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66A -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66A
KR20210114266A KR1020200029782A KR20200029782A KR20210114266A KR 20210114266 A KR20210114266 A KR 20210114266A KR 1020200029782 A KR1020200029782 A KR 1020200029782A KR 20200029782 A KR20200029782 A KR 20200029782A KR 20210114266 A KR20210114266 A KR 20210114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ition
storage device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448B1 (ko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102020002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4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made mainly of wood or plastics
    • A47B47/047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책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동일한 부품의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수납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치는 다수개가 연접되게 결합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바닥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은 연접되게 결합되는 또 다른 지지부의 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수납장치{RECEIVING DEVIC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책을 수납하는 수납장치는 책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사이에 두고 측벽들이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과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책들을 지지한다.
하지만, 다양한 두께의 책들이 추가되거나 수납공간의 한계가 발생되는 경우, 기존의 수납장치의 수납공간에 책 이외의 물품들이 배치되면서 수납공간의 수납 효율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2744호는 책꽂이 겸용 도서 포장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6243호는 책꽂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책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품을 효과적으로 수납하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책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하고, 동일한 부품의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장치는 다수개가 연접되게 결합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바닥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은 연접되게 결합되는 또 다른 지지부의 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후방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연장되어 상기 제1 구획부들 각각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상기 제1 구획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후방 일부분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후방을 커버하며,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양측 일부분들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삽입되는 스틱들이 형성되고, 상기 스틱들 각각에는 걸림턱들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구획부들 각각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구획바디 및 상기 구획바디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스틱 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제1 구획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구획부들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일단 및 타단의 부피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 및 지지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2 구획부 및 지지부를 둘러싸며 서로 고정시키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장치는 책들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결합되는 측벽들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책들의 두께에 적합한 수납공간의 크기 변경이 가능하고, 측벽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 형태의 연결부들을 통해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공간에 수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바닥판들이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고, 바닥판들의 상부에 복수의 측벽들의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여 복수의 수납공간들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책의 수납과 함께 다양한 물품들의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지지부, 구획부 및 연결부의 분해를 통해 분해되어 수납 또는 이송이 용이하고, 다양한 종류의 연결부들의 결합으로 책뿐만아니라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는 구획부 및 지지부의 슬롯 결합과 함께 연결부를 통한 구획부 및 지지부의 결합으로 유격없이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고, 수납되는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납장치의 지지부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연결부 및 구획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구획부 및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구획부 및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수납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수납장치의 지지부들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책을 수납하는 수납장치는 책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사이에 두고 측벽들이 하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판과 결합되어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책들이 쓰러지지 않도록 책들을 지지한다.
하지만, 다양한 두께의 책들이 추가되거나 수납공간의 한계가 발생되는 경우, 기존의 수납장치의 수납공간에 책 이외의 물품들이 배치되면서 수납공간의 수납 효율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장치(100)는 지지부(200), 제1 구획부(300)들, 제2 구획부(400), 제1 연결부(500)들, 제2 연결부(600)들 및 제3 연결부(700)들을 포함한다.
수납장치(100)는 책들을 지지하는 바닥판과 결합되는 측벽들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책들의 두께에 적합한 수납공간(10)의 크기 변경이 가능하고, 측벽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틱 형태의 연결부들을 통해 다양한 물품을 효율적으로 수납공간(10)에 수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100)는 바닥판들이 서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고, 바닥판들의 상부에 복수의 측벽들의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여 복수의 수납공간(10, 12, 14)들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책의 수납과 함께 다양한 물품들의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지부(200)는 바닥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부의 일부분은 전방부의 상부면과 수직하도록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수납공간(10)에 배치되는 책들의 책배부분을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전방부에는 지지부(200)를 상하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홈(210)들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구획부(300, 400)들 각각은 결합홈(210)들을 통해 지지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슬롯 결합된다.
