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288B1 - 듀얼 모니터 받침대 - Google Patents

듀얼 모니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288B1
KR102085288B1 KR1020190115954A KR20190115954A KR102085288B1 KR 102085288 B1 KR102085288 B1 KR 102085288B1 KR 1020190115954 A KR1020190115954 A KR 1020190115954A KR 20190115954 A KR20190115954 A KR 20190115954A KR 102085288 B1 KR102085288 B1 KR 10208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awer
dual monitor
groov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90115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14Platforms for supporting office equipment
    • A47B2021/0364Keyboard and monito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지지플레이트에서 듀얼 모니터의 사이에 안착시 무선충전부가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듀얼 모니터 받침대는 듀얼 모니터가 안착되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에 마주보도록 연결되어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메인지지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공간부를 구획하는 구획지지대 및 상기 구획지지대에 매립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가 안착시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얼 모니터 받침대{DUAL MONITOR STAND}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지지플레이트에서 듀얼 모니터의 사이에 안착시 무선충전부가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학교, 사무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는 본체,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포함하며, 본체는 책상의 하측 공간의 소정 위치에 배치시키고, 모니터와 키보드는 책상 위에 배치시켜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책상 위에 배치되는 모니터의 높이가 바닥면에 가까울수록 사용자의 시야가 아래 방향을 향하게 되므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시 목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어 상부에는 모니터를 안착시키고, 하부에는 키보드를 수납시키는 받침대가 제안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자기기 및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제품 등이 급격하게 고성능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들의 생활 양태 다각화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모니터 받침대는 최근의 트렌드에 적합하지 않게 단순히 모니터를 받쳐주는 기능만 사용하는 것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36호(2017.02.21. 등록, 명칭: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모니터 받침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지지플레이트에서 듀얼 모니터의 사이에 안착시 무선충전부가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는 듀얼 모니터가 안착되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에 마주보도록 연결되어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메인지지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공간부를 구획하는 구획지지대 및 상기 구획지지대에 매립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가 안착시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공간부에는 물품을 보관 가능한 서랍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는 슬라이드연결부에 의해 메인지지대와 상기 구획지지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연결부는 상기 메인지지대와 상기 구획지지대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지도록 상기 서랍부의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도록 당김시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서 이탈을 방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구비되어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레일홈부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걸림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끼움홈부가 마주보게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끼움홈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공간분할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서랍부의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지지대에는 스피커부가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듀얼 모니터의 사이에 안착시 무선충전부가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슬라이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이탈방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구획지지대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슬라이드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이탈방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모니터 받침대에서 구획지지대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받침대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 메인지지대(20), 구획지지대(30) 및 무선충전부(40)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0)는 메인지지대(20) 및 구획지지대(30)에 지지되고, 듀얼 모니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지지플레이트(10)는 듀얼 모니터를 지지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면에 밀착시 듀얼 모니터에서 배선되는 전선으로부터 간섭 방지되도록 일측 둘레면에 간섭방지홈부(11)가 구비된다.
메인지지대(2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양측에 마주보게 구비되어 이격공간부(21)를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지지대(20)는 지지플레이트(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책상, 테이블 등에 배치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하측에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지지대(30)는 메인지지대(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플레이트(10)에 구비되어 이격공간부(21)를 구획한다. 이때, 이격공간부(21)에는 물품을 보관하도록 수납공간부(51)가 형성된 서랍부(50)가 구비되고, 서랍부(50)는 슬라이드연결부(60)에 의해 메인지지대(20)와 구획지지대(30)에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서랍부(50)는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전면에 파지홈부(5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연결부(60)는 메인지지대(20)와 구획지지대(30)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61) 및 슬라이드레일(6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서랍부(50)의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62)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일홈부(62)는 서랍부(50)가 인출되도록 당김시 이탈방지부(63)에 의해 슬라이드레일(61)에서 이탈을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63)는 슬라이드레일(61)에 구비되어 걸림턱부(63a)를 형성하는 걸림홈부(63b) 및 걸림턱부(63a)에 걸리도록 레일홈부(62)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걸림후크(63c)를 포함한다.
즉, 탄성걸림후크(63c)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부(50)가 이격공간부(21)에 인입시 레일홈부(62)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탄성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서랍부(50)를 당겨 걸림홈부(63a)에 도달되면 걸림턱부(61a)에 걸림 가능하도록 경사진 형태로 변형된다.
이때, 걸림홈부(63a)는 서랍부(50)가 인출된 상태에서 이격공간부(21)로 인입시 탄성걸림후크(63c)를 점차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부(63d)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탄성걸림후크(63c)는 걸림홈부(63a)에서 이탈될 때까지 점차적으로 탄성 가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랍부(50)를 이격공간부(21)에 급작스럽게 인입시키더라도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서랍부(50)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끼움홈부(52a)가 마주보게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재(52)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끼움홈부(52a) 중 어느 하나에는 공간분할부재(53)가 슬라이드 끼움 결합되어 수납공간부(51)를 구획할 수 있다.
이로써, 공간분할부재(53)는 끼움홈부(52a)에 슬라이드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수납공간부(51)의 분할 크기를 사용자의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물론, 공간분할부재(53)는 수납공간부(51)의 분할 크기를 변경 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서랍부(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충전부(40)는 지지플레이트(10)에서 구획지지대(30)를 구비하는 부위에 매립되고,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가 안착시 전원을 공급한다.
즉, 무선충전부(40)는 사용자가 휴대기기의 충전을 위한 별도의 어댑터를 휴대하고 있지 않아도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휴대기기를 소지하고 있다면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획지지대(30)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기능이 지원되지 않은 휴대기기가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USB포트(31)가 구비되고, USB포트(31) 및 무선충전부(4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단속버튼(32)이 구비된다.
또한, 구획지지대(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33)가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고, 스피커부(33)의 전원을 단속과 볼륨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부(33)는 외부기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달받도록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반경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기기와 페어링(pairing)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지지플레이트 11: 간섭방지홈부
20: 메인지지대 21: 이격공간부
30: 구획지지대 31: USB포트
32: 전원단속버튼 33: 스피커부
34: 컨트롤부 40: 무선충전부
50: 서랍부 51: 수납공간부
52: 가이드부재 53: 공간분할부재
60: 슬라이드연결부 61: 슬라이드레일
62: 레일홈부 63: 이탈방지부

