게 탈락되어 환자의 일상생활 중에서도 그물형 캐스트가 분해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기술로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10-2011-0048155호 ‘착탈이 용이한 신체 정형용 원통형 부목’에 의하면 신체 고정용 부목(cast)에 연결도구로 연결시킬 수 있는 끈구멍이 형성된 결속부가 부착되고 끈구멍에 끈이나 케이블 타이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케이블 타이를 절단하여 부목을 제거하는 구조인 점에서 일회성 구조인 한계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 한국특허 등록공보 제10-0773862호의 ‘개량형 정형외과용 부목’은 원통모양의 캐스트에 길이방향으로 밸크로화스터가 부착된 구조이거나 지퍼형식의 슬라이드화스너가 형성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섬유재질의 신축밴드에 형성되어 신축밴드의 제거없이 부목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벨크로 타입의 부착방식은 쉽게 분리될 수 있고 지퍼형식의 부착방식은 그물형 캐스트에 적용하기 어렵고 부목을 환부에 고정시키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그물형 캐스트를 적은 힘으로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고, 단계적인 고정구조에 의해 임시적인 고정과 확정적인 고정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물형 캐스트에 장착할 수 있는 고정클립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고정클립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고정클립은, 그물형 캐스트가 환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된 제 1 캐스트 및 제 2 캐스트를 삽입하여 상기 그물형 캐스트에 장착되는 고정클립에 있어서, 테두리 중 일부가 개방된 틀 형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 1 캐스트가 삽입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의 끝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제 2 캐스트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폐곡선을 형성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에는 회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물형 캐스트의 이격된 두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압착시키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결합부가 일차적으로 결합되고, 추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2 결합부가 이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하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제 1 스토퍼의 절곡된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결합부가 서로 걸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형성된 후 끝단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 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제 2 스토퍼의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부가 상기 제 2 스토퍼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로 끼워져 걸림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압박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그물형 캐스트의 만곡진 부분에 상기 압박부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압박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리브 또는 끝단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의 상면에서 기둥형태로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몸체 끝단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1 스토퍼의 헤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된 헤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홈의 입구 주변 둘레가 상기 헤드의 횡단면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헤드가 상기 헤드홈으로부터 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길이축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헤드가 상기 회전 프레임의 헤드홈에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경우에 상기 몸체가 받는 전단력보다 길이방향 상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에 사각판 형태의 보강부가 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퍼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끝단의 둘레를 따라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2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로부터 관통공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걸림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토퍼가 상기 제 2 결합부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걸림편에 걸리면서 상기 제 2 스토퍼의 후진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결합부는 각각 외형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기가 상기 제 1 스토퍼의 돌기를 타고 넘어 서로 걸림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서로의 돌기가 분리되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이 회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그물형 캐스트는 망상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며, 한 개 이상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이 장착됨으로써 이격된 두 부분을 결합시켜 환부의 움직임을 고정한다.