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805Y1 -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 Google Patents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805Y1
KR200443805Y1 KR2020070005219U KR20070005219U KR200443805Y1 KR 200443805 Y1 KR200443805 Y1 KR 200443805Y1 KR 2020070005219 U KR2020070005219 U KR 2020070005219U KR 20070005219 U KR20070005219 U KR 20070005219U KR 200443805 Y1 KR200443805 Y1 KR 2004438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box
plate
bottom plat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324U (ko
Inventor
송경운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송경운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김종성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20070005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805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8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8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0Tray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류나 파일들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파일 꽂이의 전방 하부에 필기구나 메모지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꽂이함을 슬라이딩 결합시킨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후방 단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직사각형 후방판(32)과, 바닥판(31)의 전방 단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전방판(34)과, 바닥판(31)의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한 한 쌍의 양 측판(33)으로 이루어진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전방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향 개방형 다용도 꽂이함(4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파일 꽂이로써의 기능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용도 다용도 꽂이함을 전방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필기구나 메모지 등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용도 다용도 꽂이함을 몸체부로 밀착 결합하여 그 공간 효율을 높인 장점이 있다.
파일 꽂이, 꽂이함, 슬라이딩

Description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A file box}
도 1은 종래 파일 꽂이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메모지함이 부착 설치된 서류 꽂이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1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2실시예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이 슬라이딩 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3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슬라이딩 전·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4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바닥판 12. 뒷판 13. 전판
14. 측판 20. 몸체부 21. 서류끼움부
22. 평면부 22A. 구멍 22B. 홈
23. 메모지 끼움부 24. 배면판 25. 연장판
25A. 돌출봉 26. 메모지함 30. 몸체부
31. 바닥판 32. 후방판 33. 측판
34. 전방판 40. 다용도 꽂이함 41. 꽂이함바닥판
42. 꽂이함전방판 43. 꽂이함측판 44A. 손잡이용 홈
44B. 손잡이용 돌기 G. 결합돌기 멈춤홈 H. 통공
P. 결합돌기 R. 가이드 레일 S. 단턱부
H'. 관통공 P'. 걸림돌기
본 고안은, 서류나 파일들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함체상의 파일 꽂이 전방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용도 꽂이함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용도 꽂이함을 전방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필기구나 메모지 등을 꽂아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파일 꽂이로만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학업이나 업무 등과 관련이 있는 소책자, 카탈로그, 각종 서류들을 묶은 파일 등(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들을 묶어 "서류 파일"이라고 한다.)을 정리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서류 파일을 보관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서류 파일을 보관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대표적인 수단으로는 전방이 완전 개방되거나, 전방의 개방부에 개폐문이 결합된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 다단으로 수평하게 결합된 책장을 들 수 있다.
상기 책장은 많은 양의 서류 파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책장을 구비하고 있으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 책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큰 설치 공간이 필요로 되는 바, 주로 개인용보다는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단체용으로 사용된다.
즉, 개인적인 용도로 간편히 사용하기에는 상기 책장이 적합치 못한 측면이 있는 바, 가장이나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책상에 올려놓고 간편히 사용하기 위한 서류 파일 보관용으로는 다수 칸으로 구획된 1단 구조의 책꽂이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책꽂이의 경우, 그 크기가 고정되기 때문에 서류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서류 파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책꽂이의 크기가 맞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서류 파일을 다른 곳에 보관하거나 책꽂이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바,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책꽂이의 구매에 따 른 경제적 지출이나, 교체 대상 책꽂이의 재활용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책꽂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꽂이를 대체할 수 있는 파일 꽂이가 개발되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파일 꽂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후방단부에 직립한 직사각형상의 뒷판(12)과; 바닥판(1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되, 상기 뒷판(12)보다 높이가 낮은, 보통 1/4 이하 정도 되는 전판(13)과; 바닥판(1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직립하며, 각각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가 전판(11) 및 뒷판(12)의 각 좌·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14)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5장의 판에 의해 형성된 상향 개방형의 내부 공간에 서류 파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판(13)은 생략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토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일 꽂이는, 대략 A4 용지 정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 서류 파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되는데, 두 측판 사이의 거리는 대략 5∼15cm 정도로서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을 갖추도록 제작되고, 측판에는 다수개의 크고 작은 통공(H)들을 형성하여 제품을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제작비를 절감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 꽂이는,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을 물론 소규모이기 때문에 파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그 외에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어, 단순한 서류 파일 보관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이 추가된 파일 꽂이가 개발되었는 바, 그 일예가 개시된 국내실용신안공보 제1993-0004573호의 '메모지함이 부착 설치된 서류꽂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메모지함이 부착 설치된 서류꽂이는, 육면체로 된 갑체의 어느 일측 변이 경사절단면으로 절단되어 서류끼움부(21)를 형성하는 종래 공지의 서류꽂이에 있어서, 경사절단된 서류끼움부(21)의 상·하부가 평면부(22)를 이루고, 이 평면부(22)의 모서리부에 각각 메모지함 끼움용 구멍(22A)과 홈(22B)이 구비된 몸체부(20)와; 몸체부(20)의 구멍(22A)과 홈(22B)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메모지함(26)으로 구성된다.
