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097A -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 Google Patents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097A
KR20100123097A KR1020090042126A KR20090042126A KR20100123097A KR 20100123097 A KR20100123097 A KR 20100123097A KR 1020090042126 A KR1020090042126 A KR 1020090042126A KR 20090042126 A KR20090042126 A KR 20090042126A KR 20100123097 A KR20100123097 A KR 20100123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tient
present
coupling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장환
Original Assignee
엄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장환 filed Critical 엄장환
Priority to KR1020090042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3097A/ko
Priority to PCT/KR2010/002818 priority patent/WO2010131863A2/ko
Publication of KR2010012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61F13/108Openable re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통기공(112)을 가지고 있는 망상구조상의 시트로 제조된 본체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는 인체에 무해하고, 65 ℃ 내지 75 ℃ 에서 소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적인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된 1장의 시트를 이용한 결합편(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강인한 철선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는 회동결합고리(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는 상기의 결합편(120)을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신체고정밴드(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그 일측면에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를 결합시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타측면은 본체의 반대편으로 향하여 겹쳐지게 형성되어 있다.
환자, 의료보조기구, 의료기구, 신체교정, CIMT

Description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Medical Means for Fixing and Correcting the Body}
본 발명은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되어 있거나 비정상적인 신체를 고정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게 해주는 뼈대와, 상기의 뼈대를 덮고 있으며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뼈대는 어린아이로부터 계속적으로 자라게 되고, 청소년기를 통하여 충분히 성장하게 되며, 장년이 되어서는 그 성장을 멈추게 되고, 근육은 상기 뼈대의 성장에 맞추어 건강한 모습으로 아름다운 신체를 이루게 된다.
인체의 뼈대는 정상적인 상태로 성장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각종의 질병이나 각종의 사고를 통하여 비정상적인 상태하에서 장기간 또는 일시적으로 지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일상 생활 중에 다치게 되거나 특정한 환경하에 서 사고를 당하게 되었을 때, 단순한 찰과상을 입었을 경우엔, 큰 문제로 대두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사고로 인하여 뼈대를 다치게 될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뼈대를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환원시키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우리는 일상 생활 중에 다치게 되거나 신체적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야기되거나 특정한 환경하에서 사고를 당함으로써 정상적인 생활을 스스로 영위하기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환자라고 지칭한다.
환자는 일상 생활을 스스로 잘 영위할 수 없는 관계로 인하여 정상인들에 비하여 수동적이거나, 외부인의 도움을 절실하게 요구하게 된다. 특히, 자신의 신체 중에서 골격계를 정상적인 상태로 환원시켜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다른 환자들에 비하여 매우 독특한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특정한 부위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깁스와 같은 의료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그 특정한 부위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그 특정한 신체부위가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거나, 다른 신체부위와 협동하여 움직이는 부위를 형성할 경우, 그 신체부위만을 고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신체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깁스 등은 움직임을 방지하여야 하고 그 신체의 고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유연성을 지닌 재료는 적합하지 못한 상반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특정한 신체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깁스와 같은 의료보조기구를 이용하여 감싸게 되는데,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기 어렵고, 여름과 같은 경우,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을 배출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단 한 번 고정되어지면, 완전히 굳어져서 더 이상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없고, 나중에 뜯어낼 때까지 계속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신체를 고정해야 하는 종래의 의료용 보조기구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에 사용시 환자의 신체부위에 잘 밀착될 수 있고, 환자로부터 열을 쉽게 발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도록 하거나 신체로부터 쉽게 탈리시킬 수 있으며, 사후적으로 필요할 경우 그 형상을 변경할 수도 있는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는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고 있는 망상구조상의 시트로 제조되어지고, 인체에 무해하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자체적인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된 1장의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하여 절곡시켜서 절곡부위를 형성하고 상기의 본체에 다시 접착되어 있는 결합편과; 강인한 철선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편의 절곡부위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결합고리와; 상기의 