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343Y1 - 다중 파일 꽂이 - Google Patents

다중 파일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343Y1
KR200440343Y1 KR2020070005220U KR20070005220U KR200440343Y1 KR 200440343 Y1 KR200440343 Y1 KR 200440343Y1 KR 2020070005220 U KR2020070005220 U KR 2020070005220U KR 20070005220 U KR20070005220 U KR 20070005220U KR 200440343 Y1 KR200440343 Y1 KR 200440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ack
pile
bottom plat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송경운
김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김종성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20070005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3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0Trays
    • B42F7/12Stacked tray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의 파일 꽂이와 하나의 연필꽂이를 하나의 직육면체로 적층할 수 있는 다중 파일 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제1바닥판(21)과, 제1바닥판(21)의 후방단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제1후방판(22)과, 제1바닥판(21)의 전방단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제1전방판(23)과, 제1바닥판(21)의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ㄴ"자 형상의 양 제1측판(24)으로 이루어진 제1파일꽂이(20)와; 제1파일꽂이(2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제1파일꽂이(20)의 전방 상부에 적층되는 제2파일꽂이(30)와; 상향 개방형 사각 함체로, 상기 제2파일꽂이(30)의 전방 상부에 적층되는 연필꽂이(4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2개의 파일 꽂이 및 하나의 연필꽂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2개의 파일 꽂이와 연필꽂이를 하나로 적층하여 보관 및 포장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의 공간적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파일 꽂이, 다중, 적층, 연필꽂이

Description

다중 파일 꽂이{A multiplex file box}
도 1은 종래 파일 꽂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제1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제2실시예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바닥판 12. 뒷판 13. 전판
14. 측판 20. 제1파일꽂이 21. 제1바닥판
22. 제1후방판 23. 제1전방판 24. 제1측판
24A. 제1수평부 24B. 제1수직부 30. 제2파일꽂이
31. 제2바닥판 32. 제2후방판 33. 제2전방판
34. 제2측판 34A. 제2수직부 34B. 제2수평부
40. 연필꽂이 41. 제3바닥판 42. 제3후방판
43. 제3전방판 44. 제3측판
F. 마찰부재 P. 결합편 S. 단턱부
본 고안은, 서류나 파일들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파일 꽂이의 상부에 별도의 파일 꽂이와 연필꽂이를 적층하여 하나의 육면체상태로 보관 및 포장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각기 분리하여 두 개의 파일 꽂이와 하나의 연필꽂이로 사용 가능한, 다중 파일 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학업이나 업무 등과 관련이 있는 소책자, 카탈로그, 각종 서류들을 묶은 파일 등(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들을 묶어 "서류 파일"이라고 한다.)을 정리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종 서류 파일을 보관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서류 파일을 보관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대표적인 수단으로는 전방이 완전 개방되거나, 전방의 개방부에 개폐문이 결합된 프레임 내부에 다수의 선반이 상·하 다단으로 수평하게 결합된 책장을 들 수 있다.
상기 책장은 많은 양의 서류 파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책장을 구비하고 있으나, 가정 또는 사무실에 책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큰 설치 공간이 필요로 되는 바, 주로 개인용보다는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단체용으로 사용된다.
