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371B1 - 선반 고정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선반 고정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371B1
KR101483371B1 KR1020130113100A KR20130113100A KR101483371B1 KR 101483371 B1 KR101483371 B1 KR 101483371B1 KR 1020130113100 A KR1020130113100 A KR 1020130113100A KR 20130113100 A KR20130113100 A KR 20130113100A KR 101483371 B1 KR101483371 B1 KR 10148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bracket
vertical frame
opening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종
Original Assignee
김원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종 filed Critical 김원종
Priority to KR1020130113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3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 상에 수평상태로 결속되는 선반을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갖는 브라켓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가 형성된 선반과, 이 선반의 절취부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과, 이들 선반 및 수직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는 수직 프레임에 체결하거나 해체하기 위한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각각 구비함과 동시에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의 바닥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 벽면의 홈에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고리는 제1판재 및 이 제1판재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반 고정용 브라켓 {FIXING BRACKET OF SHELF}
본 발명은 선반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 상에 수평상태로 결속되는 선반을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갖는 브라켓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선반 고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업소의 주방에 설치되는 조리대를 포함하여 운반용 카트 등에는 여러 층의 선반이 설치되어 음식용기를 보관하거나 혹은 음식용기를 탑재한 상태에서 주방과 홀 사이로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통상의 음식 운반용 카트의 경우, 사각형태의 선반을 수직 프레임 사이에 배치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하거나 별개의 결속부재를 개재하여 선반과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하단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바퀴를 장착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보통이다.
이와 같이, 선반을 수직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와 관련하여 공지되어 있는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0810078호 공보에는 선반과 지지대의 연결방식을 개선하여 선반을 용이하게 복수개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건을 수납하더라도 적층된 선반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선반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연결부재와 지지대를 순차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선반을 다단으로 적층시킬 수는 있으나 지지대의 길이에 따라 선반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위치변동이 불가능하고 일일이 나사조립에 의존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또, 등록특허 제1246542호 공보에는 수직 프레임에 선반을 다층으로 조립하여 물품을 한 눈에 보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정리 정돈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선반의 높낮이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조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립식 다용도 선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수직 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와 브래킷을 하나씩 교대로 배치하여 나사로 체결한 후 평판형 선반이나 수평 프레임이 장착된 선반을 각각의 정 위치에 맞춰 나사로 조립시켜야만 한다.
한편, 음식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카트와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 제0397293호 공보에는 음식용기를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재된 음식용기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용기 운반카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수직 프레임의 내측에 레일 형태의 적재가이드를 다단으로 장착하여 음식용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과 적재가이드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모두 나사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용접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떨어지게 되고, 여러 부품을 조합하여 완성품을 제작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제품 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의 외벽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각각 설치하여 수직 프레임에 손쉽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선반 고정시에 별도의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구성품을 최소로 하여 조립작업을 아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선반 고정용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가 형성된 선반과, 이 선반의 절취부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과, 이들 선반 및 수직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는 수직 프레임에 체결하거나 해체하기 위한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각각 구비함과 동시에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의 바닥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 벽면의 홈에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고리는 제1판재 및 이 제1판재에 핀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레임이 장착되는 브라켓의 몸체 내면에 압착패드가 구비되어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연장편 저면에는 통공을 갖는 보스부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에 의해 선반 측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용 브라켓에 의하면, 선반의 각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에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를 갖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선반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더구나 별도의 용접작업을 요하지 않아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 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용 브라켓이 실 제품에 적용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2는 선반과 브라켓이 각각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도 3b는 브라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a, 도 4b는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5a, 도 5b는 개폐부재 및 걸림고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6은 브라켓의 정면 구성도,