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가 형성되고, 회전 프레임에는 회전되어 베이스 프레임의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회전 프레임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물형 캐스트의 이격된 두 부분 중 다른 하나를 회전 프레임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압착시키고, 회전 프레임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 스토퍼와 제 1 결합부가 일차적으로 결합되고, 추가 외력에 의해 제 2 스토퍼와 제 2 결합부가 이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제 2 스토퍼와 제 2 결합부가 분리되더라도 제 1 스토퍼와 제 1 결합부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차 결합상태에서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그물형 캐스트를 환부에 임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 1 스토퍼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제 1 결합부는 회전 프레임의 내측면에서 하향 연장형성되어, 제 1 결합부가 제 1 스토퍼의 절곡된 부분에 접촉되어 제 1 스토퍼와 제 1 결합부가 서로 걸림 결합됨으로써, 회전 프레임의 회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스토퍼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형성된 후 끝단에서 회전 프레임 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제 2 결합부는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이 제 2 스토퍼의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 결합부가 제 2 스토퍼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로 끼워져 걸림 결합됨으로써, 회전 프레임의 회전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회전 프레임의 내측면에 베이스 프레임 또는 회전 프레임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압박부가 돌출형성되어 그물형 캐스트의 만곡진 부분에 압박부가 접촉됨으로써, 압박부에 접촉되는 부분에 가압력을 집중시켜 고정클립이 그물형 캐스트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박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리브 또는 끝단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제 1 스토퍼는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의 상면에서 기둥형태로 형성된 몸체, 및 몸체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몸체 끝단에 형성된 헤드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는 제 1 스토퍼의 헤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 프레임의 내측으로 형성된 헤드홈을 포함하고, 헤드홈의 입구 주변 둘레가 헤드의 횡단면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헤드가 헤드홈으로부터 장착 및 탈거됨으로써, 사용자는 제 1 스토퍼의 헤드가 제 1 결합부의 헤드홈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로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의 결합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일정이하의 외력에서는 제 1 스토퍼가 제 1 결합부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몸체의 길이축은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의 상면에서 회전 프레임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의 헤드가 회전 프레임의 헤드홈에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경우에 몸체가 받는 전단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와 회전 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회전 프레임이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와 회전 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에 사각판 형태의 보강부가 추가 연결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이 연결된 부분이 끊어지게 되는 경우에 보강부가 버티게 되어 고정클립이 그물형 캐스트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끝단의 둘레를 따라 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제 2 결합부는 제 2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의 테두리로부터 관통공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걸림편이 연장형성됨으로써, 관통공에 삽입된 제 2 스토퍼가 이탈되지 않도록 후진이동을 제한할 수 있고 제 2 스토퍼가 이탈시 걸림편이 파손되어 고정클립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와 제 1 결합부는 각각 외형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결합부의 돌기가 제 1 스토퍼의 돌기를 타고 넘어 서로 걸림에 의해 제 1 스토퍼와 제 1 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회전 프레임이 일정 이하의 외력으로는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정클립(2)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정클립(2)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배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단계의 고정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을 간략하게 “고정클립”이라 호칭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클립은 좌측에 베이스 프레임이 형성되고 우측에 회전 프레임이 형성된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또한, 그물형 캐스트의 이격된 두 부분은 각각 “제 1 캐스트” 및 “제 2 캐스트”로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클립(2)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으로 구성된다. 고정클립(2)은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물형 캐스트(1)는 다수의 일직선 프레임이 격자형태로 교차되어 다수의 사각구멍이 형성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3D 프린터 또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그물형 캐스트(1)로 환부를 감싼 뒤 서로 이격된 부분을 접촉시켜 본 실시예인 고정클립(2)을 결합할 수 있고, 두 개의 그물형 캐스트(1) 사이에 환부를 배치하여 환부를 감싼 뒤 이격된 부분을 접촉시켜 본 실시예인 고정클립(2)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된 부분을 각각 제 1 캐스트(11), 제 2 캐스트(12)라 지칭하며, 제 1 캐스트(11) 및 제 2 캐스트(12)는 하나의 그물형 캐스트의 일단과 타단일 수 있고, 서로 다른 두 그물형 캐스트의 마주하는 끝단부 각각을 의미할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21)은 테두리 중 일부가 개방된 틀 형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 1 캐스트(11)가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은 둘레 일부가 개방된 측단면“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 1 캐스트(11)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자세히는, 베이스 프레임(21)은 상부와 하부가 평판형의 측부 양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고 벌어지거나 오므라들 수 있다. 