Claims (6)

  1. 듀얼 모니터가 안착되도록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에 마주보도록 연결되어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메인지지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격공간부를 구획하는 구획지지대 및 상기 구획지지대에 매립되어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기기가 안착시 휴대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충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공간부에는 물품을 보관 가능한 서랍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는 슬라이드연결부에 의해 메인지지대와 상기 구획지지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연결부는 상기 메인지지대와 상기 구획지지대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서랍부의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레일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도록 당김시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레일에서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구비되어 걸림턱부를 형성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상기 레일홈부에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걸림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공간부로 진입시 상기 탄성걸림후크를 점차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안내하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벽면에 밀착시 듀얼모니터에서 배선되는 전선으로부터 간섭 방지되도록 둘레면에 간섭방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에는 복수개의 끼움홈부가 마주보게 형성되도록 가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끼움홈부 중 어느 하나에는 공간분할부재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서랍부의 수납공간부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지지대에는 스피커부가 노출 가능하게 매립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니터 받침대.
KR1020190115954A 2019-09-20 2019-09-20 듀얼 모니터 받침대 KR10208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54A KR102085288B1 (ko) 2019-09-20 2019-09-20 듀얼 모니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954A KR102085288B1 (ko) 2019-09-20 2019-09-20 듀얼 모니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288B1 true KR102085288B1 (ko) 2020-04-02

Family

ID=70281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954A KR102085288B1 (ko) 2019-09-20 2019-09-20 듀얼 모니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2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575A (ko) * 2014-01-16 2015-07-24 김주환 설치가 편리한 인출형 기능성 수납서랍
KR101858519B1 (ko) * 2017-03-10 2018-05-17 브로스앤컴퍼니(주) 다기능 모니터 받침대
KR101968107B1 (ko) * 2017-07-10 2019-04-11 (주)코아스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575A (ko) * 2014-01-16 2015-07-24 김주환 설치가 편리한 인출형 기능성 수납서랍
KR101858519B1 (ko) * 2017-03-10 2018-05-17 브로스앤컴퍼니(주) 다기능 모니터 받침대
KR101968107B1 (ko) * 2017-07-10 2019-04-11 (주)코아스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dula7832/221543811710 (2019.05.22.공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9902B2 (en) Vertical docking station
US9089209B2 (en) Pull-out power and data tray, worksurface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thereof
US20070173197A1 (en) An Integrated Device Using Bluetooth Technology
US20150326053A1 (en) Foldable wireless charging system
US20160079801A1 (en) Interface and Mounting Structure for a Wireless Charger or Intermediate Piece
KR101967631B1 (ko) 도킹 스테이션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US20130113420A1 (en) Universal Station for Organizing and Charg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20160190858A1 (en) Inductive Charging Holster for Power Tools in Mobile Applications
WO2012009595A1 (en) Headphones system
US20150078579A1 (en) Nested speaker system
US20130021735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detachable wireless keyboard
US9844159B1 (en) Handheld mou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90038372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20160088931A1 (en) Cushioned Forearm Support Arrangement For A Work Area Or User Input Or Interface Device
KR102085288B1 (ko) 듀얼 모니터 받침대
US20140340839A1 (en) Handheld mount and stand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561212B2 (en) Carrying bag with placement rack
CN105191264A (zh) 具有配件接口的便携式无线电设备
US11240584B2 (en) Earphone systems
US20140233172A1 (en) Universal Docking Station
US9829919B2 (en) Protective cover for an input device
JP5041497B1 (ja) 携帯型電子機器の壁掛け保持具
US20170054312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rd storage apparatus
KR101351186B1 (ko) 스마트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