결합홈(210)들 각각은 전방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은 전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통로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200)의 상부면 일부분이 지지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210)의 전방부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후방부는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좌우폭이 좁은 스틱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200) 후방부의 전면에 인접한 위치에는 지지부(200)를 상하부로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홈(213)들이 일측의 제1 방향(1) 또는 타측의 제2 방향(2)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결합홈(213)들 각각은 일측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은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통로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200)의 상부면 일부분이 지지부(200)를 상하부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홈(213)의 일측부는 지지부(200)를 관통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측부는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전후방 폭이 좁은 스틱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결합홈(213)의 일측부의 전후방 폭의 길이는 제2 구획부(400)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더(310)의 하단부의 전후방 폭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결합홈(210)의 전방부의 좌우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지지부(200)의 후방부의 전방에서 일부분이 밀착되는 제2 구획부(400)의 일부분은 결합홈(213)들 각각에 삽입되고 지지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슬롯 결합되며, 제3 연결부(700)들을 통해 지지부(200)의 후방부와 2차 결합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결합홈(213)의 일측부에 삽입되기 전에 슬라이더(310)의 일부분은 지지부(200)의 후방부를 소정의 거리만큼 관통한 후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결합홈(213)의 일측부에 삽입된다.
후방홈(214)은 측면홈(320)과 동일한 형태로 지지부(200)의 후방부를 전후방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후방부가 제2 구획부(400)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2 구획부(400)에 형성된 측면홈(320)과 연통된다.
보조홈(215)들 각각은 결합홈(210)들 각각의 직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지지부(200)의 후방부를 전후방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 구획부(300)가 결합홈(210)과 결합되면서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제1 구획부(300)의 일부분이 보조홈(215)에 삽입되어 2차로 지지부(200)에 결합된다.
제1 구획부(300)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이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을 향하도록 지지부(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구획부(4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전면 및 배면 각각이 수납장치(10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부(200)와 결합된다.
제1 및 제2 구획부(300, 400) 각각은 구획본체(305) 및 슬라이더(310)들을 포함한다.
구획본체(305)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이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을 향해 배치되며 상부 전방 및 후방 코너에 해당하는 테두리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더(310)들 각각의 상단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직육면체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구획본체(305)의 저면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좌우폭이 넓고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와 연결된다.
슬라이더(310)들 각각은 지지부(200)에 형성된 결합홈(210)들 각각에 삽입되고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지지부(200)와 슬롯 결합되며, 슬라이더(310)가 지지부(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한 후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 지지부(200)와 분리된다.
제2 구획부(4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더(310)들 각각은 결합홈(213)들 각각에 삽입된 후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지지부(200)와 슬롯 결합된다.
측면홈(320)들 각각의 상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하단부는 상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스틱형태로 형성되는 구획본체(305)의 일측면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함몰되어 구획본체(305)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공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구획본체(305)의 중앙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홈(320)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구획본체(305)의 전방부터 후방까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획본체(305)에 형성된다.
구획본체(305)의 중앙 안쪽의 2개의 측면홈(320)들 사이의 거리는 구획본체(305)의 전방쪽 측면홈(320) 및 전방에 인접한 안쪽의 측면홈(32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구획본체(305)의 중앙 안쪽의 2개의 측면홈(320)들 사이의 거리는 구획본체(305)의 후방쪽 측면홈(320) 및 후방에 인접한 안쪽의 측면홈(32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구획본체(305)의 상부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홈(320)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구획본체(305)의 전방부터 후방까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구획본체(305)에 형성된다.
구획본체(305)의 상부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홈(320)들 각각은 구획본체(305)의 중앙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홈(320)들 각각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330)는 구획본체(305)의 후방 하부에 해당하는 테두리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슬라이더(310)가 결합홈(210)들 각각에 삽입된 후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돌출부(330)가 보조홈(215)에 삽입된다.
돌출부(330)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 두께는 보조홈(215) 안쪽 공간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쪽 지지부(200)의 내측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지지부(200)와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돌출부(330)는 슬라이더(310)들 및 결합홈(210)들 각각의 결합으로 부족한 구획본체(305) 상단부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한 절곡 현상을 방지하여 제1 구획부(300)의 책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개선한다.
또한, 돌출부(330)는 보조홈(215)과 끼움 결합되므로, 결합홈(210)들에 삽입되는 슬라이더(310)들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지지부(200)와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도 2 및 3들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50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배치되며 측면이 밀착되는 지지부(200)들 각각의 사이에서 일측부 및 타측부 각각이 지지부(200)들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어 지지부(200)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제1 연결부(500)의 중앙부는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코너들에 인접한 측면 일부분이 제1 및 제2 방향(1, 2) 각각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밀착된 지지부(200)들의 사이에서 지지부(200)들 각각의 측면홈(212)에 삽입되며 지지부(200)들 각각과 걸림턱 결합된다.