따라서, 제 1 캐스트(11)는 베이스 프레임(21)에 삽입되어 상하로 밀착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간격은 제 1 캐스트(1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에는 상부를 향해 이격돌기(23)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격돌기(23)는 제 1 캐스트(11)와 제 2 캐스트(12) 사이에서 압착되는 돌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돌기(23)로 인해 제 1 캐스트(11)와 제 2 캐스트(12)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격시킬 수 있으며, 이격된 공간으로 외기가 통풍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제 1 캐스트(11)을 통과시키기 위해 적절한 높이로 이격돌기(23)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회전 프레임(22)은 베이스 프레임(21)의 개방된 부분의 끝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절곡되어 제 2 캐스트(12)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베이스 프레임(21)과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21)과 폐곡선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프레임(22)은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연결된 측단면“┘”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 2 캐스트(12)가 안착되며 베이스 프레임(21)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여 제 2 캐스트(12)를 감쌀 수 있다. 자세히는, 평판형의 측부와 상부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회전 프레임(22)의 측부는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회전 프레임(2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연결된 부분, 즉 측부의 끝단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21)에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폐곡선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회전 프레임(22)이 90도 정도 회전하여 베이스 프레임(21)에 결합되는 구조로써,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회전 프레임(22)이 동일한 두께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항복강도 이상의 회전력에 의해 연결부분이 파손되거나 늘어나게 하여 회전 프레임(22)을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의 연결부분을 특히 얇게 형성함으로서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에 대해 자유도를 부여하여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분은 대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홈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프레임(22)이 쉽게 회전됨과 동시에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적절한 두께를 가지도록 설계해야한다.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면 또는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에 베이스 프레임(21) 또는 회전 프레임(2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판상의 리브 형태의 압박부(24)가 돌출형성되어 그물형 캐스트(1)의 만곡진 부분에 압박부(24)가 접촉되어 가압력을 집중할 수 있다. 압박부(24)는 대표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리브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 1 캐스트(11)의 상면, 하면, 측면에 각각 접촉되고,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 2 캐스트(12)의 상면, 측면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인 고정클립(2)은 그물형 캐스트(1)의 만곡진 부분, 즉 사각망 구조에서 꼭지점 부분을 감싸 결합하게 된다. 이에, 고정클립(2)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압박부(24)를 돌출형성함으로서 접촉되는 제 1 캐스트(11) 또는 제 2 캐스트(12)의 측면으로 가압력을 집중시켜 고정클립(2)와 그물형 캐스트(1)간 결합성을 향상시켰다.
회전 프레임(22)가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1)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제 1 스토퍼(211) 및 제 2 스토퍼(212)가 형성되고, 회전 프레임(22)에는 회전되어 베이스 프레임(21)의 제 1 스토퍼(211) 및 제 2 스토퍼(212)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 1 결합부(221) 및 제 2 결합부(2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토퍼(211)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 끝단에서 상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제 1 결합부(221)는 상기 회전 프레임(22)에서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어, 제 1 스토퍼(211)과 제 1 결합부(221)가 서로 걸림결합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토퍼(211)는 도 1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 끝단에서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되어 있고, 제 1 결합부(221)는 회전 프레임(22)의 상부에서 하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프레임(22)이 측부의 끝단을 축으로 하여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뒤에 제 1 결합부(221)의 돌출된 부분과 제 1 스토퍼(211)의 걸림턱 부분이 접촉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 2 스토퍼(212)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형성된 후 끝단에서 회전 프레임(22) 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연장형성되고, 제 2 결합부(222)는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이 제 2 스토퍼(212)의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 결합부(222)가 제 2 스토퍼(212)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로 끼워져 걸림결합되어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제 2 스토퍼(212)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의 상면과 수직하게 평판형태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스토퍼(2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토퍼(21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스토퍼(212)의 상부 끝단은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과 평행한 면을 갖도록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한다. 