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327Y1 -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327Y1
KR200411327Y1 KR2020050035288U KR20050035288U KR200411327Y1 KR 200411327 Y1 KR200411327 Y1 KR 200411327Y1 KR 2020050035288 U KR2020050035288 U KR 2020050035288U KR 20050035288 U KR20050035288 U KR 20050035288U KR 200411327 Y1 KR200411327 Y1 KR 200411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binet
auxiliary
desk
book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영
Original Assignee
박봉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영 filed Critical 박봉영
Priority to KR2020050035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17/03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with parts added to the original furniture to enlarge it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3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17/036Writing-tabl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with sliding or unfolding parts other than leaves or drawer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장의 수납공간에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설치하여 수납공간의 확보와 화장대로서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책상의 책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일정부분이 삽입 취출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관물의 다양한 크기에 적합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울 또한 삽입 취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일반 책상의 기능 외에 화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책상의 책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책을 비치하는 책장과 필기구나 문방구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 및 상기 책장과 서랍장에 양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에는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다수개의 전방개구부를 가지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일정부분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수용된 부분의 취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수납장을 포함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화장대, 보조 수납장, 책상, 책장구조, 슬라이딩

Description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A Sub-case For Bookcase And A Structure For Installing Bookcase of Desk}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수납장의 취출 전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제 2수납부가 취출된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거울이 취출된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이동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책장 2 : 서랍장
3 : 상판 10, 41b, 42a : 구획플레이트
11 : 덧판 20 : 수납공간
30 : 가이드롤러 31 : 가이드레일
32 : 이송브라켓 40 : 보조 수납장
41 : 제 1수납부 41a : 공간부
42 : 제 2수납부 42b : 차폐플레이트
43 : 거울
43a : 거울플레이트 50 : 이동롤러
60 : 수납케이스 70 : 걸림판
본 고안은 책장의 수납공간에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설치하여 수납공간의 확보와 화장대로서의 복합기능을 가지는 책상의 책장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장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일정부분이 삽입 취출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관물의 다양한 크기에 적합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울 또한 삽입 취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일반 책상의 기능 외에 화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책상의 책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꽂이로 사용되는 책장과, 독서 테이블 및 필기구나 문방구를 수납하기 위한 서랍장으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기존의 철구조물을 원목가구로 대체하여 실내 분위기에 적합한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책상에 구비된 서랍장은 그 수용 공간에 한계가 있 어 학습비품 또는 CD케이스와 같이 그 크기와 형태가 제각기 다른 소물을 보관해야 하는 학생들의 소물 수납공간으로 많이 부족되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좁은 수납공간으로 인한 여러종류의 학습비품을 동일 서랍장에 함께 넣어 보관함으로서 정리정돈이 되지않은 서랍장에서 정작 필요한 소물을 즉시에 찾지 못하여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수납공간의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책상에 서랍장을 비롯한 많은 수납부를 단순 배치할 경우 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책장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일정부분이 삽입 취출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관물의 다양한 크기에 적합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거울 또한 삽입 취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일반 책상의 기능 외에 화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책상의 책장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책을 비치하는 책장과 필기구나 문방구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 및 상기 책장과 서랍장에 양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에는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다수개의 전방개구부를 가지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일정부분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수용된 부분의 취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수납장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보조 수납장케이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 내측으로 보조 수납장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하되, 상기 보조 수납장은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제 1수납부와, 상기 제 1수납부와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와는 슬라이딩 수단으로 결합되어 삽입 및 취출되는 제 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수납부의 후단은 상기 제 1수납부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후면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및 취출가능한 거울이 수용되며, 슬라이딩 수단은 가이드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수납부 및 제 2수납부의 저면부에는 원활한 슬라이딩 수평이동과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이동롤러가 장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보조 