제1 연결부(500)는 연결본체(505) 및 스틱(510, 520, 530, 540)들을 포함하고, 지지부(200)는 지지판(205), 테두리부(220), 가이드(230, 232) 및 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지지판(205)의 전방부는 바닥과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후방부 일부분에 해당하는 절곡판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지지판(205)에는 지지판(205)을 상하부로 관통하는 결합홈(210)들이 형성된다.
테두리부(220)는 지지판(205)의 전방부의 저면 테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측벽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부(220)의 일부분이 지지판(205)의 안쪽을 향해 함몰되어 측면홈(212)이 형성된다.
가이드(230)의 상단부는 측면홈(212)의 전방에 해당하는 지지판(205)의 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스틱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부(220)와 연결된다.
가이드(230)의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수납장치(100)의 후방을 향해 절곡된 후 수납장치(100)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가이드(232)는 측면홈(212)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230)와 마주하도록 가이드(230)의 후방에 형성되고, 가이드(232)의 상단부는 측면홈(212)의 후방에 해당하는 지지판(205)의 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스틱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232)의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수납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절곡된 후 수납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스토퍼(240)는 가이드(230, 232)들에서 제2 방향(2)쪽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지판(205)의 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수납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스틱형태로 형성된다.
스토퍼(240)의 전후방 길이는 측면홈(212)에 위치하는 가이드(230, 232)들 각각의 내측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고, 측면홈(212)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500)가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연결본체(505)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200)들의 테두리부(220)가 서로 밀착되며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부(200)들 각각의 측면홈(212)들 각각에 일측 및 타측 각각이 삽입되며, 전면 및 배면 각각은 서로 연통된 측면홈(212)들 안쪽의 지지부(200)들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내측면과 각각 밀착된다.
스틱(510)의 일단은 연결본체(505)의 전방 제2 방향(2)쪽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230)의 상단부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측면홈(212)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걸림턱(512)은 스틱(510)의 타단 전면 일부가 수납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 방향(1)쪽에는 가이드(230)의 제2 방향(2)쪽 측면과 밀착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제2 방향(2)쪽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스틱(520)의 일단은 연결본체(505)의 후방 제2 방향(2)쪽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232)의 상단부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측면홈(212)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걸림턱(513)은 스틱(520)의 타단 배면 일부분이 수납장치(100)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1 방향(1)쪽에는 가이드(232)의 제2 방향(2)쪽 측면과 밀착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제2 방향(2)쪽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스틱(530)의 일단은 연결본체(505)의 전방 제1 방향(1)쪽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230)의 상단부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측면홈(212)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걸림턱(514)은 스틱(530)의 타단 전면 일부분이 수납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2 방향(2)쪽에는 가이드(230)의 제1 방향(1)쪽 측면과 밀착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제1 방향(1)쪽에는 제1 방향(1)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스틱(540)의 일단은 연결본체(505)의 후방 제1 방향(1)쪽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232)의 상단부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측면홈(212)에서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걸림턱(515)은 스틱(540)의 타단 배면 일부분이 수납장치(100)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제2 방향(2)쪽에는 가이드(232)의 제1 방향(1)쪽 측면과 밀착되는 평면이 형성되고, 제1 방향(1)쪽에는 제1 방향(1) 및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걸림턱(512, 513)들 각각의 평면이 가이드(230, 232)들 각각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스틱(510, 520)들 각각의 타단면은 스토퍼(240)와 밀착되고, 스토퍼(240)의 제1 방향(1)쪽 측면 및 가이드(230, 232)들 각각의 제2 방향(2)쪽 측면 사이의 거리는 걸림턱(512, 513)들 각각의 평면과 스틱(510, 520)들 각각의 타단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연결부(500)의 제2 방향(2)쪽 반쪽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2 방향(2)쪽에 위치한 지지부(200)의 측면홈(212)에 삽입되어 지지부(200)와 걸림턱 결합되고, 스토퍼(240)에 의해 측면홈(212)에서 제2 방향(2)으로 삽입되는 거리가 제한된다.
또한, 제1 연결부(500)의 제1 방향(1)쪽 반쪽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1 방향(1)쪽에 위치한 지지부(200)의 측면홈(212)에 삽입되어 양측에 위치한 지지부(20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600)의 일단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방향(1)쪽 제1 구획부(300)와 슬롯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방향(2)쪽 제1 구획부(300)와 슬롯 결합된다.