회전 프레임(22)의 제 2 결합부(222)는 제 1 결합부(221)가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제 2 스토퍼(212)의 상단을 향하여 연장형성된 부분으로, 제 2 결합부(222)의 길이축과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가 예각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제 2 결합부(222)는 자체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제 2 스토퍼(212)를 좌측으로 기울임으로써 제 2 결합부(222)를 손쉽게 제 2 스토퍼(212)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다. 제 2 결합부(222)는 제 2 스토퍼(212)의 걸림턱 하부로 끼워 걸림으로써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회전 프레임(22)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물형 캐스트(1)의 이격된 두 부분 중 다른 하나를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압착시키고,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가 일차적으로 결합되고, 추가 외력에 의해 제 2 스토퍼(212)와 제 2 결합부(222)가 이차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 2 스토퍼(212)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스토퍼(212)를 뒤로 젖혀 제 2 결합부(222)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강성 재질의 제 2 스토퍼(212)가 인장되어 색이 변할 수 있다. 진료시 의사는 이러한 제 2 스토퍼(212)의 색변형 유무를 체크하여 고정클립(2)이 분리된 적이 있는지 또는 파손의 위험성이 있는지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고정클립(2)의 조립도이다. 도 3(a)는 고정클립(2) 내부에 제 1 캐스트(11)과 제 2 캐스트(12)를 삽입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회전 프레임(22)가 회전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회전 프레임(22)의 제 1 결합부(221)이 제 1 스토퍼(211)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d)는 회전 프레임(22)의 제 1 결합부(221)이 제 1 스토퍼(2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결합부(222)가 제 2 스토퍼(212)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우선, 외력으로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와 하부를 벌린 뒤 개방된 부분으로 제 1 캐스트(11)를 삽입하여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 공간에 제 1 캐스트(11)를 끼운다. 제 1 캐스트(11)의 상하면은 베이스 프레임(21)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며, 제 1 캐스트(11)의 일측면은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된 압박부(24)에 접촉되고, 제 1 캐스트(11)의 타측면은 베이스 프레임(21)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어 이격돌기(23)와 일부 접촉한 상태로 후술할 제 2 캐스트(12)의 측면과 마주하게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회전 프레임(2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클립(2)이 폐곡선 도형이 되도록 베이스 프레임(21)과 접촉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회전 프레임(22)을 회전하는 방향이 아닌 측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회전 프레임(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에 의해 제 2 캐스트(12)는 자연스럽게 이격돌기(23)와 압박부(24) 사이에 배치되며, 제 2 캐스트(12)의 일측면은 압박부(24)와 접촉되고 타측면 일부는 이격돌기(23)와 접촉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회전 프레임(22)이 회전함에 따라 압박부(24)가 제 2 캐스트(12)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구조로써,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외력으로 제 2 캐스트(12)에 큰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세히는, 회전 프레임(22)와 베이스 프레임(21)이 연결된 지점이 ‘작용점(P)’이 되어, ‘작용점(P)’을 기준으로 평판형의 회전 프레임(22)의 측부인 ‘지레’가 회전하는 구조이다. 이는, 작용점(P)을 기준으로 힘점들의 토크(torque)가 모두 동일하다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아래 수식과 같이 회전 프레임(22)의 측부 끝에서 받는 외력(F1)과 그 길이(S1)의 곱은 제 2 캐스트(12)가 받는 가압력(F2)과 그 길이(S2)의 곱과 동일하게 된다.
[수학식1]
F1 × S1 = F2 × S2
(F1은 측부가 받는 외력, S1은 작용점(P)으로부터 힘점(F1)까지 길이, F2는 제 2 캐스트가 받은 가압력, S2는 작용점(P)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지점까지 길이)
여기서, 작용점(P)으로부터 힘점(F1)까지 길이(S1)가 작용점(P)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지점까지의 길이(S2)가 되므로, 제 2 캐스트(12)가 받는 가압력(F2)이 측부가 받는 외력(F1)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이는, 작은 외력으로도 큰 가압력을 제 2 캐스트(12)에 인가하여 제 2 캐스트(12)를 압착고정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회전 프레임(22)이 90도 회전된 후 제 1 결합부(221)가 제 1 스토퍼(211)에 결합되어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이동이 제한된 상태로서, 제 1 결합부(221)와 제 1 스토퍼(211)는 사용자의 인위적인 외력에 의하여 탈락될 수 있는 임시적인 고정상태이다.
