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25Y1 -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 Google Patents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25Y1
KR200484025Y1 KR2020160001091U KR20160001091U KR200484025Y1 KR 200484025 Y1 KR200484025 Y1 KR 200484025Y1 KR 2020160001091 U KR2020160001091 U KR 2020160001091U KR 20160001091 U KR20160001091 U KR 20160001091U KR 200484025 Y1 KR200484025 Y1 KR 200484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helf
food
edge fram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원
Original Assignee
양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원 filed Critical 양성원
Priority to KR202016000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30Detachable, retractable or collapsible load supporting means
    • B62B2205/32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 대상인 음식이 올려지는 선반, 상기 선반 가장자리를 둘러싸 무게를 지지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선반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함으로써 중앙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스테인레스 판이며,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은 폭방향 단면이 아이(I)자 형태이며, 양 단이 각각 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stainless plate of cart for delivering food and cart for delivering food cart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를 사용하던 종래의 것과는 다르게 선반을 스테인레스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식 운반 카트 자체의 무게를 줄여 운반이 용이한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 운반 카트는 선반을 목재로 사용해왔으며, 그 무게로 인해 카트 이동시 이동방향 조정, 이동을 중간에 멈추는 등의 이동 및 방향에 대한 조정이 어려웠고, 이런 이유로 이동중 사람이나 물체에 쉽게 부딪히는 위험이 있어 왔다.
또한, 목재로 구성됨으로써 카트 자체의 비용이 비쌌고, 음식 운반 중 음식물이 넘칠 경우 생기는 얼룩 등이 잘 지워지지 않았으며, 물기 흡수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는 등의 문제점 또한 있어 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판으로 선반을 구성된 음식 운반 카트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2215호(2011.06.29. 공개, 서빙용 카트 및 그 제조방법)가 있다.
해당 특허 문헌에서는, "본 발명은 수직으로 입설되며, 하단에 바퀴가 설치된 지지봉들과 상기 지지봉들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치되어 상부로는 음식용기 혹은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한 사각형상의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카트본체; 및 상기 지지봉에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부위와의 대응부위를 가압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위가 탈착될 수 있는 걸림턱을 이루게 형성한 요입홈부와 상기 요입홈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봉으로부터 직각을 이루게 용접되어 인접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모서리면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과 고정판을 포함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특허 문헌 등 종래 음식 운반 카트는 스테인레스 판 특유의 약한 경도에 의해 물건이나 음식이 올려진 경우 일방향으로 휘는 것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상기와 같이 문제는 특히, 스테인레스 판의 중앙부분 치우쳐짐 및 스테인레스 판과 가장자리 프레임 간의 벌어짐에 의한 형태 변형에서 문제점이 크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2215호(2011.06.29. 공개), 서빙용 카트 및 그 제조방법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선반을 스테인레스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식 운반 카트 자체의 무게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되, 중앙지지 프레임을 통해 선반의 중앙 처짐을 방지하고, 연결구의 제 3 돌출부를 통해 선반과 가장자리 프레임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은, 운반 대상인 음식이 올려지는 선반, 상기 선반 가장자리를 둘러싸 무게를 지지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선반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함으로써 중앙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스테인레스 판이며,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은 폭방향 단면이 아이(I)자 형태이며, 양 단이 각각 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판을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 각각의 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음식이 올려졌을 경우 휘지 않도록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 지지부 및 상기 분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분산 지지부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연결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홈 및 상기 절곡부를 포함한 상기 분산 지지부가 삽입되는 제 2 연결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몸체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두개가 서로 이격되되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돌출부에 상기 제 1 연결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가장자리 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여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제한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를 포함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각 모서리의 양옆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산 지지부 내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가 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3 돌출부, 상기 제 3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제 3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간의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두께만큼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 돌출부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몸체 통공의 상기 제 4 돌출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이 음식 운반 카트에 결합되도록 지지대가 상기 몸체 통공을 관통할 경우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상기 지지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제 4 돌출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 하단부와 접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돌출부를 보조하는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절곡부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결합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결합홈 및 상기 나사결합홈과 맞닿는 부분의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며, 상기 제 3 돌출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 분리된 두 개의 상기 제 3 돌출부가 서로 벌어져 있는 형태에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선반과 결합하면 상기 분산 지지부에 삽입되어 오므려지며 상기 분산 지지부 내벽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과 결합하도록, 상기 선반의 모서리 개수만큼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몸체 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중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와 결합한 선반의 연결구 중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연결구의 상기 몸체 통공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조정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대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결합하여 상지 선반을 상기 지지대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한 높이에 고정하는 연결구 받침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반을 스테인레스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식 운반 카트 자체의 무게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며, 목재 선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
둘째, 중앙지지 프레임을 통해 선반의 중앙 처짐을 방지하고, 연결구의 제 3 돌출부를 통해 선반과 가장자리 프레임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 사용수명이 길다.