복수의 제2 연결부(60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제1 구획부(300)들에 형성된 측면홈(320)들 각각에 삽입되고, 제1 구획부(300)들 각각을 관통한 후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하여 제1 구획부(300)들 각각과 슬롯 결합된다.
제2 연결부(60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은 측면홈(320)들 각각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위치하는 제1 구획부(300)들 사이를 연결하고, 사용자는 책대신에 물품들을 제2 연결부(600)들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연결부(600)를 지지부(20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구획부(300)들 각각과 결합시켜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의 상부에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책의 배에 해당하는 책배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하도록 회전된 책을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책을 삽입시켜, 지지부(200)의 표면에 수직한 상태로 책들을 수납공간(10, 12, 14)들 각각에 수납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10)의 안쪽에 위치하는 측면홈(320)들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책의 두께가 작은 책의 수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책을 수납공간(10)에 수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의 상부에는 책 또는 물품들이 배치되어 수납공간(10)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2 연결부(600)들이 제1 구획부(300)들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책이나 물품의 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수납장치의 연결부 및 구획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600)는 연결바디(610) 및 삽입유닛(620)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바디(6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바디(610)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방향으로 절단하여 제2 방향(2)에서 연결바디(610)의 단면을 주시하는 경우 십자형태로 형성된다.
연결바디(610)의 일단은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는 삽입유닛(620)과 연결되고, 연결바디(61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방향(2)쪽에 배치되는 삽입유닛(620)과 연결된다.
제2 방향(2)쪽 삽입유닛(620)의 일단부는 원형의 표면이 제2 방향(2)을 향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1 방향(1)쪽 안쪽의 일부분이 제1 방향(1)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연결바디(610)의 타단 중앙에 연결된다.
도면에 확대되어 도시되지 않지만 제1 방향(1)쪽 삽입유닛(620)의 일단부는 원형의 표면이 제1 방향(1)을 향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2 방향(2)쪽 안쪽의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연결바디(610)의 일단 중앙에 연결된다.
제2 연결부(6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서로 이격된 제1 구획부(300)들 각각과 슬롯 결합되는 경우, 제1 단계로 제2 방향(2)쪽 삽입유닛(620)의 일단부는 제2 방향(2)쪽 제1 구획부(300)의 측면홈(320)을 관통하여 제1 구획부(300)의 제2 방향(2)쪽에 배치된다.
제2 단계로서, 삽입유닛(620)의 타단부가 측면홈(320)의 하단부를 향해 하강하고, 삽입유닛(620)의 타단부가 측면홈(320) 하부에 해당하는 구획본체(305)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제2 연결부(600)의 타단이 구획본체(305)와 슬롯 결합된다.
제2 연결부(6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유닛(620)은 제2 연결부(600)의 타단에 위치하는 삽입유닛(62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구획부(300)의 구획본체(305)와 슬롯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구획부 및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더(310)가 결합홈(210)에 삽입되어 지지판(205)과 슬롯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단계로서 슬라이더(310)의 하단부는 결합홈(210)의 전방부를 관통하여 지지판(205)의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슬라이더(310) 및 지지판(205)의 슬롯 결합 제2 단계로서, 슬라이더(310)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슬라이더(310)의 상단부가 결합홈(210)의 후방부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더(310) 및 지지판(205)이 서로 슬롯 결합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결합홈(213)에 삽입되어 지지판(205)과 슬롯 결합되는 과정의 제1 단계로서, 슬라이더(310)의 하단부는 결합홈(213)의 일측부를 관통하여 지지판(205)의 하부를 향해 이동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 및 지지판(205)의 슬롯 결합 제2 단계로서, 슬라이더(310)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슬라이더(310)의 상단부가 결합홈(213)의 타측부로 삽입되면서 슬라이더(310) 및 지지판(205)이 서로 슬롯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테두리부(220)는 지지판(205)의 전방부 저면 테두리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테두리부(220)에 의해 지지판(205) 및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슬라이더(310)가 삽입되면 슬라이더(31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결합홈(213)의 일측부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테두리부(220) 및 지지판(205)의 후방부 하부의 직사각형 형태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착홈(207)이 형성된다.