그물형 캐스트(1)는 일정 온도 이상에서 변형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어, 증기나 고온수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 이후 피부보호대가 착용된 환부 표면에 압박되어 환부의 형태에 맞게 변형이 이루어지고 냉각에 의해 형태가 고정되며, 냉각 이후 피부보호대를 제거하기 위하여 그물형 캐스트를 환부로부터 분리해야하게 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반하게 된다.
종래의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10-2011-0048155호는 부목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케이블타이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은 그물형 캐스트를 고정시킨 뒤에는 다시 분해할 수 없는 일회성 구조인 점에서 절개나 파손에 의해서만 그물형 캐스트를 환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제 1 결합부(221)와 제 1 스토퍼(211)가 일차적으로 임시결합되고, 제 2 결합부(222)와 제 2 스토퍼(212)가 이차적으로 확정 결합되도록 설계하였다. 그물형 캐스트(1)가 충분히 냉각될 때까지 임시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제 1 결합부(221)를 제 1 스토퍼(211)에 결합시켜 회전 프레임(22)와 베이스 프레임(21)을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고, 그물형 캐스트(1)의 분리시 제 1 결합부(221)를 상부로 들어 올림으로서 제 1 스토퍼(211)로부터 쉽게 탈락하여 파손없이 그물형 캐스트로부터 고정클립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파손없이 탈락 및 장착이 가능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피부보호대를 제거한 환부에 다시 그물형 캐스트를 장착하여 확정적으로 고정을 시키는 단계로서, 판형의 제 2 결합부(222)를 상부에서 하부로 외력을 가하여 제 2 스토퍼(212)의 걸림턱 하부에 걸리도록 하여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운동을 고정시킨다.
종래의 클립은 하나의 걸림부와 하나의 스토퍼가 걸림결함된 구조인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 한국특허 등록공보 제10-0773862호에 의하면, 벨크로나 지퍼타입으로 캐스트를 환부에 고정시켰다. 이는 환자가 일상적인 생활속에서 발생하는 외부 충격 정도로 쉽게 분리되거나 탈락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두 개의 결합부와 두 개의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클립이 외부의 충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1 스토퍼(211)과 제 2 스토퍼(212)는 각각 횡방향과 종방향에 대해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종방향의 외부 충격이나 횡방향의 외부 충격이 강하여 제 2 스토퍼(212)가 이탈되더라도 제 1 스토퍼(211)과 제 2 스토퍼(212)가 수직하여 제 2 스토퍼(212)와 다른 방향에 대해 지지력을 가지는 제 1 스토퍼(211)과 제 1 결합부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 프레임(2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연결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이동만 가능하므로 제 1 스토퍼(211)과 제 2 스토퍼(212)는 회전 프레임(22)에 대해 모두 회전이동을 제한하는 구조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는 회전 프레임(22)를 2중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로써, 외부의 강한 충격에 제 2 스토퍼(212)와 제 2 결합부(222)가 탈락되더라도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가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고정클립(2) 전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는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특히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는 볼타입의 결합구조로써 서로 암수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는 제 1 스토퍼(211)가 볼타입의 몸체(2111)와 헤드(2112)로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21)가 제 1 스토퍼(211)의 끝단인 헤드(2112)가 삽입되는 헤드홈(2112)으로 형성됨으로써, 헤드(2112)의 삽입여부에 따라 회전 프레임(22)과 베이스 프레임(21)간의 고정여부가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211)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의 상면에서 기둥형태로 형성된 몸체(2111), 및 몸체(211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몸체(2111) 끝단에 형성된 헤드(2112)를 포함하고, 제 1 결합부(221)는 제 1 스토퍼(211)의 헤드(2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 프레임(22)의 내측으로 형성된 헤드홈(2211)을 포함한다. 여기서, 헤드홈(2211)의 입구 주변 둘레가 헤드(2112)의 횡단면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헤드(2112)가 헤드홈(2211)부터 장착 및 탈거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스토퍼(211)의 몸체(2111)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원기둥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에 몸체(2111)의 끝단에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더 큰 헤드(2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표적으로 도 4와 같이 구 형태일 수 있다. 제 1 결합부(221)는 헤드(211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헤드(21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 프레임(22)의 하면에 제 1 결합부(221)가 형성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이 회전된 후 외력에 의해 제 1 스토퍼(211)의 헤드(2112)가 제 1 결합부(221)로 삽입된다. 이 때, 제 1 결합부(221)는 일정이상의 외력에 의해서 제 1 스토퍼(211)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부분이 특히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스토퍼(211)의 몸체(2111)가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된 경우, 헤드홈(2211)부터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경우에 몸체(2111)와 베이스 프레임(21)이 수직하게 연결된 부분인 몸체(2111) 하단에 전단력이 집중적으로 작용된다. 