즉, 개인적인 용도로 간편히 사용하기에는 상기 책장이 적합치 못한 측면이 있는 바, 가장이나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책상에 올려 놓고 간편히 사용하기 위한 서류 파일 보관용으로는 다수 칸으로 구획된 1단 구조의 책꽂이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책꽂이의 경우, 그 크기가 고정되기 때문에 서류 파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서류 파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책꽂이의 크기가 맞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서류 파일을 다른 곳에 보관하거나 책꽂이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 바,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책꽂이의 구매에 따른 경제적 지출이나, 교체 대상 책꽂이의 재활용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책꽂이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꽂이를 대체할 수 있는 파일 꽂이가 개발되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파일 꽂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후방단부에 직립한 직사각형상의 뒷판(12)과; 바닥판(1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되, 상기 뒷판(12)보다 높이가 낮은, 보통 1/4 이하 정도되는 전판(13)과; 바닥판(1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직립하며, 각각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가 전판(11) 및 뒷판(12)의 각 좌·우측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측판(14)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5장의 판에 의해 형성된 상향 개방형의 내부 공간에 서류 파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판(13)은 생략될 수도 있고, 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토록 만 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일 꽂이는, 대략 A4 용지 정도 이하의 크기를 갖는 서류 파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되는데, 두 측판 사이의 거리는 대략 5∼15cm 정도로서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을 갖추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하나의 파일 꽂이에 수용되는 양 이상의 서류 파일을 꽂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파일 꽂이를 배열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파일 꽂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이동 및 휴대시에 파일 꽂이의 부피가 커지게 될뿐 아니라, 파일 꽂이를 제작하는 생산라인에서 파일 꽂이를 포장하기 위해 박스 등에 파일 꽂이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파일 꽂이가 갖는 두께에 의해 하나의 박스 안에 많은 양의 파일 꽂이를 포장할 수 없어, 박스 구입에 따른 비용부담과 함께, 화물을 운송하는데에 드는 물류비용이 적지 않음에 따라, 파일 꽂이의 생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파일 꽂이는 주로 A4사이즈의 서류 파일을 보관하기 적당한 크기로 제작되는 바, A4 사이즈보다 작은 크기의 서류 파일들을 파일 꽂이 내부에 보관할 경우에는 소규모 서류 파일들이 A4사이즈 파일과 섞여 구분하기 힘들 뿐 아니라, 공간적인 활용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파일 꽂이의 용도 외에는 사용이 불가한 점도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파일 꽂이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 여 안출된 것으로, 2개의 파일 꽂이와 하나의 연필꽂이를 적층하여 하나의 직사각 육면체로 적층함으로써, 운송 및 보관시에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에는 각 파일 꽂이와 연필꽂이를 분리하여 각종 서류 파일 및 필기구들을 수납할 수 있는 다중 파일 꽂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2개의 파일 꽂이와 하나의 연필꽂이가 분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직사각 육면체 형상의 결합상태를 이루는 적층 결합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크기가 다른 2개의 파일 꽂이와 하나의 연필꽂이를 적층 결합하여 하나의 직육면체를 이루는 구조로, 보관 또는 제품포장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 꽂이들과 연필꽂이를 하나의 직육면체로 적층 결합함으로써, 최소의 공간만으로 여러 개의 파일 꽂이를 보관, 운반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각각을 분리하여 서로 다른 크기를 같은 두 파일 꽂이와 연필꽂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제1바닥판과, 제1바닥판의 후방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제1후방판과, 제1바닥판의 전방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되 제1후방판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1전방판과, 제1바닥판의 폭 방향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는 "ㄴ"자 형상의 두 제1측판으로 이루어진 제1파일꽂이와;
상기 제1파일꽂이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크기가 작으며, 제1파일꽂이의 전방 상부에 적층되는 제2파일꽂이와;
상향 개방형 육면체로, 상기 제2파일꽂이 전방 상부에 적층되는 연필꽂이로 구성되며, 제1파일꽂이, 제2파일꽂이와 연필꽂이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하나의 직사각 육면체를 이루는 구조인 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파일꽂이는, 종래 일반적인 파일 꽂이와 동일하게 제1바닥판, 제1후방판, 제1전방판 및 한 쌍의 제1측판으로 이루어지는 바, 개방되어 있는 상부와 전방의 상부를 통하여 각종 서류 파일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인데, 이때 상기 제1측판이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일 꽂이의 전체적인 형상 또한 "ㄴ"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측판은, 제1바닥판의 양측 테두리부에서 상향 직립하되 그 전방부는 상기 제1전방판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제1수평부를 형성하고, 후방부는 상기 제1후방판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제1수직부가 형성되는 바, 즉, 상기 제1측판의 상단부 중 전방의 제1수평부와 후방의 제1수직부에 의해 내측 테두리부가 "ㄴ"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파일꽂이는, 제2바닥판, 제2후방판, 제2전방판 및 한 쌍의 제2측판에 의해 제1파일꽂이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제1파일꽂이의 전방 상부에 적층된다.