결착홈(207) 안쪽의 지지판(205)의 후방부 상단 내측면 및 지지판(205)의 전방부 상부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높이는 슬라이더(310)의 하단부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결착홈(207)의 제2 방향(2)쪽에는 테두리부(220)의 직사각형 형태의 내측면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함몰되고 결착홈(207)과 연결되는 슬라이딩홈(208)이 형성되며, 슬라이딩홈(208)은 결착홈(207)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착홈(207)의 높이는 테두리부(220)의 하부 모서리 및 지지판(205)의 저면 사이의 거리, 지지판(205)의 상하부 두께와 슬라이더(310)의 하단부 높이에 해당하는 거리의 합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의 하단부가 전후방폭이 좁은 결합홈(213)의 일측부를 통과하여 지지판(205)의 하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310)의 하단부 후방 일부분이 결착홈(207)에 삽입되면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해야 한다.
도 6은 도 1의 구획부 및 지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획부(300)의 구획본체(305)에는 테두리부(318, 319)들 각각이 형성되고, 테두리부(318, 319)들 각각은 구획본체(305)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테두리 일부분들 각각이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각각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구획부(300)에 형성된 돌출부(330)는 슬라이더(310)들 각각이 결합홈(210)들 각각에 슬롯 결합되며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지지부(200)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보조홈(215)에 삽입된다.
돌출부(330)가 보조홈(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테두리부(318, 319)들 각각의 배면은 지지판(205) 후방부의 전면에 밀착되고, 제1 구획부(300)는 테두리부(318, 319)들과 지지판(205)의 밀착구조에 의해 돌출부(330)의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돌출부(330)는 보조홈(215)에 끼움 결합되어 슬롯 결합된 슬라이더(310)들 각각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지지부(20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의 하단부 일부분이 결착홈(207)에 삽입된 후 하강하여 결합홈(213)의 일측부의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슬라이더(310)가 제2 방향(2)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10)의 상단부는 결합홈(213)의 타측부로 삽입되며 지지판(205)과 슬롯 결합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지지판(205)에 슬롯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10)의 하단부 전방 및 후방 상부면은 지지판(205) 전방부의 저면 및 슬라이딩홈(208)의 상부에 해당하는 지지판(205)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또한,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지지판(205)에 슬롯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10)의 상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318)의 저면은 지지판(205)의 상부에 밀착되어 슬라이더(310) 하단부의 전방쪽 상부면과 함께 지지판(205)을 둘러싸므로, 제2 구획부(400)의 전후방 흔들림을 방지한다.
또한,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지지판(205)에 슬롯 결합된 상태에서, 테두리부(319)의 후방쪽 끝단면은 지지판(205)의 후방부 전면에 밀착되어 제2 구획부(400)가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지지판(205)에 슬롯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홈(214) 안쪽의 공간과 제2 구획부(400)의 측면홈(320) 안쪽의 공간은 서로 연결되고, 제3 연결부(700)가 측면홈(320) 및 후방홈(214)을 관통한 후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지지판(205) 및 제2 구획부(400)와 슬롯 결합된다.
후방홈(214)과 연결되는 측면홈(320)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제2 구획부(400)의 일부분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측면테두리부(322, 323)들이 각각 형성된다.
제2 구획부(400)의 슬라이더(310)가 지지판(205)에 슬롯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테두리부(323)의 후방쪽 끝단은 지지판(205)의 후방부 전면에 밀착되어 제2 구획부(400)가 전후방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3 연결부(700)의 일단부는 원형의 표면이 전방을 향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부의 중앙 일부분이 원기둥 형태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타단부는 일단부와 동일한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3 연결부(700)의 중앙부의 길이는 측면테두리부(322, 323)들, 제2 구획부(400)의 전후방 두께 및 지지판(205) 후방부의 두께를 합산한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3 연결부(7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의 외경은 측면홈(320) 및 후방홈(214)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공간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형성되어 측면홈(320) 및 후방홈(2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연결부(700)가 측면홈(320) 및 후방홈(214)을 관통하여 제3 연결부(7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측면테두리부(322)의 전방 및 지지판(205) 후방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3 연결부(700)가 하강하면 제3 연결부(700)의 중앙부는 측면홈(320) 및 후방홈(214)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제2 구획부(400)의 내측면 및 지지판(205)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끼움 결합된다.