본체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측면은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하여 절곡시켜서 절곡부위를 형성하고 그 절곡부위에 상기의 회동결합고리를 삽입시키고 있으며,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면은 환자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본체의 반대편으로 향하여 겹쳐지게 형성된 신체고정밴드;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의 제조방법은 상기의 본체를 각 신체조건에 적합한 형상으로 재단하여 절단하고, 상기의 결합편과 회동결합고리 및 신체고정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회동결합고리의 한쪽에 상기의 결합편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회동결합고리의 다른 쪽에 상기의 신체고정밴드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부속체 결합단계와; 상기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의 부속체 결합단계에서 형성된 상기의 결합편을 상기의 본체에 결합시키는 본체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는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미리 성형되어 있으므로, 환자 자신이 직접 사용하고나 주변의 보호자 등이 환자에게 사용할 경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였을 경우, 신체에서 발생되는 체온을 외부로 쉽게 발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여름철과 같은 경우 신체에서 땀이 발생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그 신체부위를 물로 적시거나 물 속에 담가서 땀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신체고정고리를 회동결합고리에 의하여 회동하면서 결합되어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 등이 환자의 신체부위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감싸고 고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 환자의 신체에 착용한 경우에도,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할 경우, 외부에서 가소성 온도의 열을 쬐어 줌으로써, 환자의 신체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재조정할 수 있고, 이 때 가열된 온도는 65 ℃ 내지 75 ℃ 정도에 불과하므로, 환자의 신체를 화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a은 본 발명의 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를 소개한 사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의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110)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110)를 환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는 다수의 통기공(112)을 가지고 있는 망상 구조상의 시트로 제조된 본체(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다수의 통기공(112)을 가지고 있으므로, 완성품으로 환자에 사용하였을 경우, 환자의 신체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고, 신체의 피부가 공기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환자로 하여금 답답함이나 끈적거린 느낌을 전혀 느낄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그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것을 사용한다. 환자의 신체에 접촉되었을 경우, 가려움증이나 피부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는 일반 합성수지 재질은 배제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통상적인 실온(15℃ ~ 35℃)에서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게 되지만, 65 ℃ 내지 75 ℃ 의 온도에 접촉되었을 경우에는 그 형상에 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자가 일단 사용하고 있는 환경에서는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지만, 최초로 특정한 형상을 제조하거나 사후적으로 최초의 형상을 변형시키고자 할 경우, 자유롭게 형태상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환자의 신체에 화상을 일으킬 정도의 고온 하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경우에는,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최소 변형온도가 50 ℃ 이상이어야 하고, 최고 한계온도는 8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오늘날 현실적으로 개발된 제품으로는 65 ℃ 내지 75 ℃ 의 온돌범위에서 그 형상의 변형을 가져오는 재질만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온도 범위로 한정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는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자체적인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완전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제반 조건을 충족시키는 재질로서는 벨기에 국적의 RUNLITE s.a. 회사에서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는 X-Lite® 제품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의 X-Lite® 제품은 다수의 통기공(112)을 형성하고 있는 시트형상으로 판매되고 있고(도 -1a 및 도 -1b 참조), 상기의 온도범위에서 시트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고 자체적으로 상기 온도범위에서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결합편(120)을 회동결합고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신체고정밴드(140)를 회동결합고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110)에 결합편(120)과 회동결합고리를 결합시키고, 신체고정밴드(140)와 회동결합고리(130)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결합편(12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편(120)이 상기 본체(110)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환자의 신체에 대해 무해하고, 상기 본체(110)와 접착될 수 있으므로, 다른 재료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결합편(120)은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폭이 1 센티미터보다 좁을 경우에는 본체(110)와 결합되었을 때 그 결합력이 약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한 반면에, 5 센티미터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너무 두꺼운 관계로 회동결합고리(130)와 결합시키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편(120)의 폭은 통상적으로 상기의 본체(110)의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의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편(120)은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된 1장의 시트를 이용하며, 상기 본체(110)와 동일하게 65 ℃ 내지 75 ℃의 온도에서 소성시킨 후 접어서 절곡시킨다. 