셋째, 제 1 돌출부를 통해 하나의 연결구에 연결된 두 개의 가장자리 프레임이 제 2 돌출부 및 보조 돌출부를 통해 서로 직각을 유지함으로써 선반이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의 일실시예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의 선반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의 연결구 및 가장자리 프레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의 일실시예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은 선반(100), 가장자리 프레임(200), 연결구(300) 및 미도시된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는 지지대(400), 손잡이(500) 및 바퀴(600)를 포함한다.
운반 대상인 음식이 올려지는 상기 선반(100)은 상기 선반(100)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에 의해 무게가 지지되고, 상기 연결구(300)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을 각각 연결하며, 추가로,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은 상기 선반(100)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함으로써 중앙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선반(100)은 스테인레스 판이며,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은 폭방향 단면이 아이(I)자 형태이며, 양 단이 각각 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100)을 상기 스테인레스 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식 운반 카트 자체의 무게를 줄여 운반이 용이하며, 종래의 목재 선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과 결합하도록, 상기 선반(100)의 모서리 개수만큼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연결구(300)의 몸체 통공(311)을 관통하는 지지대(400)를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대(400) 하단부에는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60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400)는 상기 지지대(400)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360)과 결합하여 상지 선반(100)을 상기 지지대(400)의 상기 걸림홈(360)이 위치한 높이에 고정하는 연결구 받침 돌출부를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0)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100) 중 상기 지지대(400)의 상단부와 결합한 선반(100)의 연결구(300) 중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연결구(300)의 상기 몸체 통공(311)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사용자가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조정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스테인레스 판의 상기 연결구(300) 중 상기 손잡이(500)가 연결되지 않은 상기 몸체 통공(311)은 마개(700)가 씌워져 상기 몸체 통공(311)의 이물질 끼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의 선반(100)이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선반(100)은 메인 플레이트(110), 분산 지지부(120) 및 절곡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100)의 판을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110) 각각의 변에는 분산 지지부(120)가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에 음식이 올려졌을 경우 휘지 않도록 무게를 분산시키고, 상기 절곡부(130)는 상기 분산 지지부(12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산 지지부(120)는 상기 절곡부(130)를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에 삽입되고, 상기 분산 지지부(120)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연결구(3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의 연결구(300) 및 가장자리 프레임(200)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은 제 1 연결홈(210) 및 제 2 연결홈(2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300)는 몸체(310), 제 1 내지 제 4 돌출부(350) 및 걸림홈(3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홈(210)은 상기 연결구(300)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연결홈(220)은 상기 절곡부(130)를 포함한 상기 분산 지지부(120)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산 지지부(120)는 상기 제 2 연결홈(2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고정이 단단하게 이루어진다.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몸체 통공(311)이 형성된 상기 몸체(310)의 측면에는 두개가 서로 이격되되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홈(210)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제 1 돌출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출부(330)는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320)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돌출부(320)에 상기 제 1 연결홈(21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가장자리 프레임(200)의 상단부와 접하여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320)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제한한다.
이때, 상기 제 3 돌출부(340)는 상기 제 2 돌출부(330)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의 두께를 포함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와 각 모서리의 양옆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130)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산 지지부(120) 내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선반(100)의 가장자리가 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과 상기 선반(100)의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을 통해 상기 선반(100)의 중앙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연결구(300)의 상기 제 3 돌출부(340)를 통해 상기 선반(100)과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 간의 벌어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여 사용수명이 길다.
