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107B1 -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107B1
KR101968107B1 KR1020170087113A KR20170087113A KR101968107B1 KR 101968107 B1 KR101968107 B1 KR 101968107B1 KR 1020170087113 A KR1020170087113 A KR 1020170087113A KR 20170087113 A KR20170087113 A KR 20170087113A KR 101968107 B1 KR101968107 B1 KR 101968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drawer
flange
position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306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08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1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랍을 배치하기 위해 본체의 수납구 내측의 양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서랍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대응되는 가이드레일에 지지 안내되는 플랜지, 및 본체의 상판과 측판에 가이드레일을 호환 거치하기 위한 호환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서랍을 거치하고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가구의 측판 유무와 서랍의 적층 배치 여부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가구에 서랍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기존의 가이드레일 대비 제작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GUIDE-RAIL OF TRAY FOR CABINET}
본 발명은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을 거치하고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가구의 측판 유무와 서랍의 적층 배치 여부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가구에 서랍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기존의 가이드레일 대비 제작비를 줄일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랍은, 바구니 형태로 만들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간단한 의류나 문구 또는 잡화 등을 담아 가구 프레임이나 선반 하부면의 장착구조 등에 끼워 넣어 사용하거나, 또는 평면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서랍은 최근에 모듈형 가구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서랍의 구성을 살펴보면, 가구 프레임이나 선반 하부면의 장착구조에 바구니 형태의 서랍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내용물을 넣고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이 있고, 앞쪽 벽면을 형성하는 앞판, 뒤쪽 벽면을 형성하는 뒷판, 그리고 양 측면벽을 형성하는 측판으로 형성되며, 윗면의 경우에 내용물을 넣고 빼기 위해서 개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랍을 가구 프레임이나 선반 하부면의 장착구조에 끼워서 사용하는 경우, 내용물을 공간에 넣고 가구 프레임이나 선반 하부면의 장착구조의 수납공간을 밀어 넣거나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6059호(2012.12.18.공개)는 앞뒤 양면 비대칭형 서랍 바구니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내용물을 넣고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판이 있으며, 그 바닥판을 기준으로 앞쪽 벽면을 형성하는 앞판, 앞판을 기준으로 뒤쪽 벽면을 형성하는 뒷판, 그리고 앞판과 뒷판의 양 측면벽을 형성하는 측판으로 되어 있으며 윗면은 내용물을 넣고 빼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는 개방면으로 구성되고, 앞판과 뒷판 중 어느 한쪽 면을 선택하여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시형 벽면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66052호(1998.12.05.공개)는 음식물이 저장되도록 한 수납용기의 측면 양측에 장방형의 돌출부를 각각 형성시키고, 냉장실의 천정이나 선반의 하부에 결합되는 용기 받침판으로는 수납용기에 형성된 돌출부의 하부와 밀착되어 수납용기를 지지하도록 한 가이드 레일을 연속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의 저장된 다수의 수납용기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냉장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음식물의 적절한 배치에 따라 음식물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냉장고용 음식물 수납용기의 결합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서랍은 가구의 상판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 또는 가구의 측판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데, 상판용 가이드레일과 측판용 가이드레일이 호환되지 않아 부품수 증가로 인해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랍을 거치하고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가구의 측판 유무와 서랍의 적층 배치 여부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가구에 서랍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기존의 가이드레일 대비 제작비를 줄이고자 하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는: 서랍을 배치하기 위해 본체의 수납구 내측의 양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 안내되는 플랜지; 및 상기 본체의 상판과 측판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호환 거치하기 위한 호환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호환거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상판 또는 상기 측판에 결속하는 결속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판에 결속시 상기 플랜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측판에 결속시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상기 플랜지의 단부를 안내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판에 결속시 상기 서랍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측판에 결속시 상기 플랜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절곡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는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판에 결속시 이동되는 상기 위치설정돌부의 위치 설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제 1위치설정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측판에 결속시 이동되는 상기 위치설정돌부의 위치 설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제 2위치설정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서랍을 거치하고 슬라이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가구의 측판 유무와 서랍의 적층 배치 여부에 따라 호환성을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가구에 서랍의 설치 상태에 따라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기존의 가이드레일 대비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20)의 지지장치(100)는 가이드레일(110), 플랜지(120) 및 호환거치부(13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10)은 서랍(20)을 거치 고정하도록 배치하기 위해 본체(10)의 수납구(16) 내측에 양쪽에 구비된다. 이때, 본체(10)는 책장이나 수납함 또는 모니터 거치대 등 가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편의상, 본체(10)는 모니터 받침대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납구(16)는 소형 물품이나 학용품 등을 보관하는 서랍(20)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형성된다.