이러한 전단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몸체(2111)의 길이축은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의 상면에서 회전 프레임(22)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21)의 헤드(2112)가 회전 프레임(22)의 헤드홈(2211)에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경우에 몸체(2111)가 받는 전단력보다 길이방향 상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더 크게 된다. 자세히는, 회전 프레임(22)의 헤드홈(2211)이 회전되는 반경의 접선방향으로 몸체(2111)의 길이축이 형성되도록 제 1 스토퍼(211)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 1 스토퍼(211)의 헤드(2112)가 제 1 결합부(221)의 헤드홈(2211)에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과정에서, 제 1 스토퍼(211)가 받는 외력 대부분이 몸체(2111)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되어 몸체(2111) 하단에 미치는 전단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배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특히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부분에 사각판 형태의 보강부(25)가 추가 연결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분이 특히 얇게 형성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으나, 상대적인 내하중성이 약하여 반복적인 회전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우선적으로 끊어질 수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부분에 사각판 형태의 보강부(25)를 추가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부분의 파손시에도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간 연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보강부(25)는 일정 너비를 갖는 사각 끈 형태로써,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오목한 부분의 직선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을 편 상태에서는 구부러진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보강부(25)의 길이는 회전 프레임(22)을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끊어지지 않는 정도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보강부(25)는 고정클립(2) 제조시 일체형으로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고, 3D 프린터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추가적인 접합에 의해 고정클립(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보강부(25)를 추가 형성하여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이 이중으로 연결된 구조로써,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간 연결된 부분이 파손되는 경우에 보강부(25)가 버팀으로써 고정클립(2)가 그물형 캐스트(1)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클립(2)은 베이스 프레임(21)과 회전 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특히 제 2 스토퍼(212)는 제 2 결합부(222)의 관통공(2221)에 삽입되어 암수 결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스토퍼(212)는 기둥형태의 몸체 상부 끝단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된 탄성부(2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부(212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스토퍼(212)의 몸체와 일정 이상 이격되어 있어 탄성력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면에서 볼 때, 버섯 내지 삿갓과 같이 탄성부(2121)의 상부는 기둥형의 몸체와 연결되고 하부는 기둥형의 몸체와 이격되도록 경사진 방향으로 하향 연장형성되어 복원성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212)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크기와 높이는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 2 결합부(222)는 제 2 스토퍼(2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221)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결합부(222)은 관통공(2221)을 좁히는 방향으로 걸림편(2222)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22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편(2222)은 도 6과 같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 2 결합부(222)에 삽입된 제 2 스토퍼(212)는 걸림편(2222)에 걸리면서 후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 프레임(22)을 들어 제 2 스토퍼(212)를 제 2 결합부(222)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제 2 스토퍼(212)나 걸림편(2222)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서 분리된다. 따라서, 2단까지 결합된 고정클립은 한번 분리된 이후에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제 1 스토퍼(211)과 제 1 결합부(221)는 각각 돌기(2111, 2211)가 형성될 수 있다. 각 돌기(2111, 2211)는 단면이 반원형으로써 고정클립(2)의 두께방향으로 일직선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는 각각 외형 돌출된 돌기(2111, 2211)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결합부(221)의 돌기(2211)가 제 1 스토퍼(211)의 돌기(2111)를 타고 넘어 서로 걸림에 의해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가 결합됨으로써, 회전 프레임(22)이 일정 외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제 1 스토퍼(211)와 제 1 결합부(221) 간 결합시 돌기(2111, 2211)가 서로 걸리는 둔턱이 되어 결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22)은 도 6과 같이 일자형으로 펴질 수 있도록 상부와 측부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회전 프레임(22)이 좀더 용이하게 제 2 캐스트(12)를 감싸 결합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그물형 캐스트
11: 제 1 캐스트
12: 제 2 캐스트
2: 고정클립
21: 베이스 프레임
211: 제 1 스토퍼
2111: 몸체
2112: 헤드
212: 제 2 스토퍼
2121: 탄성부
22: 회전 프레임
221: 제 1 결합부
2211: 헤드홈
222: 제 2 결합부
2221: 관통공