상기 연필꽂이는, 일반적인 상향 개방형 함체의 구조로써, 제3바닥판과 제3 바닥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직립한 제3후방판, 제3전방판 및 한 쌍의 제3측판으로 이루어져, 제2파일꽂이의 전방 상부에 적층된다.
즉, 상기 제1파일꽂이 위에 제2파일꽂이와 연필꽂이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제1파일꽂이의 제1바닥판을 밑판으로 하고, 제1측판과 제2측판 및 제3측판이 형성하는 하나의 평면을 측판으로 하며, 제1전방판과 제2전방판 및 제3전방판이 이루는 하나의 평면을 전방판으로 하고, 제1후방판을 후방판으로 하는 하나의 직사각 육면체를 형성하게 되는 바, 사용하지 않을 경우 그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에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사시도를, 도 3에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분해 사시도를, 도 4에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제1실시예 단면도를, 도 5에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제2실시예 단면도를, 도 6에 본 고안 다중 파일 꽂이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직사각형 제1바닥판(21)과, 제1바닥판(21)의 후방단부에 직립하는 제1후방판(22)과, 제1바닥판(2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며 제1후방판(22)보다 낮은 제1전방판(23)과, 제1바닥판(2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직립하며 전·후방단부가 상기 제1전방판(23) 및 제1후방판(22)의 각 좌·우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ㄴ"자 형상을 하는 한 쌍의 제1측판(24)으로 이루어진 제1파일꽂이(20)와;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동일한 "ㄴ"자 형 구조를 갖도록 제2바닥판(31), 제2후방판(32), 제2전방판(33) 및 한 쌍의 제2측판(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방판(23)과 제2전방판(33) 및 제1측판(24)과 제2측판(34)이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파일 꽂이(2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제2파일꽂이(30)와;
사각형 제3바닥판(41)의 테두리를 따라 제3전·후방판(43)(42) 및 한 쌍의 제3측판(44)이 직립하여 상향 개방형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며, 상기 제2전방판(33)과 제3전방판(43) 및 제2측판(34)과 제3측판(44)이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2파일 꽂이(3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연필꽂이(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제2파일꽂이(30)의 제1, 2측판(24)(34)은, 그 전방부에 제1, 2전방판(23)(33)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1, 2수평부(24A)(34A)와 각 수평부의 후방단부에서 제1, 2후방판(22)(32)의 높이만큼 직립하는 제1, 2수직부(24B)(34B)로 이루어진 내측 테두리부에 의해 'ㄴ'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연필꽂이(40)는 제2파일꽂이(30)의 'ㄴ'자형 내측테두리부에, 제2파일꽂이(30)는 제1파일꽂이(20)의 'ㄴ'자형 내측테두리부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 가능한 구조로서, 적층된 상태에서, 제1·2·3전방판(23)(33)(43) 및 제1·2·3측판(24)(34)(44)이 각각 서로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제2파일꽂이(30) 및 연필꽂이(40)의 좌·우 폭, 즉 제1바닥판(41)과 제2바닥판(31) 및 제3바닥판(41)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적층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연필꽂이(40)와 제2파일꽂이(30) 및 제1파일꽂이(20)의 높이는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나,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제1·2·3측판(24)(34)(44)의 전체 테두리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나, 제품의 보관 및 포장시 공간적인 활용면에서나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고안의 파일 꽂이는, 제1, 2파일꽂이(20)(30)의 각 전방판(23)(33)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한 바, 즉, 제1, 2파일꽂이(20)(30)는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되, 제1바닥판(21)과 제2바닥판(31)의 각 전방단부가 상·하로 일치하는 동시에, 연필꽂이(40)의 제3전방판(43) 외면과 제2바닥판(31)의 전방단부가 상·하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상태의 