플랜지(120)는 수납구(16)에 수납(이동)되는 방향에 대해 서랍(20)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물론, 플랜지(120)의 형상, 길이 및 너비는 한정하지 않는다. 플랜지(120)는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10)에 거치되어 서랍(20)을 가이드레일(110)에 지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호환거치부(130)는 본체(10)의 상판(12)과 측판(14)에 가이드레일(110)을 호환 거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측판(14)은 본체(10)의 측면일 수도 있고, 본체(10)의 다리일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는 수납구(16)의 위치에서 서랍(20)의 일측에만 측판(14)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측판(14)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랍(20)의 일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은 본체(10)의 상판(12) 또는 측판(14)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서랍(20)의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은 본체(10)의 상판(12)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110)은 호환거치부(130)에 의해 본체(10)의 상판(12) 또는 측판(14)에 고정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을 갖는다.
여기서, 호환거치부(130)는 결속부재(132), 연장부재(134) 및 절곡부재(136)를 포함한다.
결속부재(132)는 가이드레일(110)을 상판(12) 또는 측판(14)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결속부재(132)는 서랍(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10)과 측판(14)을 결속하고, 서랍(20)의 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판(12)을 결속한다. 여기서, 결속부재(132)는 볼트나 스크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연장부재(134)는 가이드레일(110)에서 연장 형성된다. 예로서, 연장부재(134)는 가이드레일(110)의 일측 둘레면에서 가이드레일(110)의 축 방향에 수직되게 연장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가이드레일(110)이 서랍(20)의 일측에 배치된 경우, 해당 가이드레일(110)의 연장부재(134)는 가이드레일(110)에 지지되는 플랜지(120)의 단부를 접하여 지지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0)이 서랍(20)의 타측에 배치된 경우, 해당 가이드레일(110)의 연장부재(134)는 플랜지(120)의 하측에 위치하여 플랜지(120)의 이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연장부재(1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가이드레일(110)에 분리 또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재(136)는 연장부재(134)에서 절곡되게 연장된다. 예로서, 절곡부재(136)는 연장부재(134)의 단부에서 가이드레일(110)의 축 방향과 나란하도록 절곡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10)의 일측 둘레에는 연장부재(134)와 절곡부재(136)에 의해 수용부(138)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레일(110)이 서랍(20)의 일측에 배치된 경우, 절곡부재(136)는 해당 플랜지(120)의 상측에 위치한다. 특히, 해당 플랜지(120)는 대응되는 수용부(138)에 수용된 채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음에 따라 이동시 흔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0)이 서랍(20)의 타측에 배치된 경우, 절곡부재(136)는 서랍(20)의 둘레면에 접하여 지지함에 따라 이동되는 서랍(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절곡부재(136)는 플랜지(120)를 지지하는 연장부재(134)를 지지함에 따라 연장부재(134)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서랍(20)이 양측의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시, 사용자는 서랍(20)의 이동 상태에 대한 작동감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서랍(20)은 수납구(16)에서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120)는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돌부(142)를 돌출 형성하고, 가이드레일(110)은 상판(12)에 결속시 이동되는 위치설정돌부(142)의 위치 설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제 1위치설정홈부(144)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위치설정돌부(142)는 플랜지(120)의 테두리에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0)이 상판(12)에 결속시, 해당 가이드레일(110)은 연장부재(134)에 지지되는 플랜지(120)의 위치설정돌부(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 1위치설정홈부(144)를 형성한다.
그래서, 플랜지(120)가 연장부재(134)에 지지된 채 이동시, 위치설정돌부(142)가 임의의 제 1위치설정홈부(144)를 통과하면서 서랍(20)의 슬라이드 이동 작동감을 실현하고, 임의의 제 1위치설정홈부(144)에 수용된 채 위치 고정시 서랍(20)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한다.
물론, 위치설정돌부(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10)이 측판(14)에 결속시 이동되는 위치설정돌부(142)의 위치 설정을 위해, 연장부재(134)는 하나 이상의 제 2위치설정홈부(14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플랜지(120)가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시, 위치설정돌부(142)가 임의의 제 2위치설정홈부(146)를 통과하면서 서랍(20)의 슬라이드 이동 작동감을 실현하고, 임의의 제 2위치설정홈부(146)에 수용된 채 위치 고정시 서랍(20)의 임의적 이동을 방지한다.
물론, 위치설정돌부(142), 제 1위치설정홈부(144) 및 제 2위치설정홈부(146)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서랍(20)의 지지장치(100)는 가이드레일(110), 플랜지(120) 및 호환거치부(13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10)은 서랍(20)을 거치 고정하도록 배치하기 위해 본체(10)의 수납구(16) 내측에 양쪽에 구비된다. 편의상, 본체(10)는 서랍(20)을 복층으로 배치할 수 있는 캐비닛인 것으로 한다. 아울러, 서랍(20)은 수납구(16)에 2개가 상하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플랜지(120)는 서랍(20) 각각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호환거치부(130)는 결속부재(132), 연장부재(134) 및 절곡부재(136)를 포함한다.