도 7은 선반이 브라켓에 의해 수직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 고정용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반(10)과, 이 선반(10)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선반(10)과 수직 프레임(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반(10)의 경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비교적 얇은 철판이나 합성수지판의 가장자리부를 절곡하여 소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 모서리 부분에는 동일 형태의 절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일정 높이에 브라켓(30)을 끼워 장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각각의 수직 프레임(20)을 선반(10)의 절취부(11)를 밀착시키면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3a 내지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0)의 몸체에는 수직 프레임(20)에 끼워져 고정시키거나 혹은 해체 가능하도록 작동하는 개폐부재(31A) 및 걸림고리(31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브라켓(30)의 몸체로부터 그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32a)을 갖는 동시에 그 바닥에 단차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31A)는 일측 벽면의 홈(33a)에 돌기(33b)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30)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34)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고리(31B)의 경우, 평판형의 제1판재(35a) 및 이 제1판재(35a)로부터 돌출된 연결편(35c)에 핀(36)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판재(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판재(35a)는 브라켓(30)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37)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 프레임(20)이 장착되는 브라켓(30)의 몸체 내면에 압착패드(38)가 구비되어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30)에 형성된 연장편(32a)의 저면에는 통공(39a)을 갖는 보스부(39b)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40)에 의해 선반(10) 측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 프레임(20)이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짐에 따라 선반 (10)의 절취부(11)나 브라켓(30)의 몸체 내부가 모두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수직 프레임을 원통형 파이프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이에 조립되는 부분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30)을 이용하여 수직 프레임(20) 상에 선반(10)을 1단이나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30)을 수직 프레임(20)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선반(10)의 고정시에 별도의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구성품을 최소로 하여 조립작업을 아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선반(10)를 수직 프레임(20)에 장착시키고자 할 경우, 이들 선반(10)이 장착되어야 할 수직 프레임(20)의 일정 위치에 브라켓(30)을 끼워 고정시킨다.
상기 브라켓(30)의 한쪽 면에는 개폐부재(31A)가 장착되고 이에 대응되는 다른쪽 면에는 걸림고리(31B)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걸림고리(31B)를 개폐부재 (31A)로 부터 해제시킨 후 힌지(34)를 중심으로 개폐부재(31A)를 연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20)에 브라켓(30)을 조립하고 다시 개폐부재(31A)를 닫은 후에 걸림고리 (31B)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31A)는 홈(33a)의 내벽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돌기(33b)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31B)는 힌지(37)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제1판재(35a)와 제2판재(35b)가 핀(3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프레임(20)에 브라켓(30)을 끼운상태에서 개폐부재(31A)를 닫고 상기 제2판재(35b)를 회동시켜 개폐부재(31A)의 홈(33a) 측으로 눌러 밀어 넣음에 따라 제2판재(35b)가 돌기(33b)에 걸려 고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손가락으로 상기 제2판재(35b)를 당겨내는 경우에는 돌기(33b)에서 이탈하게 되므로 개폐부재(31A) 및 걸림고리(31B)를 각각의 힌지(34,37)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면서 수직 프레임(20)으로부터 완전히 해제시켜 간단히 분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수직 프레임(20)이 조립되는 브라켓(30)의 몸체 내면에는 압착패드(38)가 매립되어 있으므로 개폐부재(31A)를 닫는 경우에 수직 프레임(20)과의 밀착력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수직 프레임(20)에 브라켓(30)를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 브라켓(30)의 몸체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편(32a)의 단차부(32b) 상에 선반(10)의 절취부(11)를 조립하여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편(32a)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부(39b)의 통공(39a)을 통해 작은 나사(40)를 체결함으로써 선반(10)을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전과 같은 선반의 고정방식에 비해 구성 부품을 대폭 축소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별도의 용접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하지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 선반 11: 절취부
20: 수직 프레임 30: 브라켓
31A: 개폐부재 31B: 걸림고리
32a: 연장편 32b: 단차부
33a: 홈 33b: 돌기
34: 힌지 35a: 제1판재
35b: 제2판재 35c: 연결편
36: 핀 37: 힌지
38: 압착패드 39a: 통공
39b: 보스부 40: 작은 나사

Claims (2)

  1. 수직 프레임 상에 선반을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사각 모서리 부분에 절취부(11)가 형성된 선반(10)과, 이 선반(10)의 절취부 (11)에 밀착되는 수직 프레임(20)과, 이들 선반(10) 및 수직 프레임(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브라켓(30)의 몸체에는 수직 프레임(20)에 체결하거나 해체하기 위한 개폐부재(31A) 및 걸림고리(31B)를 각각 구비함과 동시에 몸체의 외측을 향해 ㄱ자형을 이루도록 연이어지는 연장편(32a)의 바닥에 단차부(3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31A)는 일측 벽면의 홈(33a)에 돌기(33b)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30)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34)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고리(31B)는 제1판재(35a) 및 이 제1판재(35a)에 핀(36)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는 제2판재(35b)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30)의 몸체에 장착된 힌지 (37)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용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20)이 장착되는 브라켓(30)의 몸체 내면에 압착패드(38)가 구비되어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라켓(30)의 연장편(32a) 저면에는 통공(39a)을 갖는 보스부(39b)가 형성되어 작은 나사(40)에 의해 선반(10) 측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용 브라켓.