이때, 메모지함(26)은 공지의 상향 개방형 함체로, 메모지 끼움부(23)를 형성하되 배면판(24) 이면의 양단에 구비된 연장판(25)에 상기 몸체부(20)의 메모지함 끼움용 구멍(22A)과 홈(22B)에 각각 삽입되는 돌출봉(25A) 등이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메모지함이 부착 설치된 서류꽂이는, 서류 꽂이의 상·하 평면부(22), 즉 서류 꽂이의 전방 하부 또는 상단 후방부에 각각 메모지함(26)을 결합하여 몸체부(20)를 통하여 서류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전방에 결합된 메모지함(26)에 구비된 메모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메모지를 함께 보관할 수 있어 실용성 및 일의 능률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메모지함은, 사용중인 서류 꽂이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서류 꽂이에 부착된 상태로 두거나 분리하게 되는 바, 서류 꽂이에 메모지함이 결합된 상태로 놔둘 경우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메모 꽂이에 의해 불필요한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메모지함을 분리할 경우에는 서류 꽂이의 전방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어 서류 꽂이 내에 꽂혀 있던 서류들이 전방으로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며, 분리한 메모지함을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바, 보관상의 불편함은 물론 분실의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파일 꽂이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일을 꽂을 수 있는 몸체부의 전방 하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다용도 꽂이함를 구비함으로써, 파일을 꽂아서 보관하는 것은 물론 다용도 꽂이함에 각종 필기구를 꽂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용도 꽂이함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용도 꽂이함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공간의 사용 효율을 최대화시킨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파일 꽂이 몸체부의 전방 하부쪽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다용도 꽂이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는, 상부와 전방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함체로, 개방부를 통하여 파일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으며, 전방 하부에 별도의 다용도 꽂이함이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파일 꽂이와 다용 도 꽂이함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다용도 꽂이함을 파일 꽂이 함체에 슬라이딩 결합시켜 파일 꽂이만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바닥판과, 바닥판의 후방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하는 후방판과, 바닥판의 전방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되 후방판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전방판과, 바닥판의 폭방향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며 전·후방단부가 상기 전·후방판의 좌·우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양 측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판과 인접하는 양 측판의 표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상향 및 후방 개방형 다용도 꽃이함으로 구성되는 바, 각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부는, 직사각형 바닥판과 바닥판의 후방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직사각형 후방판 및 바닥판의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바, 개방된 상부와 전방을 통하여 서류 및 파일들을 넣어서 보관하게 된다.
이때, 파일을 안전하게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후방판의 각 길이는 보관하고자 하는 서류의 가로, 세로보다 소정 크기 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 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A4용지의 서류 및 A4용지의 서류들을 보관한 파일 보관용으로는, 바닥판의 전방단부에서 후방단부까지의 길이와 후방판의 하단부에서 상단부까지의 길이가 각각 22cm와 30cm를 넘도록 제작되는 것이 좋다.