결속부재(132)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레일(110)을 상판(12) 또는 측판(14)에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장부재(134)는 가이드레일(110)에서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수납구(16)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서랍(20) 중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서랍(20)의 경우, 해당 서랍(2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 각각이 상판(12)에 결속시, 해당 가이드레일(110)의 연장부재(134)는 가이드레일(110)에 지지되는 플랜지(120)의 하측면을 접하여 지지하거나 또는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납구(16)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서랍(20) 중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서랍(20)의 경우, 해당 서랍(2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 각각이 측판(14)에 결속시, 해당 플랜지(120)는 하측면이 대응되는 가이드레일(110)의 상측면에 접하고, 해당 가이드레일(110)의 연장부재(134)는 플랜지(1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플랜지(120)의 이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절곡부재(136)는 연장부재(134)에서 절곡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수납구(16)에서 상부에 위치한 서랍(2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 각각이 상판(12)에 결속시, 절곡부재(136)는 서랍(20)의 둘레면에 접하여 지지함에 따라 이동되는 서랍(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절곡부재(136)는 플랜지(120)를 지지하는 연장부재(134)를 지지함에 따라 연장부재(134)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수납구(16)에서 하부에 위치한 서랍(20)의 양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10) 각각이 측판(14)에 결속시, 절곡부재(136)는 플랜지(120)의 상측에 위치한다. 특히, 해당 플랜지(120)는 대응되는 수용부(138)에 수용된 채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음에 따라 이동시 흔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서랍(20)이 상하 방향으로 복층 배치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110)은 상판(12) 또는 측판(14)에 설치 가능하여 사용자나 조립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2: 상판
14: 측판 16: 수납구
20: 서랍 100: 지지장치
110: 가이드레일 120: 플랜지
130: 호환거치부 132: 결속부재
134: 연장부재 136: 절곡부재
138: 수용부 142: 위치설정돌부
144: 제 1위치설정홈부 146: 제 2위치설정홈부

Claims (4)

  1. 서랍을 배치하기 위해 본체의 수납구 내측의 양쪽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서랍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 안내되는 플랜지; 및 상기 본체의 상판과 측판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호환 거치하기 위한 호환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환거치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기 상판과 상기 측판에 각각 결속하는 결속부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판에 결속시 해당 플랜지의 하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측판에 결속시 상기 가이드레일에 면접되는 해당 플랜지의 단부를 접하여 안내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에서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상판에 결속시 상기 서랍의 측면을 접하여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기 측판에 결속시 해당 플랜지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절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판에 결속시 이동되는 상기 위치설정돌부의 위치 설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제 1위치설정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각각은 축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재는 상기 측판에 결속시 이동되는 상기 위치설정돌부의 위치 설정을 위해 하나 이상의 제 2위치설정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KR1020170087113A 2017-07-10 2017-07-10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KR101968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13A KR101968107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113A KR101968107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06A KR20190006306A (ko) 2019-01-18
KR101968107B1 true KR101968107B1 (ko) 2019-04-11

Family

ID=6532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113A KR101968107B1 (ko) 2017-07-10 2017-07-10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88B1 (ko) * 2019-09-20 2020-04-02 (주)퍼맥스 듀얼 모니터 받침대
KR20210125187A (ko) * 2020-04-08 2021-10-18 (주)신안산업 농업용 작업 테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954A (ja) * 2002-12-04 2004-07-02 Eidai Co Ltd 上面開放の物品収納器を前後動自在に支持するガイドレ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954A (ja) * 2002-12-04 2004-07-02 Eidai Co Ltd 上面開放の物品収納器を前後動自在に支持するガイドレー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288B1 (ko) * 2019-09-20 2020-04-02 (주)퍼맥스 듀얼 모니터 받침대
KR20210125187A (ko) * 2020-04-08 2021-10-18 (주)신안산업 농업용 작업 테이블
KR102334677B1 (ko) * 2020-04-08 2021-12-06 (주)신안산업 농업용 작업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06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0205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US8328302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100109498A1 (en) System for moving a set of shelves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and refrigeration appliance
US9993077B2 (en) Slide rail assembly and sliding auxiliary device thereof
US20170079431A1 (en) Storage System
US20070080614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8671712B2 (en) Upper freezer basket guided by lower freezer basket divider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US9513047B2 (en) Door modu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050168115A1 (en) Drawer cabinet storage kit
US20210022492A1 (en) Multi-level cabinet storage system
US20120256527A1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sliding door
FI75727C (fi) Fackfoersedd hylla.
KR101165273B1 (ko) 냉장고 수납용기의 디바이더
KR20160147442A (ko) 냉장고 선반
KR20160001263U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EP2630426B1 (en) Refrigerator and stopping arrangement of refrigerator shelf
KR200411327Y1 (ko)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JP5799151B1 (ja) 収納棚
JP5578741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KR101561653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 장치
JP2010154991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JP2018183489A (ja) 組み合わせデスク
KR200162812Y1 (ko) 다용도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