상기 제 4 돌출부(350)는 상기 제 3 돌출부(340)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제 3 돌출부(340)와 상기 제 2 돌출부(330) 간의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의 두께만큼 상기 제 2 돌출부(330)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걸림홈(360)은 상기 몸체 통공(311)의 상기 제 4 돌출부(350)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100)이 음식 운반 카트에 결합되도록 지지대(400)가 상기 몸체 통공(311)을 관통할 경우 상기 지지대(40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선반(100)이 상기 지지대(400)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4 돌출부(350)는 상기 제 4 돌출부(35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 하단부와 접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320)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돌출부(330)를 보조하는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연결구(300)가 상기 절곡부(130)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결합홈(351)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결합홈(351) 및 상기 나사결합홈(351)과 맞닿는 부분의 상기 절곡부(130)를 관통하여 나사결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320)를 통해 하나의 상기 연결구(300)에 연결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200)이 상기 제 2 돌출부(330) 및 상기 보조 돌출부를 통해 서로 직각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선반(100)이 외부충격에 의해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3 돌출부(340)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 분리된 두 개의 상기 제 3 돌출부(340)가 서로 벌어져 있는 형태에서 상기 연결구(300)가 상기 선반(100)과 결합하면 상기 분산 지지부(120)에 삽입되어 오므려지며 상기 분산 지지부(120) 내벽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110) 하면의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을 제외한 부분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상기 선반이 스테인레스 판 특유의 미세한 충격에도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흡음재는 대표적으로, 스펀지, 스티로폼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선반 110...메인 플레이트
120...분산 지지부 130...절곡부
200...가장자리 프레임 210...제 1 연결홈
220...제 2 연결홈 300...연결구
310...몸체 311...몸체 통공
320...제 1 돌출부 330...제 2 돌출부
340...제 3 돌출부 350...제 4 돌출부
351...나사결합홈 360...걸림홈
400...지지대 500...손잡이
600...바퀴 700...마개

Claims (7)

  1. 운반 대상인 음식이 올려지는 선반;
    상기 선반 가장자리를 둘러싸 무게를 지지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구; 및
    상기 선반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함으로써 중앙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은 스테인레스 판이며, 상기 중앙지지 프레임은 폭방향 단면이 아이(I)자 형태이며, 양 단이 각각 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선반은,
    상기 선반의 판을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 각각의 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음식이 올려졌을 경우 휘지 않도록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 지지부; 및
    상기 분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분산 지지부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연결구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은,
    상기 연결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홈; 및
    상기 절곡부를 포함한 상기 분산 지지부가 삽입되는 제 2 연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는,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몸체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두개가 서로 이격되되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돌출부에 상기 제 1 연결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가장자리 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여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제한하는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를 포함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각 모서리의 양옆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산 지지부 내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가 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3 돌출부;
    상기 제 3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제 3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간의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두께만큼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몸체 통공의 상기 제 4 돌출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이 음식 운반 카트에 결합되도록 지지대가 상기 몸체 통공을 관통할 경우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상기 지지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제 4 돌출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 하단부와 접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돌출부를 보조하는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절곡부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결합홈 및 상기 나사결합홈과 맞닿는 부분의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돌출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 분리된 두 개의 상기 제 3 돌출부가 서로 벌어져 있는 형태에서 상기 연결구가 상기 선반과 결합하면 상기 분산 지지부에 삽입되어 오므려지며 상기 분산 지지부 내벽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6. 제 1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언급한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에 있어서,
    운반 대상인 음식이 올려지며, 선반의 판을 이루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 각각의 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음식이 올려졌을 경우 휘지 않도록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 지지부 및 상기 분산 지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 지지부는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삽입되고, 상기 분산 지지부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연결구의 일부가 삽입되는 선반;