수납장의 취출 전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제 2수납부가 취출된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거울이 취출된 책상의 책장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이동롤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보조 수납장케이스와 보조 수납장의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크게 책을 비치하는 책장(1)과, 필기구나 문방구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2)과 상기 책장(10)과 서랍장(2)에 양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판(3)과, 상기 책장(3)의 구획플레이트(10)에 의해 구획형성된 수납공간(20)에 수용되는 보조 수납장케이스(60)와,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60)와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조 수납장케이스(60)에 삽입 및 취출되는 보조 수납장(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책장(1)은 직립 설치되며, 다수개의 구획플레이트(10)에 의해 다수개의 수납공간(20)이 형성된다.
또한 서랍장(2)은 책장(1)이 설치된 타측부에 설치되어 문방구 또는 필기구 등의 다양한 소물을 수납한다.
아울러 상판(3)은 양단부가 서랍장(2) 또는 책장(1)에 지지되어 일정높이로 수평 설치되어 책상 테이블을 형성한다.
한편 이러한 책상의 구조에서 수납공간을 증대함과 동시에 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상기 책장(1)의 일정 수납공간(20)에는 보조 수납장(40)이 마련되는데, 상 기 보조 수납장(40)과 책장(1)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보조 수납장케이스(60)가 개재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수납장케이스(60)는 전방부 폭이 책장(1)의 폭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나 후방부의 폭은 보조 수납장(40)과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결합을 위해 책장(1) 폭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용되는 보조 수납장(40)의 후면부와 보조 수납장케이스(60)의 후방부 내측면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는 슬라이딩 수단이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보조 수납장을 삽입 또는 취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수납장(40)은 돌출 배치되어 책상에 안착되는 제 1수납부(41)와,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60)에 수용형성되며 제 1수납부(41)와는 고정결합되고 보조 수납장케이스(60)와는 슬라이딩 결합되어 선택에 따라 삽입 취출되는 제 2수납부(42) 및 상기 제 1수납부(41)의 후면부 공간부(41a)에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취출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거울(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책장의 기본 배치형태는 상기 제 1수납부(41)가 상판(3)상에 직립 지지되며 제 2수납부(42) 및 거울(43)은 각각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수납부(41)는 책장(1)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구획플레이트(41b)로 수용공간을 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 2수납부(42)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 1수납부(41)와 제 2수납부(42)는 결합시 상기 제 1수납부(41)의 후면부에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공간부(41a)가 형성되는데, 이는 제 1수납부(41)가 전면 배치되어 제 2수납부(42)와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공간부(41a) 내측에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취출가능한 거울(43)이 수용되는데, 상기 제 2수납부(42) 전단에 수납되는 소물과 후단에 수용되는 거울(43)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전단과 후단 간을 분리시키는 차단플레이트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전술한 보조 수납장(40)과 보조 수납장케이스(60)에 적용되며, 상기 공간부(41a)와 거울(43)간에도 개재되어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가이드롤러(30)임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롤러(30)는 가이드레일(31)과 이송브라켓(32)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보조 수납장(40)과 보조 수납장케이스(60) 간에는 가이드레일(31)이 보조 수납장케이스(60)의 후방부 내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게 되며, 이송브라켓(32)은 상기 보조 수납장(40)의 후면부 외측벽면 상의 가이드레일(31) 설치지점과 대응되어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수납장(40)은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송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수납부(42)의 공간부(41a)와 거울(43) 간에는 가이드레일(31)이 공간부(41a) 내측 벽면에 설치되고, 이송브라켓(32)이 거울(43) 후면부에 설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조 수납장(40)은 보조 수납장케이스(60)와 가이드롤러(30)에 의해 취출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수납장(40)에서 거울(43) 또한 취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수납부(41)와 제 2수납부(42)의 저면부에는 이동롤러(50)가 설치하는데, 이에 따라 제 1수납부(41)가 상판(3)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해지고, 슬라이딩 수단만으로 제 1수납부(41)와 책장(1)이 결합됨에 따라 슬라이딩 수단에 가해지는 제 1수납부(41)의 하중이 경감되어 슬라이딩 수단의 내구성이 강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수납부(41) 저면부에 설치되는 이동롤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수납장케이스(60)의 단부면에 의해 이동롤러(50)의 이동이 정지되게 되는데, 상기 이동롤러(70)와 보조 수납장케이스(60) 단부면의 간섭에 의해 수납되는 수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수납부(42)의 저면부에 이동롤러(50)를 설치할 경우 이동롤러(50)가 설치될 저면부 지점은 제 2수납부(42)가 완전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60) 단부면 보다 내측지점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1수납부(41) 또는 제 2수납부(42)에 구획플레이트(41b, 42a)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덧판(11)을 결합 형성하여(도면에서는 제 2수납부에만 형성) 화장품 또는 음료병 등의 수납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울(43)은 거울 크기와 대응되는 거울플레이트(43a)에 결합 형성되고 이러한 거울플레이트(43a) 후면부에 이송브라켓(32)이 형성되게 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거울(43)의 경우 화장대의 거울로 이용될 경우 거울 면적이 비 교적 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브라켓을 이중구조로 설치하여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책장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일정부분이 삽입 취출 가능한 보조 수납장을 구비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보관물의 다양한 크기에 적합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거울 또한 삽입 취출 가능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일반 책상의 기능 외에 화장대로서의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으며, 이동롤러를 제 1수납부 또는 제 2수납부 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취출 삽입이 용이하며 안정적인 수평이동과 지지가 가능해 진다.