본 고안 다중 파일은, 제1파일꽂이(20)의 전방 상부에 제2파일꽂이(30)가, 제2파일꽂이(30)의 전방 상부에 연필꽂이(40)가 적층되는 것으로, 제1파일꽂이(20)의 제1측판(24) 내측 테두리부에 제2파일꽂이(30)의 제2측판(34) 하단부와 후방단부가 접하도록 적층 결합되고, 제2파일꽂이(30)의 제2측판(34) 내측 테두리부에 연필꽂이(40)의 제3측판(44) 하단부와 후방단부가 접하도록 적층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적층된 제1파일꽂이(20)와 제2파일꽂이(30) 및 연필꽂이(40)의 접촉하는 부분은 각 판의 단부들이기 때문에, 그 적층 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단점이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단부의 일측단부에 결합편(P)을 연장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타측단부에 상기 결합편(P)이 삽입되는 단 턱부(S)이 구비됨으로써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측판(24) 제1수평부(24A)와 제2측판(34) 제2수평부(34A)의 외측에 상향 돌출된 결합편(P)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2측판(34)의 하단부와 제3측판(44)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편(P)이 걸릴 수 있는 단턱부(S)가 형성됨으로써, 두 평면상의 단부들이 접촉한 상태가 아니라 단턱부(S)에 결합편(P)이 걸린 상태가 되어 파일 꽂이의 적층 상태를 견고히 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측판(34)의 하단부와 제3측판(44)의 하단부에 상향 돌출된 결합편(P)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1측판(24) 제1수평부(24A)와 제2측판(34) 제2수평부(34A)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편(P)이 걸릴 수 있는 단턱부(S)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와 같이 구성되면, 각 파일 꽂이를 사용하고자 할 때, 파일 꽂이의 하단부로 결합편(P)이 돌출되게 되어 파일 꽂이의 바닥판이 테이블이나 책상의 표면으로부터 결합편(P)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연필꽂이(40)의 경우에는, 제3바닥판(41)의 넓이가 넓지 않으면서 필기구를 넣고 빼는 잦은 동작에 의해 쉽게 유동되거나 흔들릴 수 있는 바, 제3바닥판(41) 저면에 별도의 마찰부재(F)를 구비함으로써, 연필꽂이(40)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유동을 막아줌과 동시에, 제2파일꽂이(30)의 상부에 적층시 제2측판(34)의 상단부와 맞물려 적층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중 파일 꽂이는, 2개의 서로 다른 크기를 다른 파일 꽂이를 이용하여 서류 파일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꽂을 수 있고, 연필꽂이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2개의 파일 꽂이와 연필꽂이를 하나로 적층하여 보관 및 포장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의 공간적 효율을 최대화할 뿐 아니라 운송도 용이하게 해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직사각형 제1바닥판(21)과, 제1바닥판(21)의 후방단부에 직립하는 제1후방판(22)과, 제1바닥판(2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직립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제1후방판(22)의 좌·우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ㄴ"자 형상을 하는 한 쌍의 제1측판(24)으로 이루어진 제1파일꽂이(20)와;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동일한 "ㄴ"자 형 구조를 갖도록 제2바닥판(31), 제2후방판(32), 한 쌍의 제2측판(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닥판(21)과 제2바닥판(31)의 각 전방단부가 상·하로 일치하는 동시에 제1측판(24)과 제2측판(34)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파일 꽂이(2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제2파일꽂이(30)와;
    사각형 제3바닥판(41)의 테두리를 따라 제3전·후방판(43)(42) 및 한 쌍의 제3측판(44)이 직립하여 상향 개방형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전방판(43)의 외면과 제2바닥판(31)의 전방단부가 상·하로 일치하는 동시에, 제2측판(34)과 제3측판(44)이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2파일 꽂이(3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연필꽂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2. 