    상기 선반 가장자리를 둘러싸 무게를 지지하며, 연결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홈 및 상기 절곡부를 포함한 상기 분산 지지부가 삽입되는 제 2 연결홈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프레임;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며,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몸체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측면에 2개가 서로 이격되되 동일한 수평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연결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 1 돌출부,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 1 돌출부에 상기 제 1 연결홈이 결합된 상태에서 해당 가장자리 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여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제한하는 제 2 돌출부, 상기 제 2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두께를 포함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각 모서리의 양옆에 위치한 상기 절곡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산 지지부 내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선반의 가장자리가 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과 상기 선반의 연결된 부분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 3 돌출부, 상기 제 3 돌출부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제 3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 간의 이격된 거리 및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두께만큼 상기 제 2 돌출부와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 돌출부 및 상기 몸체 통공의 상기 제 4 돌출부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선반이 음식 운반 카트에 결합되도록 지지대가 상기 몸체 통공을 관통할 경우 상기 지지대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상기 지지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돌출부는, 상기 제 4 돌출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 하단부와 접함으로써, 두 개의 상기 제 1 돌출부 각각에 결합한 두 개의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제 2 돌출부를 보조하는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연결구가 상기 절곡부와 나사결합하도록 나사가 관통하는 나사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는 상기 나사결합홈 및 상기 나사결합홈과 맞닿는 부분의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하는 연결구; 및
    상기 선반을 세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지지함으로써 중앙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폭방향 단면이 아이(I)자 형태이며, 양 단이 각각 접하는 상기 가장자리 프레임에 연결되는 중앙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과 결합하도록,
    상기 선반의 모서리 개수만큼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몸체 통공을 관통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중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와 결합한 선반의 연결구 중 두 개의 서로 인접한 연결구의 상기 몸체 통공에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조정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대 하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식 운반 카트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과 결합하여 상지 선반을 상기 지지대의 상기 걸림홈이 위치한 높이에 고정하는 연결구 받침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을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KR2020160001091U 2016-02-29 2016-02-29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KR200484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91U KR200484025Y1 (ko) 2016-02-29 2016-02-29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091U KR200484025Y1 (ko) 2016-02-29 2016-02-29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025Y1 true KR200484025Y1 (ko) 2017-07-21

Family

ID=5939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091U KR200484025Y1 (ko) 2016-02-29 2016-02-29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965A (zh) * 2020-05-27 2020-09-01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餐具回收推车及餐具回收推车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63Y1 (ko) * 2000-10-12 2001-04-02 주식회사원풍로자 조립식 진열대의 선반 고정장치
KR200292395Y1 (ko) * 2002-07-25 2002-10-19 최진식 조립식 자연친화 쓰레기통
JP2006020742A (ja) * 2004-07-07 2006-01-26 Satoshi Takagi 組立ラック
KR20110072215A (ko) 2009-12-22 2011-06-29 홍종길 서빙용 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371B1 (ko) * 2013-09-24 2015-01-21 김원종 선반 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963Y1 (ko) * 2000-10-12 2001-04-02 주식회사원풍로자 조립식 진열대의 선반 고정장치
KR200292395Y1 (ko) * 2002-07-25 2002-10-19 최진식 조립식 자연친화 쓰레기통
JP2006020742A (ja) * 2004-07-07 2006-01-26 Satoshi Takagi 組立ラック
KR20110072215A (ko) 2009-12-22 2011-06-29 홍종길 서빙용 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83371B1 (ko) * 2013-09-24 2015-01-21 김원종 선반 고정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2965A (zh) * 2020-05-27 2020-09-01 上海明略人工智能(集团)有限公司 餐具回收推车及餐具回收推车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464B2 (en) Assemblable and disassemblable container
KR200484025Y1 (ko)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US20050241255A1 (en) Sectional flooring
KR101383471B1 (ko) 필터 프레임
WO2016000360A1 (zh) 快装式拉杆组装托盘
CN210727277U (zh) 一种便于拆卸和组装的床体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KR200413675Y1 (ko) 스틸팔레트
KR100789193B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US20200400177A1 (en) A connecting element, a mechanical joint and use of two connecting elements in a mechanical joint
CN207450563U (zh) 一种组合式物流托盘
SE1850225A1 (en) A corner element for a cage-like structure and a cage-like structure provided with such corner elements
US1832773A (en) Platform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KR101421404B1 (ko) 컴퓨터 본체의 수납을 위한 책상용 하부 선반
KR101472112B1 (ko) 스틸 가이드 우드 파렛트
KR200427184Y1 (ko) 모빌랙용 레일
KR101682698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JP4386716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20180067378A (ko) 팔레트용 조립식 베이스 프레임
US2242904A (en) Corner stay and stacking guide
KR101452258B1 (ko) 화물팔레트용 화물 지지부재
KR101466387B1 (ko) 스틸 가이드 우드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