Claims (7)

  1. 책을 비치하는 책장과 필기구나 문방구 등을 수납하는 서랍장 및 상기 책장과 서랍장에 양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장에는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다수개의 전방개구부를 가지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일정부분이 수용되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수용된 부분의 취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수납장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 수납장 케이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 내측으로 상기 보조 수납장이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결합하되,
    상기 보조 수납장은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상판에 안착되는 제 1수납부와, 상기 제 1수납부와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보조 수납장케이스와는 슬라이딩 수단으로 결합되어 삽입 및 취출되는 제 2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납부의 후단은 상기 제 1수납부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후면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및 취출가능한 거울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4. 제 2 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가이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납부 및 제 2수납부의 저면부에는 원활한 슬라이딩 수평이동과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이동롤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6. 책장용 보조 수납장에 있어서,
    책장의 구획플레이트에 의해 구획 형성된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보조 수납장 케이스;
    상기 보조 수납장 케이스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제 1수납부; 및
    상기 제 1수납부와는 고정결합되고 상기 보조 수납장 케이스와는 슬라이딩 수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조 수납장 케이스에 삽입 및 취출되는 제 2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보조 수납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납부의 후단은 상기 제 1수납부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수납부의 후면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및 취출가능한 거울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장용 보조 수납장.
KR2020050035288U 2005-12-15 2005-12-15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KR200411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88U KR200411327Y1 (ko) 2005-12-15 2005-12-15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288U KR200411327Y1 (ko) 2005-12-15 2005-12-15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327Y1 true KR200411327Y1 (ko) 2006-03-15

Family

ID=4176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288U KR200411327Y1 (ko) 2005-12-15 2005-12-15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38B1 (ko) 2009-05-22 2011-09-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38B1 (ko) 2009-05-22 2011-09-01 최기홍 휴대용 다기능 책상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81923A (en) Desk, show-case, and the like.
US5383722A (en) Drawer type CD-ROM storage cabinet
EP0938857B1 (en) Inclined slide assemblies for vertical drawers
CA2790447A1 (en) Compartmentalized storage container
US20120256527A1 (en) Piece of furniture having at least one sliding door
KR200411327Y1 (ko) 책장용 보조 수납장 및 책상의 책장 설치구조
FI75727C (fi) Fackfoersedd hylla.
US20140125211A1 (en) Rack Assembly
KR200434586Y1 (ko) 다면 방향 서랍장
US11533995B2 (en) Cabinet pull-out for a cabinet element
KR200436565Y1 (ko) 수납용 가구
JP5055073B2 (ja) ワゴンユニット
KR200486255Y1 (ko) 인출 서랍
EP3967182A1 (en) A furnishing element
ATE202905T1 (de) Eckschrank für küchen
US20080054770A1 (en) Furniture storage unit
JP6514447B2 (ja) 組み合わせ家具
KR200349680Y1 (ko) 다용도 조합가구
KR200411326Y1 (ko) 가변 책상판을 가진 책상장
US20240164516A1 (en) Storage system
KR200443805Y1 (ko)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JP3728037B2 (ja) スライド書架装置
JP4289166B2 (ja) 袖構造体、デスク
US11185160B2 (en) Corner-cabinet arrangement
GB2226236A (en) Furnitu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