직사각형 제1바닥판(21)과, 제1바닥판(21)의 후방단부에 직립하는 제1후방 판(22)과, 제1바닥판(21)의 전방단부에 직립하며 제1후방판(22)보다 낮은 제1전방판(23)과, 제1바닥판(2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직립하며 전·후방단부가 상기 제1전방판(23) 및 제1후방판(22)의 각 좌·우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ㄴ"자 형상을 하는 한 쌍의 제1측판(24)으로 이루어진 제1파일꽂이(20)와;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동일한 "ㄴ"자 형 구조를 갖도록 제2바닥판(31), 제2후방판(32), 제2전방판(33) 및 한 쌍의 제2측판(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전방판(23)과 제2전방판(33) 및 제1측판(24)과 제2측판(34)이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1파일 꽂이(2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제2파일꽂이(30)와;
    사각형 제3바닥판(41)의 테두리를 따라 제3전·후방판(43)(42) 및 한 쌍의 제3측판(44)이 직립하여 상향 개방형 내부 공간을 갖는 육면체를 이루며, 상기 제2전방판(33)과 제3전방판(43) 및 제2측판(34)과 제3측판(44)이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제2파일 꽂이(30)의 전방 상단부에 적층 가능한 연필꽂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일꽂이(20)와 제2파일꽂이(30)의 제1, 2측판(24)(34)은, 그 전방부에 제1, 2전방판(23)(33)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1, 2수평부(24A)(34A)와 각 수평부의 후방단부에서 제1, 2후방판(22)(32)의 높이만큼 직립하는 제1, 2수직부(24B)(34B)로 이루어진 내측 테두리부에 의해 'ㄴ'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닥판(21), 제2바닥판(31) 및 제3바닥판(41)은 그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일꽂이(20), 제2파일꽂이(30)와 연필꽂이(40)가 적층된 상태에서, 제1측판(24), 제2측판(34) 및 제3측판(44)은 하나의 직사각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1파일꽂이(20) 제1수평부(24A) 외측 상단을 따라 결합편(P)이 돌출형성되고, 이에 접하는 제2파일꽂이(30) 제2측판(34)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결합편(P)이 삽입되는 단턱부(S)가 구비되며,
    제2파일꽂이(30)의 제2수평부(34A) 외측 상단을 따라 결합편(P)이 돌출형성되고, 이에 접하는 연필꽂이(40) 제3측판(44)의 하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결합편(P) 이 삽입되는 단턱부(S)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파일 꽂이.
KR2020070005220U 2007-03-29 2007-03-29 다중 파일 꽂이 KR200440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20U KR200440343Y1 (ko) 2007-03-29 2007-03-29 다중 파일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220U KR200440343Y1 (ko) 2007-03-29 2007-03-29 다중 파일 꽂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343Y1 true KR200440343Y1 (ko) 2008-06-10

Family

ID=41639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220U KR200440343Y1 (ko) 2007-03-29 2007-03-29 다중 파일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3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851B1 (en) Rack having stackable configuration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JP2007118570A (ja) カードファイル
KR200440343Y1 (ko) 다중 파일 꽂이
US20120181904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box
CN220109475U (zh) 一种纸质壁挂展示柜
JP6842297B2 (ja) 帳票類ラック用の補助支持具
KR200443805Y1 (ko) 다용도 꽂이함이 구비된 파일 꽂이
CN205574494U (zh) 抽屉式组合镜片专用盒
CN205601469U (zh) 集约式叠放桌面收纳盒
CN213215991U (zh) 一种财务系统专用的单据展示架
CN2520257Y (zh) 具展收的可叠式公文盘
JP3159517U (ja) 本立て
CN210853357U (zh) 一种展示盒
JP3179808U (ja) 画用紙庫
JP3178660U (ja) 本棚兼用梱包箱
CN208658213U (zh) 一种可折叠组装式文具存储架
JPH11155710A (ja) スタンドラック及びペン立て構造
JP6393864B1 (ja) 挟持収納ユニット
KR20110002389U (ko) 분리 가능한 거치대가 있는 책꽂이
JP2000270937A (ja) 新聞および雑誌収納棚
TWM282573U (en) Partitioned drawer structure
KR200262663Y1 (ko) 책 및 책 진열대
CN107007084A (zh) 一种智能型可储存货物及更换画面的地堆
KR20210114266A (ko)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