2111, 2211: 돌기
23: 이격돌기
24: 압박부
25: 보강부

Claims (12)

  1. 그물형 캐스트(1)가 환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서로 이격된 제 1 캐스트(11) 및 제 2 캐스트(12)를 삽입하여 상기 그물형 캐스트(1)에 장착되는 고정클립(2)에 있어서,
    테두리 중 일부가 개방된 틀 형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제 1 캐스트(11)가 삽입되는 베이스 프레임(21);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개방된 부분의 끝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제 2 캐스트(12)의 측면 일부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1)과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과 폐곡선을 형성하는 회전 프레임(22)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는 제 1 스토퍼(211) 및 제 2 스토퍼(212)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22)에는 회전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제 1 스토퍼(211) 및 제 2 스토퍼(212)와 마주하는 부분에 제 1 결합부(221) 및 제 2 결합부(22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전 프레임(22)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물형 캐스트(1)의 이격된 두 부분 중 다른 하나를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압착시키고,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토퍼(211)와 상기 제 1 결합부(221)가 일차적으로 결합되고, 추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스토퍼(212)와 상기 제 2 결합부(222)가 이차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21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21)는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에서 하향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결합부(221)가 상기 제 1 스토퍼(211)의 절곡된 부분에 접촉되어 상기 제 1 스토퍼(211)와 상기 제 1 결합부(221)가 서로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퍼(21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에서 상향 연장형성된 후 끝단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22) 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222)는 평판형태로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제 2 스토퍼(212)의 상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결합부(222)가 상기 제 2 스토퍼(212)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로 끼워져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내측면 또는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내측면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21) 또는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를 갖는 압박부(2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그물형 캐스트(1)의 만곡진 부분에 상기 압박부(24)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24)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의 리브 또는 끝단이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21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의 상면에서 기둥형태로 형성된 몸체(2111), 및 상기 몸체(2111)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몸체(2111) 끝단에 형성된 헤드(2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결합부(221)는 상기 제 1 스토퍼(211)의 헤드(2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내측으로 형성된 헤드홈(2211)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홈(2211)의 입구 주변 둘레가 상기 헤드(2112)의 횡단면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헤드(2112)가 상기 헤드홈(2211)으로부터 장착 및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11)의 길이축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상부의 상면에서 상기 회전 프레임(22) 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헤드(2112)가 상기 회전 프레임(22)의 헤드홈(2211)에 삽입되거나 탈락되는 경우에 상기 몸체(2111)가 받는 전단력보다 길이방향 상의 압축력 또는 인장력이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22)가 연결된 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1)의 하부와 상기 회전 프레임(22)이 연결된 부분에 사각판 형태의 보강부(25)가 추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토퍼(212)는 기둥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끝단의 둘레를 따라 탄성부(2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결합부(222)는 상기 제 2 스토퍼(2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2221)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221)의 테두리로부터 관통공(2221)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걸림편(2222)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2 스토퍼(222)가 상기 제 2 결합부(222)의 관통공(222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2121)가 상기 걸림편(2222)에 걸리면서 상기 제 2 스토퍼(222)의 후진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211)와 상기 제 1 결합부(221)는 각각 외형 돌출된 돌기(2111, 22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결합부(221)의 돌기(2211)가 상기 제 1 스토퍼(211)의 돌기(2111)를 타고 넘어 서로 걸림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211)와 상기 제 1 결합부(221)가 결합됨으로써, 서로의 돌기(2111, 2211)가 분리되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2)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클립.