제3 연결부(7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제3 연결부(70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측면테두리부(322) 및 지지판(205)의 후방부 배면과 각각 밀착되어 제2 구획부(400) 및 지지부(2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2 구획부(400)는 슬라이더(310) 및 테두리부(318, 319)들에 의해 지지판(205)에 견고하게 슬롯 결합되고, 측면테두리부(323)에 의해 제2 구획부(400)의 전후방 흔들림이 방지되며, 제3 연결부(700)에 의해 제2 구획부(400)의 전방을 향한 변형이 방지되어 제2 구획부(400) 및 지지부(200)의 유격없는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수납장치(100)는 지지부(200) 및 제1 구획부(300)들의 결합만으로도 책장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제1 연결부(500)들을 통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확장이 가능하며, 제1 구획부(300)와 동일한 구조의 제2 구획부(400)를 활용하여 안정적으로 책의 책배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 및 지지부(20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사각용기 형태의 서랍이 삽입되면서 다양한 물품들의 보관이 가능하고, 책들을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 사이에 삽입하여 책들을 서로 분리되도록 보관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연결부(600)들 사이에 책들을 분리보관하면서 책의 표지에 프린팅된 물질이 책들의 밀착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납장치 200: 지지부
300: 제1 구획부 400: 제2 구획부
500: 제1 연결부 600: 제2 연결부
700: 제3 연결부

Claims (7)

  1. 다수개가 연접되게 결합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바닥에 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는 제1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양측은 연접되게 결합되는 또 다른 지지부의 측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후방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연장되어 상기 제1 구획부들 각각의 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후방 일부분과 밀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후방을 커버하며,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일단 및 타단의 부피가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구획부 및 지지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2 구획부 및 지지부를 둘러싸며 서로 고정시키는 제3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양측 일부분들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각각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삽입되는 스틱들이 형성되고, 상기 스틱들 각각에는 걸림턱들이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들 각각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획부들 각각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구획바디; 및
    상기 구획바디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지지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스틱 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은 상기 제1 구획부들 사이에서 상기 제1 구획부들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장치.


















KR1020200029782A 2020-03-10 2020-03-10 수납장치 KR10235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82A KR102355448B1 (ko) 2020-03-10 2020-03-10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82A KR102355448B1 (ko) 2020-03-10 2020-03-10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66A true KR20210114266A (ko) 2021-09-23
KR102355448B1 KR102355448B1 (ko) 2022-01-26

Family

ID=77926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82A KR102355448B1 (ko) 2020-03-10 2020-03-10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4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894U (ko) * 1992-05-09 1993-12-16 변철수 조립식 책꽂이
KR950000676U (ko) * 1993-06-23 1995-01-03 스프루 카터(cutter)기의 높이 및 각도 가변장치
KR960000676U (ko) * 1994-06-29 1996-01-17 드 릴
KR960001274U (ko) * 1994-06-23 1996-01-19 자동차용 보조백밀러
KR200363982Y1 (ko) * 2004-07-07 2004-10-06 문수봉 조립식 책상용 책꽂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894U (ko) * 1992-05-09 1993-12-16 변철수 조립식 책꽂이
KR950000676U (ko) * 1993-06-23 1995-01-03 스프루 카터(cutter)기의 높이 및 각도 가변장치
KR960001274U (ko) * 1994-06-23 1996-01-19 자동차용 보조백밀러
KR960000676U (ko) * 1994-06-29 1996-01-17 드 릴
KR200363982Y1 (ko) * 2004-07-07 2004-10-06 문수봉 조립식 책상용 책꽂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448B1 (ko)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4348A1 (en) Modular storage system
US7152752B2 (en) Modular and transportable bookshelves
US20090145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6619773B2 (en) Hanging vertical organizer for file drawer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JPH09202378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等の収納ケース
KR102355448B1 (ko) 수납장치
IL261840A (en) Storage systems with tilt cells
US3494685A (en) Reinforced file cabinet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JP5110753B2 (ja) 収納家具
CN209499146U (zh) 拼接式收纳柜
JP2014058271A (ja) 車両のコンソール
US20110006019A1 (en) Inclined universal tray for paper and the like
KR20090082055A (ko) 다용도 조립식 보관함
CN213786250U (zh) 一种化妆品收纳柜
GB2167389A (en) Partitioned drawer inserts and trays
US20080035645A1 (en) Nestable, multi-function, multi-tiered organizational device
US20050269917A1 (en) Stackable bins and storage media rack therefor
JPH066754Y2 (ja) 引出しの構造
JP3117376U (ja) 卓上整理ケース
GB1605044A (en) Containers
JP3072184U (ja) 卓上整理ボックス
JP2017192619A (ja) 組み合わせ家具
KR102269168B1 (ko) 다용도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