즉, 몸체부는, 바닥판과 후방판 및 양 측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바닥판의 전방 테두리에서 상향 직립하는 전방판을 구비하여 몸체부 내에 수납된 파일들이 전방을 통해 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전방판은 파일의 수납 및 인출에 지장이 없도록 낮은 높이 즉, 후방판의 1/4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경량화 및 제작비의 절감을 위하여 한 쌍의 측판 및 후방판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좋은 바, 통공의 갯수와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닥판은 파일 꽂이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별도의 통공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다용도 꽂이함은, 상부와 후방부가 개방된 평단면이 'ㄷ'자 형상을 하는 함체 즉, 꽂이함바닥판, 꽂이함전방판 및 한 쌍의 꽂이함측판으로 이루어진 함체로, 두 꽂이함측판의 내면이 상기 몸체부의 측판 전방 하부 외면에 중첩된 상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며, 슬라이딩에 따라 꽂이함전방판의 내면이 몸체부의 전방판 외면에 중첩되거나, 꽂이함전방판이 몸체부의 전방판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다용도 꽂이함의 꽂이함측판 내면 전체가 몸체부 측판의 전방 하부 외면에 접한 상태가 되면 꽂이함전방판의 내면도 몸체부의 전방판에 접촉한 상태가 되어 몸체부와 다용도 꽂이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며, 다용도 꽂이함의 꽂이함측판 내면의 단부만이 몸체부 측판에 접한 상태가 되면 꽂이함전방판과 몸체부의 전방판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게 되는 바, 이 공간부에 메모지 및 각종 필기구를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다용도 꽂이함을 몸체부로부터 슬라이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용도 꽂이함을 몸체부에 결합시켜 불필요한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다용도 꽂이함의 슬라이딩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아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통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1실시예 사시도를, 도 4에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2실시예 분리 사시도를, 도 5에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도 6에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이 슬라이딩 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7에 본 고안 제3실시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슬라이딩 전·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8에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의 제4실시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도 9에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에 대한 실시예를, 도 10에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후방단부에 직립하는 직사각형 후방판(32)과, 바닥판(3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는 전방판(34)과, 바닥판(31)의 좌·우단부에 각각 직립하고 각각의 전·후방단부가 전·후방판(34)(32)의 좌·우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33)으로 이루어진 몸체부(30)와;
사각형상의 꽂이함바닥판(41)과, 꽂이함바닥판(41)의 좌·우단부에 직립한 한 쌍의 꽂이함측판(43)과, 꽂이함바닥판(41)의 전방단부와 두 꽂이함측판(43)의 각 전방단부를 연결하는 꽂이함전방판(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30)의 전방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용도 꽂이함(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몸체부(30)의 전방 하부에 다용도 꽂이함(40)이 슬라이딩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다용도 꽂이함(40)이 몸체부(40)의 외부로 돌출, 즉, 다용도 꽂이함(40)의 두 꽂이함측판(43)이 몸체부의 두 측판(33) 외면으로 돌출되고, 꽂이함바닥판(41)이 몸체부의 바닥판(31) 저면으로 돌출되는 바, 외관상 품질이 떨어질 뿐 아니라, 특히 바닥판(31)의 경우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바닥판(41)에 의해 파일 꽂이가 테이블이나 책상의 상면에 수평으로 놓여질 수 없는 바, 다용도 꽂이함(40)이 몸체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몸체부(30)의 두 측판(33) 전방 하부 외면과 바닥판(31)의 전방 저면에 단턱부(S)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다용도 꽂이함(40)이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30)의 외면으로 다용도 꽂이함(40)이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몸체부(30)에 다용도 꽂이함(40)이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30)의 측판(33)과 꽂이함측판(43)이 하나의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바닥판(31)과 꽂이함바닥판(41)이 하나의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들과 꽂이함바닥판(41) 은, 몸체부(30)의 두 측판(33) 전방 하부 외면과 바닥판(31)의 전방 저면에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는 바, 몸체부(30)의 두 측판(33) 전방 하부 외면 및 바닥판(31)의 전방 저면에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R)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되는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 내면 또는 꽂이함바닥판(41)의 상면에는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결합돌기(P)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으로써, 다용도 꽂이함(40)이 몸체부(30)의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 단부에는 가이드 레일(R)보다 더 깊은 결합돌기 멈춤홈(G)이 구비됨으로써, 다용도 꽂이함(40)의 결합돌기(P)가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슬라이딩 되다 결합돌기 멈춤홈(G)에서 고정되는 바, 몸체부(30)에 대한 다용도 꽂이함(4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즉, 도 6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R)의 후방측 결합돌기 멈춤홈(G)에 다용도 꽂이함(40)의 결합돌기(P)가 삽입 고정될 경우에는,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전방판(42)이 몸체부(30)의 전방판(34)이 접하도록 결합되어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파일 꽂이로써의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6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R)의 전방측 결합돌기 멈춤홈(G)에 다용도 꽂이함(40)의 결합돌기(P)가 삽입 고정될 경우에는, 다용도 꽂이함(40)의 후방부만이 몸체부(30)에 접한 상태가 됨으로써, 몸체부(30)의 전방판(34)과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전방판(42) 사이가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 게 되는 바, 형성된 공간부를 통하여 필기구를 비롯한 메모지 등의 다양한 물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같은 본 고안의 몸체부(30)와 다용도 꽂이함(40)은, 그 결합구조가 바뀌어도 무방한 