  12. 제 1 항의 고정클립(2)가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에 있어서,
    망상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며,
    한 개 이상의 제 1 항의 고정클립(2)이 장착됨으로써 이격된 두 부분을 결합시켜 환부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그물형 캐스트.
KR2020170001221U 2017-02-03 2017-03-15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KR2004848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0588 2017-02-03
KR2020170000588 2017-0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844Y1 true KR200484844Y1 (ko) 2017-10-31

Family

ID=6040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21U KR200484844Y1 (ko) 2017-02-03 2017-03-15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84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020A (ja) * 1999-10-15 2001-04-27 Kitai Seisakusho:Kk 袋等の口頚部封止用クリップ
KR20100123097A (ko) * 2009-05-14 2010-11-24 엄장환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KR101538642B1 (ko) * 2014-06-26 2015-07-22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82975A1 (en) * 2014-04-07 2015-10-08 Lawrence D. Herzman Orthopedic Ca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020A (ja) * 1999-10-15 2001-04-27 Kitai Seisakusho:Kk 袋等の口頚部封止用クリップ
KR20100123097A (ko) * 2009-05-14 2010-11-24 엄장환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US20150282975A1 (en) * 2014-04-07 2015-10-08 Lawrence D. Herzman Orthopedic Cast
KR101538642B1 (ko) * 2014-06-26 2015-07-22 주식회사 우리소재 변형성과 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9119B2 (ja) 隣接して配置された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外科用接続要素
JP4657586B2 (ja) マスクカバー
US4655708A (en) Orthodontic appliance
US4202328A (en) Method and means for fixation and immobilization of the jaws
KR101573186B1 (ko) 치열교정용 구개 고정구
JP2005131394A (ja) 弾性ロッド部品固定のための固定装置を備えたペディクル・スクリュー
KR101703708B1 (ko) 치아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방법
TWI668000B (zh) 牙齒矯正裝置
WO2013173954A1 (zh) 一次性包皮环切吻合器
WO2010101238A1 (ja) 巻き爪矯正用具
JP2003515360A (ja) 組織開創器保持帯
WO2000049949A8 (en) Skull closure device and procedure
JPH10179605A (ja) 骨固定装具
JP2014528309A (ja) 口腔内装具とその製造方法及び調節方法
JP2013514817A (ja) 検鏡
JP6532533B2 (ja) 咽頭側壁牽引装置
JP4340147B2 (ja) 隣接する骨板を固定するためのインプラント
JP6613310B2 (ja) 骨部分に平坦なバンドに取り付けるための用具
KR200484844Y1 (ko)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KR20180022452A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스플린트
JP5472713B2 (ja) 上顆炎締め具
JP2021531911A (ja) 顎角度保持用補助具及びこれを含む顎角度矯正装置
US11589959B2 (en) Intraoral device with a pair of articulated dental aligners
KR20170092492A (ko) 내향성 손발톱 교정장치
JP2015047428A (ja) ラバーダム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