KR1020130113100A 2013-09-24 2013-09-24 선반 고정용 브라켓 KR10148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00A KR101483371B1 (ko) 2013-09-24 2013-09-24 선반 고정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100A KR101483371B1 (ko) 2013-09-24 2013-09-24 선반 고정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3371B1 true KR101483371B1 (ko) 2015-01-21

Family

ID=525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100A KR101483371B1 (ko) 2013-09-24 2013-09-24 선반 고정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337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25Y1 (ko) * 2016-02-29 2017-07-21 양성원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KR20190070656A (ko) * 2017-12-13 2019-06-21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선반
KR20190076191A (ko) * 2017-12-22 2019-07-02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KR20200001740U (ko) 2019-01-25 2020-08-05 고영종 조립식 다층선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42U (ja) * 1993-06-30 1995-01-27 株式会社田窪工業所 棚板固定装置
KR20090007325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원구 선반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42U (ja) * 1993-06-30 1995-01-27 株式会社田窪工業所 棚板固定装置
KR20090007325U (ko) * 2008-01-16 2009-07-21 주식회사 원구 선반 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25Y1 (ko) * 2016-02-29 2017-07-21 양성원 음식 운반 카트용 스테인레스 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 운반 카트
KR20190070656A (ko) * 2017-12-13 2019-06-21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선반
KR102010373B1 (ko) * 2017-12-13 2019-08-13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선반
KR20190076191A (ko) * 2017-12-22 2019-07-02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KR102010372B1 (ko) * 2017-12-22 2019-10-21 엠에스인텍(주) 개폐식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다용도 선반
KR20200001740U (ko) 2019-01-25 2020-08-05 고영종 조립식 다층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371B1 (ko) 선반 고정용 브라켓
EA029858B1 (ru) Сбор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меб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предмета мебели
US20070110511A1 (en) Coupling mechanism for connecting board-type shelf to vertical post of a sectional rack
CN108286865B (zh) 抽屉装配结构及具有其的冰箱
US20110316402A1 (en) Server cabinet
US11140985B2 (en) Trim assembly for an appliance shelf
US11795745B2 (en) Furniture hinge
US11812849B2 (en) Bracket for drawer slide
US20150208801A1 (en) Slidable storage container and sliding mechanism
US4979785A (en) Mounting system providing ready access to space utilizing storage unit and space utilizing storage unit
US20200359788A1 (en) Storage systems including back channels and walls mountable along the back channels
KR200475957Y1 (ko) 물품 탑재용 조립 선반
CN107334296B (zh) 具有可释放支撑脚的柜子组合件
JP3207253U (ja) 収納棚のクイック組立・位置決め装置
KR101856102B1 (ko) 조립식 가구
JP2017048622A (ja) キャビネットの引戸レール装置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EP2453087A1 (en) Chassis structure having cover retaining mechanism
KR20130042220A (ko) 조립식 캐비넷
KR20160088742A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5225873B2 (ja) ボックス状体
JP2008179945A (ja) ドア
US20120161597A1 (en) Wall-mounted workstation
KR20180091379A (ko) 캠핑용 이중덮개 변환상자
JP2023503152A (ja) 電気設備のためのエンクロージャの底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