접어서 절곡된 절곡부위(122)의 내부에는 회동결합고리(130)를 삽입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편(120)은 1개의 본체(110)에 대하여 1개 ~ 5 개를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의 결합편(120)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도 환자의 신체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는 상기 결합편의 절곡부위(122)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결합고리(13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는 강인한 철선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를 형성할 경우, 상기 결합편(120)이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에 결합되어지게 될 다른 부재로 하여금 더욱 자유로운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는 신체고정밴드(14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그 일측면이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가 상기 회동결합고리(130)를 매개로 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그의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상기의 결합편(120)의 폭과 대응되어지고, 그와 일치되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그의 타측면이 환자의 신체 를 감싸고 상기 본체(110)의 반대편으로 향하여 겹쳐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환자의 신체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밀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신체를 흔들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붙들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상기의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역시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상기 본체(110)와 접착될 수 있으므로, 다른 재료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신체고정밴드(140)는 그의 일측면을 65 ℃ 내지 75 ℃의 온도에서 소성시키고 절곡시켜서 절곡부위(142)를 형성한 다음, 그 절곡부위에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를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110)의 재질로서 적합한 재료의 시트를 선정한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열의 발산을 쉽게 하며 상온에서는 견고하지만 65℃ 내지 75℃의 온도 범위에서 연질화되어지는 재료로서 다수의 통공(112)을 형성하고 있는 다공성 시트를 취한다(도 1a). 상기의 다공성 시트를 환자의 신체를 감싸고 보호하는데 적 합한 형태로 재단한다. 다공성 시트의 재단은 일정한 형상으로 확정되어지면, 그 확정된 형상을 수작업으로 또는 프레스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절단한다. 도 2에서는 환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하여 재단된 다공성 시트를 예시해주고 있다.
본 발명은 재단된 시트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성형 작업을 행할 수 있지만, 일단 성형된 이후에 결합편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이 오히려 번거로운 측면이 있으므로, 상기의 결합편과 회동결합고리 및 신체고정밴드를 제조하여 준비해두는 것이 더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합편(120)과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상기의 본체(110)를 제조하는데 선정된 재료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의 본체(110)에 결합시키는데 적합하고,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에 삽입시킬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본 발명은 그 후, 상기 결합편(120)의 중앙부위에 열을 가하여 절곡시키고, 그 절곡된 부위에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를 끼워넣는다.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편(120)의 양 단부를 서로 접촉시켜놓는다 (도 4a 참조). 또한,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의 다른 쪽에는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의 일단을 결합시켜 놓는다. 이 경우,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의 한쪽에는 상기의 결합편(120)이 삽입되어 체결되어지고,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의 다른 쪽에는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가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는 형태를 보이게 된다.(도 4b 참조).
본 발명은 상기의 결합편(120)과 회동결합고리(130) 및 신체고정밴드(140)를 서로 결합시켜 놓은 다음, 이들을 상기의 본체(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합편(120)을 65 ℃ 이상의 물속에 잠깐 동안 담가두었다가 꺼낸 후, 상기의 본체(110)에 접촉시키고, 이들을 서로 압박하게 되면, 이들이 서로 부착되어지게 된다.(도 5 참조). 그 이후, 상기의 본체(110)를 환자의 신체구조와 동일한 형상의 금형에 접촉시켜서 최종적인 형상으로 제조하게 된다. 또는, 상기의 본체(110)를 65 ℃ 이상의 물속에 잠깐 동안 담가두었다가 꺼낸 후, 상기의 금형에 접촉시켜서 최종적인 형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10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6a는 환자의 손에 사용될 수 있는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동일한 형상으로서 그 크기만 서로 다른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6c는 환자의 발에 사용될 수 있는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제품을 환자의 신체에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을 환자의 신체에 갖다 대고 환자의 신체를 상기 본체(110)내부에 삽입시킨 후, 상기 신체고정밴드(140)를 돌려 감아서 환자의 신체를 고정시키고, 그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상기 신체고정밴드(140)의 끝단을 상기 본체(110)에 결합시키게 된다. 도 7은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및 그 작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를 소개한 사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본체(110)에 사용되는 재료의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110)를 재단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110)를 환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게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결합편(120)을 회동결합고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신체고정밴드(140)를 회동결합고리(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본체(110)에 결합편(120)과 회동결합고리를 결합시키고, 신체고정밴드(140)와 회동결합고리(130)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품을 실제로 환자의 팔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발명, 110 : 본체,