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의 단턱부(S)에 결합돌기(P)가 돌출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다용도 꽂이함(40)에 가이드 레일(R)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몸체부(30)보다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꽂이함(40)에 가이드 레일(R)을 형성하는 경우 다용도 꽂이함(40)의 측판(33) 또는 바닥판(31)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바, 충격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몸체부(30)에 가이드 레일(R)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몸체부(30)의 전방 하부에 다용도 꽂이함(40)을 슬라이딩 결합하는 구조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에서와 같이, 몸체부(30)의 전방 하부 외면에 다용도 꽂이함(40)이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할 수도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 전방판(34)에 상향 개방형 'ㄷ'자형 관통부(H')가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H')에 다용도 꽂이함(40)의 두 꽂이함측판(43)과 꽂이함바닥판(4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관통부(H')로 삽입되는 다용도 꽂이함(40)이 슬라이딩시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두 꽂이함측판(43) 및 꽂이함바닥판(41)의 후방 일측에 걸림돌기(P')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필요에 따라 다용도 꽂이함(40)을 슬라이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다용도 꽂이함(40)의 슬라이딩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들 일측에 반원형의 손잡이용 홈(44A)을 형성하거나, 꽂이함측판(43)들의 외면 일측에 손잡이 돌기(44B)를 돌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서류 및 파일들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파일의 전방 하부에 다용도 꽂이함이 슬라이딩 결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다용도 꽂이함을 전방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형성되는 공간부에 필기구나 메모지 등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시에는 다용도 꽂이함을 몸체부로 밀착 결합하여 파일 꽂이로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직사각형 바닥판(31)과, 바닥판(31)의 후방단부에 직립하는 직사각형 후방판(32)과, 바닥판(3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는 전방판(34)과, 바닥판(31)의 좌·우단부에 각각 직립하고 각각의 전·후방단부가 전·후방판(34)(32)의 좌·우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33)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판(33) 전방 하부 외면과 바닥판(31)의 전방 저면에 각각 단턱부(S)가 형성되고, 각 단턱부(S)에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과 꽂이함바닥판(41)이 각각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며, 이때, 바닥판(31)과 꽂이함바닥판(41) 및 측판(33)과 꽂이함측판(43)은 각각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몸체부(30)와;
    사각형상의 꽂이함바닥판(41)과, 꽂이함바닥판(41)의 좌·우단부에 직립한 한 쌍의 꽂이함측판(43)과, 꽂이함바닥판(41)의 전방단부와 두 꽂이함측판(43)의 각 전방단부를 연결하는 꽂이함전방판(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30)의 전방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용도 꽂이함(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단턱부(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평방향의 가이드 레일(R)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 레일(R)에 대응하는 꽂이함바닥판(41) 또는 꽂이함측판(43)의 내면에는 결합돌기(P)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 단부에는 결합돌기 멈춤홈(G)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전방판(34)에는 상향 개방형 'ㄷ'자 형상의 관통부(H')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H')에 다용도 꽂이함(40)의 두 꽂이함측판(43) 및 꽂이함바닥판(41)이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H')에 삽입 슬라이딩 되는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 및 꽂이함바닥판(41)의 후방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P')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꽂이함(40)의 꽂이함측판(43) 일측에는 손잡이용 홈(44A) 또는 손잡이용 돌기(44B) 중의 어느 하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KR2020070005219U 2007-03-29 2007-03-29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KR2004438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19U KR200443805Y1 (ko) 2007-03-29 2007-03-29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19U KR200443805Y1 (ko) 2007-03-29 2007-03-29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24U KR20080004324U (ko) 2008-10-02
KR200443805Y1 true KR200443805Y1 (ko) 2009-03-16

Family

ID=4132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219U KR200443805Y1 (ko) 2007-03-29 2007-03-29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8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09Y1 (ko) * 2010-10-26 2013-02-15 박성실 필통이 구비된 책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24U (ko)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525B2 (en) Scrapbook nook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200443805Y1 (ko)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US11072198B1 (en) Modular paper organizer
JP2007061455A (ja) 執務システム
US10092096B1 (en) Recipe and accessories system for the kitchen
US20070102375A1 (en) Folder rack
US20050274681A1 (en) Adjustable width bookend construction
KR200463656Y1 (ko) 탁상달력용 사무용품 수납장치
CN217013180U (zh) 一种家居收纳结构
JP6784506B2 (ja) 組み合わせ家具
JP6514447B2 (ja) 組み合わせ家具
KR200411326Y1 (ko) 가변 책상판을 가진 책상장
KR20100000010A (ko) 슬라이딩 책꽂이
KR200349680Y1 (ko) 다용도 조합가구
KR200467596Y1 (ko) 선반형 서류함
CN212754883U (zh) 一种车载户外多功能集成模块
WO2010078677A1 (zh) 储物柜组
KR200394811Y1 (ko) 칸막이와 수납장 기능을 가진 책상
JP6634220B2 (ja) 収納家具
JP3066365U (ja) 仏壇下台と仏壇本体と仏壇
KR200440343Y1 (ko) 다중 파일 꽂이
TWM509576U (zh) 伸縮式書架
KR200227748Y1 (ko) 다용도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