120 : 결합편, 130 : 회동결합고리,
140 : 신체고정밴드

Claims (3)

  1. 다수의 통기공(112)을 가지고 있는 망상구조상의 시트로 제조되어지고, 인체에 무해하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자체적인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된 1장의 시트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하여 절곡시켜서 절곡부위(122)를 형성하고 상기의 본체에 다시 접착되어 있는 결합편(120)과;
    강인한 철선을 이용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결합편의 절곡부위(122)에 삽입되어 있는 회동결합고리(130)와;
    그 일측면은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에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결합고리(130)에 결합되어 있고, 그 폭이 1 센티미터 내지 5 센티미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면은 환자의 신체를 감싸고 상기 본체의 반대편으로 향하여 겹쳐지게 형성된 신체고정밴드(1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체고정밴드(140)는 상기의 본체(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 고, 그 일측면은 상기 65 ℃ 내지 75 ℃ 에서 소성하여 절곡시켜서 절곡부위(142)를 형성하고 그 절곡부위에 상기의 회동결합고리(130)를 삽입시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3. 본체를 각 신체조건에 적합한 형상으로 재단하여 절단하고, 상기의 결합편과 회동결합고리 및 신체고정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회동결합고리의 한쪽에 상기의 결합편을 삽입하여 체결하고, 상기 회동결합고리의 다른 쪽에 상기의 신체고정밴드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부속체 결합단계와;
    상기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의 부속체 결합단계에서 형성된 상기의 결합편을 상기의 본체에 결합시키는 본체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환자용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의 제조방법.
KR1020090042126A 2009-05-14 2009-05-14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KR20100123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26A KR20100123097A (ko) 2009-05-14 2009-05-14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PCT/KR2010/002818 WO2010131863A2 (ko) 2009-05-14 2010-05-04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126A KR20100123097A (ko) 2009-05-14 2009-05-14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097A true KR20100123097A (ko) 2010-11-24

Family

ID=4308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126A KR20100123097A (ko) 2009-05-14 2009-05-14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123097A (ko)
WO (1) WO201013186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44Y1 (ko) * 2017-02-03 2017-10-31 (주)한독메디텍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KR20180128119A (ko) * 2017-05-22 2018-12-03 김형우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4422A1 (de) * 1983-12-08 1985-06-20 S + G Implants GmbH, 2400 Lübeck Orthese fuer kniegelenke
US6129692A (en) * 1998-08-31 2000-10-10 Inductive Technologies, Inc. Neuropathy relief vacuum traction assist system for carpal tunnel relief
US7691076B2 (en) * 2003-10-29 2010-04-06 Castro Ernesto G Articulated custom ankle-foot orthosis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44Y1 (ko) * 2017-02-03 2017-10-31 (주)한독메디텍 그물형 캐스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2단 고정클립 및 그것이 적용된 그물형 캐스트
KR20180128119A (ko) * 2017-05-22 2018-12-03 김형우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31863A3 (ko) 2011-03-24
WO2010131863A2 (ko)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3544B2 (en) Orthopedic system for immobilizing and supporting body parts
US3742943A (en) Rhinoplast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A2849919C (en) Facial structure stabilization methods and apparatus
KR101573221B1 (ko) 환부 고정용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0008253A1 (en) Orthotic device, orthotic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EP3229743B1 (en) Multifunctional orthosis device
KR20100123097A (ko) 신체의 고정 및 교정용 기구
US10682261B2 (en) Breathable instant cast
JP2007244786A (ja) 外反母趾用趾間装具
KR100693221B1 (ko)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US2002018962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stening a hairpiece
US20040147859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JP5974015B2 (ja) 多段階整形外科的システム及び取外し可能なギプス
KR102070654B1 (ko) 부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3646B1 (ko)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H1147185A (ja) 医療用ギプス
US10143584B1 (en) Splint kit set
WO2002067832A1 (en)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JP6053769B2 (ja) 耐湿性で成形可能な損傷治療器具及び方法
CN112165922A (zh) 鼻夹板和制造鼻夹板的方法
KR20220014664A (ko) 접힘방지용 절개홈이 형성된 기능성 굴곡 벤딩 부목
JP2004041662A (ja) 整形保護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